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4953A -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4953A
KR20110024953A KR1020090083150A KR20090083150A KR20110024953A KR 20110024953 A KR20110024953 A KR 20110024953A KR 1020090083150 A KR1020090083150 A KR 1020090083150A KR 20090083150 A KR20090083150 A KR 20090083150A KR 20110024953 A KR20110024953 A KR 2011002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ower supply
power
capacitor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2090B1 (ko
Inventor
홍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090B1/ko
Priority to US12/659,372 priority patent/US8593837B2/en
Publication of KR2011002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flyback conver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02M1/322Means for rapidly discharging a capacitor of the converter for protecting electrical components or for preventing electrical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필터링된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필터부는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 및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power to image forming apparatus}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이 연결된 상태인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소비 전력의 절감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지 않지만 전원이 연결된 대기 상태의 대기 모드(Standby mode 또는 Sleep mode)에서 소비되는 대기 전력은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절약의 일환으로 감소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전자 제품을 판매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전원 공급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만족해야 하는 안전 규격의 조건으로 인하여 전원 공급 장치는 전자파 장해(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파 장해 필터에 충전된 전압은 전자 제품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해야 한다.
전원이 연결된 상태인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필터와 이 필터에 있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저항의 연결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라면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기 전력의 절감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가된 제 1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제 1 전원으로부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 2 전원을 출력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전자파 장해 필터와 이 필터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시키는 방전 저항의 연결 상태를 변화시켜 전원이 연결된 상태인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는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전원(11), 필터부(12), 컨버터(13)로 구성된다. 필터부(12)는 커패시터(14), 방전 소자(15), 라인 필터(line filter, 16) 및 스위칭 소자(17)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는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린터나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 모니터, 통신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들에서는 구조가 간단하고 작은 크기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전원 공급 장치는 화상형성장치, 컴퓨터 같은 전자 제품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해 주는 장치로, 입력 전력으로부터 필요한 출력 전력을 생성하는 장치이다. 현재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에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가 주로 사용된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는 MOSFET 등 반도체 소자로 만들어진 스위치를 제어하여 안정된 출력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이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종류에는 벅(Buck) 방식, 부스트(Boost) 방식, 벅-부스트(Buck-Boost) 방식, 플라이백(Flyback) 방식, 포워드(Forward) 방식, 푸시-풀(Push-pull) 방식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류부(13) 및 컨버터(13)의 내부 회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위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원(11)은 전원 공급 장치에 교류 전압을 인가한다. 교류 전원(11)은 시간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교류 전압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전원을 의미한다. 국내의 배전 전압은 220[V], 60[Hz]의 교류 전압을 표준 전압으로 공급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교류 전원(11)의 배전 전압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필터부(12)는 교류 전원(11)으로부터 인가된 교류 전류 또는 교류 전압을 필터링한다. 바꾸어 말하면, 교류 전원(11)에 생긴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와 같은 노이즈 등을 필터링한다. 따라서, 필터부(12)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제거하는 EMI 필터에 해당된다. 필터부(12)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를 제거하는 EMI 필터에 해당된다.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는 컴퓨터, 화상형성장치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동안에 전자파 장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가 발생할 수 있다. 전자파 장해(EMI)란 전자 제품으로부터 부수적으로 발생된 전자파가 그 자체의 기기 또는 타 기기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는 전자파 장해(EMI)를 줄이기 위하여 EMI 필터를 사용하는데, EMI 필터의 종류에는 X-커패시터(capacitor), Y-커패시터(capacitor) 및 라인 필터(line filter) 등이 있다.
필터부(12)는 교류 전원(11)에 연결된 커패시터(14), 커패시터(14)에 연결되어 커패시터(14)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15) 및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간의 연결 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1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서 교류 전원(11)과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14)는 라인(151)과 라인(152) 사이에 연결되어 전자파 장해를 제거하는 X-커패시터에 해당된다. X-커패시터에 해당되는 커패시터(14)는 전자파 장해로 생긴 노이즈에 따른 교류 전압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하여, 전자파 장해를 제거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X-커패시터는 라인(151)과 라인(152) 사이에 추가되는 커패시터(14)로써, 라인간에 존재하는 전자파 등과 같은 노이즈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Y-커패시터는 도 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라인(151)과 접지 사이에 추가되는 커패시터로써, 라인(151)과 접지 간에 존재하는 전자파 등과 같은 노이즈를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즉, X-커패시터와 Y-커패시터는 전자파 등과 같은 노이즈를 제거하는 동일한 작용을 하나, 연결된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라인 필터(17)는 정류기나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에서 전자파 장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써, 제품 앞단에 위치하여 제품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같은 노이즈를 줄여준다. 일반적으로 라인 필터(17)는 기본적으로 코일과 커패시터로 구성되어 있다.
필터부(12)의 커패시터(14)는 교류 전원(11)이 입력되었다가 제거된 경우에 교류 전원(11)의 전하를 그대로 충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교류 전원(11)은 제거되었지만 충전된 전압은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감전되어 사용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기 위하여 커패시터(1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소자(15)가 커패시터(14)에 병렬로 연결된다. 커패시 터(1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는 방전 소자(15)에는 저항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전 소자(15)는 저항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방전 소자(15)에는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17)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방전 소자(15)에 스위칭 소자(17)가 직렬 연결되어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방전 소자(15)는 그 저항값에 따라 전력을 소비하며, 소비되는 전력은 다음의 수학식들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9054442282-PAT00001
수학식 1을 참고하면, U는 방전 소자(15)가 연결된 라인들 사이의 피크 전압이고, R은 방전 소자(15)의 저항값이고, C는 커패시터(14)가 연결된 라인들 사이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이다. 수학식 1을 R에 대하여 정리하면 수학식 2와 같다.
Figure 112009054442282-PAT00002
수학식 2를 참고하면, 커패시턴스인 C의 값에 따라서, 저항값 R은 대략 500㏀에서 2㏁ 사이의 저항값을 갖는다.
만약,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가 220V의 전압이 입력되고, 방전 소자(15)의 저항값이 500㏀이라고 가정하면, 방전 소자(15)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수학식 3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9054442282-PAT00003
수학식 3을 참고하면,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가 220V의 전압이 입력되고 방전 소자(15)의 저항값이 500㏀이라고 가정하면, 방전 소자(15)에서는 0.0968W(watt)의 전력이 소비된다.
최근 에너지 절약의 추세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서 소비되는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기 전력의 소비 기준을 1W 미만으로 하는 전자 제품들이 개발되고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앞으로는 대기 전력의 소비 기준이 이보다 낮은 0.6W 미만으로 강화되는 제도 등이 추진되고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가 220V의 전압이 입력되고 방전 소자(15)의 저항값이 500㏀인 경우에 방전 소자(15)에서 소비되는 전력인 0.0968W는 현재의 대기 전력 기준인 1W의 약 10%에 해당하는 큰 값이다. 또한, 앞으로 추진되는 대기 전력 기준인 0.6W의 약 17%에 해당하는 큰 값이다. 따라서,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소비되는 불필요한 대기 전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방전 소자(15)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절감하여야 한다. 즉,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와 같이 전원이 인가된 경우에는 방 전 소자(15)에서 대기 전력을 소모하지 않도록 방전 소자(15)의 연결을 끊어 커패시터(1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방전 소자(15)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17)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스위칭 소자(17)가 오프(off)된 경우, 방전 소자(15)는 커패시터(14)와 단절(disconnect)되어 커패시터(1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으므로, 방전 소자(15)에서 대기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위칭 소자(17)가 온(on)된 경우, 방전 소자(15)는 커패시터(14)와 연결(connect)되어 커패시터(1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므로, 방전 소자(15)에서 대기 전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앞서 수학식들에서 살펴본 대기 전력이 방전 소자(15)에서 소비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위칭 소자(17)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오프(off)되고,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 온(on)되는 상시 폐로형(normally close contact) 계전기(Relay)를 사용한다. 상시 폐로형 계전기(Relay)는 전원이 비인가된 평상시에는 온(on)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전원이 인가되어 계전기에 전류가 흐르면, 계전기 내부에 감긴 코일에 의해 자성이 생겨 물리적으로 계전기가 오프(off)된다. 그러나, 계전기가 오프(off)된 상태에서 다시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자성이 사라져 계전기는 다시 물리적으로 온(on) 상태로 변한다.
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17)의 스위칭 동작은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도 1의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전력 공급 모드는 교류 전원(11)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교류 전 원(11)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즉, 온(ON) 모드는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켠 상태에 해당되고, 오프(OFF) 모드는 사용자가 전원 스위치를 끈 상태에 해당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17)는 전력 공급 모드가 온(ON)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전력 공급 모드가 오프(OFF)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를 연결(connect)시킨다. 즉, 온(ON) 모드에서 상시 폐로형 계전기는 내부에 감긴 코일에 전류가 흘러 계전기가 오프(off)되므로,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가 단절(disconnect)된다. 그러나, 오프(OFF) 모드에서 상시 폐로형 계전기는 내부에 감긴 코일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계전기가 온(on)되므로, 커패시터(14)와 방전 소자(15)가 연결(connect)된다.
다음으로, 도 1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면, 컨버터(13)는 필터부(12)에서 전자파 장해와 같은 노이즈 등이 필터링된 교류 전원(11)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생성한다. 컨버터(13)는 정류 회로, 평활 회로, 변압기(transformer), 반도체 스위치, PWM(pulse-width modulation) 제어부, 2차 저역 통과 필터인 LC 필터 등을 포함한다.
정류 회로는 교류 전원(11)로부터 인가된 교류 전압을 정류한다. 일반적으로 정류 회로는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 회로를 사용한다. 브릿지 다이오드 정류 회로는 4개의 다이오드를 사용하여, 필터부(12)에서 전자파 장해가 제거된 교류 전압을 전파 정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류 회로는 이와 같은 브릿지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평활 회로는 커패시터 등으로 구성되고, 전파 정류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평활한다. 변압기는 1차측과 2차측의 권선비가 다른 코일이 감겨 있다. 평활된 직류 전압은 변압기의 1차측 및 2차측에 감겨 있는 코일의 권선비에 따라 일정한 수준의 직류 전압으로 승압 또는 감압된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에서는 +5[V], +12[V] 등의 직류 전압을 사용하므로, 변압기의 코일의 권선비는 이에 따라 결정된다. 변압기를 거쳐 2차측에서 출력된 직류 전압은 정류 회로를 거쳐 전원 공급 장치의 외부로 출력되어 전자 제품 등의 전원으로 공급된다.
나아가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에 해당하므로, 컨버터(13) 내부에는 반도체 스위치 및 PWM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다. 반도체 스위치는 MOSFET 반도체 스위치 등을 의미한다. PWM 제어부는 반도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즉, 반도체 스위치의 on-time과 off-time의 비를 조절하는데, 이를 PWM(pulse-width modulation) 이라 한다. PWM 제어부는 컨버터(13)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모니터하고 안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그리고, 출력 전압이 변화하면 반도체 스위치를 조절하여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유지시키고, 안정화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컨버터(13)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에서 전자파 장해와 같은 노이즈 등이 필터링된 교류 전원(11)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일반적인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컨버터(13)의 내부 회로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설계를 변경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컨버터(13)를 구현할 수 있다.
퓨즈(Fuse)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 규정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 흐르지 못하게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일반적인 장치이다. 퓨즈는 전원 공급 장치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퓨즈가 녹아서 끊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원 공급 장치(2)는 교류 전원(21), 필터부(22), 컨버터(23)로 구성된다. 필터부(22)는 커패시터(24), 방전 소자(25), 라인 필터(26) 및 스위칭 소자(27)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2)는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27)를 제외한 교류 전원(21), 필터부(22)의 커패시터(24), 방전 소자(25), 라인 필터(26) 및 컨버터(23)는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장치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방전 소자(25)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27)는 전원 공급 장치(2)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24)와 방전 소자(2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스위칭 소자(27)가 오프(off)된 경우, 방전 소자(25)는 커패시터(24)와 단절(disconnect)되어 커패시터(2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으므로, 방전 소자(25)에서 대기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그러나, 스위칭 소자(27)가 온(on)된 경우, 방전 소자(25)는 커패시터(24)와 연결(connect)되어 커패시터(24)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므로, 방전 소자(25)에서 대기 전력을 소모한다. 따라서, 앞서 수학식들에서 살펴 본 대기 전력이 방전 소자(25)에서 소비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27)는 전원 공급 장치(2)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28)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28)에 따라 커패시터(24)와 방전 소자(2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드는 교류 전원(21)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교류 전원(21)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대기 모드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지 않지만 전원이 연결된 대기 상태이다. 즉, 전자 제품이 최소의 전력을 소모하도록 설정되는 모드로써, 출력 회로의 출력단에 매우 작은 부하가 걸리는 경우 등을 의미한다. 정상 동작 모드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을 동작시키고 있는 동안의 모드를 의미한다. 오프(OFF) 모드는 사용자가 전자 제품의 전원을 끈 상태 또는 전자 제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고장난 상태를 의미한다.
스위칭 소자(27)에 제어 신호(28)를 송신하는 외부 회로는 전원 공급 장치(2)가 장착된 전자 제품, 즉, 화상형성장치, 컴퓨터 등의 내부에 있는 메인 보드 등을 의미한다. 즉, 제어 신호(28)는 메인 보드에 탑재된 CPU, 제어 회로 등에서 생성되고, 생성된 제어 신호(28)는 메인 보드와 전원 공급 장치(2)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해 스위칭 소자(27)로 전송된다. 메인 보드에서는 앞서 설명한 전원 공급 장치(2)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른 제어 신호(28)를 스위칭 소자(27)에 송신한다. 즉,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의 제어 신호(28)와 오프(OFF) 모드의 제어 신호(28)는 서로 다르다. 왜냐하면,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방전 소자(25)와 커패시터(24)를 단절(disconnect)시켜야 하고, 오프(OFF) 모드에서는 방 전 소자(25)와 커패시터(24)를 연결(connect)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위칭 소자(27)는 제어 신호(28)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 신호(28)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28)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제어 신호(28)가 없는 경우 온(on)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Relay)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위칭 소자(27)는 제어 신호(28)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28)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온(on)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스위칭 소자(27)는 pnp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등과 연결하여 반대로 제어 신호(28)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28)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온(on)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의 스위칭 소자(17)와 도 2의 스위칭 소자(27)의 차이점은, 도 1의 스위칭 소자(17)는 따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를 사용하나, 도 2의 스위칭 소자(27)는 제어 신호(28)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28)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제어 신호(28)는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 및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로 구분되고,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는 대기 모드 또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이고,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는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이다. 일반적으 로 높은 논리 레벨은 펄스의 하이(High)를 의미하고, 낮은 논리 레벨은 펄스의 로우(Low)를 의미한다. 어느 정도의 레벨 이상이 높은 논리 레벨이고, 어느 정도의 레벨 이하가 낮은 논리 레벨인지는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27)는 수신된 제어 신호(28)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커패시터(24)와 방전 소자(25)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수신된 제어 신호(28)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수신된 제어 신호(28)가 없는 경우 커패시터(24)와 방전 소자(25)를 연결(connect)시킨다. 이와 같이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방전 저항(16)과 커패시터(15)의 연결을 단절(disconnect)시킴으로써, 방전 저항(16)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3)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전원 공급 장치(3)는 교류 전원(31), 필터부(32), 컨버터(33) 및 전압 검출부(38)로 구성된다. 필터부(32)는 커패시터(34), 방전 소자(35), 라인 필터(36) 및 스위칭 소자(37)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3)는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위의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일반적인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전압 검출부(38)는 컨버터(33)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의 출력을 검출하여 스위칭 소자(37)로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도 3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37) 및 전압 검출부(38)를 제외한 교류 전원(31), 필터부(32)의 커패시터(34), 방전 소자(35), 라인 필터(36) 및 컨버터(3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장치들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방전 소자(35)에 직렬 연결된 스위칭 소자(37)는 전원 공급 장치(3)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34)와 방전 소자(3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스위칭 소자(37)는 전압 검출부(38)로부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34)와 방전 소자(3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드는 전압 검출부(38)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전압 검출부(38)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스위칭 소자(37)는 이와 같은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34)와 방전 소자(35)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스위칭 소자(37)는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제어 신호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온(on)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Relay)를 사용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위칭 소자(37)는 제어 신호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온(on)되는 것으로 설명하겠다. 그러나, 스위칭 소자(37)는 pnp형 바이폴라 접합 트랜지스터(BJT) 등과 연결하여 반대로 제어 신호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제어 신호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온(on)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1의 스위칭 소자(17)와 도 3의 스위칭 소자(37)의 차이점은, 도 1의 스위칭 소자(17)는 따로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어 전류가 흐르면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를 사용하나, 도 3의 스위칭 소자(37)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를 사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도 2의 스위칭 소자(27)와 도 3의 스위칭 소자(37)의 차이점은, 도 2의 스위칭 소자(27)는 화상형성장치, 컴퓨터 등의 메인 보드와 같은 외부 회로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28)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지만, 도 3의 스위칭 소자(37)는 전원 공급 장치(3) 내부의 전압 검출부(38)에서 검출된 출력 전압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는 점이다. 즉, 도 3의 스위칭 소자(37)는 외부 회로에서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외부 회로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케이블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
제어 신호는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 및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로 구분되고,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는 온(ON)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이고,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는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이다. 일반적으로 높은 논리 레벨은 펄스의 하이(High)를 의미하고, 낮은 논리 레벨은 펄스의 로우(Low)를 의미한다. 어느 정도의 레벨 이상이 높은 논리 레벨이고, 어느 정도의 레벨 이하가 낮은 논리 레벨인지는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맞게 설정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스위칭 소자(37)는 수신된 제어 신호(38)가 높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커패시터(34)와 방전 소자(35)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수신된 제어 신호가 낮은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수신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커패시터(34)와 방전 소자(35)를 연결(connect)시킨다. 이와 같이 온(ON) 모드에서는 방전 저항(35)과 커패시터(34)의 연결을 단절(disconnect)시킴으로써, 방전 저항(35)에서 불필요하게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교류 전원 및 필터부의 회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교류 전원(41)과 커패시터(43), 방전 소자(44), 라인 필터(45) 및 스위칭 소자(46)로 구성된 필터부(42)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46)는 제어 신호(47)에 따라서 온(on) 되거나, 오프(off)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이다. 커패시터(43)는 교류 전원(41)과 병렬로 연결된 X-커패시터에 해당되고, 필터부(42)는 EMI 필터에 해당된다. 교류 전원(41) 및 커패시터(43)에는 병렬로 연결된 스위칭 소자(46) 및 방전 소자(44)이 연결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46)의 일단에는 방전 소자(44)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교류 전원 및 필터부의 회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교류 전원(51)과 커패시터(53), 방전 소자들(54, 55), 스위칭 소자(56) 및 라인 필터(57)로 구성된 필터부(52)가 도시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56)는 제어 신호(58)에 따라서 온(on) 되거나, 오프(off)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이다.
도 4의 회로도와의 차이점은, 도 4에서 스위칭 소자(46)는 하나의 방전 소 자(44)의 일단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도 5에서 스위칭 소자(56)는 방전 소자들(54, 55)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에도 적용된다.
601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를 결정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모드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모드는 전력 공급 모드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모드는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602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결정된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701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가 온(ON) 모드인지 오프(OFF) 모드인지를 결정한다. 여기서 온(ON) 모드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이고, 오프(OFF) 모드는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이다.
702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전력 공급 모드가 온(ON)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킨다. 즉, 온(ON)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으므로, 방전 저항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703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전력 공급 모드가 오프(OFF)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킨다. 즉, 오프(OFF)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801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결정한다. 여기서 전력 공급 모드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와,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802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결정된 제어 신호가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레벨의 제어 신호인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킨다. 즉,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으므로, 방전 저항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803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결정된 제어 신호가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레벨의 제어 신호인 경우 또는 또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킨다. 즉, 오프(OFF)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901 단계에서 전압 검출부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검출한다. 전력 공급 모드는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902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직류 전원의 검출에 따른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결정한다.
903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결정된 제어 신호가 온(ON)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레벨의 제어 신호인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킨다. 즉, 대기 모드 또는 정상 동작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지 않으므로, 방전 저항은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904 단계에서 스위칭 소자는 결정된 제어 신호가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레벨의 제어 신호인 경우 또는 또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킨다. 즉, 오프(OFF) 모드에서 방전 소자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전원 공급 장치(10)는 전원 공급부(101), 필터부(102) 및 컨버터(103)로 구성된다. 도 1에서 살펴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필터부(12)는 EMI 필터에 해당된다. 이 EMI 필터는 화상형성장치가 아닌 다른 개인용 컴퓨터, TV 등과 같은 전자 제품들의 전원 공급 장치들에도 사용된다. 즉, 일반적인 전자 제품들의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MPS)에 해당되고, 이와 같은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SMPS)는 EMI 필터를 사용하여 전자파 장해를 제거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뿐만 아니라 전원 공급 장치에 EMI 필터가 있는 다른 일반적인 전자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1)는 전원 공급 장치(10)에 교류 전원을 인가한다. 필터부(102)는 인가된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고, 컨버터(103)는 필터링된 교류 전원으로부터 전자 제품의 내부 장치들에 공급될 직류 전원을 생성한다. 전원 공급 장치(10)는 생성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여, 전자 제품의 내부 장치들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의 구성 요소들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의 구성 요소들과 같이 동작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10)에도 적용된다.
필터부(102)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터부(1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MI 필터에 해당된다. 필터부(102) 전원 공급부(101)에 연결된 커패시터(1021), 커패시터(1021)에 연결되어 커패시터(1021)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1022) 및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커패시터(1021)와 방전 소자(1022)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1023)를 포함한다.
전자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력 공급 모드의 일 실시예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스위칭 소자(1023)는 전력 공급 모드가 온(ON)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1021)와 방전 소자(1022)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전력 공급 모드가 오프(OFF) 모드인 경우 커패시터(1021)와 방전 소자(1022)를 연결(connect)시킨다.
또한, 전자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력 공급 모드의 다른 실시예는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스위칭 소자(1023)는 전원 공급 장치(10)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1021)와 방전 소자(1022)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나아가서, 전자 제품의 특성에 따라 전원 공급 장치(10)의 전력 공급 모드의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전원 공급 장치(10)는 컨버터(103)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검출하여 이와 같은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스위칭 소자(1023)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전압 검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전력 공급 모드는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전압 검출부에서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된다. 스위칭 소자(1023) 는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커패시터와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교류 전원 및 필터부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교류 전원 및 필터부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기 전력을 절감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Claims (20)

  1.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교류 전원으로부터 직류 전원을 생성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온(ON)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오프(OFF)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오프(off)되고, 상기 전원이 비인가된 경우 온(on)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Relay)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상기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 및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로 구분되고,
    상기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는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이고, 상기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는 상기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신호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온(ON)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 및 상기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상기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9.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오프(off)되고, 상기 제어 신호가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온(on)되는 상시 폐로형 계전기(Relay)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교류 전원의 전자파 장해(EMI)를 제거하는 EMI 필터인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는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대기 전력의 절감이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교류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와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온(ON)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오프(OFF)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교류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상기 교류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수신된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상기 대기 모드 또는 상기 정상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상기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검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된 직류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상기 온(ON) 모드에 대응되는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상기 오프(OFF) 모드에 대응되는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결정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방법.
  16. 인가된 제 1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링된 제 1 전원으로부터 제 2 전원을 생성하는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 1 전원에 연결된 커패시터;
    상기 커패시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들을 방전하는 방전 소자; 및
    상기 전원 공급 장치의 전력 공급 모드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생성된 제 2 전원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제 1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제 1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온(ON)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가 상기 오프(OFF) 모드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제 1 전원이 인가된 상태의 모드들인 대기 모드 및 정상 동작 모드와 상기 제 1 전원이 비인가된 상태의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원 공급 장치와 연결된 외부 회로로부터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전원 공급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에서 출력되는 제 2 전원을 검출하여 상기 스위칭 소자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전압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공급 모드는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출력된 제 2 전원이 검출된 상태인 온(ON) 모드 및 상기 전압 검출부에서 상기 출력된 제 2 전원이 검출되지 않은 상태인 오프(OFF) 모드로 구분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전력 공급 모드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간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전원 공급 장치.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 1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단절(disconnect)시키고,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제 2 논리 레벨의 신호인 경우 또는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방전 소자를 연결(connect)시키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090083150A 2008-09-03 2009-09-03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58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50A KR101582090B1 (ko) 2009-09-03 2009-09-03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US12/659,372 US8593837B2 (en) 2008-09-03 2010-03-05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based on power supply mod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150A KR101582090B1 (ko) 2009-09-03 2009-09-03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953A true KR20110024953A (ko) 2011-03-09
KR101582090B1 KR101582090B1 (ko) 2016-01-04

Family

ID=4228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150A KR101582090B1 (ko) 2008-09-03 2009-09-03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93837B2 (ko)
KR (1) KR101582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8532B2 (ja) * 2008-08-29 2010-09-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当該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472833B2 (en) * 2009-12-21 2013-06-25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upply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41987B2 (en) * 2010-07-07 2013-09-24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Low loss discharge circuits for EMI filter capacitors
JP5843433B2 (ja) * 2010-09-30 2016-01-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66510B1 (ko) * 2010-11-26 2018-06-1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34689B2 (ja) * 2011-02-07 2015-06-17 ミネベア株式会社 電源回路
JP5995572B2 (ja) * 2011-08-31 2016-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ラインフィルタ、ラインフィルタを搭載したスイッチング電源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864836B1 (ko) * 2011-11-07 2018-06-07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03219878B (zh) * 2012-01-20 2016-06-01 台达电子企业管理(上海)有限公司 一种电容放电电路及功率变换器
EP2624422B1 (en) 2012-01-31 2019-08-28 Canon Kabushiki Kaisha Power source, power failure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4060893A (ja) * 2012-09-19 2014-04-03 Panasonic Corp 充電装置
US9461546B2 (en) * 2013-02-08 2016-10-04 Advanced Charging Technologies, LLC Power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power to electronic devices
US10345348B2 (en) 2014-11-04 2019-07-09 Stmicroelectronics S.R.L. Detection circuit for an active discharge circuit of an X-capacitor, related active discharge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CN105680700A (zh) * 2016-04-05 2016-06-15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三研究所 高效隔离型多路宽电压输出开关电源的电路拓扑结构
CN106487208B (zh) * 2016-11-28 2018-12-2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逆变器交流线缆对地共模电压的抑制方法及装置
JP6949567B2 (ja) * 2017-06-12 2021-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TWI677173B (zh) 2018-10-29 2019-11-11 群光電能科技股份有限公司 電源轉換器
CN110098604B (zh) * 2019-05-08 2021-06-29 上海松下微波炉有限公司 一种放电电路、电源滤波电路、电源供电电路及家用电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89A (ko) * 2001-08-16 2003-02-25 노의철 고전압 직류전원의 출력 단락 보호를 위한 고속 출력스위칭 기법 및 장치
KR20060036812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20070020315A (ko) * 2007-01-30 2007-02-20 선비기술 주식회사 풀 브릿지 인버터 방식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0822342B1 (ko) * 2008-01-23 2008-04-16 김현섭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7512B2 (en) * 2001-05-25 2003-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supply for LEDs
JP2003070159A (ja) * 2001-06-01 2003-03-07 Sharp Corp 電源制御回路及び調理器
US7233473B2 (en) * 2002-11-18 2007-06-19 Nxp B.V. Protection circuit and method for floating power transfer device
DE10330605A1 (de) * 2003-07-07 2005-01-27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chaltnetzteil
US7272025B2 (en) * 2005-01-18 2007-09-18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either a regulated or an unregulated output of a switching power supply
US8294428B2 (en) * 2008-01-07 2012-10-23 Panasonic Corporation Electricity accumulating device
WO2009107233A1 (ja) * 2008-02-29 2009-09-03 三菱電機株式会社 交流電動機の駆動制御装置
US8115457B2 (en) * 2009-07-31 2012-02-14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power converter input terminal voltage discharge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5589A (ko) * 2001-08-16 2003-02-25 노의철 고전압 직류전원의 출력 단락 보호를 위한 고속 출력스위칭 기법 및 장치
KR20060036812A (ko) * 2004-10-26 2006-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위칭 모드 전원장치의 대기전력 저감장치 및 방법
KR20070020315A (ko) * 2007-01-30 2007-02-20 선비기술 주식회사 풀 브릿지 인버터 방식을 이용한 충전 시스템
KR100822342B1 (ko) * 2008-01-23 2008-04-16 김현섭 절전형 전원 안정화 및 전원 자동 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66449A1 (en) 2010-07-01
US8593837B2 (en) 2013-11-26
KR101582090B1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2090B1 (ko) 화상형성장치용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CN109962631B (zh) 具可调控降频曲线的返驰式转换器
JP5984999B2 (ja) 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装置
US8885364B2 (en) Flyback converter with primary side and secondary side feedback control and method for the same
US8643222B2 (en) Power adapter employing a power reducer
US10879806B2 (en) Voltage converter controller, voltage controller and corresponding methods
US20110025289A1 (en) Two-stage switching power supply
US20030214819A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the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KR20070069178A (ko) 초저전력 대기 전원
US9125258B2 (en)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light source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ght source driving method of the light source driving apparatus
JP6707390B2 (ja) 絶縁型のdc/dcコンバータ、それを用いた電源アダプタおよび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
JP2008289353A (ja) Ac/dc変換器及びこれを用いたac/dc変換方法
US20030197425A1 (en) Dual input voltage adapter system and method
JP2018520635A (ja) 電源
KR101864836B1 (ko) 화상 형성 장치용 스위칭 모드 전원 공급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
CN115276418A (zh) 一种高频开关电源电路、开关电源以及开关单元
KR101184252B1 (ko) 대기전력 절감 smps
JP2010004613A (ja) 電源装置
KR20060007919A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위한 대기전력 절감 장치
JP2012065531A (ja) 熱電素子用電源供給装置
KR20100005898A (ko) 멀티 피드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KR200403819Y1 (ko) 대기전력 절감 전원제어회로
KR200365406Y1 (ko) 스위칭 모드 전원공급장치를 위한 대기전력 절감 장치
KR101415922B1 (ko) 무부하 전력 효율 향상을 위한 전원 장치
KR101564449B1 (ko) 전원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