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168A -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168A
KR20110020168A KR1020100069423A KR20100069423A KR20110020168A KR 20110020168 A KR20110020168 A KR 20110020168A KR 1020100069423 A KR1020100069423 A KR 1020100069423A KR 20100069423 A KR20100069423 A KR 20100069423A KR 20110020168 A KR20110020168 A KR 20110020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ump
strainer
fuel pump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 엘. 빌레어
로버트 홀설
미첼 이. 하트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0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1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76Details of the fuel feeding system related to the fuel tank
    • F02M37/0088Multiple separate fuel tanks or tanks being at least partially partitioned
    • F02M37/0094Saddle tanks; Tanks having partition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3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by the filter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44Filter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3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filters or filter arrangements
    • F02M37/50Filters arranged in or on fuel tan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 Y10T137/86171With pump byp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by-pass fuel system)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연료가 통과할 수 없도록 디젤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빙결정이 형성된 경우에,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바이패스 밸브를 거쳐 디젤 연료가 선택적으로 통과함으로써, 디젤 엔진으로의 적절한 연료 흐름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엔진에 의해 가열된 리턴 연료는 왁싱 및 결정화를 분해하는데 조력하도록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상에 직접 지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는 바이패스된 연료의 조분 연료 스트레이닝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DIESEL FUEL PUMP MODULE WITH FUEL WAX BY-PASS}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연료 탱크와 접속되는 연료 펌프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왁싱된 디젤 연료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차단하는 경우, 보조 연료 포트와 바이패스 밸브를 거쳐 연료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바이패스할 수 있는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연료 탱크는 연료를 저장할 뿐만 아니라, 연료를 첨가하고, 연료를 (즉, 엔진으로) 전달하며 연료량을 모니터하기 위한 설비도 구비해야 한다. 연료 탱크 외측 셀의 개구와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는 연료 펌프 모듈을 거쳐 연료 전달 및 모니터링 기능을 조합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도 1은 예컨대 2개의 연료 섬프(fuel sumps)(10a, 10b)를 형성하는 안장 형상을 갖는 자동차 연료 탱크(10)의 일례를 도시한다. 연료 탱크 외측 셀(12)은 각각의 연료 섬프(10a, 10b) 위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개구(12a, 12b)를 구비한다. 제 1 섬프(10a)에서, 연료 펌프 모듈(14)이 제 1 개구(12a)와 밀봉식으로 접속하고, 제 2 섬프(10b)에서, 이송 라인(18)을 거쳐 연료 펌프 모듈(14)에 유체식으로 연결된 부수적인 연료 이송원(16)이 제 2 개구(12b)와 밀봉식으로 접속된다.
연료 펌프 모듈(14)은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일부이다.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에 관해서는, 연료 펌프 모듈로 다시 연료를 루핑하거나 또는 연료 펌프 모듈 내의 연료를 루핑하는 피드 및 바이패스 연료 라인이 있다. 용어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by-pass fuel systems)"은 "리턴 연료 시스템(return fuel systems)" 및 "기계식 리턴리스 연료 시스템(mechanical returnless fuel systems)" 양자를 지칭한다.
도 2는 디젤 연료를 디젤 엔진에 전달하기 위한 리턴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에 관한 도 1에서의 연료 펌프 모듈(14)의 방식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연료 펌프 모듈(20)의 기능적 관점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모듈 저장기(22)는 플라스틱 모듈 측벽(20a)에 의해 형성된다. 연료 펌프(24)는 모듈 저장기 내의 중공형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hollow fuel pump fuel strainer)(26)를 통해 저장기 연료(FR)를 이동시키고, 그 다음 스트레인된 연료(FS)가 연료 펌프(24)에 의해 펌핑되고, 그 후 스트레인되어 펌핑된 연료(FP)는 인라인 연료 필터(28)와 피드 연료 라인(30)을 거쳐 디젤 엔진(40)으로 전달된다.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은 연료를 연속적으로 펌핑하고, 엔진에 의해 이용되지 않은 임의의 양은 바이패스 스트레인된 연료(FB)로서 리턴 연료 라인(34)을 거쳐 연료 펌프 모듈(20)로 리턴되며, 연료 펌프(24)와 디젤 엔진(40) 사이에 압력 조절기(도시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트레인된 연료(FB)는 스탠드파이프(standpipe)(48)를 거쳐 제트 펌프(36)에 의해 모듈 저장기(22) 내로 배출된다. 이와 관련하여, 바이패스 스트레인된 연료(FB)가 모듈 저장기 내에서 미리 저장기 연료(FR)와 혼합하기 때문에, 독특하게 인식가능한 독립체로서 더 이상 분리되지 않고, 단지 저장기 연료(FR) 성분의 혼합된 관점이 되며, 모든 저장기 연료는 연료 펌프로 도입되기 전에 스트레인되어야 한다.
종래기술의 이와 같은 구성이 잘 작동하지만, 디젤 연료가 "클라우드(clouds)"와 같이 왁싱되어,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과하기에 너무 점성이 있을 수 있고, 그 때문에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하는 연료 통로가 좁아질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예컨대 디젤 연료의 왁싱 및/또는 빙결정화가 발생하여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 차단을 발생시킴으로써 디젤 엔진에 연료 공급이 되지 않을 수 있는 매우 추운 조건에 위치된다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왁싱된 연료가 연료 펌프를 거쳐 엔진에 의해 요구된 속도로 전달됨에도 불구하고, 왁싱된 연료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차단하는 어떠한 경우,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에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디젤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가 차단되게 빙결정이 형성된 경우에, 디젤 연료가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디젤 엔진의 연료 수요량에 따라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fuel wax by-pass system)은, 보조 연료 포트,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즉, 압력 릴리프 밸브), 그리고 선택적으로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를 구비하며, 상기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부의 (보다 낮은) 연료압과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외부에 인접한 (보다 높은) 연료압 사이의 적어도 소정의 연료 차압이 존재하지 않으면 연료가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며, 바이패스 밸브는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연료가 흐를 수 있도록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작동시에, 디젤 연료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외부의 연료압 간의 연료 차압이 연료 펌프에 의한 연료 펌핑에 응답하는 소정의 연료 차압보다 낮도록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통상적으로 자유롭게 흐를 것이며, 바이패스 밸브는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에 있어서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가 통과하지 않는다. 예컨대, 연료 펌프에 의한 연료 펌핑에 응답하여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연료가 자유롭게 흐르지 않도록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빙결정이 형성된 상황, 예컨대 추운 연료 탱크 환경에서와 같이,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가 차단되는 경우, 연료 차압은 증가할 것이다. 연료 차압이 소정의 연료 차압에 도달(또는 초과)한다면, 연료 차압을 감지하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 상태를 취할 것이고, 그 때문에 왁싱된 연료 및/또는 결정은 보조 연료 포트 및 (존재한다면)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로부터 연료 펌프로 통과할 수 있어, 엔진에 의해 요구된 연료 속도를 제공한다. 연료 차압이 소정의 연료 차압 이상으로 유지되기만 한다면,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 유지되어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연료를 통과시킨다. 그러나, 소정의 연료 차압 아래로 통과하도록 연료 차압이 낮춰지도록 왁싱 및/또는 결정화가 줄어든(즉, 분해) 경우, 바이패스 배브는 연료가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상적으로 폐쇄된 상태를 취할 것이다.
보조 연료 포트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 대해 상승된, 모듈 저장기 내의 상승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오염물이 보조 연료 포트 아래 그리고 그로부터 떨어지게 배치될 것이다. 또한, 스트레인된 리턴 연료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향한(즉, 그 상의) 흐름으로서 유동식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디젤 엔진의 열에 의해 가열된 리턴 연료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둘러싸는 임의의 왁싱된 연료 및/또는 빙결정을 분해(즉, 용융)하는데 조력하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연료의 통과가 차단되도록 디젤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빙결정이 형성된 경우에 디젤 연료가 보조 연료 포트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어서 디젤 엔진으로부터의 연료 수요량에 따라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연료 탱크의 사시도로서, 특히 연료 탱크와 접속된 연료 펌프 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종래기술의 연료 펌프 모듈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연료 펌프 모듈의 개략도로서,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구비함,
도 3a는 도 3의 3A-3A선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4는 도 3과 유사한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연료 펌프 모듈의 개략도로서,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구비하지 않음,
도 4a는 도 4의 4A-4A선을 따라 취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의 변형례를 구비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연료 펌프 모듈의 개략도,
도 6은 도 3의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한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연료 펌프 모듈의 개략도로서, 왁싱된 연료 및/또는 빙결정화된 경우 동안의 바이패싱하는 연료의 동작을 도시함.
도면을 참조하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을 구비하는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용 연료 펌프 모듈의 각종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디젤 연료를 디젤 엔진으로 전달하기 위한 리턴 연료 시스템의 연료 탱크에 대해, 예컨대 도 1에서의 연료 펌프 모듈(14)의 방식에서와 같은 연료 펌프 모듈(100)의 기능적 관점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모듈 저장기(102)는 플라스틱 모듈 측벽(102a)에 의해 형성된다. 연료 펌프(104)는 모듈 저장기 내의 중공형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터(106)를 통해 저장기 연료(FR)를 이동시키고, 그 다음 스트레인된 연료(FS)가 연료 펌프(104)에 의해 디젤 엔진(108)으로 펌핑되며, 그 후 스트레인되어 펌핑된 연료(FP)는 인라인 연료 필터(112)를 갖는 피드 연료 라인(110)을 거쳐 디젤 엔진으로 전달된다.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은 연료를 연속적으로 펌핑하고, 엔진에 의해 이용되지 않은 임의의 양은 바이패스 스트레인된 연료(FB)로서 리턴 연료 라인(114)을 거쳐 연료 펌프 모듈(100)로 리턴되며, 연료 펌프(104)와 디젤 엔진(108) 사이에 압력 조절기(도시하지 않음)가 위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스트레인된 연료(FB)는 스탠드파이프(118)의 단부에 배치된 제트 펌프(116)를 거쳐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9106) 상에서 직접 흐르는 연료 흐름류(FO)로서 배출되고, 그 결과 저장기 연료(FR)의 일부가 되도록 혼합한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 연료 흐름류(FO)가 디젤 엔진(108)으로부터의 열에 의해 가열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열은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를 둘러싸는 저장기 연료에 교대로 가해지고, 이에 의해 임의의 왁싱된 연료 및/또는 빙결정이 분해된다.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빙결정이 형성되어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를 통해 저장기 연료(FR)가 연료 펌프(104)로 통과하는 것이 차단되는 온도에서 연료 펌프 모듈(100)이 잘 작동할 수 있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120, 120', 102")이 제공된다.
도 3 및 도 3a를 참조하면,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120)은 보조 연료 포트(128)와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124)를 구비하며, 또한 바람직하게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가 구비된다.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120)은, 바람직하게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의 중공부(H')를 거쳐 연료 펌프(104)에 유체식으로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비교예로서, 도 4 및 도 4a에는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가 구비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는 바람직하게 보조 연료 포트(128)에 배치되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 메시 사이즈보다 큰 개구 메시 사이즈를 가지므로 왁싱된 연료 및/또는 빙결정이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122a)를 통과할 수 있지만, 큰 오염물은 통과할 수 없다.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는 일체형 입자 흐름 제한기(integral particle restrictor) 또는 별개의 스트레이닝/필터 부품(separate straining/filter component)을 구비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의 개구 메시 사이즈는 약 1 mm 이상의 단면적 범위를 갖는 개구(122a)를 가질 수 있다. 비교예 및 비제한적인 예로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의 개구 메시 사이즈는 약 0.1 mm 내지 약 0.5 mm의 범위일 수 있다. 보조 연료 스트레이너(122)의 개구(1220a)의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보조 연료 포트(128)가 덜 방해된다. 실제로, 도 4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가 생략될 수 있으며, 보조 연료 포트(128)는 방해받지 않는다.
보조 연료 포트(128)의 위치[바람직하게, 존재하는 경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의 위치]는 모듈 저장기(102)에 대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보조 연료 포트(128)는 모듈 저장기(102)의 바닥으로부터 약 20.0 mm 내지 약 50.0 mm의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오염물이 모듈 저장기(102)의 바닥부에서 침전물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연료 내에 배치되도록 보조 연료 포트(128)를 모듈 저장기 내에서 높지만 모듈 저장기 내의 일반적인 연료 레벨 아래에 위치됨으로써, 보조 연료 포트에 도달하는 미립자의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도 3 내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연료 포트(128)의 상승된 배치를 제공하기 위해,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120, 120')은 보조 연료 포트(128)[및 도 3 및 도 3a의 보조 연료 스트레이너(122)]를 거쳐 상측의 상단부(126a)를 저장기 연료(FR)와 유체식으로 연통시키며 하측의 하단부(126b)를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의 중공부(H')와 유체식으로 연통시키는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바이패스 튜브(126)를 구비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연료 펌프 모듈(100')이 도 3에서와 동일한 기능과 참조부호를 지닌 부품을 구비함]와 같이,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120")은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스트레이너 중공형 레그(106a)와 중공형 본체(106b)를 갖는 대체로 L자형의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를 구비하며, 스트레이너 레그는 보조 연료 포트(128)[선택적으로,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를 거쳐 상측의 상단부(106c)를 저장기 연료(FR)와 유체식으로 연통시키고, 그 중공부(H")는 하측의 하단부(106d)를 본체(106b)의 중공부(H")와 유체식으로 연통시킨다.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124)는, 예컨대 탄성 가압식 폐쇄된 압력 릴리프 밸브 또는 다른 통상적으로 폐쇄된 밸브이며, 개방 및 폐쇄 상태는 압력 결정되고, 바이패스 밸브는 통상적으로 작동하는 연료압 하에서 통상적으로 폐쇄된다. 바이패스 밸브(124)는 보조 연료 포트(128)[존재하는 경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122)]와 연료 펌프(104), 가장 바람직하게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 106')의 중공부 사이에 배치되며, 외부의 밸브측(124a)에서의 저장기 연료(FR)의 연료압(P1)과 내부의 밸브측(124b)에서의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의 스트레인된 연료(Fs)의 연료압(P2) 사이의 연료 차압을 감지하며, P1 -P2는 차압 ΔP이다.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124)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조 연료 포트(128)로부터 연료 펌프(104)로 연료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지만,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보조 연료 포트로부터 연료 펌프로 연료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한다. 예컨대, 왁싱 또는 아이싱으로 인해,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 106')에서 연료가 차단되는 연료 흐름 상황을 나타내는 경험적 실험 또는 다른 방법에 근거하여, 소정의 연료 차압 ΔPP이 결정된다.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부의 (보다 낮은) 연료압(P2)과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외부의 (보다 높은) 연료압(P1) 사이의, 바이패스 밸브(124)에서 감지된 차압 ΔP이 ΔP < ΔPP이면, 바이패스 밸브는 폐쇄 상태로 유지되지만, ΔP > ΔPP이면, 바이패스 밸브는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연료가 흐를 수 있도록 개방 상태로 전환한다.
작동시에, 디젤 연료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외부의 연료압들 사이의 연료 차압이 연료 펌프(104)에 의한 연료 펌핑에 응답하는 소정의 연료 차압보다 낮도록, 통상적으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106, 106')를 통해 자유롭게 흐를 것이며, 바이패스 밸브(124)는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에 있어 보조 연료 포트(128)를 통해 연료가 통과하지 않는다. 예컨대, 추운 연료 탱크 환경에서와 같이, 연료가 왁싱되고/되거나 빙결정이 형성된 경우에,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가 차단되어, 연료 펌프에 의한 연료 펌핑에 응답하여 자유롭게 흐를 수 없게 되고, 그 때문에 연료 차압이 증가한다. 연료 차압이 소정의 연료 차압을 초과하면, 통상적으로 폐쇄된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 상태로 전환할 것이고, 그 때문에 왁싱된 연료 및/또는 결정이 보조 연료 포트(존재한다면,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연료 펌프 내로 통과하므로, 엔진에 의해 요구된 연료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연료 차압 ΔP이 소정의 연료 차압 ΔPP보다 높에 유지되기만 한다면, 바이패스 밸브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어,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연료를 통과시킬 것이다. 그러나, 연료 차압이 소정의 연료 차압 아래로 통과하게끔 낮춰지도록(즉, ΔP < ΔPP) 왁싱 및/또는 결정화가 줄어든 경우(즉, 왁스/아이스가 분해됨), 바이패스 밸브는 통상적으로 폐쇄된 상태로 다시 전환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유일하고 장점적인 특징을 구비한다. 디젤 연료용으로 대체로 직조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는, 디젤 연료 온도가 담점("cloud" point) 아래로 떨어지면 막힐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바이패스는 개방할 것이고, 왁싱된 연료는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연료 펌프로 통과할 수 있다. 보조 연료 포트는 정착된 미립자로부터 이격된 모듈 젖아기 내에서 비교적 높게 배치된다.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제공되는 경우)의 개구의 메시 사이즈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것보다 크지만, 연료 펌프로의 큰 미립자를 스트레인될 것이다. 또한, 모듈 저장기 제트 펌프 배출부는 이러한 배출부가 가열된 엔진 리턴 연료의 형태라는 점에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상에 직접 지향되어, 연료 온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주위의 왁싱된 연료 및/또는 빙결정의 제거를 가속화할 것이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변경 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알 수 있다. 이러한 변경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용 연료 펌프 모듈에 있어서,
    모듈 저장기(module reservoir);
    상기 모듈 저장기 내에 배치된 연료 펌프(fuel pump);
    상기 연료 펌프에 연결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fuel pump fuel strainer); 및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fuel wax by-pass system);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상기 모듈 저장기 내에 배치된 보조 연료 포트; 및
    상기 보조 연료 포트와 상기 연료 펌프 사이에 배치되며, 차압(fuel pressure differential)에 응답하여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연료가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도록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한 펌핑에 응답하여 연료가 유동식으로 펌핑됨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 의해 연료가 스트레이닝되지만,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부의 연료와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외부의 연료 사이에 소정의 연료 차압이 존재하도록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연료가 흐르게 하도록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연료 펌프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return fuel discharge)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 메시 사이즈보다 큰 개구 메시 사이즈를 갖는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모듈 저장기에 대해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모듈 저장기에 대해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바이패스 튜브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이패스 튜브의 하단부는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중공부에 유체식으로 연결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보조 연료 포트와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사이의 상기 바이패스 튜브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모듈 저장기에 대해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 메시 사이즈보다 큰 개구 메시 사이즈를 갖는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는 중공형 본체를 일체로 결합하는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배향된 중공형 레드를 포함하는 L자 형상을 갖고,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레그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레그의 하단부는 상기 본체를 결합하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보조 연료 포트와 상기 본체 사이의 상기 레그 내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모듈 저장기에 대해 높은 높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본체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 메시 사이즈보다 큰 개구 메시 사이즈를 갖는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본체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5. 바이패스 연료 시스템용 연료 펌프 모듈에 있어서,
    모듈 저장기(module reservoir);
    상기 모듈 저장기 내에 배치된 연료 펌프(fuel pump);
    상기 연료 펌프에 연결된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fuel pump fuel strainer); 및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fuel wax by-pass system);을 포함하며,
    상기 연료 왁스 바이패스 시스템은,
    상기 모듈 저장기 내에 배치된 보조 연료 포트;
    상기 보조 연료 포트와 상기 연료 펌프 사이에 배치되며, 차압(fuel pressure differential)에 응답하여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바이패스 밸브; 및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개구 메시 사이즈보다 큰 개구 메시 사이즈를 갖는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auxiliary coarse fuel strainer)로서, 상기 보조 연료 포트는 상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와 유체식으로 연통하는, 상기 보조 조분 연료 스트레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연료가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흐르는 것이 방지되도록 통상적으로 폐쇄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한 펌핑에 응답하여 연료가 유동식으로 펌핑됨에 따라 상기 연료 펌프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 의해 연료가 스트레이닝되지만,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부의 연료와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외부의 연료 사이에 소정의 연료 차압이 존재하도록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에서 연료가 차단되는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연료가 흐르게 하도록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연료 펌프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리턴 연료 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에 의해 펌핑된 연료는 엔진으로 전달되고, 상기 엔진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연료는 상기 리턴 연료 배출부에 의해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쪽으로 지향됨으로써 상기 모듈 저장기로 리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펌프 모듈.
  17. 연료 펌프의 상류에 있는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연료 펌프에 디젤 연료를 전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조 연료 포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의 연료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외부의 연료와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 내부의 연료 사이의 연료 차압이 실질적으로 소정의 연료 차압 이상인 경우,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연료 흐름이 허용되고, 그렇지 않으면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해 상기 연료 펌프로 연료 흐름이 방지되는 디젤 연료 전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차단은 연료 왁싱(fuel waxing)과 빙결정 형성(ice crystal formation) 중 하나 이상으로 인한 것이며,
    엔진으로부터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향해 리턴 연료를 지향시켜서, 상기 연료 왁싱과 상기 빙결정 형성 중 하나 이상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연료 전달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연료 포트를 통과하는 연료를 조분 스트레이닝(coarse straining)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분 스트레이닝 단계는,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스트레이닝에 의해 스트레인된 것보다 큰 입자의 연료 펌프로의 통과를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연료 전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의 차단은 연료 왁싱(fuel waxing)과 빙결정 형성(ice crystal formation) 중 하나 이상으로 인한 것이며,
    엔진으로부터 상기 연료 펌프 연료 스트레이너를 향해 리턴 연료를 지향시켜서, 상기 연료 왁싱과 상기 빙결정 형성 중 하나 이상을 분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젤 연료 전달 방법.
KR1020100069423A 2009-08-21 2010-07-19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 KR201100201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545,382 2009-08-21
US12/545,382 US20110041931A1 (en) 2009-08-21 2009-08-21 Diesel Fuel Pump Module with Fuel Wax By-P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168A true KR20110020168A (ko) 2011-03-02

Family

ID=4360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423A KR20110020168A (ko) 2009-08-21 2010-07-19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10041931A1 (ko)
KR (1) KR20110020168A (ko)
DE (1) DE1020100344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726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코아비스 연료 탱크 리저버
DE102012020321A1 (de) 2012-10-13 2014-05-0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versorgungseinrichtung
CN104838128B (zh) 2012-10-13 2017-09-12 大众汽车有限公司 燃料供应装置
JP6476722B2 (ja) 2014-10-13 2019-03-06 株式会社デンソー 燃料供給装置
DE102015013052A1 (de) 2015-10-08 2016-05-25 Daimler Ag Vorfilter zum Filtern von Kraftstoff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GB2560714A (en) * 2017-03-20 2018-09-26 Delphi Int Operations Luxembourg Sarl Diesel fuel filter
KR20210012207A (ko) * 2019-07-24 2021-02-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시스템용 메쉬필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3885A (en) * 1983-12-16 1985-03-12 Chrysler Corporation Engine fuel supply system
US7117855B1 (en) * 2006-03-14 2006-10-10 Delphi Technologies, Inc. Diesel reservoir ice bypass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0034434A1 (de) 2011-03-31
US20110041931A1 (en)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0168A (ko) 연료 펌프 모듈 및 디젤 연료 전달 방법
US5740784A (en) Fuel control system
EP1653075B1 (en) Automatic water drain for suction fuel water separators
US7069913B1 (en) Fuel delivery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KR101425391B1 (ko) 유체 연료에 존재하는 물, 특히 디젤 오일로부터 물을 분리및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835182B1 (en) Vehicle hydraulic system
US5776341A (en) Fuel intake device for fuel systems
US10471374B2 (en) Filtration system for providing clean fuel
US20050121374A1 (en) Device for bleeding the separated water from a fuel filter
EP0939218A2 (en) Fuel supply apparatus
US20100065023A1 (en) Anti-Clogging Fuel Pump Module
AU2010342588B2 (en) Deep-well pump system
JP6469198B1 (ja) 濾過装置
US11333116B2 (en) Water drain mechanism for filter assemblies
US20130220574A1 (en) Fluid cooling apparatus
CN107762693B (zh) 燃油喷射系统及其供油组件
JP6706545B2 (ja) 油圧装置
US7117855B1 (en) Diesel reservoir ice bypass valve
CN108716487A (zh) 拖拉机共用油用液压系统及拖拉机
US20160177899A1 (en) Fuel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79911A (ja) 流体供給回路内にある流体を加熱する系統
JP4239685B2 (ja) 燃料供給装置
EP2078845A1 (en) Preventing water ingress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562385A (zh) 燃料箱储存器
CN112211762B (zh) 发动机油路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