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828A -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황련과 고정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황련과 고정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828A
KR20110021828A KR1020107026814A KR20107026814A KR20110021828A KR 20110021828 A KR20110021828 A KR 20110021828A KR 1020107026814 A KR1020107026814 A KR 1020107026814A KR 20107026814 A KR20107026814 A KR 20107026814A KR 20110021828 A KR20110021828 A KR 20110021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erberine
composition
kdc
weigh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6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클린 지에 샨
레이 링
빈티 고엘
귀종 퀴
샤오쟈오 왕
Original Assignee
아펙사 라이프 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펙사 라이프 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아펙사 라이프 사이언시즈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2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acridines, phenanthr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8Ligustrum, e.g. Chinese priv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6Antiarrhyth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사람 및 가축의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상승작용 효과를 갖는 허브, 허브 추출물 및 이들의 화학적 구성성분들의 의약 조합. 상기 조합은 고정차, 베르베린 또는 베르베린-함유 식물 추출물, 및 다른 선택적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상승작용적 조성물이다. 추출 방법 및 상승작용적 양의 조합도 또한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험자에서 다수의 질환 또는 상태, 특히 심혈관 질환의 수축작용 변화 또는 진행을 치료하거나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황련과 고정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F HUANGLIAN AND KU DING CHA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LIPID LEVELS}
본 발명은 사람 및 가축의 건강, 특히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약 조성물, 특히 허브, 허브 추출물 및 이들의 화학 구성성분들의 조합에 관한 것이다.
심혈관 질환(CVD)은 전세계 대부분의 산업 국가들에서 주요 사망 원인이다. 미국에서만 전체 인구의 약 25%를 차지하는 6100만 명의 사람이 어떤 종류의 CVD를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 특히 저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이 CVD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로서 알려져 있다[1].
스타틴이라고 하는 부류의 약물이 혈중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스타틴은 세포 콜레스테롤 합성에서 속도 제한 효소인 HMG-CoA 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작동한다. 그 결과 얻어진 세포내 농도 감소는 표면 저밀도 리포단백질(LDL) 수용체의 상보적 상향조절을 유도하고, 이것은 계속해서 혈장으로부터 LDL-콜레스테롤의 청소를 매개한다. 임상에서 HMG-CoA 환원효소 저해제는 혈중 LDL-콜레스테롤 수준을 20-40%까지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혈중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감소시키고, 혈중 HDL-콜레스테롤 수준의 적당한 증가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2.3]. 이러한 혈중 지질 농도의 성공적인 관리에도 불구하고 스타틴 요법은 모든 고지혈증 환자에게 처방될 수 없다. 특히, 이들 약물은 담즙분비중지나 손상된 간기능을 가진 환자에게는 금지된다. 또한, 어떤 환자에서는 스타틴이 크레아틴 키나제와 같은 여러 간세포 효소의 상승을 일으킨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스타틴은 일부 환자에서 근육, 신장 및 신경계에 대한 잠재적 부작용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스타틴 치료 도중 근육병증이 보고된 적도 있다. 근육병증은 스타틴을 받은 환자의 단지 0.1 내지 0.2%에서만 발생하지만 그 위험은 용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한다. 이에 더하여, 치료되지 않고 방치될 경우, 근육병증은 횡문근변성이라고 하는 더욱 심각한 생명을 위협하는 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다음에는 스타틴 요법의 근육병증의 즉각적 중단을 개발할 것이 요구된다[4,5].
3개월 동안 1g/일의 용량으로 베르베린(BBR)을 사용한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의 치료는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를 29%까지, 트리글리세리드를 35%까지, LDL-콜레스테롤을 25%까지 감소시킨 것으로 밝혀졌다[6]. 또한, 실험 연구들이 BBR의 콜레스테롤-저하 효과를 뒷받침한다. 고지혈증 햄스터에 BBR을 2주 동안 100mg/일의 용량으로 경구 투여한 결과, 혈청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수준이 30%까지 감소한 것으로 밝혀졌다[6-8]. 또한, BBR의 콜레스테롤-저하 효과의 기저 메커니즘을 결정하기 위해 Hep G2 세포와 같은 사람 간암종 셀라인을 이용한 많은 시험관내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들 연구의 결과는 BBR이 전사-후 메커니즘을 통해 LDL 수용체의 mRNA의 안정화를 증가시킴으로써 세포에서 LDL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BBR은 AMP-활성화 단백질 키나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에서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의 합성을 저해한다고 밝혀졌다[6-8]. 더 최근의 연구에서는 BBR이 3T3-L1 지방세포의 분화를 저해하고, PPAR 경로를 통해 세포에서 지방형성을 저해한다는 것이 밝혀졌다[9].
많은 연구로부터의 증거가 BBR에 콜레스테롤-저하 특성이 있다는 것을 시사하지만, 임상 이익을 달성하는 데는 약 1g/일의 용량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 용량의 장기 투여에 대한 안정성은 아직 우려되고 있다. 실험 연구에서 마우스에 10일 동안 15mg/kg을 초과하는 용량으로 BBR을 복강내 투여하는 것은 동물에 치명적인 것으로 밝혀졌다[10]. 또한, 더 높은 용량의 BBR은 배양물 중의 세포에도 독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예를 들어, 40μg/ml을 초과하는 용량의 BBR에 의한 L929 세포의 처리는 세포독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최근에는 20μM 농도의 BBR과 함께 사람 간 마이크로솜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이 CYP2D6, CYP3A4 및 CYP2E1를 포함하는 여러 CYP 450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11].
또한, 허브차인 고정차(Ku Ding Cha)(쿠딩차, 쿠딩티, 고차, 쿠차라고도 한다)가 심혈관계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일반적 차나 기능성 음료로서 중국에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고정차의 모 식물은 Ligustrum pedunclare , Ligustrum purpurascens, Ligustrum japonicum , Ligustrum robustrum , Ilex cornuta , Ilex kudincha C. J. Tseng ( Aquifoliaceae ), Ilex latifolia , Cratoxylum prunifolium , Ehretia thyrsiflora , Photinia serruiata[12] 및 Ilex paraguariensis를 포함하는 쥐똥나무과(Ligustrum), 물푸레나무과(Oleaceae), 및 호랑가시나무과(Ilex),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속에 속하는 약 10가지의 대부분 흔히 알려진 종들로 구성된다. 온수에서 추출한 이들 바탕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이 차로서 소비된다. 동물 연구에서 이들 종들 중 일부의 추출물이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혈압을 낮추고, 항산화 효과를 가지며, 혈장 지질 수준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발견되었다[13-15]. 예를 들어, 실험 연구에서 고콜레스테롤혈증 래트에 2주 동안 매일 500mg/일의 용량으로 Ilex paraguariensis의 수 추출물을 위관영양법으로 제공한 결과,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의 혈장 농도가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6]. 다른 연구에서는 1-3개월 동안 Ligustrum japonicm 추출물을 매일 투여하는 것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토끼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 수준을 감소시켰다[17]. 그러나, 사람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관리에 있어서 이 차의 임상 이점은 아직 측정되지 않았다.
고정차의 생물학적 활성 성분은 아직 측정되지 않았다. 여러 호랑가시나무과 종들의 수성 및 알코올 잎 추출물은 많은 테르페노이드류, 플라보노이드류[18-23], 트리테르펜류,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류, 카페오일 퀴닌산 및 이들의 유도체들을 함유한다. 이들 화합물 중 일부가 고정차의 콜레스테롤-저하 효과에 관련되는데, 최근 연구에서는 Ilex kudingchaIlex macropoda를 포함하는 두 종류의 고정차의 잎과 잔가지로부터 분리된 다수의 모노테르펜 및 트리테르펜류가 아실-CoA: 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페라제(ACAT)의 활성을 시험관내 저해한다는 것이 밝혀졌다[24-27]. ACAT 활성은 포유류에서 장으로부터 콜레스테롤 흡수의 조절과 지방산에 의한 콜레스테롤의 에스테르화에 중요하다. 간세포에서 ACAT의 저해는 간으로부터 초저밀도 리포단백질(VLDL) 입자와 같은,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28].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류는 대부분 Ilex kudingcha로부터 분리되었다: 일레쿠디노시드 A-S, 일렉소시드 XL VIII, 시나라사포닌 C, 라티폴로시드 A, C, G 및 H, 쿠디노시드 G. 이들 중 일부가 유의한 ACAT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26].
일부 모노테르페노이드 및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류가 고정차(Ligustrum pendunculare) 잎으로부터 또 분리되었다: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인 리페도시드 A-I 및 A-II, 및 모노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인 리페도시드 B-I, B-II, B-III, B-IV, B-V 및 B-VI. 리페도시드 B-III은 ACAT의 저해제로서 확인되었으며, IC50은 269μM이다[23].
고정차는 또한 우르솔산, 베툴린, 루페올 및 클로로겐산을 함유한다고 알려져 있다.
우르솔산(3β-히드록시-12-우르센-28-익 산)은 아데노신 데아미나제, 아라키도네이트 리포옥시게나제, 아로마타제, 시클로옥시게나제, DNA 리가제 I, 엘라스타제, 단백질 키나제 A 및 C, 및 RNA-지정 DNA 중합효소를 포함하는 몇몇 효소의 저해제로서 확인되었다[29]. 또한, 최근에 우르솔산은 뉴클레오시드 트리포스페이트 히드롤라제(NTPase, IC50 0.6μM)와 아실-CoA: 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페라제(ACAT, IC50 58.8μM)의 저해제로서 확인되었다[30-31]. 또한, 우르솔산은 강한 항종양형성제이며 화학예방제이다[32].
베툴린(루프-20[29]-엔-3β,28-디올) 및 베툴린산(3-히드록시-20[29]-루펜-28-오익산)은 항염성이며, 여러 종양 셀라인에 대해 세포독성이다[33]. 미국특허 제5,679,828은 베툴린산과 그것의 유도체들에 강한 항-HIV 감염 활성이 있는 것을 밝혔다. 베툴린산은 또한 아실 CoA: 디아실글리세롤 아실트랜스페라제(DGAT, IC50 9.6μM)의 저해제로서 확인되었다[34]. 더욱이, 베툴린과 베툴린산은 우수한 ACAT 저해제이며, IC50은 각각 83 및 16.2μM이다[24].
루페올(3β-히드록시-20(29)-루펜, 또는 20(29)-루펜-3β-올)은 NF-κB의 하향조절을 통해 항암 활성을 가진다고 밝혀졌으며, 아실-CoA: 콜레스테롤 아실트랜스페라제(ACAT, IC50 48μM)의 저해제로서 확인되었다[24,35].
고정차의 화학 성분인 클로로겐산은 스쿠알렌 신타제 저해제로서 확인되었으며, IC50은 0.1μM이다[36].
유럽과 중국에서 널리 재배되는 식물인 산사나무(Hawthorn)(중국에서는 샨쟈라고 한다)는 여러 건강-증진 특성을 가진 것으로 밝혀졌다. 유럽에서 약용 허브로서 흔히 인정되는 산사나무 종들은 Crataegus oxyacantha , Crataegus pentagyna Waldst, Crataegus nigra Waldst, Crataegus azarolus L. 및 Crataegus monogyna를 포함한다. 중국에서는 Crataegus pinnatifida Crataegus pinnatifida Bge var. major NE Br.을 포함하는 산사나무의 2가지 다른 변종이 전통적인 중의학에서 사용되었다. 연구들은 유럽의 것뿐만 아니라 중국의 변종들에도 항산화, 항염 및 지질저하 효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건강상의 이점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들 변종에는 뇌 및 혈관 내피에 대한 보호 효과 및 내피-의존성 이완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에 더하여, 일부 임상 연구는 또한 산사나무에 혈압-저하 특성이 있으며, 심하지 않은 부정맥의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플라보노이드류, 특히 프로안토시아니딘류가 산사나무의 활성 성분인 것으로 생각된다. 다양한 플라보노이드를 이용한 연구는 이들 성분이 콜레스테롤-저하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하며, 더 구체적으로 이들은 콜레스테롤의 간 흡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37].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황련(Huanglian)과 고정차를 허브, 추출물 또는 이들의 화학 조합으로서 포함하는 어떤 조성물이 심혈관 건강을 상승작용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상승작용적 조합은 하나 이상의 허브를 함께 추출하거나 각 허브를 개별적으로 추출한 다음, 이 추출물들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으며, 후자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황련 추출물에서 발견되는 베르베린과 베르베린 관련 알칼로이드류, 예를 들어 염화팔미틴이 서로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자연- 또는 합성-유래 화학 구성성분들을 사용하여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상승작용적 조합을 제조할 수 있다.
고정차 및 그것의 추출물은 생초 또는 건초의 어떤 부분, 그것의 잎 또는 분쇄된 분말로부터 액체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 또는 종래의 액체 용매를 소량의 초임계 유체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고압 추출에 의해서 얻을 수 있으며, 건조된 KDC 잎의 곱게 간 분말로부터의 액체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고정차 종은 Ilex kudingcha로부터 유래되지만, Ilex aquifoliacese , Ilex latifolia Thunb, Ligustrum robustum , Ehretia thyrsiflora , Clerodendrum fortunatum L.Ilex cornuta Lindl . ex paxt. 종들도 또한 동일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액체 추출을 위한 적합한 용매는 물, 산성수, 물-알코올 혼합물, 물-저급 알킬(C1-6) 알코올 혼합물, 알코올, 특히 저급 알킬(C1-6) 알코올, 에스테르, 특히 C2-10 에스테르, 에테르, 특히 C4-12 에테르, 염화 탄화수소 또는 그외 다른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물,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기재 용매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알코올 추출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은 가압 액체 추출(PLE, 가속 용매 추출, ASE라고도 한다), 침연(maceration), 초음파처리,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 소킹, 교반, 또는 초음파 보조 추출을 포함하는 액체 추출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선택된 추출 과정에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잎으로부터 얻어진, 곱게 간 고정차 분말 1g 당 용매를, 예를 들어 1ml-1 리터, 바람직하게는 2-500ml, 더 바람직하게는 2-200ml, 더 바람직하게는 2.5-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l의 비율로 하여, 예를 들어 1분 내지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50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2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5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고압 용기에서 및/또는 환류 조건하에 약 4-120℃, 또는 바람직하게는 15-100℃,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30-90℃, 더 바람직하게는 50-80℃,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78℃, 또는 더욱 가장 바람직하게는 78℃에서 추출이 수행되었고, 계속해서 실온까지 냉각하고 대기압 상태로 압력을 감소시킨 다음, 여과, 원심분리, 또는 침강 및 따라내기(decant) 또는 다른 분리 기술에 의해서 고체상으로부터 고정차 추출물 용액이 분리되었다. 여과가 바람직한 분리 방법이다. 얻어진 용액은 20-800℃, 바람직하게는 20-500℃,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에서 증발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에 의해서 액체 또는 고체 제품으로 농축될 수 있으며, 농축은 또한 증발기 또는 분무-건조 기술을 사용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고정차는 고정차 식물의 어떤 부분, 그것의 추출물, 고정차에서 발견되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합물, 또는 생초 또는 건초의 어떤 부분에서 확인된 순수한 화학 종들을 포함하며, 이후 청구항을 포함하여 KDC라고 언급될 것이다. KDC는 apoB 분비 저하 시험에서 다수의 활성 성분을 함유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또한 황련 및 그것의 추출물과 조합하여 상승작용 효과를 가진다. KDC로부터의 몇 가지 활성 성분은 트리테르펜류: 루페올, 우르솔산, 베툴린 및 베툴린산 및 관련 유도체들; 일군의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류; 일군의 모노테르페노이드 글리코시드류; 일군의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류, 카페오일 퀴닌산 및 이들의 유도체들로서 확인되었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다른 여러 식물로부터도 분리될 수 있다. 우르솔산 함유량이 가장 높은 식물 종은 제한은 아니지만, 그리스 세이지(Salvia triloba L.), 서양협죽도(Nerium oleander L.) 및 로즈마리(Rosmarius officinalis L.)를 포함한다. 베툴린 및 베툴린산 함유량이 가장 높은 식물 종은 제한은 아니지만, Betula alba, B. pendula , B. platyphylla의 껍질 및 Ziziphus vulgaris var. spinosus의 종자, 자작나무(birch)의 껍질을 포함한다. 루페올 함유량이 가장 높은 식물 종은 제한은 아니지만, Alnus glutinosa , Aloe vera , Apocynum cannabinumArbutus unedo를 포함한다. 또한, 클로로겐산은 커피, 홍차 또는 두충나무(두종, Eucommia ulmoides Oliv .)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황련 및 그것의 추출물, 황련에서 발견되는 화학적으로 합성된 화합물, 베르베린 및 베르베린 함유 추출물, 베르베린 유도체, 유사체, 및 베르베린 관련 알칼로이드류는 이후 청구항을 포함하여 HL이라고 언급될 것이다. 황련, 베르베린 및 베르베린-관련 알칼로이드류, 예를 들어 염화팔미틴은 건조 허브 및 분말 허브로부터 액체 추출에 의해서 Coptis chinensis Franch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Coptis chinensis는 때로 Coptis 뿌리, 골든 스레드, 금사, 황 리안, 황련, Rhizoma Coptidis, 또는 Coptis chinensis 근경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HL은 또한 Coptis deltoidea CY . Cheng et HsiaoCoptis teeta Wall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더욱이, 베르베린, 베르베린 유도체, 유사체, 및 베르베린 관련 알칼로이드류는 여러 식물에서 또한 발견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식물로는 골든씰(Hydrastis canadensis), 산케젠(San-Ke-Zhen)(Berberis spp.) Berberis pratti Schneid, Berberis sargentiana Schneid , Berberis virgetorum Schneid ., Berberis vernae Schneid ., Berberis soufleana . Schneid ., Berberis pruinosa Franch ., Berberis poiretii Schneid ., Berberis wilsonae Heml ., Berberis dictyophylla Fr., Berberis julianae Schneid ., Berberis jamesiana Forrest et W. W. Sm ., Berbeis heteropoda Schrenk ., Berberis brachypoda Maxi , Berberis sargentiana , Berberis thunbergii , Berberis vulgaris(매자나무), 및 오레건 그레이프(Berberis aquifolium), 이뿐만 아니라 Corydalis Tuber(연호색), Coptis japonica , Coptis Trifolia, Coptis teeta , Coptis quiquefolia , Coptis deltodea , Phellodendron amurence(황백나무 또는 황바이), Argemone mexicaca L.(가시양귀비), Andira inermis(양배추 껍질), Corydalis Spp(Fumewort), Mahonia aquifolium(청매자나무), Chelidinium majus L.(애기똥풀), Menispermum canadense L.(새모래덩굴), Tinospora Cordifolia(Guduchi), 및 Eschscholzia californica(캘리포니아 양귀비)를 포함한다. 적합한 용매는 물, 산성수, 물-알코올 혼합물, 산성수-알코올 혼합물, 물-저급 알킬(C1-6) 알코올 혼합물, 산성수-저급 알킬(C1-6) 알코올 혼합물, 알코올, 특히 저급 알킬(C1-6) 알코올, 에스테르, 특히 C2-10 에스테르, 에테르, 특히 C4-12 에테르, 염화 탄화수소 또는 그외 다른 유기 용매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물, 산성수, 수성 알코올, 산성 수성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기재 용매 혼합물이 바람직하며, 수성 알코올 추출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추출은 가압 액체 추출(PLE, 가속 용매 추출, ASE라고도 한다), 침연, 초음파처리,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 소킹, 교반, 초음파 보조 추출을 포함하는 액체 추출을 사용하여, 분쇄된 Coptis chinensis 분말 1g 당 용매를, 예를 들어 1ml-1 리터, 바람직하게는 2-500ml, 더 바람직하게는 2ml-200ml, 더 바람직하게는 2.5-50ml, 가장 바람직하게는 10ml의 비율로 하여, 예를 들어 1분 내지 100시간, 바람직하게는 2분 내지 50시간, 더 바람직하게는 5분 내지 24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분 내지 5시간, 가장 바람직하게는 2시간 동안, 예를 들어 4-120℃, 바람직하게는 15-100℃, 더 바람직하게는 30-90℃, 더 바람직하게는 5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78℃, 가장 바람직하게는 78℃에서 고압 용기에서 및/또는 환류 조건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어서 실온으로 냉각하고 대기압 상태로 감압한 다음, 여과, 원심분리, 침강 및 따라내기 또는 다른 분리 기술에 의해서 고체상으로부터 Coptis chinensis 용액이 분리된다. 여과가 가장 바람직한 분리 기술이다. 얻어진 용액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에 의해서 액체 또는 고체 추출물 제품으로 농축될 수 있으며, 증발기나 분무-건조 기술도 바람직하다.
황련 추출물에서 발견된 베르베린 및 베르베린 관련 알칼로이드류는 제한은 아니지만, 베르베린, 및 베르베린-관련 화합물 또는 유사체 화합물, 예를 들어 베르베린 황산염, 베르베린 염화물, 염화팔마틴, 염화콥티신, 염화워레닌, 염화 자트로리진, 콜치신, 매그노플로린, 옥시베르베린, 디히드로베르베린, (-)-카나딘, β-히드라스틴, 히드라스틴, 및 이들의 염을 포함한다. 이들 알칼로이드류의 조합은 apoB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상승작용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HL과 조합하여 KDC를 포함하고, 김네마산 및 김네마산 함유 당살초(Gymnema Sylvestre)[우슈텡] 추출물; 지페노시드 및 지페노시드 함유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la ( thumb .) makino)[쟈오구란] 추출물; 이소플라본 및 이소플라본 함유 갈근(Pueraria lobata O.)[지간] 추출물; 플라본 및 플라본 함유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및 pinnatifida Bge.Var.major NE Br.)[샨쟈] 추출물; 디오스게닌 및 디오스게닌 함유 야생참마(Dioscorea Opposita Thunb)[샨야오] 추출물; 안드로그라폴리드 및 안드로그라폴리드 함유 천심련(Andrographis paniculatae)[천신리안] 추출물; 오렌지 껍질 및 오렌지 껍질 추출물; 탄제린 및 탄제린 껍질 추출물; 산사나무 및/또는 산사나무 추출물; Semen Cassiae(주밍지) 및 결명자 추출물; 택사(Rhizoma Alismatis)(제시에) 및 택사 추출물; 구기자(Fructus Lycii)(구키지) 및 구기자 추출물; 감초(RadixGlycyrrhizae)(강카오) 및 감초 추출물; 시호(Radix Bupleuri)(카이후) 및 시호 추출물; 대황(Radix et Rhizoma Rhei) 및 대황 추출물; 하수오(Fleeceflower Root)(슈워) 및 하수오 추출물; 산조인(Semen Ziziphi Spinosae)(수안자오렌) 및 산조인 추출물; 옥죽(Rhizoma Polygonati Odorati)(유쥬) 및 옥죽 추출물; 음양곽(Epimedium Herb)(인양후오) 및 음양곽 추출물; 현삼(RadixScrophulariae)(슈안센) 및 현삼 추출물; 당귀(RadixAngelicae Sinensis)(당구이) 및 당귀 추출물; 인삼 및 인삼 추출물; 강황(Rhizoma Curcumae Longae)(지앙황) 및 강황 추출물;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seu Sinensis)(링지) 및 영지버섯 추출물; 두충나무(Cortex Eucommiae)(두종) 및 두충나무 추출물; 및 방기(Fourstamen Stephania Root) 및 방기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하는 조성물의 사용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HL의 수 추출물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2는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KDC의 수 추출물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3은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HL의 에탄올 추출물 및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4는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산사나무 추출물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5는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HL의 메탄올 추출물에 산사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6은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고정차(KDC)의 에테르 추출물에 산사나무 추출물을 첨가한 경우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7은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HL, KDC 및 산사나무(Haw) 추출물의 혼합물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8은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대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각각의, 그리고 서로 1:1 비로 조합한 것의 용량-관련 효과를 나타낸다.
도 9는 1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0은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1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2는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고정차(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혼합물의 IC50 값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그래프로 나타낸 이소볼로그램(isobologram)이다.
도 13은 고정차(KDC) 잎의 추출 과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1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5는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6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7은 1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유기상 추출물(5-74-A)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8은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유기상 추출물(5-74-A)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19는 1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수상 추출물(5-74-B)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0은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수상 추출물(5-74-B)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1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수상 추출물(5-74-B)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2는 1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고정차(KDC)의 3가지 상이한 추출물과 HL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혼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5-21-1은 KDC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5-74-A는 KDC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유기상 추출물이고; 5-74-B는 KDC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수상 추출물이다.
도 23은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고정차(KDC)의 3가지 상이한 추출물과 HL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혼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5-21-1은 KDC의 에탄올 추출물이고; 5-74-A는 KDC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유기상 추출물이고; 5-74-B는 KDC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수상 추출물이다.
도 24는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우르솔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5는 3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우르솔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6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베툴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7은 75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베툴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8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루페올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29는 3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루페올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0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수상 추출물의 하위분획(94-1)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1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수상 추출물의 하위분획(94-2)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2는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수상 추출물의 하위분획(94-3)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3은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KDC의 수상 추출물의 3가지 상이한 하위분획과 HL의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94-1은 5-74-B의 제1 하위분획이고; 94-2는 5-74-B의 제2 하위분획이고; 94-3는 5-74-B의 제3 하위분획이다.
도 34는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클로로겐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5는 75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클로로겐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6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베르베린(BBR)과 루페올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7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베르베린(BBR)과 베툴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8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베르베린(BBR)과 우르솔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39는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베르베린(BBR)과 클로로겐산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도 40은 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서 다양한 비율로 베르베린(BBR)과 염화팔미틴을 조합한 것이 Hep-G2 세포 유래 아포리포단백질-B 함유 리포단백질 (apo-B)의 분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그래프로 나타낸 비선형 배합 곡선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수많은 연구의 증가가 허브류인 황련(Coptis chinensis)과 골든씰(Hydrastis canadensis)로부터 주로 분리된 알칼로이드인 베르베린(BBR)이 콜레스테롤-저하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베르베린은 LDL 수용체의 mRNA를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전사-후 메커니즘을 통해서 간세포에서 LDL 수용체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LDL 수용체의 이런 증가된 발현은 콜레스테롤의 간 흡수를 증진시키고, 그 결과 혈장에서 LDL-콜레스테롤의 수준이 저하된다.
KDC 추출물의 콜레스테롤-저하 특성은 이들의 테르펜류, 테르페노이드류, 플라보노이드류, 페닐에타노이드 글리코시드류, 카페오일 퀴닌산 및 그것의 유도체들의 함유량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연구는 이들 테르페노이드류가 간세포로부터 콜레스테롤의 분비 및 에스테르화에 필요한 간 마이크로솜 효소인 ACAT를 저해한다는 것을 보였다.
베르베린 및 KDC가 콜레스테롤-저하 특성을 지닌다고 보고되었지만, 이들은 상이한 메커니즘을 통해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어떤 특정한 작용 메커니즘과 결부되지는 않지만, 베르베린은 콜레스테롤의 간 흡수를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KDC는 콜레스테롤의 간 분비를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 콜레스테롤은 LDL에 의해 조직으로 수송되며, 아포리포단백질 B(apo-B)가 LDL의 주요 아포리포단백질이다. 높은 수준의 apo-B는 죽상경화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승작용적으로 작용하여 apo-B 분비를 저하시킬 수 있다고 밝혀진 HL과 KDC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지질 저하 효과에 유용하며, 사람 및 가축의 건강, 특히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고, 심근병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험자에서 다수의 질환 또는 상태의 수축작용 변화 또는 진행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질환 또는 상태는, 예를 들어 심근병증,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고지방단백혈증, 높은 리포단백질(a) 수준, 허혈, 관상심장질환, 죽상경화증, 앙기나, 뇌혈관질환, 뇌졸중, 과체중 또는 비만, 대사증후군, 다낭성난소증후군, 심근경색,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경화성 장애, 고혈당증, 고혈압, 부정맥, 중추신경계 질환, 뇌질환, 말초신경계 질환 및 염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물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하여 HL과 KDC를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이와 관련하여 유용한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익숙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의 제조 과정은 상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적합하게, 제약 조성물이 정제, 캡슐, 액체, 로젠지, 페이스트, 고약, 분말, 로션, 에어로젤, 주사에 적합한 용액, 또는 좌약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또는 식용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치료 목적의 경구 투여를 위해서, HL 및 KDC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부형제와 혼합될 수 있고, 정제, 트로쉐, 분말, 또는 캡슐, 예를 들어 젤라틴 캡슐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또한 유체 담체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제약학적으로 적합한 결합제 또는 다른 담체 물질이 조성물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제 및 담체는 바인더, 예를 들어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트래거캔스 검 또는 젤라틴; 부형제, 예를 들어 녹말 또는 락토오스; 붕해제, 예를 들어 알긴산 또는 옥수수 녹말; 윤활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택제, 예를 들어 콜로이드상 이산화규소; 감미제, 예를 들어 수크로오스 또는 사카린; 또는 향미제일 수 있다. HL 및 KDC 조성물은 또 식품이나 음료와 혼합되어 경구 섭취될 수 있다. 식품이나 음료를 제조하는 도중에 HL 및 KDC를 첨가함으로써 강화 식품 및 음료가 제조될 수 있다. 또는 달리, 소비자가 섭취 직전에 식품이나 음료에 HL 및 KDC를 첨가할 수 있다. 각 성분은 나머지 성분들과 함께 또는 나머지 성분들과 별도로 식품이나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식품 및 음료의 예는, 제한은 아니지만, 시리얼, 스낵바, 유제품, 과일쥬스, 분말식품 및 건조 가루 음료 믹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질 수준 저하 조성물은 경구, 에어로졸, 또는 폐로의 송달을 위한 다른 장치, 코 스프레이,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질, 직장, 및 국소, 경점막 또는 경피를 포함하는 어떤 적합한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경점막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해서는 투과되어야 할 장벽에 적합한 침투제가 제제에 사용된다. 이러한 침투제는 일반적으로 본 분야에 알려져 있다. 경점막 투여는 코 스프레이, 좌약 또는 직장 송달용 정체 관장의 사용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다. 좌약은 코코아 버터 및 그외 다른 글리세리드류와 같은 종래의 좌약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를 위해서는 본 분야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대로 활성 성분이 연고, 고약, 젤, 또는 크림으로 조제된다.
HL 및 KDC는 동시에 또는 일정 시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HL 및 KDC를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효과적인 시간 범위는 60분 이내이다. 바람직하게, HL과 KDC는 함께 투여된다. HL과 KDC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의약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HL 및 KDC의 복용량은 치료될 특정 상태 및 환자의 나이, 성별 및 일반적인 건강 상태에 따른다. 효과적인 복용량이 상승작용 효과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HL 및 KDC의 상승작용적으로 효과적인 양으로 투여된다. 그러나, 적합한 복용량은 하루에 1 내지 10회 분량으로 1일 당 0.1-500mg/kg 체중 범위에서 찾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효과적인 복용량은 1일 당 1-400mg/kg 체중 범위이며, 분량을 나누어 하루에 2 내지 6회 투여된다. 더 바람직하게, 효과적인 복용량은 1일 당 2-100mg/kg 체중일 수 있고, 분량을 나누어 하루에 2 내지 4회 투여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효과적인 복용량은 1일 당 10-60mg/kg 체중일 수 있고, 분량을 나누어 하루에 3회 투여될 수 있다.
약 1% 내지 99%의 HL:KDC 중량비가 상승작용을 나타낸다. 그러나, 25%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80%가 더 바람직하고, 25% 내지 75%가 더욱 바람직하고, 33% 내지 75%가 더 바람직하고, 40% 내지 67%가 더 바람직하고, 대략 1: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HL 에탄올 추출물:KDC 에탄올 추출물 중량비가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내며 바람직하다. 그러나, 25% 내지 75%가 더 바람직하고, 30% 내지 67%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1:2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HL 에탄올 추출물:KDC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 중량비가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내며 바람직하다. 그러나, 25% 내지 75%가 더 바람직하고, 33% 내지 67%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2: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HL 에탄올 추출물:KDC 수 추출물 중량비가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5% 내지 85%가 바람직하고, 25% 내지 75%가 더 바람직하고, 대략 3: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HL 에탄올 추출물:클로로겐산 중량비가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25% 내지 75%가 바람직하고, 대략 1:3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65%의 베르베린:루페올 중량비가 바람직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5% 내지 60%가 더 바람직하고, 30% 내지 55%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1: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베르베린:베툴린 중량비가 바람직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30% 내지 70%가 더 바람직하고, 30% 내지 60%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1: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50%의 베르베린:우르솔산 중량비가 바람직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1% 내지 49%가 더 바람직하고, 30% 내지 40%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1:2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75%의 베르베린:클로로겐산 중량비가 바람직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5% 내지 74%가 더 바람직하고, 20%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고, 대략 1:3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약 1% 내지 99%의 베르베린:염화팔미틴 중량비가 바람직한 상승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25% 내지 75%가 더 바람직하고, 대략 2:1 비가 가장 바람직하다.
"유효량" 및/또는 "치료량"이란 용어는 치료될 질환 상태에 대한 예방 및/또는 치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복용량을 의미한다. 이것은 환자, 질환 상태 및 수행될 치료에 따라서 변할 것이다. 환자는 사람이나 동물일 수 있으며, 조류 및 포유류를 포함한다. 따라서, 조성물은 의학 및 수의학 용도를 모두 가진다.
다음 실시예에서, Apo-B 분비 실험이 Hep-G2 세포에서 수행되었다. 이들 세포는 아메리칸 타입 컬쳐 컬렉션(cat #: ATCC HB-8065)에서 얻었다. 사람 간모세포종-유래 셀라인인 Hep-G2는 무손상 사람 간에서 리포단백질 흡수 및 대사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모델 중 하나이다. 이들 세포는 아포리포단백질-B를 포함하여 사람 간세포에서 분비되는 대부분의 혈장 단백질을 분비한다[38]. 이에 더하여, 이들 세포에서는 LCAT, ACAT, HMG-CoA 환원효소 및 콜레스테롤 7-α-히드록실라제를 포함하여 세포내 및 세포외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련되는 대부분의 효소가 발현된다[39]. 이들은 또한 포화가능 고-친화성 및 비-포화가능 저-친화성 LDL 결합 부위를 모두 나타낸다[40].
본 발명은 이제 다음 실시예에 의해서 더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Hep - G2 세포로부터 Apo -B의 분비에 대한 HL KDC 의 용량-관련 효과의 측정
HL, KDC 및 산사나무 추출물을 분리해서 사용했을 때와 조합 사용했을 때 사람 간암종 세포인 Hep-G2로부터 apo-B의 분비에 대한 효과를 측정했다. Coptis chinesis(황련) 및 고정차(Ilex kudingcha)의 수 추출물을 개발하여 시험했다; 결과를 각각 도 1 및 2에 나타낸다. 또한, Coptis chinesis(황련)의 에탄올 추출물과 고정차(Ilex kudingcha)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개발했고, 산사나무 추출물을 도 3-12에 나타낸 실험에 사용했다. 분리된 황련 또는 고정차 추출물은 용량-관련 방식으로 Hep-G2 세포로부터 apo-B의 분비를 감소시키며(도 3), 산사나무 추출물 또한 이 세포로부터의 apo-B의 분비에 대해 저해 효과를 가진다(도 4). HL이 KDC보다 더 큰 효능을 나타냈다. HL 및 KDC 추출물에 대한 IC50은 각각 146μg/ml 및 238.6μ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HL에 산사나무 추출물의 첨가(도 5), 및 KDC에 산사나무 추출물의 첨가(도 6)는 용량-의존성 방식으로 두 추출물의 효능을 모두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po-B의 분비에 대한 1:1 중량비로 HL과 KDC 추출물을 조합한 효과는 상승작용을 나타낸다(도 8). 보이는 대로, 이 조합은 HL 또는 KDC의 분리된 추출물보다 더 큰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추출물 간의 상승작용을 시사한다.
실시예 2
Hep - G2 세포로부터 Apo -B의 분비에 대한 HL , KDC 산사나무의 용량-관련 효과의 측정
apo-B의 분비에 대한 2가지 상이한 농도로 HL, KDC 및 산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효과를 나타낸다(도 7). 산사나무의 존재하에 HL나 KDC만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apo-B 분비에 대한 혼합물의 저해 효과에 대해 거의 추가적인 효과를 가지지 않았지만, 산사나무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조합된 추출물의 전체적인 효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세 추출물 중 어떤 두 가지의 농도가 동시에 증가되었을 때는 혼합물의 전체적인 효능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추출물의 농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것이 최대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데이터의 계승 분석은 세 추출물 중 산사나무 추출물이 혼합물의 전체적인 효능에 가장 많이 기여했고, 이어서 HL과 KDC는 최소한의 효과를 가졌다는 것을 드러냈다. HL과 KDC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은 상승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시예 3
HL KDC 추출물 조합의 IC50 의 측정
HL과 KDC의 IC50 값은 각각 146ug/ml 및 239.1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HL 농도를 50ug/ml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KDC 농도를 변화시켰을 때 IC50은 163.5ug/ml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50% 효능을 위해 50ug/ml HL에 113.5ug/ml의 KDC 추출물이 첨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HL 농도를 100ug/ml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KDC 농도를 변화시켰을 때 IC50은 123.3ug/ml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50% 효능을 위해서 KDC 추출물 23.3ug/ml에 100ug/ml의 HL이 첨가되어야 한다. 조합된 추출물의 더 낮은 IC50 값은 Hep-G2 세포로부터 apo-B의 분비를 저하시키는데 있어서 두 추출물이 상승작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을 시사한다.
추가의 실험을 계속 수행하여 HL과 KDC 추출물 사이의 상승작용을 확인했다. 비선형 배합, 이소볼로그램 및 조합지수를 포함하는 3가지의 흔히 사용되는 접근법을 이용하여 이 상호작용을 측정했다.
150μg/ml, 200μg/ml 및 250μg/ml의 총 용량에 맞춘 HL과 KDC의 혼합물에 대한 비선형 배합 곡선이 각각 도 9, 10 및 11에 도시된다. 모든 농도에서 혼합물 중 HL의 비율이 증가하면 추출물의 효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안쪽 선의 곡선모양에 반영되었으며, 이로써 두 추출물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은 상승작용적이었음을 나타낸다.
또한, HL과 KDC 추출물의 다양한 조합에 대해서 그래프로 나타낸 IC50 값(표 1)에 기초한 이소볼로그램은 안쪽으로 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도 12), 이것 또한 두 추출물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이 상승작용적이었음을 나타낸다. 도 12는 두 추출물의 IC50 값을 기초로 한다(50% 효능을 나타낸다). 이것은 50ug/ml의 HL 농도에서 Hep-G2 세포로부터 apo-B의 분비에 대해 50% 저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KDC가 113.2ug/ml이 필요할 것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에, HL의 농도가 100ug/ml까지 증가한 경우에는 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지 23.3ug의 KDC가 필요할 것이다.
Figure pct00001
<조합지수>
약물 조합지수(CI)의 측정은 약물 상호작용 성질에 대한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이것은 다음 식을 통해 계산된다:
CI = (CA ,X / ICX ,A) + (CB ,X / ICX ,B)
CA ,X 및 CB ,X는 x% 약물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조합에 사용된 약물 A와 약물 B의 농도이다. ICX ,A 및 ICX ,B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단일 제제의 농도이다. 1 미만의 CI, 1과 동일한 CI, 및 1 초과의 CI는 각각 상승작용, 추가작용, 및 길항작용을 나타낸다.
HL 50μg/ml에 대해: 0.81
HL 100μg/ml에 대해: 0.78
두 HL 농도에 대해 계산된 조합지수는 모두 1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또한 HL과 KDC가 Hep-G2 세포로부터 apo-B의 분비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했음을 시사한다.
조합지수는 IC50 값으로부터 계산되며, HL만의 IC50 값은 150ug/ml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150ug/ml을 초과하는 양으로 HL을 함유하는 혼합물의 조합 지수는 계산될 수 없었다.
실시예 4
추출 방법이 KDC 의 관련된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의 결정
추출 방법이 KDC의 생물학적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서 3가지 상이한 KDC 추출물을 제조했다. 도 13은 이들 추출물의 제조에 이용된 가공 기술을 보이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KDC 생잎을 에탄올로 먼저 추출하고, 얻어진 추출물(5-21-1)을 냉동 건조시킨 다음, 다른 추출물의 제조와 생물학적 활성의 평가에 이용했다. 건조된 추출물(5-21-1)을 물에 용해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더 추출했다.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유기상(5-74-A)과 수성상(5-74-B) 추출물을 모두 수거했다. KDC 가공 도중에 생잎으로부터 얻어진 모든 추출물을 단독으로 그리고 조합해서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함께 생물학적 활성에 대해 시험했다.
KDC와 HL의 에탄올 추출물의 상호작용: 도 14-16은 150ug/ml, 200ug/ml 및 25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진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KDC의 에탄올 추출물(5-21-1) 사이의 비선형 배합 곡선을 나타낸다. 상이한 비율의 이들 추출물의 혼합물은 이들 추출물 각자가 가진 것보다 일관되게 더 높은 효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는 Hep-G2 세포로부터 apo-B 관련 리포단백질의 분비를 감소시키는데 있어서 HL과 KDC의 에탄올 추출물의 상승작용을 시사한다.
KDC의 에틸아세테이트 유기상 추출물(5-74-A)과 HL의 상호작용: 도 17 및 18은 150 및 200ug/ml의 총 조합 용량에 맞춰진 HL의 에탄올 추출물(HL)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유기상 추출물(5-74-A)의 상호작용을 도시한다. 따라서, 5-74-A는 이들 실험에서 시험된 두 용량에서 모두 HL 추출물과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KDC의 수상 추출물(5-74-B)과 HL의 상호작용: 도 19, 20 및 21은 HL의 에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KDC의 수상 추출물(5-74-B)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대한 비선형 배합 곡선을 나타낸다. 도 19-21은 HL이 KDC의 5-74-B 추출물과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한 것을 증명한다.
도 14-21에서 증명된 대로, KDC의 추출 방법은 HL과의 상승작용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3가지 추출 중에서 5-74-A가 HL과 가장 큰 상승작용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22 및 23).
실시예 5
트리테르페노이드 , 우르솔산 , 베툴린 루페올과 HL 의 상호작용
5-74-A의 화학적 분석은 그것이 다양한 트리테르페노이드류를 함유하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특히 상당한 양의 루페올, 베툴린 및 우루솔산이 이 추출물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다음 세트의 실험은 이들 각 트리페노이드류와 HL의 에탄올 추출물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을 결정하도록 설계하였다.
도 24-29에 설명된 실험은 HL이 약 20% BBR을 함유한다는 것을 나타낸 선행 실험실 분석에 기초했다. 따라서, HL 중 20% BBR 값을 우르솔산 또는 루페올과 조합하여 30 또는 50ug/ml의 총 조합 용량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예를 들어, 도 24에서, 40% BBR 함유량을 가진 50ug/ml의 총 용량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20ug/ml BBR이 필요하고, 따라서 HL 100ug/ml를 우르솔산 30ug/ml에 첨가했다(60% 우르솔산 함유량). 유사한 방식으로 HL 중 20% BBR을 베툴린과 조합하여 50 및 75ug/ml의 총 조합 용량의 혼합물을 제조했다. 이들 각 테르페노이드류와 HL의 비선형 배합 곡선이 도 24-29에 도시된다. 따라서, 트리테르페노이드류, 특히 우르솔산, 베툴린 및 루페놀은 HL과 상호작용하는 KDC의 구성성분 중 몇 가지인 것으로 보인다.
실시예 6
KDC 수성 하위분획 94-1, 94-2, 94-3과 황련의 상호작용
상기 설명된 실험을 완료한 후, KDC의 에탄올 및 에틸아세테이트 추출 후에 얻어진 수상 추출물 5-74-B를 Sephadex-15 칼럼을 통한 수 용출에 의해 더 분별했으며, 3개 분획을 연속 수거하여 분획 94-1, 94-2 및 94-3으로 명명했다.
94-1과 HL 에탄올 추출물의 상호작용: 도 30은 94-1과 HL 추출물의 여러 혼합물에 대한 비선형 배합 곡선을 나타낸다. 도 30에서 증명된 대로, 94-1은 HL과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했다.
94-2와 HL 에탄올 추출물의 상호작용: 도 31은 94-2도 역시 HL과 조합되었을 때 상승작용을 나타낸 것을 증명한다.
94-3과 HL 에탄올 추출물의 상호작용: 도 32는 94-3도 역시 HL과 조합되었을 때 상승작용을 나타낸 것을 증명한다. 효과는 3:1의 94-3:HL 중량비에서 가장 분명하다.
도 30-32에서 증명된 대로, 5-74-B의 각 하위분획은 HL과 상승작용했다. 수상 추출물 5-74-B의 3개 하위분획 중에서 94-3이 HL과 가장 큰 상승작용을 나타냈다(도 33 참조).
실시예 7
94-3의 화학적 분석은 이 분획의 주요 구성성분 중 하나가 클로로겐산이라고 불리는 카페오일 퀴논산이었음을 드러냈다. 따라서, 이어진 실험은 클로로겐산과 HL의 에탄올 추출물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을 결정하도록 설계했다.
클로로겐산과 HL 에탄올 추출물의 상호작용: 클로로겐산과 HL 에탄올 추출물을 다양한 비율로 함께 혼합하여 그것의 상호작용을 연구했다. 50 및 75ug/ml의 총 조합 용량의 이들 조합의 효과를 도 34 및 35에 도시한다. 클로로겐산 또한 HL 추출물과 상승작용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KDC 추출물의 클로로겐산 함유량이 HL과 KDC의 증명된 상승작용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8
BBR과 KDC의 여러 잠재적 활성 성분들(루페올, 베툴린, 우르솔산 및 클로로겐산을 포함하는 순수한 화합물) 사이의 상승작용을 고찰하기 위한 실험을 고안했다. 도 36-39의 그래프가 BBR과 이들 순수한 화합물 사이의 상승작용을 도시한다.
실시예 9
또한, HL의 상이한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 성질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했다. 따라서, 베르베른과 염화팔미틴 사이의 상호작용 성질을 결정하고, 도 40에 나타낸다. 염화팔미틴 또한 베르베린과 상승작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명세서 중에 언급된 참고자료의 전체 인용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Claims (57)

  1. HL과 KDC의 상승작용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상승작용성 혈중 지질 저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산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KDC에 대한 HL의 중량비는 약 15% 내지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KDC에 대한 HL의 중량비는 2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KDC에 대한 HL의 중량비는 33% 내지 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KDC에 대한 HL의 중량비는 4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KDC에 대한 HL의 중량비는 약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HL과 KDC의 상승작용적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의 저하가 필요한 환자에서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HL 또는 KDC 중 적어도 하나를 식품 또는 음료로 환자에게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식품 또는 음료인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다른 의약 또는 식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제 1 항의 제약 조성물.
  12.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제약 조성물,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에서 제 1 항의 조성물의 사용.
  13.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과 고정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 저하 상승작용성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효량의 산사나무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은 Coptis chinensis Franch,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Coptis teeta Wall 또는 Hydrastis Canadensis로부터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 13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은 Ilex kudincha C. J. Tseng(Aquifoliaceae), Ilex aquifoliacese , Ilex latifolia Thunb, Ligustrum robustum, Ehretia thyrsiflora , Clerodendrum fortunatum L. 또는 Ilex cornuta Lindl. ex paxt로부터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 13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 17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2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 18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33% 내지 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 19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 20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다른 의약 또는 식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제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조합된 제 13 항의 제약 조성물.
  23.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제약 조성물,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에서 제 13 항의 조성물의 사용.
  24. 용매 중 고정차 1g 당 용매를 1 내지 1000ml로 하여 액체 추출에 의해서 고정차 추출물을 얻는 단계, 고정차 산출물을 회수하는 단계, 용매 중 베르베린 함유 식물 1g 당 용매를 5 내지 20ml로 하여 액체 추출에 의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로부터 베르베린 산출물을 얻는 단계, 베르베린 산출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고정차 산출물과 베르베린 산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 저하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은 Coptis chinensis Franch ,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 Coptis teeta Wall 또는 Hydrastis Canaden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은 Ilex kudincha C. J. Tseng(Aquifoliaceae), Ilex aquifoliacese , Ilex latifolia Thunb, Ligustrum robustum, Ehretia thyrsiflora , Clerodendrum fortunatum L. 또는 Ilex cornuta Lindl. ex paxt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용매는 물, 산성수, 수성 알코올, 산성 수성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및 에틸아세테이트-기재 용매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4 항에 있어서, 용매는 수성 알코올 추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용매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에틸아세테이트-기재 용매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 24 항에 있어서, 고정차 용액에 대한 베르베린 용액의 중량비는 약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고정차 용액에 대한 베르베린 용액의 중량비는 2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고정차 용액에 대한 베르베린 용액의 중량비는 33% 내지 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제 32 항에 있어서, 고정차 용액에 대한 베르베린 용액의 중량비는 4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고정차 용액에 대한 베르베린 용액의 중량비는 약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5.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과 고정차 추출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의 저하가 필요한 환자에서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과 고정차 추출물을 동시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7. 제 35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과 고정차 추출물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8. 제 36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과 고정차 추출물을 60분 이내의 시간 기간에 걸쳐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제 35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을 Coptis chinensis Franch ,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 Coptis teeta Wall 또는 Hydrastis Canadensis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0. 제 35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을 Ilex kudincha C. J. Tseng(Aquifoliaceae), Ilex aquifoliacese , Ilex latifolia Thunb, Ligustrum robustum, Ehretia thyrsiflora , Clerodendrum fortunatum L. 또는 Ilex cornuta Lindl. ex paxt.로부터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 35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0% 내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2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33% 내지 6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40% 내지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에 대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의 중량비는 약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 35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추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경구 투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 35 항에 있어서, 저하되는 혈중 지질 수준은 트리글리세리드 수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 35 항에 있어서, 저하되는 혈중 지질 수준은 저밀도 리포단백질 콜레스테롤 수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 35 항에 있어서, 저하되는 혈중 지질 수준은 총 콜레스테롤 수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 35 항에 있어서, 포유류에서 심혈관질환, 고지혈증, 심근병증, 고지방단백혈증, 높은 리포단백질(a) 수준, 허혈, 관상심장질환, 죽상경화증, 앙기나, 뇌혈관질환, 뇌졸중, 과체중 또는 비만, 심근경색, 당뇨병, 인슐린저항성, 경화성 장애, 고혈당증, 고혈압, 부정맥, 중추신경계 질환, 뇌질환, 말초신경계 질환 또는 염증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 35 항에 있어서, 포유류가 사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 및 고정차 추출물을 별도 용기에 포함하는, 혈중 지질 수준의 저하가 필요한 포유류에서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기 위한 제조물을 함유하는 키트.
  53. 제 52 항에 있어서, 베르베린 함유 식물 추출물은 Coptis chinensis Franch , Coptis deltoidea C. Y. Cheng et Hsiao , Coptis teeta Wall 또는 Hydrastis Canadensi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4. 제 52 항에 있어서, 고정차 추출물은 Ilex kudincha C. J. Tseng(Aquifoliaceae), Ilex aquifoliacese , Ilex latifolia Thunb, Ligustrum robustum, Ehretia thyrsiflora , Clerodendrum fortunatum L. 또는 Ilex cornuta Lindl. ex paxt로부터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55. 제 1 항에 있어서, 김네마산 및/또는 김네마산 함유 당살초(Gymnema sylvestre) 추출물, 지페노시드류 및/또는 지페노시드류 함유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la ( thumb .) makino) 추출물, 이소플라본류 및/또는 이소플라본류 함유 갈근(Pueraria lobata O.) 추출물, 플라본류 및/또는 플라본류 함유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및 pinnatifida Bge. Var. major NE Br.) 추출물, 이모딘 및/또는 이모딘 함유 대황(Rheum officinale baill .) 추출물, 디오스게닌 및/또는 디오스게닌 함유 야생참마(Dioscorea Opposita Thunb) 추출물, 및 안드로그라폴리드류 및/또는 안드로그라폴리드류 함유 천심련(Andrographis paniculatae)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6. 제 35 항에 있어서, 김네마산 및/또는 김네마산 함유 당살초(Gymnema sylvestre) 추출물, 지페노시드류 및/또는 지페노시드류 함유 덩굴차(Gynostemma pentaphylla ( thumb .) makino) 추출물, 이소플라본류 및/또는 이소플라본류 함유 갈근(Pueraria lobata O.) 추출물, 플라본류 및/또는 플라본류 함유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및 pinnatifida Bge. Var. major NE Br.) 추출물, 이모딘 및/또는 이모딘 함유 대황(Rheum officinale baill .) 추출물, 디오스게닌 및/또는 디오스게닌 함유 야생참마(Dioscorea Opposita Thunb) 추출물, 및 안드로그라폴리드류 및/또는 안드로그라폴리드류 함유 천심련(Andrographis paniculatae)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허브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7. 제 13 항에 있어서, 산사나무로부터의 유효량의 플라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07026814A 2008-05-01 2009-05-01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황련과 고정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KR201100218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58808P 2008-05-01 2008-05-01
US61/049,588 2008-05-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828A true KR20110021828A (ko) 2011-03-04

Family

ID=4125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6814A KR20110021828A (ko) 2008-05-01 2009-05-01 혈중 지질 수준을 저하시키는데 효과적인 황련과 고정차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42094B2 (ko)
EP (1) EP2300028A4 (ko)
JP (1) JP2011519368A (ko)
KR (1) KR20110021828A (ko)
CN (1) CN102076347B (ko)
AU (1) AU2009241274A1 (ko)
BR (1) BRPI0912000A2 (ko)
CA (1) CA2723132C (ko)
MX (1) MX2010011777A (ko)
NZ (1) NZ589636A (ko)
WO (1) WO200913345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611B1 (ko) * 2013-02-22 2014-11-20 팡정다 고지혈증 치료용 중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약
KR20170076206A (ko) * 2015-12-24 2017-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0154B2 (en) * 2009-11-05 2015-11-10 Arizona Health Consulting Group, Llc Method of manufacturing magnoliidae compounds
CN103298477B (zh) * 2010-09-10 2015-09-02 韩国食品研究院 包含柘木和薏苡用于抑制肥胖或降低血糖的组合物及其用途
TWI430801B (zh) * 2011-06-14 2014-03-21 Univ Nat Taiwan Normal 使用小檗鹼化合物製造抑制癌幹細胞生長或轉移的藥劑之用途
EP2567959B1 (en) 2011-09-12 2014-04-16 Sanofi 6-(4-hydroxy-phenyl)-3-styryl-1h-pyrazolo[3,4-b]pyridine-4-carboxylic acid amide derivatives as kinase inhibitors
WO2013040712A1 (en) * 2011-09-20 2013-03-28 Afexa Life Sciences Inc. Composition comprising ku ding cha and ginseng for managing blood glucose levels
CN102895342A (zh) * 2011-10-14 2013-01-30 西南交通大学 一种预防或/和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及其用途
CN102488773A (zh) * 2011-12-30 2012-06-13 苏州爱斯欧蒂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保健品
CN102526348B (zh) * 2012-03-27 2014-01-08 上海中药创新研究中心 一种用于降血糖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201521752A (zh) * 2013-12-05 2015-06-16 Univ Nat Taiwan Normal 牛樟芝於抗肥胖的應用及其方法
CN106456657B (zh) 2014-04-14 2020-10-16 上海凯屹医药科技有限公司 用于治疗copd疾病的方法与组合物
US10301303B2 (en) 2014-07-29 2019-05-28 Shenzhen Hightide Biopharmaceutical, Ltd. Berberine salts, ursodeoxycholic salts and combinations, methods of preparation and application thereof
CN105770710A (zh) * 2014-12-15 2016-07-20 张培祥 一种防治他汀类降脂药所致新发糖尿病的天然组合物
KR101713557B1 (ko) * 2015-04-13 2017-03-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흑축 추출물 또는 흑축 추출물과 현호색 추출물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혈관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201706A1 (zh) * 2015-06-19 2016-12-22 广东正源华茶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植物分子纯化技术集成系统
CN112074284A (zh) * 2018-03-05 2020-12-11 莱拉营养食品有限公司 用于肥胖和超重治疗的协同草药组合物
WO2024007104A1 (zh) * 2022-07-04 2024-01-11 国际香料和香精公司 用于增强甜味的新型吡喃葡萄糖苷组合物
CN116602966A (zh) * 2023-05-11 2023-08-18 华宝民康(广东)医药集团有限公司 13-甲基-巴马汀在制备抗心肌缺血损伤和心脏纤维化药物中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929A (en) 1987-06-26 1989-01-09 Kurata Denshi Kk Manufacture of electric contact
JPH0315409A (ja) 1989-06-13 1991-01-23 Matsushita Refrig Co Ltd 液体運搬用ワゴン
CN1048150C (zh) * 1993-08-14 2000-01-12 湖南农学院 复合苦丁茶饮品
JPH095452A (ja) 1995-06-26 1997-01-10 Casio Comput Co Ltd 照明付時計
JPH0995452A (ja) * 1995-07-21 1997-04-08 Res Inst For Prod Dev 脂肪分解促進剤
US6054128A (en) * 1997-09-29 2000-04-25 Wakat; Diane Dietary supplements for the cardiovascular system
JP2001103929A (ja) * 1999-10-05 2001-04-17 Tama Seikagaku Kk 苦丁茶葉由来の抽出物及びその製法
US7258877B2 (en) * 2001-12-21 2007-08-21 Sunten Phytotech Co., Ltd. Herb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CN1159047C (zh) * 2002-01-18 2004-07-28 北京大学 一种具有减肥降脂作用的组合物
CN1332692C (zh) 2002-04-15 2007-08-22 山东哲夫 用于皮炎治疗的饮用茶
JP4544503B2 (ja) * 2003-04-15 2010-09-15 株式会社アミノアップ化学 雲南苦丁茶成分を含有する組成物
CN1759834B (zh) 2004-09-17 2010-06-23 中国医学科学院医药生物技术研究所 黄连素或其与辛伐他汀联合在制备用于预防或治疗与血脂有关疾病或症状的产品中用途
DK1983989T3 (da) 2006-02-09 2013-10-14 Ca Nat Research Council Kombinationer af botaniske ekstrakter til fremme af kardiovaskulær sundhed
CN101095769B (zh) * 2007-07-19 2010-06-09 金保平 一种降血脂的保健食品及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611B1 (ko) * 2013-02-22 2014-11-20 팡정다 고지혈증 치료용 중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약
KR20170076206A (ko) * 2015-12-24 2017-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호랑가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76347A (zh) 2011-05-25
NZ589636A (en) 2012-08-31
AU2009241274A1 (en) 2009-11-05
WO2009133458A1 (en) 2009-11-05
CN102076347B (zh) 2013-07-17
CA2723132A1 (en) 2009-11-05
EP2300028A1 (en) 2011-03-30
EP2300028A4 (en) 2012-10-17
WO2009133458A4 (en) 2009-12-30
CA2723132C (en) 2014-04-08
US8642094B2 (en) 2014-02-04
JP2011519368A (ja) 2011-07-07
US20090285915A1 (en) 2009-11-19
MX2010011777A (es) 2011-04-05
BRPI0912000A2 (pt) 201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2094B2 (en) Synergi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same and use of same
Dehghani et al. The effects of Crataegus pinnatifida (Chinese hawthorn) on metabolic syndrome: A review
Chander et al. A review on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Berberine; an active component of Himalayan Berberis aristata
EP2591776B1 (en) Use of kukoamine a and kukoamine b
Singhuber et al. Aconitum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a valuable drug or an unpredictable risk?
Feng et al. Recent progress on anticancer candidates in patents of herbal medicinal products
Agrawal et al. Herbal remedies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Laus Advances in chemistry and bioactivity of the genus Uncaria
Parveen et al. Bioactive phytochemicals that regulate the cellular processes involved in diabetic nephropathy
US20100255127A1 (en) Aromatase inhibitor
JPH06505261A (ja) 皮膚疾患治療用医薬組成物
JP2011519368A5 (ko)
Liu et al.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s from TCM
Zheng et al. Research advances in lotus leaf as Chinese dietary herbal medicine
US20090155388A1 (en) Weight phyto-nutraceutical synergistic composition
Shushunov et al. Determination of acute toxicity of the aqueous extract of Potentilla erecta (Tormentil) rhizomes in rats and mice
CN103479963A (zh) 一种治疗类风湿关节炎的中药胶囊及其制备方法
George et al. Cent percent safe centum plants for antiobesity
Gui et al. Bu-Shen-Ning-Xin decoction suppresses osteoclastogenesis via increasing dehydroepiandrosterone to prevent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ha et al. Fertility inducing effect of aerial parts of Coccinia cordifolia L. in female rats
KR100315001B1 (ko) 장생도라지추출물을포함하는당뇨병치료용한방제제
Anuragh et al. Role of medicinal plants and their chemical constituents in ameliorating the cause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disorder—A review
Saad et al. Hypoglycemic and Anti-obesity Polyherbal Mixtures
CN104800317A (zh) 一种预防和治疗鸡球虫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Wu et al. Chinese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