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3256A -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3256A
KR20110023256A KR1020090081014A KR20090081014A KR20110023256A KR 20110023256 A KR20110023256 A KR 20110023256A KR 1020090081014 A KR1020090081014 A KR 1020090081014A KR 20090081014 A KR20090081014 A KR 20090081014A KR 20110023256 A KR20110023256 A KR 20110023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touch
area
camer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6867B1 (ko
Inventor
조준동
김용준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81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8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를 장착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진촬영을 할 때 외부의 촬영버튼(셔터)을 조작하지 않고 터치 스크린에 터치 패턴을 입력하는 형태에 따라 카메라가 지원하는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 영역(3)에는 줌인/아웃모드 스크롤 모양(5) 및 메뉴 기능을 하는 메뉴버튼(4), 가운데 영역(2)에는 촬영 전/후의 영상, 오른쪽 영역(1)에는 특정패턴을 입력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영역 등과 같이 영역을 분할하고, 각 영역의 터치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턴을 1초 이상 누르거나 직사각형 영역(1)의 윗부분에서 아랫부분까지 터치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다양한 촬영모드, 즉 야간모드 촬영, 동영상 촬영, 연속모드 촬영, 파노라마 촬영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줌인/아웃 기능도 실현가능한데, 줌인/아웃 기능은 왼쪽의 줌인/아웃모드 영역의 가운데 직사각형 형태의 스크롤 버튼(5)을 누르고 위쪽 혹은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 {WIRELESS TERMINAL CAPABLE OF PHOTOGRAPHING SHOT MODE USING TOUCH PATTERN AND PHOTOGRAPH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외부의 셔터를 눌러서 디지털 사진을 촬영하는 방법 대신,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는 패턴 형태에 따라 촬영모드를 분류하여 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의 기술 진보가 휴대용 단말기의 급격한 발전과 맞물려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형 휴대용 단말기가 현재 시장에 있어서 대세를 이루고 있다.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는 단순히 핸드폰 기능을 벗어나 사용자가 보고 느끼고 만질 수 있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고, 특히 사용자의 감성적인 부분을 충족시키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터치 스크린형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단말기 측면부의 촬영버튼(셔터)을 이용하여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도 1에 나타낸 것 은, 일반적으로 상용화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촬영 시에 셔터를 눌러 촬영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는, 셔터가 작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하고, 조작 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쉽게 흔들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특정부분의 터치를 통해 촬영하는 방식(도 2 참조), 즉 터치 방식을 활용하도록 설계된 휴대용 단말기도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도, 단순히 특정부분을 터치하여 촬영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촬영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추가적으로 작성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이용하여 화면을 터치하는 방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사용자가 터치하는 패턴에 따라 다양한 촬영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과 휴대용 단말기의 흔들림 방지를 통한 촬영의 정확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국면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기능부가 구비된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패턴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화면배치영역을 왼쪽, 중앙 및 오른쪽 영역의 화면으로 분할하되,
상기 왼쪽 영역을 줌인/아웃모드 및 정사각형 버튼 영역으로, 상기 가운데 영역을 카메라 촬영 전/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그리고 상기 오른쪽 영역을 터치할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패턴영역으로 분할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화면배치영역의 배치는, 왼손잡이/오른손잡이 모드의 설정에 따라 스크린 화면의 구성형태를 좌우로 변경가능하되,
오른손잡이 모드와 왼손잡이 모드의 결정은,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메뉴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또 카메라 실행 모드에서 메뉴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오른쪽에 위치한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패턴 영역을 조작하는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촬영, 야간모드 촬영, 동영상 촬영, 파노라마 촬영, 연속모드 촬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는, 터치 패턴을 1초 이상 터치하는 일반 촬영, 터치 패턴의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아랫부분으로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촬영하는 야간모드 촬영,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렸다가 다시 윗부분 끝까지 올림으로써 촬영하는 연속모드 촬영, 터치 패턴을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및 터치 패턴에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각각 x모양처럼 위에서 대각선 아래쪽 방향으로 터치함으로써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사진 촬영 시에 줌인/아웃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상기 왼쪽 영역에 스크롤 형태의 줌인/아웃 버튼영역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줌인/아웃 기능은, 스크롤 버튼 중앙의 작은 막대를 터치하여 위로 올리면 줌인, 아래로 내리면 줌아웃 됨으로써 구현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국면에 의하면,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기능부가 구비된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입력에 대해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터치가 감지된 경우, 우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메뉴버튼의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메뉴버튼을 실행하는 단계,
메뉴버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줌 인/아웃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카메라 줌 인/아웃을 실행하는 단계,
줌 인/아웃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패턴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터치패턴 입력이 확인된 경우, 입력되는 터치패턴에 따른 촬영모드를 실행하고, 촬영을 완료하는 단계 및,
촬영이 완료된 경우, 저장 여부를 확인하여 저장을 실행하고,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이 제공된다.
또, 상기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 프로그램을 오른손잡이 모드 혹은 왼손잡이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 촬영된 사진이 출력되는 영역을 터치하여 이전 사진을 불러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터치 감지의 우선순위를, 메뉴버튼 > 줌인여부 > 터치패턴에 의한 촬영의 순서로 결정함으로써, 동시에 각 터치부분을 터치하였을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카메라 프로그램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하는 패턴에 따라 다양한 촬영모드를 제공함으로써, 조작의 편의성과 휴대용 단말기의 흔들림 방지를 통한 촬영의 정확성 향상 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인 셀룰러 폰(cellular phone: 휴대폰),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 무선단말기(PDA: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을 포함한다.
우선, 휴대용 단말기의 UI(User Interface)에서 카메라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터치 스크린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에는 도 3과 같은 형태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화면의 배치는 터치 스크린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왼쪽, 중앙 및 오른쪽 영역의 화면으로 대별(大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왼쪽 영역은 줌인/아웃모드 및 정사각형 버튼 영역(3)이고, 가운데 영역은 카메라 촬영 전/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영역(2)이며, 마지막으로 오른쪽 영역은 터치할 직사각형 형태의 패턴인식 박스영역(1)이다. 화면의 배치는 UI의 카메라 설정메뉴에서 변경가능하다. 상기의 배치형태는 오른손잡이 모드를 기준으로 한 것이고, 이를 왼손잡이 모드로 바꾸어 설정하는 경우는 스크린 화면의 구성형태를 좌우로 바꾸면 된다. 이하에서는, 오른손잡이 모드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하는 것으 로 한다.
오른쪽에 위치한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패턴 영역(1)은 조작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한다. 이때, 촬영모드로는 일반적인 촬영, 야간모드 촬영, 동영상 촬영, 파노라마 촬영, 연속모드 촬영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턴을 1초 이상 터치할 경우(도 4의 (a))에는 사진이 촬영된다. 반면에, 터치 패턴의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아랫부분으로 손가락을 이동하면(도 4의 (b)), 조리개를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열고 촬영하는 야간모드 촬영이 행하여진다. 또,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렸다가 다시 윗부분 끝까지 올리면 연속모드 촬영이 행하여지고, (마치 마우스를 더블 클릭하는 것처럼) 터치 패턴을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하면 동영상 촬영이 행하여지며, 다시 두 번 연속으로 누르는 동작을 반복하면 동영상 촬영이 멈춰지게 된다(도 4의 (c)). 만약 터치 패턴에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각각 x모양과 같이 위에서 대각선 아래쪽 방향으로 터치하게 되면(도 4의 (d)), 파노라마 촬영이 행하여진다. 이 외에, 사진 해상도를 결정하거나 조명모드를 조작하는 등 패턴 이외의 것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들에 대해서도, 왼쪽 화면의 상단쪽에 있는 정사각형 버튼(4)을 터치하여 화면에 각 기능들을 트리형태로 디스플레이시키고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사진 촬영 시에 줌인/아웃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왼쪽 화면 끝에 있는 스크롤 형태의 버튼(5)을 이용한다. 스크롤 중앙의 작은 막대를 터치하여 위로 올리면 줌인, 아래로 내리면 줌아웃이 됨으로써, 간편하게 줌인/아웃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줌의 인/아웃 기능은 왼쪽 끝부분에서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중간의 스크롤 버튼 모양의 사각형을 위로 올리면 줌인, 아래로 내리면 줌아웃 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줌인/아웃되는 정도는 스크롤 중앙막대를 일종의 원점 좌표로 인식하여 올라가거나 내려간 거리만큼을 계산하여 카메라부의 줌 모터에 줌인/아웃의 크기를 지시하게 된다. 사진 저장은 촬영이 완료된 상태에서 왼쪽 화면의 상단쪽에 있는 정사각형 버튼(4; 도 3)을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하면, 사진 저장 여부와 사진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나오는데, 적절한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진을 저장하기 전, 사진이 촬영된 상태에서는 사진 위에 손을 대고 좌우로 움직이면 찍은 사진 이전의 사진들을 볼 수 있는 바, 현재의 사진과 쉽게 비교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터치한 부분이 일종의 원점 좌표가 되며, 처음 터치 시 위아래 관계없이 왼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가장 최근에 저장된 사진이 디스플레이되고, 반대로 오른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가장 늦게 저장된 사진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시 한번 터치를 실행하면, 그 다음 사진(좌→우), 그 이전 사진(우→좌)이 디스플레이된다. 터치를 통하여 사진 촬영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단말기를 뒤집었을 때 휴대용 단말기를 잡고 있는 양손이 닿지 않는 부분에 카메라를 위치시켜야 한다. 이는, 단말기의 형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현재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카메라 폰을 예로 들면, 카메라 렌즈가 휴대용 단말기를 뒤집었을 경우 양손이 닿지 않는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평소에는 손이 닿지 않도록 여닫이식 덮개로 카메라 렌즈를 보호하는 형태를 취한다(7; 도 3의 (b) 참 조). 여닫이식 덮개는 카메라 모드 실행 시 자동 혹은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의 조작방법과 다르게 일일이 메뉴를 조작하여 촬영모드를 바꾸는 등의 불필요한 조작을 실행하지 않고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하여 촬영함으로써, 사진 촬영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고 외부 버튼을 줄임으로써, 외관 디자인의 측면에서도 심플하고 깔끔한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반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 혹은 데이터의 저장장치로서, 일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과 같이 ROM(Read Only Memory; 41)과 RAM(Random Access Memory; 42) 및 플래쉬 ROM(flash Read Only Memory; 43) 등을 포함하고 있다. ROM(41)은 제어부(MPU; 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반면에, RAM(42)은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시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는, ROM(41) 혹은 플래쉬 ROM(43)에 있는 데이터가 RAM(42)으로 로드되고, 이를 제어부(20)가 처리한다. 플래쉬 ROM(43)은 발신 메시지 및 수신 메시지 등 각종 갱신 가능한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카메라 명령을 실행하면, 제어부(20)는 카메라 촬영모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명령의 실행과 종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ROM(41)에 저장되어 있다. 화면에 분포되어 있는 터치 센서는, 일반기능 수행 시에는 배치영역에 상관 없이 입력에 상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카메라 모드 실행 시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할된 화면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동작을 인식하여, 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화면분할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중 카메라실행 프로세스에서 담당한다. 화면에서 표현하고 있는 터치 패턴 영역(1)이나 정사각형 버튼(4) 등은 실질적으로 카메라 기능실행에 관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영역으로서, 그 영역 아래쪽에 위치한 터치 센서에 의해 입력되는 형태를 받아들여 제어부(20)로 보낸다.
다음에는 터치 패턴이 입력되는 형태를 구분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터치 패턴 영역(1)에 대한 한 번 터치, 두 번 터치, 위에서 아래로 터치, 위에서 아래, 그리고 다시 위로 터치, 직사각형에 x자를 그리는 터치 등을 인식하기 위해서, 프로그램은 가장 먼저 터치된 좌표를 원점 좌표로 인식한다. 이 후,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동하는 방향을 추적하고, 그 패턴 형태가 ROM(41)에 저장된 이상적인 입력 패턴 형태와 비교하여 일치율이 80% 이상이면, 그것을 실제 입력으로 받아들여 제어부(20)를 통해 카메라 모듈부(30)에 해당 촬영모드로 촬영할 것을 지시한다. 반면에, 스크롤 형태의 영역(5)에서는 스크롤 버튼을 누른 상태를 원점좌표라고 생각하고, 나머지 영역에 대한 입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스크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위쪽 혹은 아래쪽 방향으로 스크롤 버튼을 이동시키면, 원점 좌표에서 이동된 거리만큼 줌인/아웃이 실행된다. 줌인/아웃 정도를 구분하기 위해서, 손가락을 이동시킨 거리에 따라 줌인/아웃 제어모터(줌 모터; 31)를 얼마나 제어할 것인지를 수치화하여 테이블 형태로 ROM(41)에 보관하고, 제어부(20)는 지정 된 줌인/아웃 정도를 테이블의 수치와 비교하여 줌인/아웃 제어모터(31)가 해당 수치만큼 동작하도록 카메라 모듈부(30)에 명령을 내린다. 또한, 왼쪽의 정사각형 버튼(4) 부분은 카메라 촬영 기능에 관한 메뉴를 트리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메뉴가 출력된 화면을 높은 우선 순위로 설정하여 촬영된 영상이 나오는 영역(2)이나 줌인/아웃모드 영역(5)과 겹치더라도 메뉴에 대한 터치를 우선적으로 인식하게 한다. 또,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저장버튼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촬영 전후의 영상이 자리하고 있는 가운데 영역(2)에서는 전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터치한 점을 원점좌표로 인식하고, 여기에서 좌측으로 혹은 우측으로 터치하게 될 경우, 이 패턴을 ROM(41)에 저장된 패턴과 비교한다. 이때, 좌→우, 혹은 우→좌로 이동시키는 패턴과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경우, 플래쉬 ROM(43)에 이미 저장된 사진을 불러 와서 터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게 되는데, 각 패턴에 따라 저장된 사진은 이전 사진일 수도 있고, 가장 처음 혹은 마지막에 촬영된 사진일 수도 있다.
오른손잡이 모드와 왼손잡이 모드의 결정은,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메뉴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또 카메라 실행 모드에서 메뉴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다.
도 6은 프로그램 실행의 전반적인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 순서도에 의거해서 본 발명의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한다(단계 S1). 이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 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 프로그램을 오른손잡이 모드 혹은 왼손잡이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단계 S2, S4). 이 후,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면(단계 S3), 크게 3가지 입력에 대해 터치를 감지한다(단계 S5, S6). 각 터치 감지의 우선순위는 메뉴버튼 > 줌인여부 > 터치패턴에 의한 촬영의 순서이다(도 7). 이는, 동시에 각 터치부분을 터치하였을 경우에 우선순위에 따라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프로그램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터치가 감지된 경우, 우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메뉴버튼의 실행여부를 확인하고(단계 S7), 메뉴버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줌 인/아웃 실행여부를 확인하며(단계 S8), 다음으로 줌 인/아웃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패턴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단계 S9)의 순서로 진행된다. 만일 이들 특정 기능과 관계없는 부분이 터치된 경우, 즉 단계 S7에서 메뉴버튼 실행이 확인되지 않고, 단계 S8에서 줌 인/아웃 실행이 확인되지 않으며, 또 단계 S9에서 터치패턴 입력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한편, 단계 S7에서 메뉴버튼의 실행이 확인된 경우는, 메뉴버튼을 실행하고(단계 S10),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단계 S8에서 줌 인/아웃의 실행이 확인된 경우는, 카메라 줌 인/아웃을 실행하고(단계 S11),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단계 S9에서 터치패턴의 입력이 확인된 경우는, 입력되는 터치패턴에 따른 촬영모드(도 4에 나타낸 터치패턴 방식)를 실행하고, 촬영을 완료한다(단계 S13).
단계 S13에서 촬영이 완료된 경우는,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4). 사진의 저장이 확인된 경우는, 사진을 저장하고(단계 S15), 카메라 모드 종료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6). 사용자가 카메라 모드를 종료하는 명령을 실행하면,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반면에, 사진을 저장하지 않는 경우는, 대기상태로 돌아간다. 본 발명에서는,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 촬영된 사진이 출력되는 영역(6; 도 3의 (a)의 영상사진 스크롤 영역)을 터치하여 이전 사진을 불러올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으나, 도 6의 순서도에는 기술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현대 성인들 대부분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의 셔터를 조작하지 않고 사용자가 터치하는 패턴 형태에 따라 다양한 촬영모드를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의 새로운 분야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셔터를 누르는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특정부분 터치를 통해 촬영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해 다양한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의 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턴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6은 도 5의 터치 패턴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프로그램 실행 순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프로그램 실행 순서도에서의 터치 감지 시의 우선순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0)

  1.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기능부가 구비된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터치 패턴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화면을 기준으로 하여 화면배치영역을 왼쪽, 중앙 및 오른쪽 영역의 화면으로 분할하되,
    상기 왼쪽 영역을 줌인/아웃모드 및 정사각형 버튼 영역으로, 상기 가운데 영역을 카메라 촬영 전/후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그리고 상기 오른쪽 영역을 터치할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패턴영역으로 분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화면배치영역의 배치가 왼손잡이/오른손잡이 모드의 설정에 따라 스크린 화면의 구성형태를 좌우로 변경가능하되,
    오른손잡이 모드와 왼손잡이 모드의 결정은,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 메뉴에서 미리 설정할 수 있고, 또 카메라 실행 모드에서 메뉴 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오른쪽에 위치한 직사각형 형태의 터치 패턴 영역을 조작하는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촬영, 야간모드 촬영, 동영상 촬영, 파노라마 촬영, 연속모드 촬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형태의 촬영모드는, 터치 패턴을 1초 이상 터치하는 일반 촬영, 터치 패턴의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직사각형의 아랫부분으로 손가락을 이동함으로써 촬영하는 야간모드 촬영, 직사각형의 윗부분을 누른 상태에서 아랫부분으로 내렸다가 다시 윗부분 끝까지 올림으로써 촬영하는 연속모드 촬영, 터치 패턴을 두 번 연속으로 터치함으로써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및 터치 패턴에 직사각형의 대각선을 각각 x모양처럼 위에서 대각선 아래쪽 방향으로 터치함으로써 촬영하는 파노라마 촬영 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사진 촬영 시에 줌인/아웃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상기 왼쪽 영역에 스크롤 형태의 줌인/아웃 버튼영역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줌인/아웃 기능은, 스크롤 버튼 중앙의 작은 막대를 터치하여 위로 올리면 줌인, 아래로 내리면 줌아웃 됨으로써 구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7. 터치 스크린과 카메라 기능부가 구비된 터치형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에 있어서,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와,
    카메라 모드를 실행하여 소정의 입력에 대해 터치를 감지하는 단계,
    터치가 감지된 경우, 우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메뉴버튼의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메뉴버튼을 실행하는 단계,
    메뉴버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줌 인/아웃 실행여부를 확인하여 카메라 줌 인/아웃을 실행하는 단계,
    줌 인/아웃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에는 터치패턴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터치패턴 입력이 확인된 경우, 입력되는 터치패턴에 따른 촬영모드를 실행하고, 촬영을 완료하는 단계 및,
    촬영이 완료된 경우, 저장 여부를 확인하여 저장을 실행하고, 카메라 실행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실행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 전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메라 프로그램을 오른손잡이 모드 혹은 왼손잡이 모드 중 어느 모드로 실행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9.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촬영이 완료된 경우에 촬영된 사진이 출력되는 영역을 터치하여 이전 사진을 불러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10.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각 터치 감지의 우선순위를 메뉴버튼 > 줌인여부 > 터치패턴에 의한 촬영의 순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KR1020090081014A 2009-08-31 2009-08-31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KR10112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4A KR101126867B1 (ko) 2009-08-31 2009-08-31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014A KR101126867B1 (ko) 2009-08-31 2009-08-31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256A true KR20110023256A (ko) 2011-03-08
KR101126867B1 KR101126867B1 (ko) 2012-03-23

Family

ID=4393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014A KR101126867B1 (ko) 2009-08-31 2009-08-31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68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266B2 (en) 2010-11-12 2016-03-08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s background of user interface
WO2016072538A1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시어스랩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메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142097A (ko) * 2015-06-02 201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0551987B2 (en) 2011-05-11 2020-02-04 Kt Corporation Multiple screen mode in mobile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591B1 (ko) 2012-09-03 201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11575B2 (en) * 2003-09-16 2008-08-12 Smart Technologies Ulc Gesture recognition method and touch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JP2005310019A (ja) * 2004-04-26 2005-11-04 Fuji Photo Film Co Ltd 処理対象画像指令装置
KR101342075B1 (ko) * 2007-01-24 2013-12-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KR20090065919A (ko) * 2007-12-18 2009-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조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0266B2 (en) 2010-11-12 2016-03-08 K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as background of user interface
US10551987B2 (en) 2011-05-11 2020-02-04 Kt Corporation Multiple screen mode in mobile terminal
WO2016072538A1 (ko) * 2014-11-04 2016-05-12 주식회사 시어스랩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메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053428A (ko) * 2014-11-04 2016-05-13 주식회사 시어스랩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카메라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60142097A (ko) * 2015-06-02 2016-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6867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2652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4670860B2 (ja) 記録再生装置
EP30599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image process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CN204859350U (zh) 成像设备
EP2701051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105919A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タッチパネル操作方法
JP2017058812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195311B2 (en) Imaging device, imaging method, and program with flick gesture to acquire an image
US11216075B2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triggering shooting mode, and storage medium
KR101126867B1 (ko) 터치 패턴을 이용하여 촬영모드를 분류?촬영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방법
KR20130092196A (ko) 카메라 셔터키 표시 장치 및 방법
US9973686B2 (en) Image capturing control apparatus, image capturing control method to control display based on user input
JP2007052795A (ja) 画面表示部を有する機器の操作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5565433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070598B1 (ko) 카메라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880459B2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5379045A (zh) 拍照控制方法、终端及非易失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039325B2 (ja) 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制御方法
JP6406393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9777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99228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8236011A (ja) 撮影装置
JP2014203367A (ja) ジェスチャ入力装置、及び方法
JP2012156628A (ja) 電子カメラ、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WO2013073197A1 (ja) 撮像装置及び撮像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1120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1103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