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467A -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467A
KR20080040467A KR1020060108467A KR20060108467A KR20080040467A KR 20080040467 A KR20080040467 A KR 20080040467A KR 1020060108467 A KR1020060108467 A KR 1020060108467A KR 20060108467 A KR20060108467 A KR 20060108467A KR 20080040467 A KR20080040467 A KR 2008004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upport rod
band member
rod receiv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홍
Original Assignee
윤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홍 filed Critical 윤지홍
Priority to KR1020060108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467A/ko
Publication of KR2008004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보호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목된 나무에 설치된 상태에서 나무의 성장에 따른 수목의 굵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수목지지장치 및 그 수목지지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목지지장치 및 설치방법에 의하면, 나무의 성장에 따라 나무를 지지하고 있는 수목지지장치의 밴드부재가 자동으로 확장되게 함으로써 나무의 성장을 방해하거나 상처를 주지 않고, 그 설치작업을 매우 단순화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A SUPPORTING APPARATUS FOR TREE AND METHOD OF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에 사용되는 밴드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2의 지지봉수용부재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지지봉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의 형태를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도1 내지 도3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수목지지장치를 수목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목지지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인 밴드부재의 사시도
도 6a 및 6b는 도5의 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5, 도6 및 도3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수목지지장치를 수목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수목지지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실시예인 금속밴드부재의 사시도
도 9a 및 9b는 도8의 금속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
도 10은 도8, 도9 및 도3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수목지지장치를 수목에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수목지지장치 110 :밴드부재
111: 횡방향돌출부
120: 지지봉수용부재 121: 가로홈
122: 수용홈 130: 지지봉
131: 삽입부 132: 캡
140: 금속밴드부재 141: 골주름
150: 지지봉수용부재
151: 걸림부 152: 수용홈
160: 밴드부재 161: 종방향돌출부
170: 지지봉수용부재 171: 세로홈
172: 수용홈 180: 쿠션부재
본 발명은 수목보호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목된 나무에 설치된 상태에서 나무의 성장에 따른 수목의 굵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수목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목의 이식 시에는 이식된 수목의 뿌리가 안착되는 2-3년 동안의 기간에 그 수목이 바람 등의 외력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도록 보호하는 한편 곧바로 자잘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수목지주대 등 수목지지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도 여러가지 형태의 수목지지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었으나, 대부분은 고정형으로서 수목에 지주대를 철사등으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압압밴드를 이용하여 지주대를 수목에 고정시켰으나 이는 수목이 자라서 굵어지는 경우 조절이 불가능하여 지주대가 수목의 표피를 파고들게 되어 수목의 성장을 방해 하였고, 이러한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수목의 굵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지지장치가 개발되기도 하였다.
수목의 굵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수목지지장치로서 대표적인 것은 특허출원 제96-39693호가 있다. 이는 합성수지로 원형 홀더를 형성하되, 홀더를 2등분하여 일측은 힌지고정 하고, 타측은 장볼트와 스프링에 의해 신축조절되게 하며 홀더 외주에 3개의 다리를 설치하여 수목이 자람에 따라 수목의 굵기가 굵어지면 홀더의 내경이 자연적으로 벌어지도록 한 것 인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합성수지로 원형 홀더를 형성함으로써 나무의 굵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원형홀더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금형이 많이 필요하여 원가상승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특허출원 제96-39693호를 더욱 개량 발전시킨 것으로서 특허 제 238409호가 있다. 이는 수목지지장치 본체의 구성을 마치 체인 또는 링크식으로 연결 구 성되게 하여 수목 굵기에 따라 연결링크의 갯수를 늘리거나 줄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허 제185759호는 수목지지장치의 본체 구성을 그룹별 링크식으로 연결 구성하되 수목 굵기에 따라 그룹별로 이루어지는 연결링크의 각 갯수를 늘리거나 줄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들 모두는 목적하는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체인이나 링크를 사용함으로써 정밀한 가공을 요함은 물론 가격이 매우 비싸서 원가가 상승되며, 각 구성요소를 체결하는 결합구조가 복잡하여 식목된 수목에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작업시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구조의 수목보호용 지지장치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다수 존재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보호용 지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목된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 수목의 원주의 팽창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비례하여 늘어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 협지폭을 조절하여 수목의 성장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수목지지봉들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각 방향에 대하여 고르게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의 수목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볼트, 너트 등의 결합부품을 요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설치에 필요한 노력이 상당히 감소되어 설치비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는 구조의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목지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의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밴드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로홈을 구비하는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밴드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세로홈을 구비하는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재는 탄성력이 작용한 후 복원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수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수목에 설치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부재의 수목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쿠션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상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기 지지봉에 씌울 수 있는 캡의 상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하단부에 핀 형상의 걸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폭 방향으로 일정 폭의 주름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금속밴드부재;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수목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쿠션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금속밴드부재 내측면의 주름 골에 걸리는 핀 형상의 걸림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중 일부는 상기 핀 형상의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상, 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핀 형상의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상, 하 단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중 일부는 상기 금속밴드부재가 수목에 설치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밴드부재 내측면의 주름 골에 상기 걸림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지지봉 상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기 지지봉에 씌울 수 있는 캡의 상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밴드부재를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기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수목에 밴드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절단된 밴드부재로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수목에 설치된 밴드부재에 지지봉수용부재를 필요한 개수대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지지봉수용부재의 수용홈의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지지봉에 구비된 고리 형상의 삽입부를 끼워 넣어 상기 지지봉을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지지장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주름골에 끼워지거나 걸리는 홈 또는 걸림부가 내측에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에 사용되는 밴드부재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1의 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2의 지지봉수용부재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지지봉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의 형태를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1 내지 도3의 구성요소가 수목에 설치되어 수목지지장치를 구성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목지지장치(100)는 밴드부재(110),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120) 및 지지봉(13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밴드부재(110)는 수목의 둘레 즉 외경을 둘러싸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과 접촉하지 않는 외측면에 회방향 돌출부(111)가 길이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횡방향 돌출부(111)는 그 단면 형상이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횡방향 돌출부(111)가 하나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는데, 횡방향 돌출부(111)의 폭이 작을수록 형성되는 횡방향 돌출부(111)의 개수가 많아질 수 있다. 여기서, 밴드부재(110)의 하단부는 내측면이 일정 깊이로 파여져서 지지봉수용부재(120)의 홈 형상의 하단덮개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밴드부재(110)는 탄성소재로서 나무가 성장함에 따라 굵어지는 나무의 둘레를 커버할 수 있도록 신장하기는 하되 신장된 상태에서 되돌아가는 역작용 현상이 감소된 특성을 갖는 즉 탄성력에 의해 신장된 후 복원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공지된 소재로서, 실리콘, 우레탄, 나일론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수지 또는 그 합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탄성력과 복원력이 동일 한 탄성소재의 경우 수목의 성장에 따라 밴드가 늘어난 후 다시 복원력이 탄성력만큼 작용하게 되면 수목의 살을 파고드는 등 수목을 옥죄어 수목의 생장이 방해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지지봉수용부재(120)는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122)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밴드부재(110)의 횡방향 돌출부(111)가 삽입되는 가로홈(121)이 구비되기만 하면 그 전체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대체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각형 또는 원형 판재(도면에서는 직사각형)의 한 면에는 수용홈(122)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다른 면에는 가로홈(121)이 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데, 지지봉수용부재(120)의 폭은 용도에 따라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단과 하단에는 밴드부재(110)의 상단과 하단을 덮을 수 있는 덮개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단에는 덮개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단 덮개부는 밴드부재(110)의 하단을 수용하는 상부와 양측부가 개방된 홈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로홈(121)은 밴드부재(110)의 횡방향 돌출부(11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부와 동일 형상이 형성된다. 이 때, 가로홈(121) 또는 횡방향돌출부(111)를 이루는 소재는 어느 하나가 유연성 있는 소재가 사용되므로 넓은 돌출부(111)의 상부가 가로홈(121)의 좁은 외측 홈에 끼워진 후 내측에 넓게 형성된 홈에 완전히 맞게 되어, 횡방향 돌출부(111)와 가로홈(121)은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는다. 이 때 가로홈(121)은 하나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횡방향 돌출부(111)의 수가 증가되면 증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봉수용부재(12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122)은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되어 수용홈(122)에 삽입하고자 하는 대상을 전면에서 후면으로 밀어 넣어 삽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된 대상이 빠지지 않도록 수용홈(122)을 이루는 상면 및 하면이 전면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수용홈(122)은 내측에는 대상물과 일치되는 형상의 홈이 추가적으로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20)는 밴드부재(110)가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밴드부재의 양단(110)에 형성된 횡방향돌출부(111)에 각각 끼워져 밴드부재(110)가 수목을 둘러싸는 고리모양이 되도록 고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밴드부재(110)의 양단의 연결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지지봉수용부재(120)와 밴드부재(110)가 고정된 부분을 스테이플러 등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더 처리할 수 있고, 밴드부재(110)의 양단에 예를 들어 벨트와 같이 별도의 공지된 결합수단이 형성되어 밴드부재(110)가 수목둘레를 둘러싸도록 밴드부재(110)의 양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밴드부재(110)가 수목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봉수용부재(120)를 원하는 위치에서 밴드부재(110)의 횡방향 돌출부(111)에 눌러서 끼우게 되면, 밴드부재(110)와 지지봉수용부재(120)가 결합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봉수용부재(120)는 횡방향돌출부(111)를 따라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봉(130)은 지지봉수용부재(120)의 수용홈(122)에 수용되는 삽입부(131)를 일단에 구비하는데, 이 때 삽입부(131)는 수용홈(122)에 삽입되기에 가장 적합한 형상 예를 들어 수용홈(122)에 삽입되는 부분이 바(bar)형인 고리 형상으로 지지봉(130) 상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지지봉(130)에 씌울 수 있는 캡(132)의 상부에 장착되어 지지봉(130)과 결합된다. 여기서 삽입부(131)는 금속재인 것이 바람직하고, 캡(132)은 수지재로서 사다리꼴 원통으로 형성되어 선단이 같은 형상으로 된 지지봉에 견고하게 씌워질 수 있고, 직경이 다소 큰 지지봉에도 적용이 가능한 구조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밴드부재(110)의 수목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쿠션부재(180)가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쿠션부재(180)는 밴드부재(110)가 수목에 가하는 자극을 가능한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밴드부재(110)의 전 구간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밴드부재(110)가 수목과 강하게 접하는 부분들에만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밴드부재(110),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120) 및 지지봉(130)이 수목에 설치되어 수목지지장치(100)를 수목에 설치하는 개략도인 도4를 참조하여 수목지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밴드부재(110)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는 수목지지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지지봉(130)의 길이와 수목의 높이를 고려하여 수목의 어느 부분에 설치할지 결정한 후 결정된 수목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외경을 둘러쌀 수 있도록 밴드부재(110)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될 수목의 외경에 따라 이미 그 길이가 결정되어 수목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외경을 둘러쌀 수 있는 길이의 밴드부재(100)가 준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단을 요하 지 않는다.
절단된 밴드부재(110)를 수목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외경을 감싸도록 하여 밴드부재(110)의 양단이 고정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 밴드부재(1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를 완전히 수행하기 전에 경우에 따라서는 쿠션부재(180)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밴드부재(110)의 내측에 더 형성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재(110)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는 수목의 둘레를 둘러싸 밴드부재(110)의 양단이 닿도록 배치한 후, 밴드부재(110)의 양단이 맞닿은 부분의 횡방향 돌출부(111)에 넓은 폭을 가진 지지봉수용부재(120)를 눌러서 끼워넣어 밴드부재(110)를 고정한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밴드부재(110)의 양단의 연결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지지봉수용부재(120)와 밴드부재(110)가 고정된 부분을 스테이플러 등 공지된 고정수단으로 더 처리할 수 있다.
그 후 수목 둘레에 고정된 밴드부재(110)의 원하는 위치에서 밴드부재(110)의 횡방향 돌출부(111)에 지지봉수용부재(120)의 가로홈(121)을 눌러 끼워 수목을 지지하고자 하는 지지봉(130)의 개수만큼 밴드부재(110)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 지지봉(130)의 하단을 먼저 설치된 지지봉수용부재(120)의 위치에 맞추어 지면에 배치하여 고정한 후, 지지봉(130)에 구비된 고리 형상의 삽입부(131)를 지지봉수용부재(120)의 수용홈(122)의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끼워 넣거나, 수목하부의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각 지지봉(130)의 상단의 삽입부(131)를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수용홈(152)에 먼저 삽입한 후 지지봉의 하단부를 회전이동하여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수목을 단단하게 지지하는 수목지지장치(10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밴드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5에 도시된 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5, 도6 및 도3의 구성요소가 수목에 설치되어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를 설치하는 설치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지지장치(100)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수목지지장치와 밴드부재의 돌출부 구조 및 상기 돌출부 구조가 상이함에 따른 지지봉수용부재의 내측면 구조가 다를 뿐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다른 기술적 구성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밴드부재(1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과 접촉하지 않는 외측면에 다수개의 종방향 돌출부(161)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일정 간격을 갖고 기어치와 같이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종방향 돌출부(161)의 형상은 그 단면이 사각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지지봉수용부재(170)는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172)이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밴드부재(160)의 다수개의 종방향돌출부(16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세로홈(171)이 구비되는데, 다수개의 세로홈(171)은 밴드부재(160)의 종방향 돌출부(161)가 끼워질 수 있도록 종방향 돌출부(161)와 동일 형상의 요홈으로 형성된다. 특히, 지지봉수용부재(170)의 하단에 덮개부(173)가 형성되는 경우 도6b와 같이 핀 형상의 걸림부(174)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에 사용되는 금속밴드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5의 금속밴드부재의 외부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지지봉수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8, 도9 및 도3의 구성요소가 수목에 설치되어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를 구성하는 순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8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목지지장치(100)를 살펴보면,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수목지지장치와 밴드부재 구조 및 지지봉수용부재의 내측면 구조가 다르고, 쿠션부재를 필수적 구성으로 포함한다는 점이 다를 뿐 그 구성원리는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다른 기술적 구성만을 설명하고 동일한 기술적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수목지지장치(100)는 금속밴드부재(140),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150), 지지봉(130) 및 쿠션부재(180)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금속밴드부재(140)는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고 밴드의 폭 방향으로 일정간격의 주름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주름 골(141)이 일정하게 내측면과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때 금속밴드부재(140)는 둥글게 말아지고 전체적으로 주름이 형성되어 특정의 인장력을 가했을 경우 주름이 인장되는 구조이다.
다음으로 지지봉수용부재(150)는 외측면에 형성되는 수용홈(152)은 도1 내지 도4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동일하고, 내측면에는 밴드부재(110)의 돌출부(111)가 삽입되는 가로홈(121)대신 금속밴드부재(140) 내측면의 주름 골(141)에 걸리는 걸 림부(151)가 하나 이상 구비되는 점이 상이하다.
여기서 걸림부(151)는 금속밴드부재(140)의 주름 골(141)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으로 핀 형상이 바람직한데, 고정의 안정성을 위해 2개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150) 중 일부는 걸림부(151)가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상, 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되고, 일부는 걸림부(151)가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상, 하 단부 양단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걸림부(151)가 상, 하 단부 양단에 모두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50)로 금속밴드부재(140)의 양단을 고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 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걸림부(151)가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50)는 금속밴드부재(140)가 수목에 설치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금속밴드부재(140) 내측면의 주름 골(141)에 걸림부(151)가 설치된 금속밴드부재(140)의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수용홈(152)에 삽입되는 지지봉(130)의 삽입부(131)가 위쪽으로 힘을 가하기 때문에 지지봉수용부재(150)가 금속밴드부재(14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50) 중 특히 걸림부(151)가 상, 하 단부 양단에 모두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50)를 이용하여 금속밴드부재(140)가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금속밴드부재의 양단(140)의 주름 골(141)에 상부 및 하부 쪽에서 각각 걸림부(151)가 끼워지도록 하여 금속밴드부재(140)가 수목을 둘러싸는 고리모양이 되도록 고정하게 되면 특히 금속밴드부재(140) 양단의 고정이 강화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밴드부재(140)의 양단에 별도의 공지된 고정수단을 형성하여 금속밴드부재(140)가 수목둘레를 둘러싸도록 금속밴드부재(140)의 양단을 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금속밴드부재(140)가 수목에 설치된 상태에서, 걸림부(151)가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상, 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150)인 경우, 원하는 위치에서 금속밴드부재(140)의 주름 골(141)에 걸림부(151)를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게 되면, 금속밴드부재(140)와 지지봉수용부재(15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밴드부재(140),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150), 지지봉(130) 및 쿠션부재(180)가 수목에 설치되어 수목지지장치(100)를 설치하는 설치방법에 대한 개략도인 도10을 참조하여 수목지지장치(100)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금속밴드부재(140)가 절단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는 수목지지장치(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지지봉(130)의 길이와 수목의 높이를 고려하여 수목의 어느 부분에 설치할지 결정한 후 결정된 수목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외경을 둘러쌀 수 있도록 금속밴드부재(140)를 적당한 길이로 절단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설치될 수목의 외경에 따라 이미 그 길이가 결정되어 수목의 설치위치에 해당하는 외경을 둘러쌀 수 있는 길이의 금속밴드부재(140)가 준비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절단을 요하지 않는다.
그 후, 절단된 금속밴드부재(140)를 수목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한다. 즉 수목의 둘레를 둘러싸서 금속밴드부재(140)의 양단이 닿도록 배치한 후, 금속밴드부재(140)의 양단이 맞닿은 부분의 주름 골(141)에 상부 및 하부 쪽에서 각각 걸림 부(151)가 끼워지도록 하여 금속밴드부재(140)가 수목을 둘러싸는 고리모양이 되도록 고정하게 되면 특히 금속밴드부재(140) 양단의 고정이 강화된다. 이 때 쿠션부재(180)는 금속밴드부재(14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미리 설치하여 수목과 금속밴드부재(140)가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한다. 그 후 수목 둘레에 고정된 금속밴드부재(140)의 원하는 위치에서 금속밴드부재(140)의 주름 골(141)에 지지봉수용부재(150)의 걸림부(151)의 형성위치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로 끼우거나, 상, 하부에서 각각 끼워 넣어 수목을 지지하고자 하는 지지봉(130)의 개 수 만큼 고정시키고, 지지봉(130)의 하단을 먼저 설치된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위치에 맞추어 지면에 배치하여 고정한 후, 지지봉(130)에 구비된 고리 형상의 삽입부(131)를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수용홈(122)의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끼워 넣거나, 수목하부의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각 지지봉(130)의 상단의 삽입부(131)를 지지봉수용부재(150)의 수용홈(152)에 먼저 삽입한 후 지지봉의 하단부를 회전이동하여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수목이 단단하게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목지지장치(100)는 그 설치시 볼트, 너트 등의 부품이 필요 없고,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공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전혀 없는 등 설치시 필요한 노력이 상당히 절감될 뿐만 아니라 매우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인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에 의해 실 시할 경우도 모두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장치는 식목된 수목이 성장함에 따라 수목의 원주의 팽창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비례하여 늘어남으로써 자동적으로 그 협지폭을 조절하여 수목의 성장에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도 다수의 수목지지봉들이 특정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고 각 방향에 대하여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장치는 볼트, 너트 등의 결합부품을 요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전동공구의 사용 등 설치에 필요한 노력이 상당히 감소되므로 설치비가 현저하게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목지지장치는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목지지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Claims (15)

  1. 외측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밴드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로홈을 구비하는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2. 외측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돌출부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밴드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세로홈을 구비하는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는 탄성력이 작용한 후 복원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특성을 갖는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수용부재는 상기 밴드부재가 수목에 설치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밴드부재의 돌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수목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쿠션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지지봉상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기 지지봉에 씌울 수 있는 캡의 상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하단부에 핀 형상의 걸림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9. 폭 방향으로 일정 폭의 주름이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는 금속밴드부재;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수목에 접촉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쿠션부재;
    외측면에 양측 및 전면이 개방된 수용홈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상기 금속밴드부재 내측면의 주름 골에 걸리는 핀 형상의 걸림부가 하나 이상 형성된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서로 접하는 상기 금속밴드부재의 양단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중 일부는 상기 핀 형상의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상, 하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만 형성되고, 일부는 상기 핀 형상의 걸림부가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상, 하 단부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지지봉수용부재 중 일부는 상기 금속밴드부재가 수목에 설치된 후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금속밴드부재 내측면의 주름 골에 상기 걸림부가 하부에서 상부로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삽입부는 고리 형상으로 상기 지지 봉 상부에 직접 장착되거나 상기 지지봉에 씌울 수 있는 캡의 상부에 일체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지지장치.
  14. 밴드부재를 수목의 외경을 둘러싸기에 적합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수목에 밴드부재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절단된 밴드부재로 수목의 외경을 둘러싼 후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수목에 설치된 밴드부재에 지지봉수용부재를 필요한 개수대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된 지지봉수용부재의 수용홈의 전면에서 후면측으로 지지봉에 구비된 고리 형상의 삽입부를 끼워 넣어 상기 지지봉을 지면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목지지장치 설치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을 고정하는 단계는 상기 밴드부재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주름골에 끼워지거나 걸리는 홈 또는 걸림부가 내측에 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목지지장치 설치방법.
KR1020060108467A 2006-11-03 2006-11-03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KR20080040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67A KR20080040467A (ko) 2006-11-03 2006-11-03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467A KR20080040467A (ko) 2006-11-03 2006-11-03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467A true KR20080040467A (ko) 2008-05-08

Family

ID=3964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467A KR20080040467A (ko) 2006-11-03 2006-11-03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46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0B1 (ko) * 2009-08-26 2012-05-09 (주)송산조경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101333754B1 (ko) * 2011-08-22 2013-11-2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목 지지장치
CN112913569A (zh) * 2021-01-22 2021-06-08 北京如景生态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树木栽种用支护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550B1 (ko) * 2009-08-26 2012-05-09 (주)송산조경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101333754B1 (ko) * 2011-08-22 2013-11-2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수목 지지장치
CN112913569A (zh) * 2021-01-22 2021-06-08 北京如景生态园林绿化有限公司 一种园林景观树木栽种用支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1838B1 (ko) 수목 지지대
JP3157675U (ja) 樹木支持装置用連結具
KR101333754B1 (ko) 수목 지지장치
EP0356263A1 (en) A clip
WO2006011737A1 (en) Apparatus for cultivating cucumber, eggplant. et al
KR100730703B1 (ko) 수목성장보호대
US6389656B1 (en) Clip, as well as wire/clip assembly
KR20080040467A (ko) 수목지지장치 및 그 지지장치의 설치방법
US20050044786A1 (en) Plant support ring
KR101393439B1 (ko) 수목성장보호대
KR101200663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수목 지지 장치
KR100816652B1 (ko) 식물 고정용 집게
KR101143550B1 (ko) 길이조절 가능한 조립형 수목 지지 장치
KR102151570B1 (ko) 나무 지주목 체결구
KR102359374B1 (ko) 고추작물 지지대용 와이어 연결장치
CN211581350U (zh) 一种驱鸟器安装装置
KR20160076038A (ko) 식물용 보호덮개
KR200497571Y1 (ko) 유실수용 야생동물 등목 방지기구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CN217160615U (zh) 一种葡萄种植用防护网
KR0120891Y1 (ko) 농작물 고정 집게
KR200351933Y1 (ko) 청설모 방제기구
KR200427917Y1 (ko) 포도 줄기 지지구
KR200486121Y1 (ko) 농작물 지지장치
KR200355428Y1 (ko) 조경용 수목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