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2154A - 불연성 단열판재 - Google Patents

불연성 단열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2154A
KR20110022154A KR1020090079589A KR20090079589A KR20110022154A KR 20110022154 A KR20110022154 A KR 20110022154A KR 1020090079589 A KR1020090079589 A KR 1020090079589A KR 20090079589 A KR20090079589 A KR 20090079589A KR 20110022154 A KR20110022154 A KR 20110022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insulating
chamber
insulating plate
heat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새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새미
Priority to KR1020090079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2154A/ko
Publication of KR2011002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2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alkyl, ammonium or metal silicates; containing silica sols
    • C04B28/26Silicates of the alkali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02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with ceramic materials
    • C04B41/5035Silic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연성 단열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 79.8Wt%, 전류유도제인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 10Wt%, 경화제인 질산철(Ferric Nitrate) 10Wt% 및 은 0.2Wt%을 혼합하여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으로 전해시킨 은 전해액과, 아크릴모노머 86Wt%, 경화촉매제로 과산화 벤졸 1Wt% 및 경화촉매제로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 13Wt%을 첨가하여 용해한 아크릴 조성물과, 무기 불연 접착제인 규산나트륨 68Wt%, 경화제인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7Wt%, 산화아연(Zinc oxide) 10Wt%, 아연첨가경화제(Octoate Zinc Drier) 5Wt% 및 상기한 은 전해액 10Wt%을 혼합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을 구성하여 상기 규산나트륨 조성물과 상기 아크릴 조성물을 7 : 3 으로 혼합하여 유화물 접착제를 구성하고,
질석 또는 퍼라이트와 상기 유화물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가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한 후 건조하고, 그 건조된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기광물질 페인트는 황토, 견운모, 맥반석, 자수정, 숯, 옥,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라이트와 질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게가 가벼운 단열판재를 제공하면서 단열판재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하여 퍼라이트와 질석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이 알 갱이들이 잘 부서지지 않도록 하면서 단열판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해져 내부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된 2장의 단열판재 사이에 탄소사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내장시켜 내장재로 사용되는 단열판재가 난방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단열판재, 무기광물질페인트, 질석, 퍼라이트, 면상발열체, 건조장치, 마그네트론,

Description

불연성 단열판재{Fire-resisting insulation pannel}
본 발명은 불연성 단열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가 볍고, 단열판재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퍼라이트와 질석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알갱이들이 잘 부서지지 않도록 하면서 단열판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해져 내부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된 2장의 단열판재 사이에 탄소사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내장시켜 내장재로 사용되는 단열판재가 난방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불연성 단열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널에 사용되는 불연단열재로 알려지고 있는 퍼-라이트, 질석에다 규산나트륨을 접착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그 규산나트륨의 경화제로는 금속염 또는 금속산화물을 사용하고 있다.
경화란 문자 그대로 경화했을 뿐 다시 용해될 수 있고 다공성인 기재와 규산나트륨의 흡습성으로 인한 규산나트륨의 재용해를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규산나트륨의 알칼리를 중화하지 못함과 함께 200℃ 전 후의 고온 처리 의 필요성을 간과한 결과이다.
규산나트륨의 세라믹화(세라믹 소결물 유사품)는 철분과 질산염, 촉매로는 아미노기(-NH2)가 필수적인 것이며, 그리고 내부 반응열등을 이용하거나, 또는 재열처리 과정을 거쳐 200℃ 전 후로 가공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일례로서 한국 특허 등록번호 10-06471410000호, 10-0541412호, 10-0541414호 등에서 와 같이 질석, 퍼-라이트, 황토에다 소정의 규산나트륨을 접착제로 사용하였고 경화제로는 생석회, Mg, Al의 설폰산, 수산화알루미늄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착제로는 단열재인 퍼-라이트, 질석, 황토의 흡수성을 막을 능력이 전무하며 규산나트륨에 재용해로 그 구조를 유지하기가 곤란하다.
기재가 흡수하면 단열, 흡음 효과도 없으며, 그 습기에는 곰팡이 세균이 들끓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품에 사용되는 규산나트륨(Na2SiO3)은 가성 소다로 만들어진 50Wt%가 물로 되어있는 알칼리성이다.
경화제로 금속염, 금속산화물이 사용되는 것은 이미 공지의 사실이지만 알칼리성이 존재하는 한 물에 풀리지 않는 물질로 전환하는 데는 그렇게 간단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80 ∼ 120℃에서 불용해물로 전환하기는 불가능한 것이며 또한 경화제로 사용되는 생석회, 수산화알루미늄, Mg, Al의 설폰산 등은 실제 작업단계에서는 규산나트륨에 투입하는 즉시 Gel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혼련에 문제점이 있으 며, 또한 접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제품은 비등수(沸騰水)시험 에서 붕괴되며 그 비등수에서의 흡수량은 그 단열재 중량의 배가 넘을 것이다.
또한, 종래의 질석, 퍼라이트를 주재료로하는 불연단열재는 강도가 약한 문제점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되는 단열재를 제공하기가 어려웠고, 대량생산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단열재에 사용되는 퍼-라이트, 질석의 최대 결점인 흡수성을 막아주어야 하며 거기에는 무엇보다 결착제인 규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접착제에다 특수 성분의 기능 물질을 결합하여서 흡수성 방지는 물론 재용해 방지를 위한 초강력 경화제로 합성한 접착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로는 퍼-라이트와 질석의 흡수방지막 형성하게 하고 둘째로는 규산나트륨의 재용해 방지과 셋째로는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데 있다.
또한,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하여 퍼라이트와 질석이 잘 부서지지 않도록 하면서 단열판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해지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산된 2장의 단열판재 사이에 탄소사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내장시켜 내장재로 사용되는 단열판재가 난방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물 79.8Wt%, 전류유도제인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 10Wt%, 경화제인 질산철(Ferric Nitrate) 10Wt% 및 은 0.2Wt%을 혼합하여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으로 전해시킨 은 전해액과, 아크릴모노머 86Wt%, 경화촉매제로 과산화 벤졸 1Wt% 및 경화촉매제로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 13Wt%을 첨가하여 용해한 아크릴 조성물과, 무기 불연 접착제인 규산나트륨 68Wt%, 경화제인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7Wt%, 산화아연(Zinc oxide) 10Wt%, 아연첨가경화제(Octoate Zinc Drier) 5Wt% 및 상기한 은 전해액 10Wt%을 혼합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을 구성하여 상기 규산나트륨 조성물과 상기 아크릴 조성물을 7 : 3 으로 혼합하여 유화물 접착제를 구성하고,
질석 또는 퍼라이트와 상기 유화물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가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한 후 건조하고, 그 건조된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기광물질 페인트는 황토, 견운모, 맥반석, 자수정, 숯, 옥,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퍼-라이트와 질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게가 가벼운 단열판재를 제공하면서 단열판재 내에서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고,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하여 퍼라이트와 질석의 결합강도를 향상시켜 이 알갱이들이 잘 부서지지 않도록 하면서 단열판재의 표면이 매끄럽고, 소정의 색상으로 표현이 가능해져 내부 인테리어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생산된 2장의 단열판재 사이에 탄소사발열선으로 이루어진 면상발열체를 내장시켜 내장재로 사용되는 단열판재가 난방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불연성 단열판재는
물 79.8Wt%, 전류유도제인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 10Wt%, 경화제인 질산철(Ferric Nitrate) 10Wt% 및 은 0.2Wt%을 혼합하여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으로 전해시킨 은 전해액과, 아크릴모노머 86Wt%, 경화촉매제로 과산화 벤졸 1Wt% 및 경화촉매제로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 13Wt%을 첨가하여 용해한 아크릴 조성물과, 무기 불연 접착제인 규산나트륨 68Wt%, 경화제인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7Wt%, 산화아연(Zinc oxide) 10Wt%, 아연첨가경화제(Octoate Zinc Drier) 5Wt% 및 상기한 은 전해액 10Wt%을 혼합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을 구성하여 상기 규산나트륨 조성물과 상기 아크릴 조성물을 7 : 3 으로 혼합하여 유화물 접착제를 구성하고,
질석 또는 퍼라이트(2)와 상기 유화물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가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한 후 건조하고, 그 건조된 단열판재(1)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3)를 도포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기광물질 페인트(3)는 황토, 견운모, 맥반석, 자수정, 숯, 옥,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의 탄소발열선(5)을 등간격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탄소발열선(5)의 양단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극(7)을 형성한 면상발열체(4)를 구비하고, 상기 면상발열체(4)를 2장의 단열판재(1) 사이에 삽입한 후 그 단열판재(1)를 부착하여 난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판재(1)를 건조시 킬 때에는,
가압프레스에 의해 압축 성형 된 단열판재(1)를 이송컨베이어(11)를 이용해 건조장치(10) 내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건조장치(10)는 하우징(17) 내부가 제 1 챔버(14), 제 2 챔버(15) 제 3 챔버(16)로 구획되면서 각각의 챔버(14~16) 상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여 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챔버(14~16) 내부를 통과하는 단열판재(1)를 가열하는 전자파발생용 마그네트론(12) 및 마그네트론(1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배출시키는 도파관(13)이 설치되되,
제 1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00℃이고, 제 2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50℃이며, 제 3 챔버(16)의 가열온도는 250℃ 인 건조장치(10)를 이용하여 단열판재(1)를 가열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불연성 단열판재를 제조할 때에는 유화물 접착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화물 접착제는 전해 은, 아크릴 중합물, 규산나트륨 합성물을 각각 따로 제조한 다음 상기 3종을 소정의 비율로 합성하여 유화물 접착제를 완성하게 된다.
그리고 산성인 경화제는 접착제인 규산나트륨에 직접 투입할 경우 즉시 겔(Gel)화함으로서 전해 은 액에 희석 사용한다.
유화물 접착제의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 79.8Wt%, 전류유도제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 10Wt%, 경화제 질산철(Ferric Nitrate) 10Wt% 및 은 0.2Wt%를 혼합하여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으로 전해시키어 은 전해액을 제조한다.
은 전해액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전기분해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을 사용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한 전류유도제로서 사용하는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은 전기 분해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은이 고가이므로 최소의 함유량을 사용하여 살균기능을 행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조성한다.
즉, 은의 조성물이 0.2Wt%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살균기능이 뛰어나기는 하나고가인 관계로 비 경제적이므로 최소량을 사용하면서도 살균기능을 최대한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한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과 질산철(Ferric Nitrate)을 상기한 조성량으로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아크릴모노머 86Wt%, 경화촉매제로 과산화 벤졸 1Wt% 및 경화촉매제 로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 13Wt%를 첨가하여 용해한 후, 85℃내지 95℃에서 가온하면서 10분간 중합하여 초기 겔(Gel)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 이를 25℃ 내지 35℃에서 냉각하여 유동성이 있는 겔(Gel)상으로 유지 보관하는 것에 의하여 아크릴 모노머의 초기 중합물에 해당하는 본 발명 아크릴 조성물을 제조한다.
위에서 상기한 과산화 벤졸 1Wt% 및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을 13Wt%을 조성하는데, 이는 완성물인 아크릴 조성물을 보관할 때 빨리 굳어버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고, 이때 상기한 조성량 보다 작거나 많이 조성하는 경우에는 빨리 굳거나 아니면 굳지 아니하여 겔(Gel)화되지 아니하고 액상화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가온 온도를 85℃내지 95℃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는 중합과정에서 발생하는 자체열로 인하여 100℃ 이상으로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완성물이 바로 굳는 현상이 발생하여 훼손을 가하므로 상기한 온도의 범위에서 가온하는 것이며, 또한 25℃ 내지 35℃의 온도로 빨리 냉각시키지 않은 경우에 이 역시 바로 굳어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무기 불연 접착제는 규산나트륨 68Wt%, 경화제인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7Wt%로 조성하게 되는데, 이는 재용해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산화아연(Zinc oxide) 10Wt%로 조성하게 되는데, 이는 규산나트륨 경화를 위하여 사용하게 되며, 아연첨가경화제(Octoate Zinc Drier) 5Wt%로 조성하게 되는데 이 역시 규산나트륨 경화를 위하여 사용하게 되며, 위 조성물과 상기에서 제조한 은 전해액 10Wt%를 혼합하여 교반기로 골고루 분산시켜서 액체화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을 제조하여 액체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온에 밀폐하여 보관한다.
이때 은 전해액 10Wt%로 혼합하는 것은 전해액이 액체이므로 그 이상으로 조성하는 경우에는 살균효과는 양호하나 이 역시 액체이므로 위 규산나트륨,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및 산화아연(Zinc oxide)과의 경화에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한 상기의 규산나트륨 조성물 70Wt%와 상기 아크릴 조성물 30Wt%의 비율로 조성한 다음, 혼합기를 이용하여 고르게 분산시키어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화물 접착제를 제조하게 된다.
이는 가능한 상온에서 밀폐하여 보관한다.
이때 규산나트륨 조성물은 불연재 역할을 행하고, 아크릴 조성물은 코팅제 역할을 행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불연재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와 같이 조성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성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화물 접착제와 퍼라이트 또는 질석 돌가루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불연성 단열재를 제조하게되며, 그 제조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불연성 단열재에 사용되는 퍼라이트 또는 질석(2)은 다공성 입자로 형성되어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을 갖게 되어 화분에 흙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런 특성이 있는 퍼라이트 또는 질석(2)을 그대로 단열벽 소재로 사용하게 되면 수 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에 의해 빨리 푸석푸석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문제점 해결을 위해 퍼라이트 또는 질석(2)에 본 발명의 유화물 접착제를 첨가하게 되면 상기 조성된 아크릴 조성물에 의해 퍼라이트 또는 질석(2)의 표면에 코팅이 이루어져 쉽게 부서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습기에 강한 특징을 나타내게 되고, 또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이 위 퍼라이트 또는 질석(2) 알갱이들을 응집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프레스로 성형한 후 별도의 건조장치(10)를 이용하여 건조시킨다.
일반적으로 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건조시킬때에는 ①처음부터 너무 높은 온도를 가해서는 아니되고, ②처음에는 100℃ 미만으로 가열하며, ③거의 건조 완료시까지 급격하게 온도를 상승시키지 않아야 하며, ④건조 말미에 200℃ 내지 350℃로 가열온도를 상승시켜 건조해야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건조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도 6 과 같은 건조장치(10)를 제공한다.
건조장치(10)는 가압프레스에 의해 압축 성형 된 단열판재(1)를 건조장치(10) 내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1)를 구비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11)의 상부에 하우징(17)을 설치하되, 이 하우징(17)의 내부가 다수의 격벽에 의해 제 1 챔버(14), 제 2 챔버(15) 제 3 챔버(16)로 구획되면서 각각의 챔버(14~16) 상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여 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챔버(14~16) 내부를 통과하는 단열판재(1)를 가열하는 전자파발생용 마그네트 론(12) 및 마그네트론(1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배출시키는 도파관(13)이 설치된 구성이다.
이때, 도파관(13)으로 배출된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해 가열되는 제 1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00℃이고, 제 2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50℃이며, 제 3 챔버(16)의 가열온도는 250℃ 이다.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된 단열판재(1)(질석 또는 퍼라이트(2)와 유화물접착제가 혼합된 상태)가 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하우징(17)내부로 이송되면, 단열판재(1)가 제 1 챔버(14)와 제 2 챔버(15)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건조되고, 이후 제 3 챔버(16)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높은 온도 조건에서 건조되어 유화물접착제가 질석 또는 퍼라이트(2)를 강력하게 결속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 의 사진은 건조장치(10)에 의해 건조된 단열판재(1)의 실시예를 촬영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건조된 단열판재(1)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3)를 도포하여 단열판재(1)를 이루는 질석 또는 퍼라이트(2) 알갱이들이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하면서 단열판재(1)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도록 하고, 또한 무기광물질페인트(3)가 갖는 소정의 색상으로 단열판재(1)를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무기광물질 페인트(3)의 주성분은 황토, 견운모, 맥반석, 자수정, 숯, 옥,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황토를 주성분으로 할 경우 황토색으로 단열판재(1)를 도색할 수 있고, 황토와 견운모를 주성분으로 할 경우에는 갈색계통으로 단열판재(1)를 도 색할 수 있으며, 맥반석과 자수정을 주성분으로 할 경우에는 혼합비율에 따라 핑크, 연녹색, 카키색, 회색으로 단열판재(1)를 도색할 수 있다.
무기광물질 페인트(3)를 단열판재(1) 표면에 도포하게되면,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무기광물질 페인트(3)가 단열판재(1)를 이루는 질석 또는 퍼라이트(2) 알갱이 사이로 침투하여 공극을 매워줌에 따라 단열판재(1)의 표면이 매끄러워지면서 무기광물질 페인트(3)가 질석 또는 퍼라이트(2) 알갱이 표면을 코팅하게되므로 질석 또는 퍼라이트(2) 알갱이가 쉽게 부서지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불연성 단열판재(1)가 난방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생산된 2장의 단열판재(1) 사이에 면상발열체(4)를 내장시켜 2겹의 단열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면상발열체(4)는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탄소발열선(5)을 등간격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탄소발열선(5)의 양단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극(7)을 형성하며,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고정사(6)를 꼬아서 연결하여 상기 고정사(6)에 의해 탄소발열선(5)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전극(7)으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다수의 탄소발열선(5)이 발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정사(6)는 새끼를 꼬듯이 탄소발열선(5)에 얽매여있으면서 탄소발열선(5)이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극(7)은 필름형태로 제작하여 그 전극(7)에 탄소발열선(5)의 양단을 부착하는 형태로 결합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구성된 면상발열체(4)를 도 3 과 같이 2장의 단열판재(1) 사이에 삽입한 후 그 단열판재(1)를 부착하여 2겹의 단열판재를 제공하게되면, 그 2겹의 단열판재가 내장된 면상발열체(4)의 발열기능에 의해 난방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되므로서, 본 발명의 단열판재(1)로서 내벽을 시공하게되면 별도의 난방시설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가열건조된 본 발명의 불연성 단열판재를 보인 도면.
도 2 는 단열판재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를 도포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 은 2장의 단열판재 사이에 면상발열체를 삽입한 것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면상발열체를 보인 도면.
도 5 는 본 발명에 적용된 면상발열체를 보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서 단열판재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열판재, 2: 질석 또는 퍼라이트,
3: 무기광물질 페인트, 4: 면상발열체,
5: 탄소발열선, 6: 고정사,
7: 전극, 10: 건조장치,
11: 이송컨베이어, 12: 마그네트론,
13: 도파관, 14~16: 챔버,
17: 하우징,

Claims (3)

  1. 물 79.8Wt%, 전류유도제인 초산암모늄(Ammonium Acetate) 10Wt%, 경화제인 질산철(Ferric Nitrate) 10Wt% 및 은 0.2Wt%을 혼합하여 공지의 전기분해방법으로 전해시킨 은 전해액과, 아크릴모노머 86Wt%, 경화촉매제로 과산화 벤졸 1Wt% 및 경화촉매제로 티타늄 이소프로프 산화물(Titanium isopropoxide) 13Wt%을 첨가하여 용해한 아크릴 조성물과, 무기 불연 접착제인 규산나트륨 68Wt%, 경화제인 규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7Wt%, 산화아연(Zinc oxide) 10Wt%, 아연첨가경화제(Octoate Zinc Drier) 5Wt% 및 상기한 은 전해액 10Wt%을 혼합한 규산나트륨 조성물을 구성하여 상기 규산나트륨 조성물과 상기 아크릴 조성물을 7 : 3 으로 혼합하여 유화물 접착제를 구성하고,
    질석 또는 퍼라이트와 상기 유화물 접착제를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가압프레스로 압축 성형한 후 건조하고, 그 건조된 단열판재(1)의 표면에 무기광물질 페인트(3)를 도포하여 구성하되,
    상기 무기광물질 페인트(3)는 황토, 견운모, 맥반석, 자수정, 숯, 옥, 게르마늄 중 어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무기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단열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탄소발열선(5)을 등간격 횡방향으로 배치하고, 이 탄소발열선(5)의 양단에 전원공급을 위한 전극(7)을 형성한 면상발열체(4)를 구비하고, 상기 면상발열체(4)를 2장의 단열판재(1) 사이에 삽입한 후 그 단열판재(1)를 부착하여 난방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단열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판재(1)를 건조시 킬 때에는,
    가압프레스에 의해 압축 성형 된 단열판재(1)를 이송컨베이어(11)를 이용해 건조장치(10) 내부로 이송시키고, 상기 건조장치(10)는 하우징(17) 내부가 제 1 챔버(14), 제 2 챔버(15) 제 3 챔버(16)로 구획되면서 각각의 챔버(14~16) 상부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공급하여 이송컨베이어(11)에 의해 챔버(14~16) 내부를 통과하는 단열판재(1)를 가열하는 전자파발생용 마그네트론(12) 및 마그네트론(12)에서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챔버 내부로 배출시키는 도파관(13)이 설치되되,
    제 1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00℃이고, 제 2 챔버(14)의 가열온도는 150℃이며, 제 3 챔버(16)의 가열온도는 250℃ 인 건조장치(10)를 이용하여 단열판재(1)를 가열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단열판재.
KR1020090079589A 2009-08-27 2009-08-27 불연성 단열판재 KR20110022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89A KR20110022154A (ko) 2009-08-27 2009-08-27 불연성 단열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589A KR20110022154A (ko) 2009-08-27 2009-08-27 불연성 단열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154A true KR20110022154A (ko) 2011-03-07

Family

ID=4393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589A KR20110022154A (ko) 2009-08-27 2009-08-27 불연성 단열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21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929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제네코 확장형 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이동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5929A (ko) * 2017-04-14 2018-10-24 주식회사 제네코 확장형 모듈이 구비된 조립식 이동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0357B (zh) 一种保温隔热浆料组合物及其应用
EP2576882B1 (en) Fiber products having temperature control additives
CN105036656B (zh) 渗透结晶型堵漏材料及使用方法
CN108358589A (zh) 一种防水高强耐候阻燃环保保温板材及其制备方法
CN100337966C (zh) 复合隔热保温材料
CN103496942B (zh) 蒸压粉煤灰砖的制备方法
CN104944884A (zh) 一种抗开裂保温砂浆及其制备方法
KR20190035979A (ko) 황산마그네슘 무기바인더를 이용한 무기단열보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무기단열보드
CN103979858A (zh) 一种防腐轻质隔墙板及其制作方法
CN110215629A (zh) 一种防火吸热毯及其制备方法
CN111571769A (zh) 负离子功能无机人造大理石荒料及其微波养护制备工艺
KR102081433B1 (ko) 고강도 불연성 단열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22154A (ko) 불연성 단열판재
CN101781919A (zh) 一种低导热轻质保温硅砖
CN102503202B (zh) 一种Al2O3插层膨胀蛭石隔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138191A (zh) 一种外墙防开裂用岩棉保温防火复合板
CN102775937A (zh) 瓦楞纸板生产用胶粘剂的制备方法
JPS6232148B2 (ko)
CN103992070A (zh) 电解锰渣蒸压砖的制作工艺
CN108640632A (zh) 一种高性能的节能保温砖及其制备方法
CN101811854B (zh) 工业用保温涂料干粉料及其制作方法
CN107814562A (zh) 一种有机硅和白云石复合改性的铝镁碳砖的生产方法
CN103951461A (zh) 一种高强轻质陶瓷板的制备方法
CN107056140A (zh) 防火隔热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355552B (zh) 一种复合玻璃纤维网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