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8310B1 -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 Google Patents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8310B1
KR102328310B1 KR1020210121664A KR20210121664A KR102328310B1 KR 102328310 B1 KR102328310 B1 KR 102328310B1 KR 1020210121664 A KR1020210121664 A KR 1020210121664A KR 20210121664 A KR20210121664 A KR 20210121664A KR 102328310 B1 KR102328310 B1 KR 102328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t
seedling
sheet
identific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김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2021012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37Devices for protecting a specific part of a plant, e.g. roots, trunk or frui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25Wind breakers, i.e. devices providing lateral protection of the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6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or identifying pla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에 식재된 어린 묘목에 설치하여 위치를 표시하여 용이하게 관리가 가능하고, 바람, 비 등에 의한 이탈 및 손상과 동물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Protective sheet for seedlings for forest use that prevents separation}
본 발명은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에 식재된 어린 묘목에 설치하여 위치를 표시하여 용이하게 관리가 가능하고, 바람, 비 등에 의한 이탈 및 손상과 동물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지에 조림하는 조림목은 1년생 내지 2년생의 조림목 크기가 15cm 내외로 작아 산지에 3~4월 조림목의 식재 후 8월 여름이 지나면 조림목이 풀과 잡목 등에 파묻혀 피압되거나 봄철 가뭄으로 말라죽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등 정부기관은 조림목 활착을 위하여, 조림목이 일정한 크기로 성장할 때까지 통상 3년 내지 5년 정도는 풀과 잡목 등을 제거하기 위해 예초기와 같은 작업장비를 사용하여 풀베기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예초기에 의한 풀베기 작업은 상당한 주위를 기울인다 하더라도 조림목 주변에서 자란 풀이나 잡목 등에 가려진 조림목이 예초기 등에 의해 절단되거나 손상되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에 따라 풀베기 작업시에 조림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재된 조림목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조림목 표시봉을 조림목 옆의 지표면에 설치하고 있다.
종래에는 조림목을 심은 곳에 프라스틱으로 고안된 표시봉을 꼽거나 조릿대를 꼽아 표식을 하였으나, 조림시기인 3월~4월은 산에 음지의 경우 땅이 얼어있는 경우가 많아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조릿대 등의 수직적 보호기구는 땅에 잘 박히지 않아 언땅이 녹는 과정에서 표시봉이 쓰러지는 경우가 많고, 플라스틱으로 고안된 보호기구는 물론 조릿대의 경우에도 눈에 잘 띄지 않는 단점이 있어 잘띄도록 표면에 흰색페인트를 칠하여 임지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조림목 보호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1에 따른 조림목 보호구에는 산지에 식재된 조림목을 풀베기 작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조림목 보호구로서, 적색의 야자섬유재시트로 형성된 직사각형의 보호시트를 길이 방향의 가운데서 길이 방향 단부쪽으로 하나 이상 절개부를 형성하고 부분 절취하여 보호구 지지대를 형성하고, 보호시트의 절개되지 않는 원통형성부로 조림목의 줄기를 감싸고 고정클립으로 고정한 후 보호구 지지대를 지면과 나란하게 방사상으로 펼쳐 흙으로 덮고 다져 고정한다.
그리고 특허문헌 2에는 '조림목 표시봉'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 2에 따른 조림목 표시봉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부, 상기 봉부의 상측 일단에 설치되어 인접된 조림묘목의 위치를 식별가능하게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봉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봉부를 지표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저항돌기가 외측 표면에 복수 개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봉부와 상기 고정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식재된 조림묘목을 감싸서 조림묘목의 위치를 특정함과 동시에 상기 봉부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나선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특허문헌 1 및 2는 묘목의 측면에 봉을 설치하고 있으나, 나무, 덩쿨이 우거진 곳에서 쉽게 인식할 수 없어 예초 작업시 묘목을 예초하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묘목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여 복잡한 과정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장기간 방치시 환경오염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 출원특허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묘목에 설치하여 묘목의 위치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여 보호 및 관리가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묘목에 설치된 본체 및 절취부가 바람 등에 의해 묘목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85388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8624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11685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림에 식재된 묘목에 설치하여 사람, 동물 및 자연환경에 의한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단하여, 묘목에 설치 시 바람 등에 의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배치를 통해 묘목의 성장시 가지, 나뭇잎 등에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도 다른 목적은 친환경 재질을 사용하여 묘목의 성장시 묘목을 훼손하지 않으며,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묘목에 설치하여 묘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있어서, 절취선 및 절단선에 의해 인식부가 재단되며, 접이선을 따라 묘목을 감싸도록 접이되는 시트지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지는, 중앙부분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에 의해 재단되어 상기 묘목에 설치하는 제1인식표와, 상기 제1인식표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접이선과,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절취선에 의해 재단되어 상기 묘목에 설치하는 제2인식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인식표는,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절단선이 재단된 원형의 중앙부분과, 상기 중앙부분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서 일측 방향 하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이 재단된 상단부분과, 상기 중앙부분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서 타측 방향 상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이 재단된 하단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지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상기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상기 제1인식표의 상기 중앙부분에 재단된 상기 절단선에 삽입되는 제3인식표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인식표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재단된 접이선과, 상단과 하단의 상기 접이선에 각각 끼움부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는, 상기 접이선의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 사이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절단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지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지가 접이된 상태에서 맞닿는 양측단에 상호 끼움결합되는 끼움홈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시 시트지에는, 상기 제1인식표의 양측에는 테두리에서 내면을 향하는 수직방향의 상기 절단선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되어 상기 묘목이 삽입되는 제1삽입라인과, 상기 제1인식표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평방향의 상기 절단선을 통해 묘목이 삽입되는 제2삽입라인과, 상기 제1삽입라인 및 상기 제2삽입라인의 끝단에 상기 묘목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따르면, 산림에 식재된 묘목에 설치하여 사람, 동물 등의 자연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하며, 외부에서 쉽게 육안으로 확인하여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단선을 지그재그 형태로 재단하여 묘목에 삽입 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식부의 다양한 배치, 색상 및 냄새 등을 통해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여, 동물에 의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 나무 등의 재질로 제작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취선 및 절단선에 의한 인식부가 절취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인식부의 재단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인식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제3인식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삽입라인을 도시한 개념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취선 및 절단선에 의한 인식부가 절취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인식부의 재단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인식표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상의 제3인식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삽입라인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에 식재된 어린 묘목에 설치하여 위치를 표시하여 용이하게 관리가 가능하고, 바람, 비 등에 의한 이탈 및 손상과 동물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묘목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자연환경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고 동물 등으로부터 묘목을 보호할 수 있는 시트지(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지(10)는 절취선(PL) 및 절단선(CL)에 의해 인식부(20)가 재단되며, 접이선(FL)을 따라 묘목을 감싸도록 접이된다.
이러한 상기 시트지(10)에는 제1인식표(30), 상기 접이선(FL) 및 상기 제2인식표(40)가 구성된다.
상기 제1인식표(30)는 중앙부분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재단되어 묘목(100)에 설치한다.
상기 접이선(FL)은 상기 제1인식표(3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인식표(40)는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재단되어 상기 묘목(100)에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시트지(10)에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에 맞춰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하여 상기 묘목(100)에 설치가능하며,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한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접이선(FL)에 맞춰 접어 상기 묘목(100)을 보호하기 위해 둘레에 배치된다.
이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시트지(10)는 직사각형 형상의 종이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시트지(10)의 표면에는 별도의 코팅 등의 작업을 통해 물, 습기, 바람 등에 의한 손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시트지(10)에 상기 절취선(PL), 상기 절단선(CL) 및 상기 접이선(FL)을 재단하며,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의 형상에 맞춰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선(CL)은 상기 인식부(20)를 묘목에 쉽게 삽입고정하기 위한 재단과, 상기 절취선(PL)을 통해 상기 인식부(20) 절단시 용이하게 절취 되도록 재단된다.
그리고 상기 접이선(FL)은 상기 시트지(10)의 일정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을 따라 재단되어 상기 시트지(10)를 다각형 형상으로 접어 상기 묘목(100)의 둘레에 배치할 수 있도록 재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절취선(PL), 상기 절단선(CL) 및 상기 접이선(FL)을 통해 상기 시트지(10)에서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하고 상기 묘목(100)을 보호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지(10)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체결공(11)은 상기 시트지(10)의 상기 접이선(FL)에 의해 구획된 부분의 상단 또는 하단 및 상,하단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는 상기 체결공(11)을 관통하여 지면에 매설되어 상기 시트지(10)를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묘목(100)의 둘레에 배치된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고정부재(12)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묘목을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식부(20)는 상기 시트지(10)에서 절취하여 제1인식표(30), 제2인식표(40) 및 제3인식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인식표(30)는 상기 시트지(10)의 중앙 상단 또는 하단에 형성되어 "
Figure 112021122031477-pat00009
"형상을 가지도록 중앙부분(31), 상단부분(32) 및 하단부분(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앙부분(31)은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절취선(PL)이 재단된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분(32)은 상기 중앙부분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31)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4)에서 일측 방향 하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CL)이 재단된다.
상기 하단부분(33)은 상기 중앙부분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31)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4)에서 타측 방향 상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CL)이 재단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인식표(30)는 "
Figure 112021122031477-pat00010
"형상을 가지도록 상기 시트지(10)에 상기 절취선(PL)을 통해 재단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부분(32)과 상기 하단부분(33)의 상기 절단선(CL)을 통해 개방되어 상기 삽입홈(34)에 묘목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선(CL)은 상기 삽입홈(34)에서 중앙부분을 향하도록 일정각도로 배치한다.
즉, 상기 상단부분(32)에 재단된 상기 절단선(CL)은 일측단을 향해 하향경사지고, 하단부분(33)에 재단된 상기 절단선(CL)을 타측단을 향해 상향경사지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절단선(CL)은 "
Figure 112021122031477-pat00011
" 형상을 가지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상기 묘목(10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인식표(30)는 바람 등에 의해 흔들려도 상기 묘목(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인식표(40)는 상기 시트지(10)의 양측단에서 수직으로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상기 제2인식표(40)를 절취한다.
이때, 상기 제2인식표(40)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재단된 상기 접이선(FL)과, 상단과 하단의 상기 접이선(FL)에 각각 끼움부(4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이선(FL)은 상기 제2인식표(40)의 길이방향을 따른 균등한 간격으로 재단되어 상기 제2인식표(40)를 균등하게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접이선(FL)은 상기 제2인식표(40)를 4등분 할 수 있도록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1)는 상기 제2인식표(40)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묘목(100)에 끼움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접이선(FL)의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공(42)과, 상기 끼움공(42)과 상기 끼움공(42) 사이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절단선(CL)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접이선(FL)은 상기 제2인식표(40)를 4등분 하기 위해 중앙과, 상단 및 하단에 균등한 간격으로 3개의 접이선(FL)이 재단된다.
이렇게 상기 접이선(FL)이 재단된 상기 제2인식표(40)의 상, 하단에 상기 끼움부(4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41)는 상단에 위치한 상기 접이선(FL)과 하단에 위치한 상기 접이선(FL)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끼움공(42)을 타공한 후, 상기 절단선(CL)을 재단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인식표(40)가 상기 접이선(FL)에 맞춰 접이시 상기 끼움공(42)이 상호 맞닿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인식표(40)의 상, 하단이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개방된다.
이렇게 접이된 상기 제2인식표(40)는 상기 절취선(PL)을 개방하여 묘목을 삽입하여 상기 끼움공(42)을 통해 고정한다.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시트지(10)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을 따라 절취하여 상기 제1인식표(30)의 상기 중앙부분에 재단된 상기 절단선(CL)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시트지(10)의 상측단에서 절취하여 상기 제1인식표(30)의 상기 절단선(CL)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제1인식표(30)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묘목(100)의 성장시 가지 및 나뭇잎에 의해 상기 제1인식표(30)가 가려질 경우, 상기 제3인식표(50)가 상기 묘목(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시트지(10)에서 절취한 직사각형 기본형상을 가지되, 도 5의 (a) 및 (b)와 같이 상기 절취선(PL)을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3인식표(50)는 산, 숲 등에서 활동하는 동물에 의해 상기 묘목(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동물들이 접근을 방지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어린 상기 묘목(100)에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여 동물들에 의한 피해를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인식부(20)는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색상으로 도색, 염색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시트지(10)의 외면에 물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시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는 냄새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코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지(10)는 어린 상기 묘목(100)을 동물 등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형태, 색상 및 냄새 등의 다양한 처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시트지(10)에서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하기 위해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에 상기 절단선(CL)을 혼합하여 재단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인식표(40) 및 상기 제3인식표(50)를 절취하기 위해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은 상기 시트지의 길이에 맞춰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선(PL) 사이에 상기 절단선(CL)을 형성하여 상기 제2인식표(40) 및 상기 제3인식표(50)가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도록 재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10)가 접이된 상태에서 맞닿는 양측단에 상호 끼움결합되는 끼움홈(13)이 더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시트지(10)에서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한 후, 상기 접이선(FL)을 따라 접이 시 맞닿는 양측단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끼움홈(13)은 상기 시트지(10)의 양측단에 상호 결합되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 중, 하단에 선택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지(10)가 상기 접이선(FL)을 따라 다각형 형상으로 접은 후, 상기 끼움홈(13)을 통해 양측끝단을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묘목(100)의 둘레에 배치된 후, 상기 끼움홈(13)을 통해 간편하게 양측단을 고정하여 상기 묘목(100)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지(10)에는 형성된 상기 인식부(20)는 하나 또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접이선(FL)에 의해 상기 시트지(10)가 접이가능하게 구획된 상태에서 구획된 상기 시트지(10) 내에 상기 제1인식표(30)는 상,하 방향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인식표(40)는 다수개의 상기 절취선(PL)을 통해 상기 시트지(10)의 양측에서 복수개 절취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시트지(10)의 상단에서 다수개의 상기 절취선(PL)을 통해 복수개 절취가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인식표(30)는 상기 접이선(FL)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위치에 복수개 배치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인식표(30)를 절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인식표(40) 및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시트지(10)의 양측면 및 상단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복수개 절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지(10) 내에서 다수개의 상기 절취선(PL) 및 상기 절단선(CL)을 형성하여 하나 이상의 상기 인식표 절취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인식표(30,40,50)의 사용빈도에 맞춰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시 시트지(10)에는, 상기 제1인식표(30)의 양측에는 테두리에서 내면을 향하는 수직방향의 상기 절단선(CL)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되어 상기 묘목(100)이 삽입되는 제1삽입라인(14)과, 상기 제1인식표(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평방향의 상기 절단선(CL)을 통해 묘목이 삽입되는 제2삽입라인(15)과, 상기 제1삽입라인(14) 및 상기 제2삽입라인(15)의 끝단에 상기 묘목(100)이 안착되는 안착홈(16)이 형성된다.
이에 앞서 상기 시트지(10)는 전체면적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4등 분할하여 접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라인(14)은 상기 시트지(10)의 수평방향 양측을 2등 분할하여 접을 때 상호 겹쳐지는 위치에 수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라인(14)은 상기 시트지의 하단 테두리에서 상부를 향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삽입라인(14)의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16)이 접었을 때 상호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라인(15)은 상기 시트지(10)의 수평방향 양측을 2등 분할하여 접을 때, 절단선(CL)이 중간 부분이 접칠 부분을 통해 절단되어 상기 묘목(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라인(15)의 양측끝단은 상기 시트지(10)를 수직방향 양측을 2분 분할하여 접었을 때, 상기 제1삽입라인(14)의 끝단과 겹쳐진다.
따라서 상기 시트지(10)를 접었을 때, 상기 제2삽입라인(15)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16)은, 상기 제1삽입라인(14) 끝단에 형성된 상기 안착홈(16)과 겹쳐진다.
이를 통해 상기 시트지(10)는 양측을 2등 분할하여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라인(14) 또는 상기 제2삽입라인(15)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묘목(100)에 삽입한 후, 상기 시트지(10)의 상하측을 2등 분할하여 접은 상태에서 상기 제1삽입라인(14) 또는 상기 제2삽입라인(15) 중 상기 묘목(100)에 삽입되지 않은 부분을 상기 묘목(10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제1삽입라인(14) 및 상기 제2삽입라인(15)을 통해 상기 묘목(100)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물, 습기 등에 의해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코팅된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시트지(10)에 상기 절취선(PL), 상기 절단선(CL) 및 상기 접이선(FL)을 재단한다.
여기서 상기 절취선(PL) 및 상기 절단선(CL)에 따라 상기 인식부(2)가 절취되며, 상기 접이선(FL)에 맞춰 상기 시트지(10)를 다각형 형태로 접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작된 상기 시트지(10)에서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한 후, 상기 묘목(100)의 상단부분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인식표(30)는 상기 묘목(100)에 설치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홈(34)과 지그재그 방식으로 절단된 상기 절단선(CL)을 통해 상기 묘목(100)에 설치 후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인식표(40)는 4등분으로 재단된 상기 접이선(FL)에 맞춰 접은 후, 상기 묘목(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2인식표(40)는 상기 제1인식표(30)와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묘목(100)을 쉽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인식표(50)는 상기 제1인식표(30)에 설치하여, 나뭇가지, 나뭇잎 등의 성장시 외부로 노출되어 인식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3인식표(50)는 다양한 형상을 상기 제1인식표(30)에 설치시, 허수아비 등의 형상을 통해 동물들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시트지(10)는 색상, 형태 및 냄새 등을 통해 동물의 접근을 방지하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어린 상기 묘목(100)이 동물에 의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시트지(10)의 도색 시, 다양한 색상, 그림, 도형 등을 부가하여 동물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식부(20)를 절취한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접이선(FL)에 맞춰 접어 상기 묘목(100)의 둘레에 배치한 후, 상기 고정부재(12)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12)는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는 나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인식부(20)를 통해 상기 묘목(100)을 보호하며,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고정부재(12)는 종이, 나무 등의 친환경 재질로 이루어져 장기간 방치시,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자연환경의 훼손하지 않아 후처리가 편리하다.
또한, 상기 시트지(10)는 상기 제1삽입라인(14) 및 상기 제2삽입라인(15)을 통해 묘목에 끼움설치가 가능하다.
즉, 도 8의 (a)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지(10)의 중간에 수직방향의 가상의 접이선을 통해 양측을 접어,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1삽입라인(14)과 수평으로 절개된 상기 제2삽입라인(15)이 중간을 기준으로 겹쳐진다.
이렇게 겹쳐진 상태에서 도 8의 (b)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라인(14) 또는 상기 제2삽입라인(15) 중 하나를 통해 상기 시트지(10)를 묘목에 설치한 후, 수평방향의 가상의 접이선을 통해 상하측을 접어 상기 묘목(100)에 삽입되지 않은 상기 제1삽입라인(14) 또는 상기 제2삽입라인(15)을 묘목에 설치한다.
이를 통해 상기 시트지(10)를 4등 분할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접어 상기 묘목(100)에 용이하게 설치하여 외부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삽입라인(14) 및 상기 제2삽입라인(15)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상기 묘목(100)에 삽입됨에 따라 바람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상기 묘목(100)에서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시트지(10), 상기 제1 및 제3 인식표(30,40,5)는 하나의 상기 묘목(100) 또는 다수개의 상기 묘목(100)에 선택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즉, 하나의 상기 묘목(100)에 상기 시트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인식표(30,40,50)를 설치하여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인식표(30,40,50)를 개별적으로 나눠 다수개의 상기 묘목(100)에 설치하여 하나의 상기 시트지(10)에서 절취된 상기 제1 내지 제3 인식표(30,40,50)를 통해 다수개의 상기 묘목(10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묘목(100)은 장기간 성장함에 따라, 어린 묘목(100)은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인식부(20)에 의해 식별 및 보호가 가능하며, 상기 묘목(100)의 성장시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인식부(20)는 간편하게 제거하거나, 자연적으로 이탈된다.
이렇게 이탈된 상기 시트지(10) 및 상기 고정부재(12)는 친환경 재질로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자연적으로 분해됨에 따라 별도의 수거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비용 및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시트지 11: 체결공 12: 고정부재
13: 끼움홈 14: 제1삽입라인
15; 제2삽입라인 16: 안착홈
20: 인식부
30: 제1인식표 31: 중앙부분 32: 상단부분
33: 하단부분 34: 삽입홈
40: 제2인식표 41: 끼움부 42: 끼움공
50: 제3인식표
100: 묘목
PL: 절취선 CL: 절단선 FL: 접이선

Claims (7)

  1. 묘목에 설치하여 묘목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에 있어서,
    절취선(PL) 및 절단선(CL)에 의해 인식부(20)가 재단되며, 접이선(FL)을 따라 상기 묘목(100)을 감싸도록 접이되는 시트지(10)로 이루어지되,
    상기 시트지(10)는,
    중앙부분에 형성된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재단되어 상기 묘목(100)에 설치하는 제1인식표(30)와,
    상기 제1인식표(30)의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배치되며,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접이선(FL)과,
    양측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절취선(PL)에 의해 재단되어 상기 묘목(100)에 설치하는 제2인식표(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인식표(30)는,
    내부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절단선(CL)이 재단된 원형의 중앙부분(31)과,
    상기 중앙부분(31)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31)의 상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4)에서 일측 방향 하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CL)이 재단된 상단부분(32)과,
    상기 중앙부분(31) 보다 작은 크기의 원형이 상기 중앙부분(31)의 하단에 위치하며, 중앙에 삽입홈(34)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4)에서 타측 방향 상단을 향해 지그재그 방향으로 상기 절단선(CL)이 재단된 하단부분(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시트지(10)의 상단에 수직방향으로 재단된 상기 절취선(PL)을 따라 절취하여 상기 제1인식표(30)의 상기 중앙부분(31)에 재단된 상기 절단선(CL)에 삽입되는 제3인식표(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식표(40)는,
    길이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재단된 접이선(FL)과, 상단과 하단의 상기 접이선(FL)에 각각 끼움부(41)가 형성되되,
    상기 끼움부(41)는,
    상기 접이선(FL)의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공(42)과,
    상기 끼움공(42)과 상기 끼움공(42) 사이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 상기 절단선(CL)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1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체결공(11)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1)에 삽입되어 상기 시트지(10)를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재(12)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10)가 접이된 상태에서 맞닿는 양측단에 상호 끼움결합되는 끼움홈(13)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지(10)에는,
    상기 시트지(10)의 양측에 위치하며, 테두리 끝단에서 내면을 향하는 수직방향의 상기 절단선(CL)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단되어 상기 묘목(100)이 삽입되는 제1삽입라인(14)과,
    상기 시트지(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수평방향의 상기 절단선(CL)을 통해 묘목(100)이 삽입되는 제2삽입라인(15)과,
    상기 제1삽입라인(14) 및 상기 제2삽입라인(15)의 끝단에 상기 묘목(100)이 안착되는 안착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0210121664A 2021-09-13 2021-09-13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KR102328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64A KR102328310B1 (ko) 2021-09-13 2021-09-13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64A KR102328310B1 (ko) 2021-09-13 2021-09-13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310B1 true KR102328310B1 (ko) 2021-11-17

Family

ID=78702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1664A KR102328310B1 (ko) 2021-09-13 2021-09-13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107B1 (ko) * 2022-10-31 2023-05-02 김동수 묘목 보호 및 인식용 보호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388A (ko) 2008-02-04 2009-08-07 구자석 조림목 보호구
KR101086242B1 (ko) 2011-07-12 2011-12-01 대한민국 조림목 표시봉
KR102116857B1 (ko) 2020-01-30 2020-05-29 김동수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388A (ko) 2008-02-04 2009-08-07 구자석 조림목 보호구
KR101086242B1 (ko) 2011-07-12 2011-12-01 대한민국 조림목 표시봉
KR102116857B1 (ko) 2020-01-30 2020-05-29 김동수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8107B1 (ko) * 2022-10-31 2023-05-02 김동수 묘목 보호 및 인식용 보호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9707A (en) Plant protector
US5644998A (en) All purpose mulch system
US3415012A (en) Bulb planting and recovery device and method
KR102116857B1 (ko)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CA2212603C (en) Collapsable plant shelter
US52223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nursery stock in subterranean containers
US20140083001A1 (en) Plant protector
US9115507B2 (en) Landscaping post guard
KR102328310B1 (ko) 이탈을 방지한 산림용 묘목 보호 시트
Bacha et al. Interference of seeding and regrowth of signalgrass weed ('Urochloa decumbens') during the initial development of'Eucalyptus urograndis'('E. grandis'×'E. urophylla')
KR100894226B1 (ko) 수목 주변 잡초생성억제를 겸한 작물재배용 커버
US20110219682A1 (en) Plant protector cage
GB2230929A (en) Protective sleeve for plants
KR102352378B1 (ko) 접이식 묘목 보호 시트
US20090172999A1 (en) Landscaping weed barrier and soil access device
KR102528107B1 (ko) 묘목 보호 및 인식용 보호시트
US4286408A (en) Self-watering seed planter
WO1993020684A1 (en) Means for protecting young plants
JP3154908U (ja) 苗木育成用保護具
CA2370571A1 (en) Weed barrier tile
Hochmuth et al. Row covers for commercial vegetable culture in Florida
JP2002220306A (ja) 防虫用ロープ、防虫用ロープ装置及び防虫用ネット並びに簡易防虫装置
KR102274873B1 (ko) 수목 보호용 방초 매트
KR102465083B1 (ko) 효율적 수목관리를 위한 다목적 보호망 장치
GB1588181A (en) Device for protecting 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