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965A -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965A
KR20110020965A KR1020090078464A KR20090078464A KR20110020965A KR 20110020965 A KR20110020965 A KR 20110020965A KR 1020090078464 A KR1020090078464 A KR 1020090078464A KR 20090078464 A KR20090078464 A KR 20090078464A KR 20110020965 A KR20110020965 A KR 2011002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aft
cushion
extension
cush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06351B1 (en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7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351B1/en
Publication of KR2011002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3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PURPOSE: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is provided to improve ride comfort for all passengers, since a front part of the seat cushion is projected forward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on. CONSTITUTION: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omprises an actuating bracket(10), an extension frame(20), a power train(30), a locking device, and a lever device(50). The actuating bracket is hinge-coupled with a cushion frame(1) to move forward by the load of a passenger. The extension frame connects to the cushion frame. The power train interlinks the actuating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The power train moves the extension frame forward when engaging with the actuating bracket and moving forward. The lock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cushion frame and the extension frame in order to restrict the front and back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후방향 길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eat cushion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user's body shap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석시 안락감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시트 착석자의 하체를 밑에서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 및,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general, the seat provided in the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the seat occupant's lower body, a seat back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and a headrest for supporting the head and neck to provide comfort when seated. .

한편, 시트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어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의성을 제공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seat cushion is formed in a constant size and can not be adjusted in size, it was insufficient to provide the optimum comfort to the passengers with a variety of physical conditions.

이에 본 발명은, 시트쿠션의 전방쪽 일부분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모든 탑승자가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that helps all the passengers to feel the optimum ride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portion of the seat cushion protrudes forward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

또한, 본 발명은 원터치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한 매커니즘을 갖도록 구성함 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that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by configuring to have a one-touch operation mechanism.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과; 상기 쿠션프레임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과; 상기 작동브라켓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에 구비된 록킹장치와; 상기 쿠션프레임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operating bracket is hinged to the cushion frame to be moved forward by the load of the seat cushion occupant; An extension frame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the cushion frame so as to mov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to protrude; A power transmission device which is installed to connect the operation bracket and the extension frame so as to move the extension frame forward when moving forward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bracket and to return to the rear side; ; A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cushion frame and the extension frame to restrain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of the extension frame; And a lever device provided at the cushion frame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to be pressed and operated in a one-touch manner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본 발명에 의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체형에 상관없이 모든 탑승자가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되고, 레버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며, 구성의 단순화를 통해 금형 제작비를 포함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passengers can feel the optimum ride, regardless of body type, the configuration can be operated by the one-touch operation of the lever greatly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through a simplified configuration The cost, including the mold manufacturing cost, can be greatly reduc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차량의 시트는 시트쿠션과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상기 시트쿠션에는 시트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쿠션의 길이를 전방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가 장착된다.The seat of the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a seat back and a headrest, and the seat cushion is equipped with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extend the length of the seat cushion forward according to the body of the seat occupant. .

즉,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1)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20)과, 상기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10)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30)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구비된 록킹장치(40)와,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4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operating bracket 10 is installed hinged to the cushion frame (1) to be moved forward by the load of the seat cushion occupants, and the An extension frame 20 connected to the cushion frame 1 and installed to connect the operation bracket 10 and the extension frame 20 so as to mov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to protrude. And a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for providing a force to move the extension frame 20 forward and to return to the rear side when moving forward by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bracket 10, and A locking device 40 provided in the cushion frame 1 and the extension frame 20 to restrain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20, and the cushion press As it provided in (1)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40 is configured including the lever device 50 for operating the touch of a button is pressed for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40).

여기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일단은 제1회전링크(11)를 매개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2회전링크(12)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장치(30)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된다.Here, one end of the operating bracket 1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frame 1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1 via the first rotary link 11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rotary link ( 12) is installed in connection with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그리고,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타단은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분리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bracket 10 located in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ushion frame 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1.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내부가 빈 공간으로 된 박스구조이며, 또한 양단 사이의 중간부위에는 후술하는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할 수 있는 구멍(21)이 형성되는 바, 상기 구멍(21)은 상기 메인샤프트(3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extension frame 20 has a box structure having an empty space inside, and a hole 21 through which a main shaft 31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both ends.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main shaft (31).

상기 구멍(21)을 기준으로 좌우측에는 상기 쿠션프레임(1)쪽을 향하여 돌출된 프레임로드(22)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는 바, 상기 프레임로드(22)는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로드가이더(23)속으로 각각 수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frame rod 22 protruding toward the cushion frame 1 toward the cushion frame 1 is integral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based on the hole 21, and the frame rod 22 is attached to the cushion frame 1. The rod guiders 23 fixedly installed are installed to be accommodated and moved.

한편, 상기 동력전달장치(30)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구멍(21)을 관통하여 설치된 메인샤프트(31)와, 상기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중간부위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쿠션프레임(1)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샤프트가이더(32)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의 플랜지(32a)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후방플랜지(31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후방스프링(33)과,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전방플랜지(31b)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전방스프링(34)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the one end is hinged to the second rotary link 12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to the front and the main shaft 31 installed through the hole 21 of the extension frame 20. ), A shaft guider 32 which is fit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shaft 31 and fixedly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1 so that the main shaft 31 can move through the shaft, and the shaft guider. A rear spring 33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lange 32a of the 32 and the rear flange 31a of the main shaft 31 so as to be located rearward from the shaft guider 32, and the shaft guider. It consists of a front flange (31b) provided on the main shaft (31) and the front spring (34)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on the extension frame (20).

그리고,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일단과 접촉하여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61)이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61)의 윗면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돌기(6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frame 1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ain shaft 31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link 12, the guide bracket 61 for guiding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in shaft 31. ) Is integr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topper protrusion 62 which restrains the rear movement of the main shaft 31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bracket 61.

상기 록킹장치(40)는,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쿠션프레임(1)쪽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한 쪽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4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록킹브라켓(41)과, 상기 록킹브라켓(4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된 프레임가이더(42)를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록킹샤프트(43)와, 상기 프레임가이더(42)와 상기 록킹샤프트(43)의 플랜지(43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샤프트(43)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록킹스프링(44)으로 구성된다.The locking device 40 has one end coupled to the extension frame 20 and the other end protruded toward the cushion frame 1, and the gear groove 41a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lock frame 4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locking bracket 41 and the frame bracket fixed to the cushion frame 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cking bracket 41 are installed to move linearly through the guide 42 and have one end of the locking bracket 41. The locking shaft 43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41a, and the frame guider 42 and the flange 43a of the locking shaft 43 are installed to support both ends of the locking shaft 43. It is composed of a locking spring (44)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movement.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50)는,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버축(51)과, 상기 쿠션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결합된 레버(52)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록킹샤프트(43)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51)에 힌지축(53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로드(53)와,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레버(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축(51)에 형성된 플랜지(51a)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축(51)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54) 으로 구성된다.The lever device 50 includes a lever shaft 51 provided to linearly move through one side of the cushion frame 1, and the lever shaft 51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cushion frame 1. Lever 52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end,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ever shaft 51 protruding into the cushion frame 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haft 43, the cushion frame 51 A lever rod 53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53a through the hinge shaft 53a, a flange 51a formed on the lever shaft 51 so as to be located between the cushion frame 1 and the lever 52; It is composed of a lever spring 54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cushion frame 1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lever shaft (51).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차량의 탑승자가 시트쿠션에 앉게 되면, 탑승자의 하중을 받은 작동브라켓(10)은 후방쪽 끝이 제1,2회전링크(11,12)를 매개로 도 1 및 도 2의 도시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브라켓(10)은 도 4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전체적으로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을 향해 이동을 하게 된다.When the occupant of the vehicle sits on the seat cushion, the operating bracket 10 under the load of the occupant is clockwise in the state shown in FIGS. 1 and 2 via the first and second rotary links 11 and 12 at the rear end thereof. Since the rotating bracket, the operation bracket 10 is moved toward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as a whole as shown by the arrow shown in FIG.

작동브라켓(10)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메인샤프트(31)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5의 상태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방 끝은 익스텐션프레임(20)의 내부공간을 가로질러서 구멍(21)을 관통한 상태가 된다.When the operating bracket 10 moves forward, the main shaft 31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link 12 moves forward as shown in FIG. 5 from the state of FIG. 3. The front end of 31 passes through the hole 21 across the inner space of the extension frame 20.

또한, 메인샤프트(31)가 도 5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후방스프링(33)과 전방스프링(34)은 각각 최대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In addition, when the main shaft 31 is moved forward as shown in Figure 5, the rear spring 33 and the front spring 34 is in a state of being compressed to the maximum.

전방스프링(34)이 압축되면 이때의 복원력은 익스텐션프레임(20)으로 전달되고,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상기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쪽으로 이동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When the front spring 34 is compressed, the restoring force at this time is transmitted to the extension frame 20, and the extension frame 20 has a force to move for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front spring 34.

그러나, 록킹샤프트(43)가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에 삽입되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이동을 구속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록킹브라켓(41)과 일체로 결합된 익스텐션프레임(20)은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을 전달받더라도 전방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구속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locking shaft 43 is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41a of the locking bracket 41 to restrain the movement of the locking bracket 41, the extension frame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locking bracket 41. 20 does not move to the front even if the restoring force of the front spring 34 is transferred to exist in a restrained state.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가 도 4에 도시된 레버(52)를 원터치 방식으로 한 번 눌러주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레버축(51)과 레버로드(53)를 통해 상기 레버(52)의 조작력이 록킹샤프트(43)로 전달되어, 상기 록킹샤프트(43)는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In such a state, when the occupant presses the lever 52 illustrated in FIG. 4 once in a one-touch manner, the lever 52 is provided through the lever shaft 51 and the lever rod 53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operating force of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shaft 43, the locking shaft 43 is to move backward.

록킹샤프트(43)가 후퇴 이동을 하면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으로부터 상기 록킹샤프트(43)의 끝이 빠지게 되며, 이때부터 상기 록킹브라켓(41)은 구속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locking shaft 43 moves back, the end of the locking shaft 43 is removed from the gear groove 41a of the locking bracket 41, and from this time, the locking bracket 41 is in a restrained state. .

상기와 같이 록킹브라켓(41)의 구속이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전방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익스텐션프레임(20)은 도 4의 상태에서 도 6의 상태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하게 된다.When the restraint of the locking bracket 41 is released as described above, the extension frame 20 protrudes forward from the state of FIG. 4 as shown in FIG. 6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front spring 34.

따라서, 탑승자는 전방쪽으로 길이가 연장된 익스텐션프레임(20)을 통해 보다 편안한 자세로 시트에 착석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향상된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occupant can be seated in the seat in a more comfortable posture through the extension frame 20 extending in the front, it is possible to feel a more improved ride.

한편,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 눌러서 조작한 레버(52)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상기 레버(52)는 레버스프링(54)의 복원력에 의해 쿠션프레임(1)의 측부로 다시 돌출되어서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할 수 있게 되고, 동시에 상기 레버(52)와 연결된 레버로드(53)도 반대 방향 회전을 하여 록킹샤프트(43)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hand from the lever 52 which has been pushed once by the one-touch method, the lever 52 protrudes back to the side of the cushion frame 1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ver spring 54 to prepare for the next operation. At the same time, the lever rod 53 connected to the lever 52 also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the locking shaft 43 forward.

따라서, 록킹샤프트(43)는 그 끝이 도 7과 같이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재차 삽입되고, 이로 인해 익스텐션프레임(20)은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재차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 은 쿠션프레임(1)의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end of the locking shaft 43 is inserted into the gear groove 41a of the locking bracket 41 again as shown in FIG. 7, and thus the extension frame 20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Since the movement is again constrained in the state, the extension frame 20 can continuously maintain the state protruding forward of the cushion frame 1.

그리고, 전방으로 돌출된 익스텐션프레임(20)의 복귀를 위해 도 6의 상태에서 탑승자가 재차 레버(52)를 원터치 방식으로 눌러주게 되면, 상기 레버(52)의 조작력은 최종적으로 레버로드(53)를 통해 록킹샤프트(43)로 전달되어 상기 록킹샤프트(43)는 도 7의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후퇴 이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으로부터 상기 록킹샤프트(43)의 끝이 빠지게 된다.Then, when the occupant again pushes the lever 52 in a one-touch manner in the state of FIG. 6 to return the extension frame 20 protruding forward, the operating force of the lever 52 is finally the lever rod 53. It is transmitted to the locking shaft 43 through the locking shaft 43 is moved back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the state of Figure 7, and at the same time from the gear shaft (41a) of the locking bracket 41 to the locking shaft ( 43 ends.

그러면, 도 7과 같이 전방쪽으로 이동하고 있던 메인샤프트(31)는 압축된 후방스프링(33)의 복원력을 전달받아서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후방으로 후퇴이동을 하게 되고, 이와 함께 익스텐션프레임(20)도 후방으로 후퇴이동을 하게 된다.Then, the main shaft 31 that has been moved forward as shown in FIG. 7 receiv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rear spring 33 to retreat backward as shown by the arrow, and with the extension frame 20 as well. Retreat backwards.

후퇴이동을 하던 메인샤프트(31)는 후방쪽 끝이 도 3과 같이 스토퍼돌기(62)에 의해 구속되어 더 이상 이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바, 이때의 상태가 바로 도 1의 초기 상태이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여 다음 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The main shaft 31 that has been retracted has a rear end that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protrusion 62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main shaft 31 can not be moved anymore. 20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nd prepares for the next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를 이용하면 모든 탑승자는 최적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using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passengers can feel the optimum riding comfort.

또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레버(52)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user's convenience with a configuration that can be operated by one-touch operation of the lever 52.

또한,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나 또는 동력전달을 위해 유성기어세트를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구성이 간단하므로, 금형 제작비를 포함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r in configuration than a conventional device using a motor as a power source or a conventional device using a planetary gear set for power transmission, thereby greatly reducing costs including mold manufacturing cost. There are advantages to 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동력전달장치와 록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의 도면,3 is a view of a schematic configuration for explaining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locking device of FIG.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쿠션프레임 10 - 작동브라켓1-Cushion Frame 10-Operating Bracket

20 - 익스텐션프레임 30 - 동력전달장치20-Extension Frame 30-Power Train

40 - 록킹장치 50 - 레버장치40-Locking Device 50-Lever Device

Claims (7)

시트쿠션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쿠션프레임(1)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 작동브라켓(10)과;An operating bracket (10) installed hinged to the cushion frame (1) to move forward by the load of the seat cushion occupant;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돌출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연결되어 설치된 익스텐션프레임(20)과;An extension frame 20 connected to the cushion frame 1 so as to mov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and protrude; 상기 작동브라켓(10)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작동브라켓(10)에 연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할 때에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시 후방쪽으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힘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장치(30)와;It is installed to connect the operating bracket 10 and the extension frame 20 to move the extension frame 20 forward when moving for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bracket 10 and at the same time back to the rear A power train 30 providing a force to be able to return;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의 전방 및 후방 이동 동작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구비된 록킹장치(40)와;A locking device (40) provided in the cushion frame (1) and the extension frame (20) to constra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extension frame (20);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되면서 상기 록킹장치(4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장치(40)의 작동을 위해 원터치 방식으로 눌려져서 작동하는 레버장치(50);A lever device 50 provided at the cushion frame 1 and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locking device 40 to be pressed and operated in a one-touch manner fo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40; 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일단은 제1회전링크(11)를 매개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제2회전링크(12)를 매개로 상기 동력전달장치(30)의 일단과 연결되어 설치되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operating bracket (10) loc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frame (1)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1) via a first rotary link (11)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It is installe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through the rotary link 12; 상기 쿠션프레임(1)의 전방쪽에 위치한 상기 작동브라켓(10)의 타단은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쿠션프레임(1)과 분리되어 설치된 것;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bracket (10) located in front of the cushion frame (1) is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cushion frame (1) so as to be able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1);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은 중간부위가 상기 동력전달장치(30)와 연결되어 설치되고;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frame 20 is installed in the middle portion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상기 동력전달장치(30)와 연결된 중간부위의 좌우측에는 상기 쿠션프레임(1)쪽을 향하여 돌출된 프레임로드(22)가 각각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며;Frame rods 22 protruding toward the cushion frame 1 are respectively integrally install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상기 프레임로드(22)는 상기 쿠션프레임(1)에 구비된 로드가이더(23)속에 각각 수납되어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The frame rod 22 is installed so as to be accommodated in each of the rod guiders (23) provided in the cushion frame (1) to move;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장치(30)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30,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쪽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을 관통하여 설치된 메인샤프트(31)와;A main shaft 31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second rotary link 12 and the other end extending forward to pass through the extension frame 20; 상기 메인샤프트(31)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중간부위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쿠션프레임(1)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된 샤프트가이더(32)와;A shaft guider 32 fitted to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main shaft 31 and fixedly coupled to the cushion frame 1 so that the main shaft 31 can move through the shaft; 상기 샤프트가이더(32)의 플랜지(32a)와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후방플랜지(31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후방스프링(33)과;A rear spring (33) installed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by a flange (32a) of the shaft guider (32) and a rear flange (31a) provided in the main shaft (31) so as to be located rearward from the shaft guider (32); 상기 샤프트가이더(32)에서 전방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샤프트(31)에 구비된 전방플랜지(31b)와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전방스프링(34);A front flange (34)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front flange (31b) provided on the main shaft (31) and the extension frame (20) so as to be located forward from the shaft guider (32);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1)의 후방쪽에는 상기 제2회전링크(12)와 연결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일단과 접촉하여서 상기 메인샤프트(31)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61)이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되고;5. The guide of claim 4, wherein the rear side of the cushion frame 1 is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main shaft 31 connected to the second rotary link 12 to guide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main shaft 31. The bracket 61 is integrally coupled and installed; 상기 가이드브라켓(61)에는 상기 메인샤프트(31)의 후방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돌기(6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 것;A stopper protrusion (62) protruding integrally from the guide bracket (61) to restrain the rear movement of the main shaft (31); 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40)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ocking device 40, 상기 익스텐션프레임(2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쿠션프레임(1)쪽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한 쪽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기어홈(41a)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록킹브라켓(41)과;A locking bracket (4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xtension frame (20)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toward the cushion frame (1) and having a gear groove (41a) continuously formed in one s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록킹브라켓(41)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상기 쿠션프레임(1)에 고정 설치 된 프레임가이더(42)를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면서 일단이 상기 록킹브라켓(41)의 기어홈(41a)속으로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록킹샤프트(43)와;One end is installed in the gear groove 41a of the locking bracket 41 while being installed to move linearly through the frame guider 42 fixed to the cushion frame 1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cking bracket 41. A locking shaft 43 inserted into the lock shaft; 상기 프레임가이더(42)와 상기 록킹샤프트(43)의 플랜지(43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샤프트(43)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록킹스프링(34);A locking spring (34)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rame guider (42) and the flange (43a) of the locking shaft (43) to impart an elastic return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locking shaft (43);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치(50)는,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ever device 50,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레버축(51)과;A lever shaft 51 installed to move linearly through one side of the cushion frame 1; 상기 쿠션프레임(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결합된 레버(52)와;A lever 52 coupled to an end of the lever shaft 51 protruding outward of the cushion frame 1; 상기 쿠션프레임(1)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레버축(51)의 끝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록킹샤프트(43)에 타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힌지축(53a)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로드(53)와;One e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lever shaft 51 protruding into the cushion frame 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cking shaft 43 to rotate through the hinge shaft 53a on the cushion frame 1. A lever rod 53 provided to be capable of being installed; 상기 쿠션프레임(1)과 상기 레버(52)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축(51)에 형성된 플랜지(51a)와 상기 쿠션프레임(1)의 일측면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레버축(51)의 이동에 탄력적인 복귀력을 부여하는 레버스프링(54);A flange 51a formed on the lever shaft 51 and one end of the cushion frame 1 are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cushion frame 1 and the lever 52 so that both ends are supported. A lever spring 54 for imparting a resilient return force to the movement of c);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KR1020090078464A 2009-08-25 2009-08-25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5063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en) 2009-08-25 2009-08-25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en) 2009-08-25 2009-08-25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965A true KR20110020965A (en) 2011-03-04
KR101506351B1 KR101506351B1 (en) 2015-03-26

Family

ID=4392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464A KR101506351B1 (en) 2009-08-25 2009-08-25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351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6531B2 (en) 2015-05-20 2017-10-03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or vehicle
US9896009B2 (en) 2014-05-08 2018-02-20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cushion of vehicle
WO2018182330A1 (en) * 2017-03-29 2018-10-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Two-feet extension seat
KR20190057905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Multistage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2688A (en) * 1998-05-28 1999-12-07 Ikeda Bussan Co Ltd Motor-driven ottoman device
KR200440263Y1 (en) 2007-01-29 2008-06-03 (주)디디디 leg suppoter for vehicle sea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6009B2 (en) 2014-05-08 2018-02-20 Hyundai Dymos Incorporated Seat cushion of vehicle
US9776531B2 (en) 2015-05-20 2017-10-03 Hyundai Motor Company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or vehicle
WO2018182330A1 (en) * 2017-03-29 2018-10-04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Two-feet extension seat
KR20190057905A (en) * 2017-11-21 2019-05-29 주식회사다스 Multistage manual cushion extens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351B1 (en) 2015-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6784B2 (en) Vehicle seat
KR101736831B1 (en) Automatic headrest
US7992933B2 (e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JP2007196897A (en) Seat
JP2006327406A (en) Vehicular seat, and occupant back supporting method by the seat
KR101353959B1 (en) Auxiliary seat ext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cushion
KR20110020965A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0636402B1 (en) Lumbar support device for automobile
KR200476827Y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559181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578944B1 (en) Apparatus for folding and wake-in motionsof seat back in vehicle
KR101592035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KR101499998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WO2016046903A1 (en) Vehicle seat
KR20170061925A (en) Cervical vertebral support of headrest for seat
KR101559182B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JP2006224847A (en) Vehicular seat
KR20160067346A (en) Apparatus for folding headrest in vehicles
KR101372108B1 (en) Sliding lever with linkage of control of seat&#39;s height
KR102460776B1 (en) Convenience apparatus for vehicle
JP2006123722A (en) Headrest
KR102092027B1 (en) head rest for vehicle
KR100330874B1 (en) Control Type Headrest of Vehicle Seat
KR102052387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seat back bolster
KR100297135B1 (en)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