KR20110026870A - 무한궤도차량 - Google Patents

무한궤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6870A
KR20110026870A KR1020090084701A KR20090084701A KR20110026870A KR 20110026870 A KR20110026870 A KR 20110026870A KR 1020090084701 A KR1020090084701 A KR 1020090084701A KR 20090084701 A KR20090084701 A KR 20090084701A KR 20110026870 A KR20110026870 A KR 2011002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buoyancy
sprocket
track shoe
cater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4354B1 (ko
Inventor
이충철
Original Assignee
이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철 filed Critical 이충철
Priority to KR1020090084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354B1/ko
Priority to PCT/KR2010/003237 priority patent/WO2011030994A1/ko
Publication of KR2011002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62D55/065Multi-track vehicles, i.e. more than two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60F3/0015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comprising track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1/00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 B62D11/001Steering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endless tracks or the like control systems
    • B62D11/006Mechanical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1/00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 B62D51/001Mot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driver not being seated characterised by the vehicle control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6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without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석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전후방에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부력발생용 트랙슈를 포함하는 무한궤도가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차량에 있어서 :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로서, 양측에 직경이 큰 원통형의 대형 부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형 부력부들 사이에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소형 부력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아령 형태로 형성되며 ; 상기 대형 부력부의 외주면에 상기 무한궤도와 결합되는 트랙슈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 상기 트랙슈는,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대형 부력부 사이를 지나는 내측 트랙슈와, 상기 내측 트랙슈의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외측 트랙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트랙슈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돌기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한궤도차량의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각각이 아령과 같은 형태로 취함으로써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각각이 부력을 발생시켜 무한궤도차량의 수상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고, 아울러 트랙슈의 내측 트랙슈는 부력을 발생시키면서도 무한궤도가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동스프라켓 등이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이 조립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제작의 간편성 및 스프라켓의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한궤도차량{Amphibious Caterpillar Vehicle}
본 발명은 무한궤도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저용으로 이용될 수 있는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국내 등록특허 제10-0396213호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슈"(등록일 2003년 8월 18일)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 종래 기술의 제안 후 레저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연구를 지속하였으며, 이에 따라 상기 종래 기술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1) 무한궤도용 트랙슈
레저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이 물에서 뜰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위로는 트랙슈, 구동스프라켓, 피동스프라켓으로 한정되며, 또한 이로써 충분하다.
부력을 발생시키는 방식으로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통 형태를 사용하거나 혹은 내부가 채워져 있는 형태이되 물보다 비중이 낮은 발포 스티로폼이나 발포 우레탄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통 형태를 이용하여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재로서는 대량생산의 용이성과 경량성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할 경우 블로우 몰딩 공법에 의하여 부력재를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 통 형태의 부력재는 수상에서는 별 문제가 되지 않으나 무한궤도차량이 육상에서 이동할 경우 플라스틱 통 형태의 부력재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플라스틱 통 형태의 부력재는 충격에 비교적 약하기 때문이다.
한편 발포 스티로폼 또는 발포 우레탄 등의 물보다 비중이 낮은 발포체를 이 용하여 부력재를 제작할 경우, 발포체는 육상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나 플라스틱 통 형태의 부력재에 비하여 비교적 무게가 무겁다는 문제를 가진다. 즉, 발포체에 의하여 부력재를 제작할 경우 플라스틱 통 형태와 같은 부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는 비교적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된다.
무한궤도차량에서 엔진 또는 모터 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도 무한궤도차량의 무게가 무겁다는 것은 동력 손실을 발생시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나, 무한궤도차량이 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경우 즉, 별도의 엔진이나 모터없이 인간의 발 동작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의 경우 무게가 무겁다는 것은 치명적인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고가의 무한궤도차량은 엔진 또는 모터 등을 장착한 자동형 무한궤도차량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은 간단하게 제작되어 널리 보급될 수 있으며 또한 직접 사람의 몸을 움직여 작동시킨다는 점에서 놀이의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육상에서의 이동이 원활한 무한궤도차량을 제조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용 트랙슈의 구조 및 재질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
(2) 무한궤도
트랙슈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무한궤도를 형성하되,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는, 구동스프라켓과 접촉하는 부위와, 피동스프라켓과 접촉하는 부위와,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사이의 상부 궤도와 하부 궤도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한궤도는, 육상에 무한궤도차량이 위치할 경우 하부 궤도는 지면과 접촉되어 지면의 형태에 따라 상부로 볼록하게 되거나 하부로 볼록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상부 궤도는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처진 형태가 된다.
무한궤도차량의 예로서, 수륙양용 장갑차 등의 경우 하부 궤도 또는 상부 궤도 등이 과도하게 그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즉, 하부 궤도와 상부 궤도 각각이 어느 정도의 직진도를 유지하도록 본체에 지지롤러 등을 마련하여 하부 궤도 내지 상부 궤도가 지지롤러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매우 고가로 제작된 차량의 경우는 그 유지 보수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레저용으로서 비교적 저가로 제작되는 무한궤도차량의 경우 유지 보수의 문제가 가급적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레저용으로 제작되는 무한궤도차량의 경우 하부 궤도 내지 상부 궤도를 지지하는 지지롤러가 본체에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지지롤러와 같은 회전부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무한궤도차량이 수상을 이동한다면 물 위의 부유물 내지 해초 등이 지지롤러에 감겨 유지 보수의 문제가 자주 일어날 수 있으며, 아울러 무한궤도차량의 전진력을 약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체에 무한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부력을 발생시키는 부력발생용 트랙슈를 채택한 무한궤도차량이 수상에 위치할 경우 무한궤도의 하부 궤도는 물로부터 받는 부력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상부 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태의 무한궤도가 회전할 경우 하부 궤도의 회전하는 힘은 무한궤도차량의 전진력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물의 저항을 받으면서 상부로 올라가거나 하부로 내려가는데에도 이용된다. 즉, 무한궤도의 하부 궤도가 상부로 볼록하면 할수록 동력 손실은 그만큼 증가된다.
이와 같은 동력손실은 엔진이나 모터 등을 이용한 자동형 무한궤도차량에 있어서도 문제가 되지만, 인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에서는 더욱 문제가 된다.
따라서 특히 무한궤도의 하부 궤도가 물 속에서도 그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또한 이와 같은 무한궤도차량이 육상에서 이동할 경우 하부 궤도는 지면의 형태 변화에 따라 어느 정도 상부로 볼록하거나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지면에서의 이동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3) 구동스프라켓 및 피동스프라켓의 구조
트랙슈가 체인 형태로 연결된 무한궤도가 각각 감기는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또한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은 무한궤도차량이 수상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큰 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가벼운 무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이 대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도 그 제작이 간편할 것이 요구되 며, 무한궤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4)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
일반적으로 무한궤도차량은 양측에 각각 마련된 무한궤도 중 어느 하나의 무한궤도와 다른 하나의 무한궤도간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함으로써 그 전진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조작을 위하여는 클러치 부재에 의하여 어느 일측에 위치한 구동스프라켓으로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고가의 무한궤도차량에서는 현재 무한궤도차량으로 개발된 각종 차량에 관한 클러치 기술 내지 조작 부재들에 관한 기술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지만, 레저용으로 이용되는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의 경우 보다 간단하면서도 직감적으로 방향 조작이 가능한 방향 조작 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석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전후방에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부력발생용 트랙슈를 포함하는 무한궤도가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차량에 있어서 :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로서, 양측에 직경이 큰 원통형의 대형 부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형 부력부들 사이에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소형 부력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아령 형태로 형성되며 ; 상기 대형 부력부의 외주면에 상 기 무한궤도와 결합되는 트랙슈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 상기 트랙슈는,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대형 부력부 사이를 지나는 내측 트랙슈와, 상기 내측 트랙슈의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외측 트랙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트랙슈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돌기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상기 대형 부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형 부력부의 절반의 폭을 가진 분할형 소형 부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이 서로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피동스프라켓 사이의 상기 무한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며, 상기 무한궤도에 장착된 트랙슈들은, 하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무한궤도가 부력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트랙슈들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무한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는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연결브라켓이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의 전후방 가장자리에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가 이웃한 다른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와 간섭됨으로써 상기 무한궤도의 직진도가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내부 또는 상기 피동 스프라켓의 내부에 발포체가 주입 발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무한궤도차량의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각각이 아령과 같은 형태로 취함으로써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 각각이 부력을 발생시켜 무한궤도차량의 수상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고, 아울러 트랙슈의 내측 트랙슈는 부력을 발생시키면서도 무한궤도가 스프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동스프라켓 등이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이 조립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제작의 간편성 및 스프라켓의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한궤도차량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리 사 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구동스프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6은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변형 형태이며, 도 8은 도 2의 피동스프라켓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1의 트랙슈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9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리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의 무한궤도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무한궤도의 단면도이며, 도 18은 무한궤도와 스프라켓간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19는 무한궤도와 스프라켓간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 개념도이다.
본 무한궤도차량은 크게 착석부(110)가 마련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양측 전후방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다수의 부력발생용 트랙슈(500)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구동스프라켓(200)의 구조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구동스프라켓(200)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로서 제작된다. 따라서 구동스프라켓(200) 또한 부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본 구동스프라켓(200)은 양측의 대형 부력부(210, 230)와, 대형 부력부들(210, 230) 사이에 형성된 소형 부력부(220)로 이루어진다(도 5 참조).
또한 대형 부력부(210, 230)는 직경이 큰 원통 형태이며, 아울러 소형 부력 부(220)는 직경이 작은 원통 형태이다.
따라서 구동스프라켓(200)은 아령과 같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대형 부력부(210, 230)에는 소형 부력부(220)와 인접한 외주면에 트랙슈(500)간의 연결부위에 결합되는 트랙슈 결합돌기(211, 231)가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트랙슈 결합돌기(211, 231)에 의하여 무한궤도(400)가 구동스프라켓(200)에 의하여 회전된다.
아울러 트랙슈 결합돌기(211,231)들 사이에는 평판 형태를 이루는 안착부(212, 232)가 형성된다. 안착부(212, 232)는 본 실시예에서 무한궤도(400)가 경질의 연결판(520)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형태라는 점을 고려하여 형성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형태의 구동스프라켓(200)은 통상 플라스틱의 블로우 몰딩 공법에 의하여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형의 구동스프라켓(200)을 하나의 금형에서 제작한다면 금형의 부피가 매우 크게 되어 금형장치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구동스프라켓(200)을 한 쌍의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이 서로 조립되는 형태로 제작하였다.
즉, 각각의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은 대형 부력부(210, 230) 중 어느 하나와 소형 부력부(220)의 절반의 폭을 가진 분할형 소형 부력부(220a, 220b)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소형 부력부(220a)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각각의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은, 아령 형태의 구동스프라켓(200)을 그 폭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절단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을 제작한 후 이들을 서로 조립하여 하나의 구동스프라켓(200)을 제작한다면 제작 금형의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제작장치의 부피가 절반으로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들이 서로 접하는 부위는 구동스프라켓(200)의 강도를 키우기 위한 보강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구동스프라켓(20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은 볼트와 너트 등에 의하여 서로 조립됨으로써 구동스프라켓(20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립 방식은 공지된 조립 방법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스프라켓(200)이 분할형 구동스프라켓(200a, 200b)이 서로 조립되어 제작된다면, 구동스프라켓(200)의 형태는 도 7과 같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도 5의 변형된 형태이다.
한편, 피동스프라켓(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프라켓(200)의 트랙슈 결합돌기(211, 231) 및 안착부(212, 232)에 대응하는 부위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구동스프라켓(200)과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며, 그 제작 및 조립 방법 또한 동일하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는 피동스프라켓(300) 또한 구동스프라켓(200)과 마찬가지로 트랙슈 결합돌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무한궤도(400)를 이루는 각각의 트랙슈(500)의 세부 구조를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트랙슈(500)는 부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부력발생용 트랙슈이다.
또한 본 트랙슈(500)는 다른 트랙슈(500)와 체인 형태로 연결됨으로써 무한궤도(400)를 이루게 되며, 모든 트랙슈(500)는 동일한 형태로 제작된다.
본 트랙슈(500)는 크게 제1부력재(530), 발포체 패드(540), 연결판(520), 제2부력재(510)로 이루어진다.
제1부력재(53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이며, 폭방향이 길며 길이방향이 짧은 형태를 가진다.
제1부력재(530)의 하면 및 외측면에는 폭방향으로 패드용 결합부(531)가 형성된다.
패드용 결합부(531)는 내측으로 함몰된 도랑 형태이다.
아울러 제1부력재(530)의 상면에는 제1 연결판용 결합부(532)가 돌출 형성된다.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a)와 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a)와 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b) 사이에는 도랑과 같은 형태의 공간이 발생된다.
발포체 패드(540)는 발포체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다.
발포체 패드(540)는 제1부력재(530)의 폭방향 둘레를 감싸면서 배치된다.
이때 발포체 패드(540)의 상부는 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a)와 후방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b) 사이를 지나면서 배치된다.
아울러 발포체 패드(540)에는 패드용 결합부(531)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54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결합부(541)는 상측(구체적으로는 제1부력재(53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패드용 결합부(531)에 삽입되는 레일형 돌출부이다.
이와 같이 발포체 패드(540)는 제1부력재(530)의 폭방향 둘레를 감싸면서 마련되어 직접 지면과 접촉하게 되며, 지면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제1부력재(530) 등이 충격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발포체 패드(540)는 하부 결합부(541)와 패드용 결합부(531)의 조립 형태 및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a, 532b)와의 결합 구조에 의하여 제1부력재(5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1부력재(530)의 상부에 연결판(520)이 마련된다.
연결판(520)은 그 전방과 후방 각각에 연결브라켓(521)이 형성되며, 아울러 하면에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와 결합되는 하면 결합부(522)가 형성되며, 상면에 제2부력재(510)와 결합되는 상면 결합부(523)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하면 결합부(522)는 제1연결판용 결합부(532)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연결판(520)이 이와 같은 구조로 제1부력재(530)에 결합됨으로써 더욱더 발포체 패드(540)의 이탈이 방지된다. 즉 연결판(520)에 의하여 발포체 패드(540)의 상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연결판(520)의 연결브라켓(521)은 연결핀(524)에 의하여 다른 연결판(520)의 연결브라켓(521)과 조립되며, 이와 같은 연결브라켓(521)의 조립에 의하여 트랙슈(500)가 체인 형태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무한궤도(400)를 이루게 된다.
한편 연결판(520)의 전후방 가장자리에는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52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판(520)이 다른 연결판(520)과 연결되었을 때 어느 하나의 연결판(520)의 호형 안내부(525)는 이웃하는 다른 연결판(520)의 호형 안내부(525)와 접하게 될 수 있으며, 서로 이웃한 호형 안내부(525)는 서로 접함으로써 반원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호형 안내부(525)의 구조는 무한궤도(400)의 하부 궤도(420)가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무한궤도(400)의 직진도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만일 호형 안내부(525)가 없다면 트랙슈(500)는 이웃하는 트랙슈(500)에 대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연결판(520)의 상부에 제2부력재(510)가 마련된다.
제2부력재(510)는 제1부력재(530)과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이다.
그러나 제2부력재(510)의 폭은 제1부력재(530)의 폭에 비하여 짧다.
아울러 제2부력재(510)의 하면에는 연결판(520)의 상면 결합부(523)와 결합되는 제2연결판용 결합부(5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제2부력재(510), 연결판(520), 제1부력재(530), 발포체 패 드(540)가 서로 가조립된 후, 리벳이나 볼트 등의 고정부재(550)가 제2부력재(510), 연결판(520), 제1부력재(530)를 관통하면서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단위 트랙슈(500)가 완성된다.
이때 제2부력재(510), 연결판(520), 제1부력재(530)들은 각각의 결합부(511과 523, 522와 532)에 의하여 서로간의 슬라이딩이 방지된 상태이므로 수평방향의 힘에 견딜 수 있으며, 고정부재(550)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탈되는 것만을 잡아주면 되므로 고정부재(55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트랙슈(500)가 체인 형태로 연결되어 도 16 내지 도 17과 같은 형태의 무한궤도(400)를 이루게 된다.
또한 무한궤도(400)는 도 18 내지 도 19와 같이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사이에 장착된다.
이때 무한궤도(400)에서 구동스프라켓(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트랙슈 결합돌기(231)와 결합되는 부위는 연결판(540)의 호형 안내부(525)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이다. 즉 서로 이웃하는 트랙슈(500) 사이에 트랙슈 결합돌기(231)가 삽입되는 결합돌기 삽입공간(526)이 호형 안내부(525)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도 17 내지 도 19 참조).
물론 호형 안내부(525)가 단순히 삭제되는 경우에도 호형 안내부(525)가 위치하였던 부위가 결합돌기 삽입공간(526)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랙슈(500)의 구성품들은, 구동스프라켓(200)의 대형 부력부(210, 230)의 외측에 위치하는지 혹은 대형 부력부(210, 23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지 에 따라 외측 트랙슈와 내측 트랙슈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연결판(520), 제1부력재(530), 발포체 패드(540)는 외측 트랙슈를 이루게 되며, 외측 트랙슈는 구동스프라켓(200)의 폭과 유사한 폭을 가지면서 대형 부력부(210, 230)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외측 트랙슈는 비교적 큰 부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 외측이 발포체 패드(540)에 의하여 감싸인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을 보호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제2부력재(510)는 내측 트랙슈를 이루게 되며, 내측 트랙슈(510)의 폭은 소형 부력부(220)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대형 부력부(210, 23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내측 트랙슈는 부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대형 부력부(210, 230) 사이를 지나게 되면서, 구동스프라켓(200) 내지 피동스프라켓(300)으로부터 무한궤도(4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무한궤도(400)는 각각의 단위 트랙슈(500)들의 연결판(520)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었다는 전제하에서 기술되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벨트 형태의 무한궤도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연결판(520)이 서로 연결되어 이루는 체인 형태를 변형하여, 벨트 형태의 무한궤도용 벨트판을 설계하고, 그 무한궤도용 벨트에는 소정 길이마다 결합돌기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아울러 무한궤도용 벨트의 소정 길이마다 제2 부력재(510), 제1부력재(530), 발포체 패드(540)를 고정부재(550)에 의하여 마련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도 내측 트랙슈로서 제2부력재(510)가 제공될 것이며, 아울러 외측 트랙슈로서 제1부력재(530) 및 발포체 패드(540)가 제공될 것이다.
한편, 무한궤도(400)는 구동스프라켓(200)과 접하는 부위와, 피동스프라켓(300)과 접하는 부위와,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사이에 위치되어 무한궤도차량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상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부 궤도(410)와,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사이에 위치되어 무한궤도차량을 전진시키기 위하여 하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하부 궤도(420)로 구분될 수 있다(도 17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별도의 장치 없이 무한궤도차량이 수상에 위치하게 되면 하부 궤도(420)는 부력발생용 트랙슈(500)들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트랙슈(500)가 부력을 받아 하부 궤도(420)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하부 궤도(4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도한 동력 손실을 발생시키게 되며, 특히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수상에서도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제안되어야 한다.
본 무한궤도차량은 유지보수 및 전진력 등의 문제를 고려하여 본체(100)에 지지롤러와 같은 직진도 유지 장치를 별도로 마련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연결판(520)의 호형 안내부(525)가 이웃하는 연결판(520)의 호형 안내부(525)와 서로 간섭됨으로써(즉, 호형 안내부(525)가 서로 만나서 반원형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부 궤도(420)가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은 가능하나,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은 불가능하다(도 16 참조).
따라서 본 무한궤도차량은 무한궤도가 회전할 경우 하부 궤도의 회전하는 힘은 무한궤도차량을 전진시키는데만 이용되므로 동력 손실이 거의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형태로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를 유지하는 경우 수상에서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면에서는 지면의 형태에 따라 하부 궤도(420)의 형태가 변형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만일 지면에서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었다는 것은 호형 안내부(525)가 파손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수상에서는 하부 궤도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나, 지면에서는 지면과의 접촉 면적을 넓히고 특정 트랙슈(500)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경질의 플라스틱 수지가 서로 접촉되어 간섭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 궤도(420)에서 쿠션을 가진 발포체가 도 20과 같이 접촉된다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도 20은 도 17을 변형한 도면으로서 하부 궤도의 연결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의하면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려고 할 때 발포체 패드(540)가 서로 이웃하는 발포체 패드(540)와 서로 간섭되어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발포체 패드(540)는 다른 발포체 패드(540)와 접촉되면서 조금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발포체 패드(540)가 전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다른 발포체 패드(540)와 접촉한다면, 하부 궤도(420)는 하부로 볼록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트랙슈(500)의 부력으로 인하여 발포체 패드(540)가 조금 압축되면서 하부 궤도(420)는 그 직진도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려는 힘은 트랙슈(500)의 부력에 기인하므로 비교적 약한 힘이다. 따라서 트랙슈(500)의 부력에 견딜 수 있을 정도로만 발포체 패드(540)의 재질을 선택한다면 수상에서 발포체 패드(540)간의 간섭에 의하여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발포체 패드(540)는 트랙슈(500)의 가장 외측, 하부 궤도(420) 기준으로는 최하부에 위치한다는 점에 유의바란다.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은, 트랙스(500)간의 연결구조에서 트랙슈(500)가 서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회전축(본 실시예의 경우 연결브라켓(521)이 해당함.)을 중심으로 멀리 떨어진 곳에서 트랙슈(500)의 회동을 지지한다면 동일한 지지력에 의하여도 강한 토크를 발생할 수 있어 비교적 연질의 발포체 패드(540)에 의하여도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를 가진 무한궤도차량이 육상에서 이동할 때 지면이 볼록한 형태를 만나게 되면, 발포체 패드(540)는 지면으로부터 받는 강한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압축되어 하부 궤도(420)가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축된 발포체 패드(540)는 볼록한 형태의 지면과 이탈되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이와 같은 설계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수상에서 하부 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상에서 하부 궤도가 어느 정도 자유롭게 변형되어 지상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된다.
도 20은 도 17의 변형된 형태로서 예시한 것일 뿐이며, 발포체 패드에 의한 직진도 유지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구동 스프라켓(200), 피동 스프라켓(300), 제1부력재(530), 제2부력재(520)는 내부가 비어있는 통 형태를 가진다고 기술하였지만, 이는 그 내부가 반드시 비어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가령 각종 통 형태의 부력재 내부에는 발포체가 주입 발포되는 것이 경우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통 형태의 부력재가 일부 파손될 경우에도 수상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그 부력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매우 가벼운 발포체를 주입 발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입 발포되는 발포체는 각종 부력재의 무게를 증가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통 형태의 부력재 내부에 주입 발포되는 발포체는, 발포체 패드(540)와는 달리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 내지 그 형태 유지 능력은 전혀 필요하지 않으므로(즉 통 형태의 부력재에 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는 상태이므로) 비교적 매우 가벼운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 구조를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무한궤도차량은 사용자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입력받는 수동형 구동부(120)가 본체(100)에 마련된다.
따라서 착석부(110)에 착석한 사용자는 자신의 발을 굴림으로써 수동형 구동부(120)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에 의하여 구동스프라켓(200)이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엔진 내지 모터를 이용하여 무한궤도차량을 전진시킬 수도 있지만, 수동형 구동부(120)를 이용한 무한궤도차량에 있어서의 방향 조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은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널리 보급을 한다는 측면에서 제작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그 방향 조작이 가능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자전거의 핸들 구조를 이용하여 본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을 가능하게 하였다.
착석부(110)의 전방에 파지대(130)가 본체(100)에 고정 마련된다.
파지대(130)의 형태는 자전거의 핸들부 형태와 동일하다. 다만 본 파지대(130)는 자전거의 핸들부와는 달리 좌우 회동이 불가능하도록 본체(100)에 고정된 상태이다.
파지대(130)의 좌우 양측에 파지 핸들(131) 및 방향조작 레버(132)가 쌍으로 마련된다.
파지 핸들(131)은 통상의 경우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부위이며, 방향조작 레버(132)는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와 동일한 형태로 작동되는 부위이다.
즉, 본 실시예의 파지대(130)의 파지 핸들(131) 및 방향조작 레버(132)는 자전거의 파지 핸들 및 브레이크 핸들에 정확히 일치하는 구조이다.
다만 방향조작 레버(132)의 용도는 종래의 브레이크 핸들과는 달리 본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을 위하여 사용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자전거의 브레이크 레버 및 브레이크 와이어와 마찬가지로 방향조작 레버(132)에는 방향조작 와이어(133)의 일단이 연결된다.
한편, 수동형 구동부(120)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은 체인(140)을 매개로 구동축(150)에 전달된다.
구동축(150)은 한 쌍의 구동스프라켓(200) 사이에 위치되며,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체인(140)을 매개로 전달되는 회전력에 따라 회전된다.
구동축(150)과 각각의 구동스프라켓(200) 사이에 클러치 부재(160)가 마련되 며, 구동축(150)과 각각의 구동스프라켓(200)은 클러치 부재(160)를 매개하여 회전력이 전달된다.
클러치 부재(160)는 구동축(150)의 회전력을 해당 구동스프라켓(200)으로 전달하거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아울러 본체(10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방향조작 레버(132)와 이에 연결된 방향조작 와이어(133)는 같은 방향에 위치한 클러치 부재(160)의 동력 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클러치 부재(160)는 구동스프라켓(200)측에 위치하여 구동스프라켓(200)에 동심으로 결합되는 피동 클러치판(161)과 구동축(150)측에 위치하여 구동축(200)과 결합되는 구동 클러치판(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동 클러치판(162)은 구동축(150)에 스플라인 결합된다. 즉, 구동 클러치판(162)은 구동축(150)과 함게 회전되나, 구동축(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는 상태이다.
피동 클러치판(161)은 구동스프라켓(200)에 동심으로 고정결합되어 구동스프라켓(200)과 함께 회전한다.
아울러 구동 클러치판(162)과 피동 클러치판(161)은 서로 원추면이 접하면서 동력이 전달되거나 원추면이 이격되면서 동력이 차단되는 마찰형이다.
구동 클러치판(162)과 피동 클러치판(161)이 통상시 서로 접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 클러치판(162)은 탄성체인 스프링(165)에 의하여 피동 클러치판(161)측으로 탄성지지된다.
스프링(165)은 그 일단이 구동 클러치판(162)에 지지되며 그 타단이 구동축(150)에 형성된 스프링 지지판(151)에 지지된다.
아울러 구동 클러치판(162)의 외주면에 베어링(163)이 마련되며, 베어링(163)의 외주면에 와이어 연결부재(164)가 장착된다.
아울러 도시되지 않았지만, 와이어 연결부재(164)는 본체(100)에 의하여 그 회동이 금지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클러치판(162)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와이어 연결부재(164)는 회전되지 않는다. 즉 구동 클러치판(162)은 와이어 연결부재(164)와 연결된 구조를 이루되, 베어링(163)을 매개로 와이어 연결부재(164)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와이어 연결부재(164)에는 방향조작 와이어(133)의 타단이 고정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클러치 부재(160)는 탄성체인 스프링(165)에 의하여 구동 클러치판(162)과 피동 클러치판(161)간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어 구동축(150)으로부터 구동스프라켓(200)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도 22의 (a) 참조).
아울러 사용자가 방향조작 레버(132)를 잡아 방향조작 와이어(133)를 당기면 이에 연결된 와이어 연결부재(164), 베어링(163), 구동 클러치판(162)이 구동축(150)의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구동 클러치판(162)과 피동 클러치판(161)이 서로 이격되어 구동축(150)으로부터 해당 구동스프라켓(200)으로의 회전력 전달이 차단된다(도 22의 (b) 참조).
따라서 수동형 구동부(120)로부터 회전력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좌측 방향조작 레버(132)를 당기면 좌측 구동스프라켓(200)은 회전하지 않고 우측 구동스프라 켓(200)은 회전하게 되어, 본 무한궤도차량은 좌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물론 우측 방향조작 레버(132)를 당기면 우측 구동스프라켓(200)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본 무한궤도차량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23 및 도 24는 다른 형태의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23 및 도 24는 도 21 및 도 22에 대응되는 도면으로서 도 21 및 도 22에 대하여 상이한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구동 클러치판(162)이 구동축(150)에 대하여 스플라인 결합되어 있는 상태와, 스프링 지지판(151)이 형성된 구동축(150)에 의하여 스프링(165)을 매개로 구동 클러치판(162)이 탄성지지되어 있다는 점은 동일한 구조이다.
다만 본 실시예는 본체(100)에 와이어용 링크 부재(166)가 마련된다. 와이어용 링크 부재(166)는 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아울러 그 일단에 방향조작 와이어(133)가 연결되어 있어, 방향조작 와이어(133)의 당김력에 의하여 회동하게 된다.
와이어용 링크 부재(166)의 타단은 보조회전판(167,168)을 사이에 두고 구동 클러치판(162)에 당김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보조회전판(167)은 구동 클러치판(162)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서, 회전하지 않는 와이어용 링크 부재(166)와 회전하는 구동 클러치판(162)이 접촉할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당연히 무한궤도차량에는 제동장치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동장치는 수상에서 본 무한궤도차량이 제자리에 즉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본 무한궤도차량이 육상의 내리막길을 따라 내려올 때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다.
제동장치의 구조 등은 다양한 방식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무한궤도차량의 작동을 설명한다.
(1) 무한궤도용 트랙슈
본 무한궤도용 트랙슈(500)는 제1부력재(530) 및 제2부력재(510)에 의하여 전체적인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매우 큰 부력을 발생시키며, 아울러 발포체 패드(540)에 의하여 육상에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 것이다.
(2) 무한궤도
본 무한궤도(400)의 구조로 인하여 무한궤도차량의 본체(100)에 무한궤도(400)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발포체 패드(540)를 이용한 무한궤도(400)의 하부 궤도(420)의 직진도 유지 구조는 물 속에서는 그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육상에서는 지면 형태에 따른 하부 궤도(420)의 형태 변형을 허용하여 수상에서뿐만 아니라 육상에서도 동력 효율을 높이는 구조가 된다.
(3) 구동스프라켓 및 피동스프라켓의 구조
본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은 아령과 같은 형태로 취함으로써 구동스프라켓(200)과 피동스프라켓(300) 각각이 부력을 발생시켜 무한궤도차량의 수상에서의 구조적 안정성을 높였고, 아울러 트랙슈(500)의 내측 트랙슈는 부력을 발생시키면서도 무한궤도(400)가 스프라켓(200, 3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구동스프라켓(200) 등이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이 조립된 형태를 취함으로써 제작의 간편성 및 스프라켓의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4)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
본 수동형 무한궤도차량의 경우 자전거와 동일한 파지부 구조를 취함으로써 직감적으로 본 장치의 방향 조작이 가능하며, 아울러 매우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무한궤도차량의 방향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회전하는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 등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설명이 없어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데 아무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 이해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무한궤도차량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구동스프라켓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기준 단면도,
도 6은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변형 형태,
도 8은 도 2의 피동스프라켓의 사시도,
도 9는 도 1의 트랙슈의 사시도,
도 10은 도 9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B-B 기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분리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무한궤도의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무한궤도의 단면도,
도 18은 무한궤도와 스프라켓간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측면 개념도,
도 19는 무한궤도와 스프라켓간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무한궤도의 하부 궤도의 결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1은 도 1의 동력 전달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도 22는 도 21에서 클러치 부재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 및 도 24는 도 21 및 도 22의 변형된 형태의 도면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체 120 : 수동형 구동부
130 : 파지대 131 : 파지 핸들
132 : 방향조작 레버 133 : 방향조작 와이어
140 : 체인 150 : 구동축
160 : 클러치 부재 161 : 피동 클러치판
162 : 구동 클러치판 165 : 스프링
200 : 구동스프라켓 300 : 피동스프라켓
400 : 무한궤도 420 : 하부 궤도
500 : 트랙슈 510 : 제2부력재
520 : 연결판 530 : 제1부력재
540 : 발포체 패드 550 : 고정부재

Claims (5)

  1. 착석부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 전후방에 구동스프라켓과 피동스프라켓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부력발생용 트랙슈를 포함하는 무한궤도가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피동스프라켓 사이에 장착되는 무한궤도차량에 있어서 :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의 플라스틱 부력재로서, 양측에 직경이 큰 원통형의 대형 부력부가 형성되며 상기 대형 부력부들 사이에 직경이 작은 원통형의 소형 부력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아령 형태로 형성되며 ;
    상기 대형 부력부의 외주면에 상기 무한궤도와 결합되는 트랙슈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
    상기 트랙슈는,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대형 부력부 사이를 지나는 내측 트랙슈와, 상기 내측 트랙슈의 외측에 마련되되 상기 소형 부력부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진 외측 트랙슈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
    상기 무한궤도는 상기 트랙슈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결합돌기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스프라켓은, 상기 대형 부력부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소형 부력부의 절반의 폭을 가진 분할형 소형 부력부로 이루어진 한 쌍의 분할형 구동스프라켓이 서로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피동스프라켓 사이의 상기 무한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으며,
    상기 무한궤도에 장착된 트랙슈들은, 하부에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무한궤도가 부력에 의하여 상부로 볼록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서로 이웃하는 트랙슈들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무한궤도의 직진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차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슈는 전방 및 후방 각각에 연결브라켓이 형성된 연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의 전후방 가장자리에 아래를 향하여 볼록한 호 형태를 이루는 호형 안내부가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가 이웃한 다른 연결판의 호형 안내부와 간섭됨으로써 상기 무한궤도의 직진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차량.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라켓의 내부 또는 상기 피동 스프라켓의 내부에 발포체가 주입 발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한궤도차량.
KR1020090084701A 2009-09-09 2009-09-09 무한궤도차량 KR10103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01A KR101034354B1 (ko) 2009-09-09 2009-09-09 무한궤도차량
PCT/KR2010/003237 WO2011030994A1 (ko) 2009-09-09 2010-05-24 무한궤도차량, 수륙양용 무한궤도, 무한궤도용 트랙슈,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701A KR101034354B1 (ko) 2009-09-09 2009-09-09 무한궤도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70A true KR20110026870A (ko) 2011-03-16
KR101034354B1 KR101034354B1 (ko) 2011-05-16

Family

ID=4393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701A KR101034354B1 (ko) 2009-09-09 2009-09-09 무한궤도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3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35B1 (ko) * 2012-04-05 2014-03-19 이충철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KR101896874B1 (ko) 2018-05-21 2018-09-07 홍민표 에이프론 피더용 무한궤도 트랙 어셈블리
WO2020034016A1 (pt) * 2018-08-13 2020-02-20 Vale S.A. Sapata flexível para esteira sem-fim de máquinas de grande porte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sapata flexível
RU2779782C1 (ru) * 2018-08-13 2022-09-13 Вале С.А. Гибкий башмак для бесконечной гусеничной ленты тяжелого маши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го башмака
CN115214564A (zh) * 2022-09-06 2022-10-21 射阳县海涂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滩涂开发用的履带式滩涂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29B1 (ko) 2017-06-16 2019-03-06 이충철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814B2 (ja) * 1993-10-26 2000-11-06 日立建機株式会社 クローラ式作業機の履帯
JP2002144833A (ja) 2000-11-14 2002-05-22 Hiroshi Ashida 無限軌道装置式水陸両用車
US6582258B2 (en) 2001-04-23 2003-06-24 Pierre Morin Floating track device
KR100396213B1 (ko) * 2001-07-09 2003-08-27 이충철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슈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635B1 (ko) * 2012-04-05 2014-03-19 이충철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KR101896874B1 (ko) 2018-05-21 2018-09-07 홍민표 에이프론 피더용 무한궤도 트랙 어셈블리
WO2020034016A1 (pt) * 2018-08-13 2020-02-20 Vale S.A. Sapata flexível para esteira sem-fim de máquinas de grande porte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sapata flexível
RU2779782C1 (ru) * 2018-08-13 2022-09-13 Вале С.А. Гибкий башмак для бесконечной гусеничной ленты тяжелого маши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гибкого башмака
US11807319B2 (en) 2018-08-13 2023-11-07 Vale S.A. Flexible shoe for endless track of heavy machinery and flexible shoe manufacturing method
CN115214564A (zh) * 2022-09-06 2022-10-21 射阳县海涂开发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滩涂开发用的履带式滩涂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4354B1 (ko) 2011-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4352B1 (ko)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1034354B1 (ko) 무한궤도차량
KR101113927B1 (ko) 전방향 구동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전방향 이동차
EP1867561B1 (en) Track shoe assembly for tracked vehicle
KR101105783B1 (ko)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US5853225A (en) Roller skate wheel assembly
NZ214065A (en) Tracked vehicle with leaf spring supported back plate
JP2006213165A (ja) 雪上車
JPS6071383A (ja) オートバイの駆動アタツチメントに使用するための平坦型無端ベルト
CN102430239A (zh) 速滑鞋推进机构
KR101375635B1 (ko) 방향 조작이 가능한 수동형 무한궤도차량
KR100396213B1 (ko) 레져용 수륙양용 무한궤도차량의 트랙슈
KR101105781B1 (ko) 수륙양용 무한궤도
US20110059664A1 (en) Rolling member
CN103863427A (zh) 全地形高速橡胶履带
CN100375699C (zh) 万向防翻特种车
KR20180000029A (ko) 세발자전거 및 스탭 구동 킥보드용 클러치기어
KR101954729B1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
KR20140112169A (ko) 방향 조작이 가능한 무한궤도차량
KR101128842B1 (ko) 무한궤도형 자전거
KR100942546B1 (ko) 자전거용 보조 동력 발생구조
JP2008260344A (ja) クローラ式走行装置
KR100818128B1 (ko) 레저용 롤러와 이를 이용한 레저용 롤러보드
JP2013023165A5 (ko)
KR200392906Y1 (ko) 구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