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242B1 - 조림목 표시봉 - Google Patents

조림목 표시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242B1
KR101086242B1 KR1020110068764A KR20110068764A KR101086242B1 KR 101086242 B1 KR101086242 B1 KR 101086242B1 KR 1020110068764 A KR1020110068764 A KR 1020110068764A KR 20110068764 A KR20110068764 A KR 20110068764A KR 101086242 B1 KR101086242 B1 KR 101086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isplay
planting
fixing part
seedl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억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1006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6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or identifying pl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04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 G09F2007/1817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for fastening to a post using fastening means to grip the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9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plates fixed to instru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부와, 상기 봉부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어, 조림묘목에 고정된 상기 봉부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봉부를 지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돌기가 외측 표면에 복수 개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봉부와 상기 고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식재된 조림묘목의 위치를 특정하는 나선부를 포함하는 조림목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림목 표시봉{INDICATING DEVICE FOR AFFORESTATION TREE}
본 발명은 조림목 표시봉에 관한 것으로, 조림목을 식재한 후 외부 요인에 의해서 쉽게 쓰러지거나 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림목 표시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 묘목을 식재 후에 묘목이 풀과 잡목 등에 파묻혀 잘 자라지 못하거나 말라 죽어버리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하여, 묘목이 일정한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통상 3년 내지 5년 정도는 풀과 잡목 등을 제거하는 풀베기 작업을 실시한다. 이러한 풀베기 작업은 제거하여야 할 대상인 풀과 잡목 등이 묘목과 뒤섞여있어 작업의 난이도가 높고 작업량이 많아 통상 예취기와 같은 작업장비를 사용하고 있으나, 풀베기 작업에 상당한 주위를 기울인다 하더라도 묘목 주변에서 자란 풀이나 잡목 등에 가려진 묘목이 예취기 등에 의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풀베기 작업시에 묘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나무 상단부에 페인트 등을 칠한 대나무 소재의 조림목 표시봉을 묘목 주변의 지표면에 설치해왔다.
그러나, 기존의 대나무 소재의 조림목 표시봉은 지표면에 꽂아 설치함으로써 지표면의 흙과 접촉된 부위가 썩거나, 풀베기 작업 시 또는 자연환경 등의 영향으로 쓰러지고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표시봉으로써의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대나무 소재의 조림목 표시봉은 설치 시에 토양상태의 영향을 많이 받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반 등에 많은 인력과 시간을 소요해야 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단부의 도색 부분이 탈색되어 식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풀베기 작업 등 외부요인이나 태풍 등 자연환경의 영향에도 쉽게 쓰러지거나 뽑혀 분실·훼손되지 않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조림목 표시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하며, 산림 작업 시 식별력이 우수한 조림목 표시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조림목 표시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부와, 상기 봉부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어, 조림묘목에 고정된 상기 봉부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봉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봉부를 지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저항돌기가 외측 표면에 복수 개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저항돌기는 상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봉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식재된 조림묘목의 위치를 특정하는 나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선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부와 접하는 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봉부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선부와 상기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봉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부와 상기 고정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봉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부로 이루질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공기 저항을 받지 않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분할되어 일측이 상기 캡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림목 표시봉은, 풀베기 작업 등 외부요인이나 태풍 등 자연환경의 영향에도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반복 사용이 가능하고, 설치 및 운반이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식별력이 우수하여 산림 작업 시 조림묘목을 쉽게 찾을 수 있어 조림묘목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림목 표시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조림목 표시봉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림목 표시봉은 봉부(10)와, 표시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봉부(10)는 일정 길이를 갖는 형태로써, 봉부(10)에 형성된 표시부(20)가 풀이나 잡목 등에 가려지지 않고 조림묘목(T)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높이를 갖는 가늘고 긴 형태의 봉상으로 형성된다.
봉부(10)는 도 3와 같이, 조림묘목(T)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조림묘목(T)의 높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부가 지표면에 묻힐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봉부(10)는 흙이나 물과의 접촉에 의하여 쉽게 부식되지 않고, 벌레 등에 의하여 훼손 되지 않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봉부(10)의 소재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라스틱은 탄소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 소재일 수 있고,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철 소재일 수 있으며, 해충에 의하여 훼손되지 않고 탄성을 가지는 소재이면 어떠한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얇고 길이 방향으로 가늘고 긴 봉상이므로 플라스틱이나 부식이 잘되지 않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경우 중량이 가벼워 한번에 다량 운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봉부(10)는 탄성을 가져, 바람 등 자연환경의 영향에도 탄력적으로 휘어짐으로써, 외부 힘에 의해 쉽게 부러지거나 쓰러지지 않는다. 물론 봉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긴 봉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바람의 영향 자체를 크게 받지 않아 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봉부(10)의 하단 끝단은 도 1과 같이, 후술할 고정부(30)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30)와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나사산(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봉부(10)의 하단 끝단은 고정부(30)와 끼움 결합 가능한 돌기 등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끝단을 테이퍼지게 형성하여 고정부(30)에 압력을 주어 밀어넣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후술할 고정부(30)에는 봉부(10)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산(32)이 형성되어야 하며, 봉부(10)에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 이를 끼워넣을 수 있는 홈부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봉부(10)의 끝단이 테이퍼진 형태로 끼워넣게 형성되는 경우 고정부(30)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구멍이 형성되거나 봉부(10)의 형상과 반대되도록 테이퍼진 홈이 형성되어 압력에 의해 봉부(10)를 밀어넣었을 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봉부(10)와 고정부(30)는 도 2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봉부(10)와 고정부(30)는 소정의 금형에서 한번에 찍어내는 형태로 제조되어 결합부 없이 일체로 될 수 있다.
표시부(20)는 봉부(10)의 상측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조림묘목(T)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표시부(20)는 캡부(21)를 구비하여 봉부(10)의 상측 일단에 끼움 결합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캡부(21)는 표시부(20)가 봉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캡부(21) 내부에 테이퍼진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으로 봉부(10)의 상단 끝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캡부(21)와 봉부(10)는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상기 캡부(21)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날개부(22)가 돌출 형성되며, 날개부(22)는 삼각형, 다각형, 타원형,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날개부(22)는 봉부(1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날개부(22)는 공기 저항을 받지 않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날개부(22)는 바람이나 태풍 등의 영향에도 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비에 젖지 않도록 얇은 플라스틱 판재나 비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셀로판 종이 등의 코팅된 종이 재질이거나 방수 기능이 있는 섬유 재질일 수도 있다. 이러한 얇은 소재로 형성되는 날개부(22)는 유연성을 가져 바람에 따라 움직이면서 조림묘목(T)의 상부에서 조림묘목(T)의 위치를 쉽게 식별 할 수 있도록 팔랑거릴 수 있다.
날개부(22)는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공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 개로 분할될 수 있고 일측만 캡부(21)에 부착되고 반대편 일측은 자연스럽게 바람에 의해 나부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캡부(21)의 외주연에는 다단으로 분할된 형태의 날개부(22)가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자유롭게 날리면서 조림묘목(T)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날개부(22)에는 다수개의 관통공(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강한 바람에 의해 날개부(22)가 찢어지는 등의 훼손을 방지할 수도 있다.
날개부(22)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반사지 등을 적층한 표시부(20)는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조림지에 무성하게 자란 풀이나 잡목 등에 가려진 조림묘목(T)의 식별이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봉부(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표시부(20)가 설치된 상측 일단의 반대편 즉 하부 끝단에 설치되는 것이다. 고정부(30)는 지표면(L) 내로 삽입 설치되어 봉부(10)가 지표면(L) 위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고정부(30)의 외측 표면에는 지표면(L)에 삽입 설치되었을 때 쉽게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저항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고정부(30)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저항돌기(33)들은 고정부(30)의 외주연을 따라 설정된 각도마다 복수 개가 설치되며, 각 저항돌기(33)는 상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저항돌기(33)가 형성된 고정부(30)가 지표면(L) 아래에 설치되면, 흙이나 돌 등에 의한 저항이 최대화됨으로써 강한 바람 등의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서 쉽게 지표면(L)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을 수 있다.
고정부(30)는 봉부(10)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봉부(10)가 고정부(3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과 같이, 봉부(10)의 하부 끝단에는 나사산(31)이 형성되어 고정부(30)와 봉부(10)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돌기가 형성되거나, 테이퍼진 형태로 가공되어 고정부(30)와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고정부(30)는 봉부(10)가 끼워지는 부분에 봉부(10)와 대응되는 형태의 나사산(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봉부(10)의 돌기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거나, 봉부(10)의 테이퍼진 형태를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와 봉부(10)는 일체로 되어 끼움 등의 결함이 없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부(30)의 하부 끝단은 지표면(L)에 삽입되기 쉽도록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를 지표면(L)에 삽입할 때 하부로 힘을 가해 돌리면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여 조림목 표시봉은 나선부(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나선부(40)는 봉부(10)와 고정부(30) 사이에 설치하며, 식재된 조림묘목(T)에 감겨 지지할 수 있으며, 조림묘목(T)의 위치를 특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나선부(40)는 조림묘목(T)에 감겨 있음으로써 봉부(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나선부(40)는 도 4와 같이, 조림묘목(T)의 위치를 특정하는 나선형의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봉부(10)가 넘어지거나 훼손되지 않도록 조림묘목(T) 줄기 부위를 감아 지지한다.
나선부(40)는 상기 봉부(10)와 접하는 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봉부(10)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봉부(10)의 일단은 상기 나선부(40)의 홈과 용이하게 끼움 결합되기 위해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선부(40)는 나선형으로 조림묘목(T)을 감싸고 있어 조림묘목(T)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림묘목(T)에 의 위치를 특정함으로써 조림묘목(T)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나선부(40)는 도 5와 같이, 봉부(10)의 하단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나선부(40)와 봉부(10)는 소정의 금형에서 한 번에 찍어내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선부(40)는 탄성을 가져, 설치 및 제거 시에 조림묘목(T)의 손상을 없앨 수 있다.
그러므로 나선부(40)는 봉부(10)와 같이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나선부(40)를 형성하는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나선부(40)는 물에 의해 쉽게 부식되지 않으며 탄성을 가진 소재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즉, 상기 나선부(40)는 연질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져 조림묘목(T)의 줄기부위를 압박하지 않아 이에 따른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나선부(4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줄기부위를 압박하지 않으므로 봉부(10)를 당겨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조림묘목(T)으로부터의 제거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봉부(10)를 고정하는 고정부(30)에 복수 개의 저항돌기(33)가 형성되어, 풀베기 작업 등에 의한 외부요인 또는 태풍 등의 자연환경의 영향에도 쉽게 쓰러지거나 뽑히는 등 훼손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봉부(10)의 상단에 설치되는 표시부(20)에 의해 잡초 등에 가려진 조림묘목(T)의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한다. 또, 설치 시에 토양상태의 영향을 받지 않아 설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부피와 중량이 작아 운반 및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특정 실시형태를 대표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형 또는 변경 실시할 수 있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포함된다.
10 : 봉부 20 : 표시부
21 : 캡부 22 : 날개부
30 : 고정부 31,32: 나사산
33 : 저항돌기 40 : 나선부
T : 조림묘목 L : 지표면

Claims (9)

  1. 일정 길이를 갖는 봉부;
    상기 봉부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어, 인접된 조림묘목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봉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봉부를 지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저항돌기가 외측 표면에 복수 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봉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식재된 조림묘목을 감싸서 조림묘목의 위치를 특정함과 동시에 상기 봉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부;를 포함하는, 조림목 표시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저항돌기는 상방향으로 휘어진 갈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림목 표시봉.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선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봉부와 접하는 단부에 홈을 형성하여 상기 봉부에 끼움 결합되는, 조림목 표시봉.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부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조림목 표시봉.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봉부의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의 외주연에 돌출 형성되는 다수개의 날개부로 이루어진, 조림목 표시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공기 저항을 받지 않도록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며, 복수 개로 분할되어 일측이 상기 캡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림목 표시봉.
KR1020110068764A 2011-07-12 2011-07-12 조림목 표시봉 KR101086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64A KR101086242B1 (ko) 2011-07-12 2011-07-12 조림목 표시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764A KR101086242B1 (ko) 2011-07-12 2011-07-12 조림목 표시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242B1 true KR101086242B1 (ko) 2011-12-01

Family

ID=45505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764A KR101086242B1 (ko) 2011-07-12 2011-07-12 조림목 표시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24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79Y1 (ko)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KR101967228B1 (ko) 2018-10-22 2019-04-09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생분해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조림 표시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003029B1 (ko) 2018-09-20 2019-07-24 채수민 생분해성 조림 표시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116857B1 (ko) 2020-01-30 2020-05-29 김동수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328310B1 (ko) 2021-09-13 2021-11-17 김동수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352378B1 (ko) 2021-10-15 2022-01-17 김동수 접이식 묘목 보호 시트
KR102528107B1 (ko) 2022-10-31 2023-05-02 김동수 묘목 보호 및 인식용 보호시트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79Y1 (ko) 2018-01-18 2018-08-01 김동수 조림목 보호구
KR102003029B1 (ko) 2018-09-20 2019-07-24 채수민 생분해성 조림 표시봉 및 그 제조방법
KR101967228B1 (ko) 2018-10-22 2019-04-09 남양부직포 주식회사 생분해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조림 표시봉 및 그 제조방법
KR102116857B1 (ko) 2020-01-30 2020-05-29 김동수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328310B1 (ko) 2021-09-13 2021-11-17 김동수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352378B1 (ko) 2021-10-15 2022-01-17 김동수 접이식 묘목 보호 시트
KR102528107B1 (ko) 2022-10-31 2023-05-02 김동수 묘목 보호 및 인식용 보호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242B1 (ko) 조림목 표시봉
ES2605398T3 (es) Gancho devanador para el guiado de plantas
US20050279016A1 (en) Floating aquatic emergence trap
KR20180006217A (ko) 양팔의 간격조절이 용이한 농작물지지대
US9717187B2 (en) Sectional planter with tongue and groove interlocking device
KR101224019B1 (ko) 나선형 조림목 표시봉
KR20130052118A (ko) 화분용 자동급수장치
KR200466260Y1 (ko)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US20170118928A1 (en) Subsurface Water, Air and/or Nutrient Delivery Tube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KR20120084463A (ko) 수분 자동 공급장치
KR200444010Y1 (ko) 농작물 지주목
KR101198064B1 (ko) 농업용 호스 가이드장치
KR102067357B1 (ko) 노지(露地) 비가림 고추나무 지지장치
KR102471354B1 (ko) 화분용 넝쿨식물 지지대 또는 넝쿨식물 지지용 화분
KR200217204Y1 (ko) 수목지지구
US20060150508A1 (en) Nursery pot stabilization system
CA2310354A1 (en) Plant or seedling protector
KR200377740Y1 (ko) 농작물 모 지지대
KR102650885B1 (ko) 작물고정대
CN218117445U (zh) 一种园艺围网结构
KR102589308B1 (ko) 작물 보호 지지 장치
KR101365416B1 (ko) 나무 표찰
KR20120005595A (ko) 과실수 가지의 지지대
US20080034650A1 (en) Gardening Stake Kit for Plant Support, Nourishment and Trai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