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524A -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524A
KR20110021524A KR1020090079373A KR20090079373A KR20110021524A KR 20110021524 A KR20110021524 A KR 20110021524A KR 1020090079373 A KR1020090079373 A KR 1020090079373A KR 20090079373 A KR20090079373 A KR 20090079373A KR 20110021524 A KR20110021524 A KR 20110021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fastening
fastening band
support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550B1 (ko
Inventor
강덕식
민원국
Original Assignee
(주)송산조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송산조경 filed Critical (주)송산조경
Priority to KR102009007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5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가 개시된다. 체결띠는 수목의 표피와 인접한 제1면과 제1면의 타면인 제2면의 각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수목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 본체부를 수목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띠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부재는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는 막대형상의 몸체부의 일단에는 연결부재의 수용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結合球)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일단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텐션부재는 일단은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되고, 타단은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띠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의 부재들을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다. 또한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를 체결띠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수목, 지지대, 와이어 로프, 인장력, 척력

Description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a tree capable of adjusting its length in prefabricated type}
본 발명은 수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을 똑바르게 성장시키기 위해 수목 둘레를 지지하는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수나 정원수 등의 수목을 식생하거나 이식하는 경우에 목재나 플라스틱 혹은 강관으로 된 지주대를 수목의 주위로 3~4개 정도 세운 후, 고무나 플라스틱 등의 결착구로 수목에 결착시키거나 수목의 각 방향의 지중으로 앵커를 매설 고정하고 와이어 로프에 의해 수목에 결착시켜 수목의 식생을 보조하고 있다.
도 1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지지대는 수목의 주위에 4개의 수직 지지대를 세운 후 수직 지지대의 각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대 4개를 연결하여 설치한 후 2개의 고정 지지대에 의해 나무를 고정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지대는 수목 한 그루의 식생을 보조하기 위해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지대에 수목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므로 지지대가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고정 지지대와 수목을 고정시킨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지대 역시 수목 한 그루의 식생을 보조하기 위해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동일하게 주기적으로 고정 지지대와 수목을 고정시킨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는 나무로 재작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지지대는 와이어 로프를 이용하여 수목을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사용할 경우에 살아 있는 다른 수목을 벌목하여야 하는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로프의 단부를 수목에 감싸 묶어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수목의 성장을 방해하는 문제를 동일하게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와이어 로프를 푼 후 다시 묶는 작업을 재차 실시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지지대는 나무로 제작되므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와이어 로프 방식의 지지대는 재사용은 가능하나 수목에 직접 와이어 로프를 감싸는 방식이므로, 수목에 상처를 남기는 문제가 있으며, 설치 후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목의 성장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면서, 설치, 해체 및 조정이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는, 수목의 표피와 인접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타면인 제2면의 각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목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 상기 본체부를 상기 수목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체결띠; 상기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막대형상의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結合球)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텐션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식 수목 지지 장치에 의하면,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수목을 감싸는 체결띠에 연결하여 수목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 고 있어, 수목의 성장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체결띠의 텐션을 간단한 작업에 의해 조절할 수 있어 유지 관리가 용이하며, 체결띠를 포함하는 지지 장치의 부재들을 강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재활용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를 체결띠에 회전가능하게 체결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형태로 지지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나아가 체결띠에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을 결착하는 연결 부재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어, 수목이 위치하는 지형 및 수목의 크기에 맞춰 지지 로프 또는 지지 봉의 개수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100)는 본체부(110)와 체결부(120, 130)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0)는 띠형상의 일면과 타면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고 있다. 체결부(120, 130)는 본체부(110)의 양단에 형성되며, 본체부(110)의 일단에는 복수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부(120)가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타단에는 제1체결부(120)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제2체결부(120)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20)는 제2체결부(13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되며, 제1체결부(120)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이 슬릿에 걸림으로써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제1실시예(1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목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게 되며, 체결부(120, 130)에 의해 수목에 고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30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100)와 본체부(310)의 구성은 동일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체결부(320, 330)는 볼트결합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즉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양단에 형성된 제1체결부(320)와 제2체결부(330)는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본체부(310)의 일면 방향으로 꺽어진 부분에 각각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는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수목을 원주방향으로 감싸게 되며, 체결부(320, 330)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50)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300)의 타면의 돌출부(즉, 수목의 표면에 접하는 부분)에는 스펀지, 고무, 연성 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있는 패드(340)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탄성 패드(340)에 의해 본체부(310)가 강성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제작되어도 수목에 상처를 입히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패드(340)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실시예(300)의 타면 돌출부에도 동일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400) 역시 본체부(410)와 체결부(420, 430)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제3실시예(400)는 본체부(410)의 구성이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와 차이가 있다. 즉, 제3실시예(400)는 띠형상의 본체 일면(즉, 수목과 접하지 않는 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부(44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440)에는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는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의 수목에 면하는 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들을 체결띠를 이루는 재료로 만들어진 이음부로 연결한 상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3실시예(400)의 각각의 돌출부(440)에 형성된 슬릿(450)은 하부가 폐쇄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슬릿(450)의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3실시예(400) 역시 수목과 접하는 면에 탄성 패드(미도시)를 부착하여 수목 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수목을 감싼 후 체결부 또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수목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수목에 고정된 상 태에서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 및 제2실시예(300)는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슬릿 형태의 통공을 형성하며,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는 본체부(410) 자체의 돌출부(440)에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소 3개에서 최대 36개 사이에서 결정된다.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가 3개와 36개는 체결띠를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감쌀 때 서로 간의 간격이 120°와 10°이 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된 슬릿의 개수 및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슬릿(450)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440)의 개수는 6개(즉, 체결띠를 수목의 원주방향으로 감쌀 때 서로 간의 간격이 60°)이다. 이러한 슬릿에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가 삽입고정되며, 이하에서는 연결부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500)는 연결부(510)와 수용부(520)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510)와 수용부(520)는 일체로 제작되며, 강화 플라스틱, 금속 등과 같이 강성재질로 제작된다. 연결부(510)는 직육면체의 중간에 폭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룬다. 연결부(510)의 일측벽은 체결띠의 제1실시예(100)와 제2실시예에 의해 수목과 본체부(110, 310)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 또는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돌출부(44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450)에 삽입고정된다. 또한 연결부(510)의 타측벽의 외면에는 수용부(520)가 형성된다. 수용부(520)는 하단부가 반구형인 컵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 공간(540)에 고정부재(6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가 수용된다. 이러한 수용부(520)에 형성된 내부 공간(540)의 깊이는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부(520)의 닫힌 단부인 유동부의 지름은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부재(60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이탈을 보다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520)의 단부인 원주의 중앙지점으로부터 하방으로 반구형의 하단부 중심지점까지 슬릿(530)이 형성된다. 수용부(520)에 형성되는 슬릿(530)의 폭은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의 가장 두꺼운 지점보다 크고 고정부재(60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6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슬릿(530)의 개방되지 않은 단부에는 슬릿(530)의 폭보다 크고 결합구(610)의 직경보다 작은 원으로 마무리된다. 한편 고정부재(600)의 몸체부(630)의 타단부로부터 일단부 방향으로 일정한 영역까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540)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610)를 삽입고정함으로써,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8은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결띠(300)는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350)에 의해 수목에 체결되며, 체결띠(300)의 내측 돌출부에 부착된 탄성 패드(340)에 의해 수목의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삽입 위치와 개수는 수목의 크기, 수목이 식재된 지역의 지형, 수목이 식재된 지역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는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고정부재(600)가 삽입고정되었을 때 고정부재(60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에 형성되는 슬릿의 폭 또는 또한 체결띠의 제3실시예(400)의 돌출부(440)에 형성되어 있는 슬릿(450)의 폭은 삽입되는 연결부재(500)의 일측벽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 및 와이어 로프(720)로 구성된다.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이 나사결합된다. 또한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걸고리(710)가 나사결합된다. 한편 와이어 로프(720)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걸고리(710)가 끼워져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앵커가 끼워져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 이때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도넛형상의 앵커체결고리(730)가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수목이 식재된 지형에 따라 와이어 로프(7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720)에 슬라이딩 가능한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를 설치하고,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의 개방영역에 와이어 로프(720)의 일정지점을 안착시킨 후 압착하여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에 의해 와이어 로프(720)의 중간 지점에 형성된 고리(750)를 통해 앵커가 끼워져 와이어 로프(720)가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띠(300)가 수목(800)에 체결된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 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길이 조절용 턴바클(700)의 타측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는 걸고리(710)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와이어 로프(720)의 일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걸고리(710)가 끼워져 고정되며, 와이어 로프(720)의 타단에 형성된 고리에는 앵커(810)가 끼워져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설치 상태에 따르면, 수목(800)이 경사면에 식재되어 있으며, 따라서 경사면의 상부지점에 고정되는 와이어 로프들은 길이조절용 물림부재(740)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수목 지지 장치의 제1실시예는 텐션부재로 와이어 로프(720)를 사용하므로, 보행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와이어 로프(720)의 일지점에 유채색의 식별표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에의 식별력을 보장하기 위해 식별표지의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와이어 로프(720)의 외면 전체를 유채색(바람직하게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보호부재로 감쌀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9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몸체부(910), 고정부(920) 및 촉침부(930)로 구성된다. 몸체부(910)는 일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제1부재(912)와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영역까지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제2부재(9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몸체부(91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914)를 회동시켜 나사산을 일정영역(940) 만큼 노출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길이가 조절된다. 이때 제1부재(912)와 제2부재(914)는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부재(914)의 타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나사공에 고정부재(6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나사결합된다. 한편 제2부재(914)의 양단부에 모두 나사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부재의 일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는 앵커가 삽입되어 텐션부재(900)를 지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920)가 형성된다. 한편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와 촉침부(930)를 포함하는 영역(960)에 위치하는 고정부(920)는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고리(962)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910)의 제1부재(912)의 타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촉침부(9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촉침부(930)는 텐션부재(900)를 지반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는 수단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띠(300)가 수목(800)에 체결된다. 또한 연결부재(500)는 체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삽입고정되며,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삽입고정되며, 고정부재(600)의 결합구와 몸체부의 연결지점이 연결부재(500)에 형성된 슬릿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고정부재(600)는 연결부재(5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텐션부재(9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촉침부(930)를 지반에 삽입하여 텐션부재(900)를 일차적으로 지반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고정부(920)에 앵커를 삽입하여 지반에 박음으로써 텐션부재(900)를 완전히 지반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조절(즉,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단축)하여 체결띠에 인장력을 가함으로써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각 구성요소의 연결 상태는 기본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수목을 지지하는 힘이 인장력이 아닌 척력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서 연결부재(500)는 체 결띠(3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수목 사이의 슬릿에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고정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00)의 내부 공간에 고정부재(600)의 결합구가 동일하게 하방에서 상방으로 삽입고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정부재(600)의 몸체부의 타단은 텐션부재(9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 형성된 촉침부(930)를 지반에 삽입하여 텐션부재(900)를 일차적으로 지반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조절(즉, 텐션부재(900)의 길이를 연장)하여 체결띠에 척력을 가함으로써 수목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텐션부재(900)의 몸체부(910)가 땅속으로 박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텐션부재(900)의 타단부에는 텐션부재(900)의 둘레보다 큰 판형의 고정부(9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텐션부재(900)의 일정한 지점에 유채색의 식별표지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에의 식별력을 보장하기 위해 식별표지의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텐션부재(900)의 외면 전체를 유채색(바람직하게는 형광물질)이 도포된 보호부재로 감쌀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지지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 로프를 사용하여 수목을 고정하는 형태의 지지대를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띠에 대한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대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에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연결 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를 구성하는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를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띠에 대한 제2실시예에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텐션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 12에 도시된 상태와는 다르게 연결하여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지 장치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6)

  1. 수목의 표피와 인접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의 타면인 제2면의 각 방향에 대해 교번적으로 돌출되어 길이 방향으로의 단면이 펄스 형태를 이루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수목을 원주 방향으로 감싸 상기 본체부를 상기 수목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로 이루어진 띠형상의 체결띠;
    상기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재;
    막대형상의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 공간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結合球)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만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재; 및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에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한 텐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횡단면이 'ㄷ'자 형태로 이루며,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측벽들 중에서 제1측벽은 상기 체결띠의 본체부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결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제2측벽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단부가 반구형인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개방측 단부인 원주의 일 지점으로부터 상기 반구형의 하단부 중심방향으로 일정한 길이의 슬릿이 형성된 컵형상의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의 지름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구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부에 형성되는 슬릿의 폭은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와 결합구의 경계영역에서의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크고 상기 결합구의 지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5.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수용부에 형성된 슬릿의 닫힌 단부에는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크고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구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갖는 원형의 유동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띠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와 상기 수목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는,
    상기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들 각각의 단부가 상기 체결띠를 이루는 재료의 이음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띠의 제2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의 측벽과 상기 이음부에 의해 형성되는 슬릿에 삽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는,
    일단은 고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걸고리;
    일단에는 상기 걸고리의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제1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몸체부의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텐션부재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 조절용 턴바클; 및
    일단에는 상기 걸고리의 일단에 체결되는 제1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에는 앵커가 삽입되어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되는 와이어 로 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의 타단에 형성된 제2고리에는 상기 앵커가 삽입되는 앵커체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로프에는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형에 따라 상기 와이어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슬라이딩 가능한 길이조절용 물림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1.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는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앵커가 삽입되어 상기 텐션부재를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길이 조절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의 몸체부는,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 1부재; 및
    일단부에는 상기 제1부재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이 나사결합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부재의 몸체부의 타단에는 상기 텐션부재를 상기 수목이 식재된 지반에 일차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첨단형상의 촉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 상기 연결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는 강화 플라스틱 및 금속을 포함하는 강성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의 제1면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에는 스펀지, 고무 및 연성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탄성물질 중에서 선택된 물질로 이루어진 탄성 패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1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띠의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를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를 상기 제2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며,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띠는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수목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지 장치.
KR1020090079373A 2009-08-26 2009-08-26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10114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ko) 2009-08-26 2009-08-26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ko) 2009-08-26 2009-08-26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524A true KR20110021524A (ko) 2011-03-04
KR101143550B1 KR101143550B1 (ko) 2012-05-09

Family

ID=4393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373A KR101143550B1 (ko) 2009-08-26 2009-08-26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5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7774A (zh) * 2020-08-10 2020-10-30 余高强 一种自适应园林树木防寒带
KR102604805B1 (ko) * 2023-06-27 2023-11-2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근권부용 열교환파이프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5515B1 (ko) 2014-07-03 2016-11-11 김병모 수목용 로프 연결장치
KR101541102B1 (ko) * 2015-04-06 2015-07-31 (주)신흥이앤지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되는 모험 시설물의 고정장치
KR20230156523A (ko) 2022-05-06 2023-11-14 김병모 수목용 부하지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379Y1 (ko) * 1994-09-07 1997-03-21 김복성 가로수 보호용 밴드 체결구
JP2000023721A (ja) * 1998-07-07 2000-01-25 Shimizu:Kk パラソルスタンド
KR20080038738A (ko) * 2006-10-31 2008-05-07 서준석 수목 지지장치
KR20080040467A (ko) * 2006-11-03 2008-05-08 윤지홍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37774A (zh) * 2020-08-10 2020-10-30 余高强 一种自适应园林树木防寒带
KR102604805B1 (ko) * 2023-06-27 2023-11-22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근권부용 열교환파이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3550B1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663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KR10114355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US4870781A (en) Combination tree support and feeder stake
KR100778074B1 (ko)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US8567118B2 (en) Belowground tree anchoring apparatus and method
RU2486317C2 (ru) Проволочный анкер с коническим наконечником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US6401408B1 (en) Molded plastic stake with multiple shoulders
US4738050A (en) Plant and tree support clamp and system
KR101086242B1 (ko) 조림목 표시봉
WO1995019695A1 (en) Tree support device
US5199214A (en) Tree staking system, parts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2151570B1 (ko) 나무 지주목 체결구
KR200457069Y1 (ko) 수목 고정장치
US5867936A (en) Resilient tree guy
US9894846B1 (en) Device for staking a tree
JP4687213B2 (ja) 法面緑化構造物
CN212728286U (zh) 一种树木移栽固定支撑结构
KR200427905Y1 (ko) 신축조절되는 수목지지대
US20170118928A1 (en) Subsurface Water, Air and/or Nutrient Delivery Tube
US20060185232A1 (en) Tree anchor apparatus and method
KR101044516B1 (ko) 수목 지지용 밴드 결속체
WO2007070477A2 (en) Plant tie
JPH05153877A (ja) 樹木植栽の定置方法
US20060053704A1 (en) Support for plants, fence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