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010Y1 - 농작물 지주목 - Google Patents

농작물 지주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010Y1
KR200444010Y1 KR2020080009652U KR20080009652U KR200444010Y1 KR 200444010 Y1 KR200444010 Y1 KR 200444010Y1 KR 2020080009652 U KR2020080009652 U KR 2020080009652U KR 20080009652 U KR20080009652 U KR 20080009652U KR 200444010 Y1 KR200444010 Y1 KR 2004440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p
crops
groove
holding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2020080009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0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0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0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2Stak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7/00Plant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벼,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이 성장할 때 줄기를 잡아주기 위한 농작물 지주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기둥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요홈이 마련되되, 상기 홈 및 요홈은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주끈을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농작물 지주목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련된 본 고안은 농작물을 지지하도록 연결된 지주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별도의 지주끈을 사용하지 않고 최초 모종시에 사용한 지주끈을 상부로 이동하며 농작물을 지지하되, 간단한 동작만으로 지주끈이 요홈에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농작물을 안전하게 지지하며, 작업이 간편하고,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농작물, 지주목, 지주, 도복방지

Description

농작물 지주목{A prop of crops}
본 고안은 벼,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이 성장할 때 줄기를 잡아주기 위한 농작물 지주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기둥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요홈이 마련되되, 상기 홈 및 요홈은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지주끈을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농작물 지주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지주는 벼,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이 성장할 때 줄기를 잡아주기 위해 농작물 옆에 심어져 바람이나 비에 의해 농작물의 줄기가 굽거나 옆으로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매의 하중에 의해 쓰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은 농작물 지주는 나무로 이루어질 경우 한 해 사용 후에 썩어 다음해에 새로운 지주로 교체해야만 해 쉽게 썩지 않는 금속 파이프나 철근, 플라스틱 파이프를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사용했다.
그러나, 금속 파이프나 철근으로 이루어진 농작물 지주는 부식되는 문제가 있어 플라스틱 파이프를 이용한 농작물 지주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바, 플라스틱 파이프로 이루어진 종래의 농작물 지주는 하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의 머리로 마련되며, 몸체에 요홈 또는 돌기를 형성하여 하나의 농작물과 연결되는 지주끈으로 감아서 고정하거나 하나 이상의 농작물들과 연결되도록 교차된 두 개의 지주끈이 걸릴 수 있도록 하여 농작물을 지지했다.
그러나, 상기 농작물 지주는 농작물을 지지하도록 감는 지주끈이 지주에서 흘러내려 흘러내린 지주끈을 다시 묶어야 하고, 이러한 경우 제때 농작물을 지지하지 못해 생산량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농작물 지주는 지주끈이 최초 모종시 사용한 지주끈을 성장과정에서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최초 모종시 지주끈을 이동하여 장착할 수 있는 기둥부에 이격된 다수의 홈을 형성하였으나, 상기 홈은 지주끈을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고 걸어놓을 수만 있도록 마련되어 일렬로 배치된 농작물에 교차하며 걸어놓은 지주끈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으며, 홈 대신 고리로 마련된 경우는 지주끈을 이동시킬 때마다 일일이 매듭지어야하므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농작물 지주는 지면에 세울 때 망치 등으로 타격하게 되는바, 지주의 상부가 쉽게 망가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농작물의 줄기를 감은 지주끈을 견고하게 거치하여 농작물을 안전하게 지지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농작물 지주목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농작물 지주에서 이어진 지주끈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별도의 지주끈을 사용하지 않고 최초 모종시에 사용한 지주끈을 상부로 이동하여 사용하되, 잡아 당기고 밀어 넣는 동작만으로 지주끈을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이 간편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농작물 지주목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지주끈을 거치하거나 감아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용도로 이용가능하며, 지주목의 상단부를 보호할 수 있는 농작물 지주목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11)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지주목의 상단과 하단부 사이의 기둥부(12)는, 요홈(13)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기 홈(11) 및 요홈(13)은, 단면의 형상이, 개구된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요부홈(21)이 마련되는 고정캡(20)이 상부에서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상기 기둥부(12)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심재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기둥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요홈이 마련되되, 상기 홈 및 요홈은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홈 및 요홈에서 지주끈을 견고하게 거치시켜 농작물의 줄기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농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요홈이 마련됨으로써,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최초 모종시에 사용한 지주끈을 상부로 이동하며 농작물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고정캡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단부 홈에 끼워진 지주끈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지주끈과 지주목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주목의 상단을 보호하며, 지주끈을 묶거나 거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 심재가 매설됨으로써, 수직의 지지강도 및 측면의 휨 저항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어 타설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10)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10)의 사용 실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농작물 지주목(10)은 벼,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 옆에 심어 줄기를 잡아주는 지주끈이 견고하게 거치됨으로써, 바람이나 비에 의해 농작물이 쓰러짐과, 농작물의 줄기가 굽거나 옆으로 성장하는 것과, 열매의 하중에 의해 쓰러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고, 상단부는 십자형으로 홈(11)이 마련되며,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둥부(12)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의 요홈(13)이 형성된 말뚝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압출 성형하여 대량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성장 과정의 벼, 고추, 오이, 토마토 같은 농작물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절단되어 마련되고, 내부에 추가로 심재가 매설되어 수직의 지지강도 및 측면의 휨 저 항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어 타설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심재는 기둥부(12) 중심부에 원기둥형태로 삽입될 수 있으며, 합성수지, 철, 알루미늄 또는 합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하단부가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지면에 쉽게 꽂거나 망치 등으로 박을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때,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하단부는 갈퀴 형태의 홈을 더 형성하여 농작물의 뿌리에 의해 굳어진 지면에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기둥부(12)의 단면은 십자형으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파이프 형태의 농작물 지주보다 지면에 닿는 면적이 넓어 지주의 회동을 억제시켜 농작물 지주목(10)이 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부는 십자형으로 이루어지고, 망치 등으로 타격되며,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에 마련되는 홈(11)은 세로로 마련되는 직선 형태의 홈과 가로로 마련되는 직선 형태의 홈이 교차되는 십자형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홈(11)은 정면으로 봤을 때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후방부가 원형으로 파여 지주끈의 단면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홈(11)은 평면으로 봤을 때 십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중심부가 원형으로 파여 교차되는 지주끈의 두께가 두꺼워져도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홈(11)은 세로로 마련되는 홈이 가로로 마련되는 홈보다 깊게 형성되어 깊게 파인 홈에 하나의 지주끈이 끼워지고 교차된 홈에 다른 지주끈이 끼워져 지주끈끼리 교차된 홈 중심부에서 상부로 뜨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중단부는 네 방향에 돌기가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기둥부(12)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된 요홈(13)이 형성되는바, 상기 요홈(13)은 기둥부(12)의 돌출된 부위 끝단에서 중심부 방향으로 파인 모래시계 형태의 홈으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요홈(13)은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바, 나일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철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끈을 밀어 넣으면 폭이 넓은 후방부에 수용되어 폭이 좁은 중단부로 지주끈이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의 기둥부(12)에 마련된 요홈(13)은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다수로 형성되어 높이가 다른 농작물을 연이어 지지하는 지주끈을 높이에 맞는 요홈(13)에 끼워 넣음으로써 지주끈을 이동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망치 등으로 타격되는 상단부를 보호하고, 지주끈을 묶을 수 있도록 하는 고정캡(20)이 상단부로 삽입되는바, 상기 고정캡(20)은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부 외주연에 대응하는 내주연으로 마련된 중공형의 캡으로 마련되되, 상단에 십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 단차진 형태의 요부홈(21)이 형성된다. 상 기 고정캡(20)은 지주끈을 홈(11)에 삽입했을 때 농작물 지주목(10) 상단부의 외주연을 감싸며 외삽되어 홈(11)을 덮어 지주끈이 유동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체결하며, 상기 요부홈(21)은 일렬로 배치된 농작물의 지주역할을 하기 위해 지주끈의 양끝단을 묶어서 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캡(20)에 형성될 수 있는 십자형의 홈은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에 마련된 십자형의 홈(11)에 대응하는 홈으로 상기 홈(11)과 같이 한 방향의 지주끈이 거치되고, 다른 방향에서 지주끈이 교차되게 거치되되, 지주끈이 교차되는 높이 차를 두기 위해 세로와 가로의 홈 깊이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르면, 지면에서 성장 과정에 있는 고추, 오이, 토마토 등과 같은 농작물의 옆에 농작물 지주목(10)을 꽂거나 망치 등을 이용하여 박고, 한 이랑을 따라 심어진 농작물을 지지하기 위해 두 줄 이상으로 이루어져 교차, 연장되는 지주끈을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단에 홈(11) 또는 기둥부(12)에 마련된 요홈(13)에 끼워서 고정시킨다. 상기 지주끈은 이랑의 양끝단에 마련된 지주에 묶여 팽팽하게 당겨지며, 농작물 지주목(10)에서 흘러내리지 않도록 마련되고,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지주끈을 잡아당겨 요홈(13)에서 빼낸 후 상부에 위치한 요홈(13) 또는 홈(11)에 끼워넣어 농작물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농작물 지주목(10)의 상부에는 고정캡(20)을 외삽함으로써, 홈(11)에 삽입된 지주끈을 단단하게 고정시키고, 고정캡(20)의 단차진 요부홈(21)에 지주끈을 묶어서 지주끈을 팽팽하게 잡아당길 수 있도록 마련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은 상단부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머리로 이루어질 수 있어 망치 등으로 타격시 편리하며, 기둥부(12)에 형성되는 요홈(13)은 위치가 동일하지 않고 비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높이가 다른 농작물을 연이어 지지하는 지주끈을 높이에 맞는 요홈(13)에 끼워 넣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고안의 농작물 지주목(10)를 벼가 쓰러지는 것, 즉 벼 도복을 방지하기 위한 벼 도복 방지용 지주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벼를 끼우는 부분인 눈을 가지는 그물의 모서리부분 또는 그물형태로 교차시킨 지주끈이 교차하는 부분에서 지면에 꽂거나 박아 넣어 지주끈을 끼우거나 묶음으로써 벼가 쓰러지지 않도록 벼를 잡아주게 된다. 상기 그물의 망사는 내부에 심재를 넣고 나일론, 비닐, 포리,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으로 이루어지는 지주끈을 세겹 이상으로 꼬아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그물의 망사를 농작물 지주목(10)의 홈(11) 및 요홈(13)에 끼우게 되면, 홈(11) 및 요홈(13)에서 쉽게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그물 눈의 크기는 가로 및 세로에 각 1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 며, 상기 벼 도복 방지용 지주목은 2~5m 간격으로 설치하여 그물 눈이 상단부 홈(11)에 끼워질 수 있도록 마련함으로써, 어떤 크기의 논에서 그물을 고정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물의 설치와 회수가 간편한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기둥부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요홈이 마련되되, 상기 홈 및 요홈은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홈 및 요홈에서 지주끈을 견고하게 거치시켜 농작물의 줄기를 안전하게 지지하여 농작물의 생산량을 증대시키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요홈이 마련됨으로써, 농작물의 성장에 따라 최초 모종시에 사용한 지주끈을 상부로 이동하며 농작물을 지지할 수 있어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하며 경제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고정캡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상단부 홈에 끼워진 지주끈이 빠지지 않도록 하여 지주끈과 지주목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지주목의 상단을 보호하며, 지주끈을 묶거나 거치시키는 등의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에 심재가 매설됨으로써, 수직의 지지강도 및 측면의 휨 저항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어 타설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사용실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사시도.
도 5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정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농작물 지주목의 사용실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농작물 지주목 11 : 홈
12 : 기둥부 13 : 요홈
20 : 고정캡 21 : 요부홈

Claims (3)

  1. 벼, 고추, 오이, 토마토 등의 농작물의 줄기를 잡아주기 위한 십자(┼)형 단면의 농작물 지주목(10)에 있어서,
    십자(┼)형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지주목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홈(11)이 마련되고, 하단부는 뾰족한 원추형으로 형성되며, 지주목의 상단과 하단부 사이의 기둥부(12)는, 요홈(13)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되되,
    상기 홈(11) 및 요홈(13)은, 단면의 형상이, 개구된 전방부에서 중단부까지 폭이 좁아지고, 중단부에서 후방부까지 폭이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주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요부홈(21)이 마련되는 고정캡(20)이 상부에서 외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주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 지주목(10)은, 상기 기둥부(12) 중심에 길이방향으로 심재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지주목.
KR2020080009652U 2008-07-21 2008-07-21 농작물 지주목 KR2004440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52U KR200444010Y1 (ko) 2008-07-21 2008-07-21 농작물 지주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652U KR200444010Y1 (ko) 2008-07-21 2008-07-21 농작물 지주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010Y1 true KR200444010Y1 (ko) 2009-04-02

Family

ID=41347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652U KR200444010Y1 (ko) 2008-07-21 2008-07-21 농작물 지주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0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73B1 (ko) 2020-12-01 2021-10-01 권오영 농작물 지주대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073B1 (ko) 2020-12-01 2021-10-01 권오영 농작물 지주대
CN115250815A (zh) * 2022-08-01 2022-11-01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CN115250815B (zh) * 2022-08-01 2024-03-15 江苏省黄海农场有限公司 一种长青柳冬青造型苗培育架及其培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09802A1 (en) Gardening Stake Kit for Plant Support, Nourishment and Training
US20120159844A1 (en) Adjustable stake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2002034360A (ja) 蔓性植物の栽培棚並びに栽培方法
JP5934740B2 (ja) 農作物の枝固定支持具
US20100005714A1 (en) Plant support pole and method of use
US6349502B1 (en) Cage for supporting vegetable plants in garden
CN105309230B (zh) 植物支撑物
KR101103038B1 (ko) 덩굴 식물 재배용 지지대
KR200444010Y1 (ko) 농작물 지주목
KR200457513Y1 (ko) 농업용 조립식 지주
KR200466260Y1 (ko) 다용도 농작물 지주대
US20030126794A1 (en) Thermoplastic garden stake
KR20170001250U (ko) 간이비가림시설용 농작물지지구
JP5100698B2 (ja) 植物栽培用吊りフックおよび植物栽培方法
KR101395747B1 (ko) 조립식 농작물 지지대
KR20130006638U (ko) 농작물 줄기 지지 구조물
KR20150000875U (ko) 농작물 지지대
JP3187316U (ja) 農園芸用支柱のテープ係止具
WO2008021801A2 (en) Gardening stake kit for plant support, nourishment and training
CN218117445U (zh) 一种园艺围网结构
TWM547830U (zh) 盆器栽培用的支架
KR200258637Y1 (ko) 원예작물용 지주대
US20030192239A1 (en) Planter pot with air pruning
KR101451364B1 (ko) 농작물 지지대
KR19990036568U (ko) 다목적 농작물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