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0019A - 제본 장치 - Google Patents

제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0019A
KR20110020019A KR1020090077682A KR20090077682A KR20110020019A KR 20110020019 A KR20110020019 A KR 20110020019A KR 1020090077682 A KR1020090077682 A KR 1020090077682A KR 20090077682 A KR20090077682 A KR 20090077682A KR 20110020019 A KR20110020019 A KR 20110020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driven
gear
uni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헌
Original Assignee
정철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헌 filed Critical 정철헌
Priority to KR1020090077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20019A/ko
Publication of KR2011002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00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9/00Multi-step processes for making books

Abstract

본 발명은 제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면에 작업을 위한 종이가 적재되는 몸체부와, 적재된 종이를 이송시키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의 중앙을 절곡시키는 절곡부; 그리고,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 두장을 테이프로 붙이는 테이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로딩부, 절곡부, 테이핑부

Description

제본 장치{A Book Binding System}
본 발명은 제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앨범 등을 제조할 때, 자동으로 간편하게 제본할 수 있는 제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본은 인쇄된 낱장의 본문 내지는 사진 등을 추려서 책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데, 제본의 종류는 다양한데 크게 양장제본, 반양장제본, 중철제본, 무선철제본 등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먼저, 양장제본은 내지와 표지를 따로 가공하여 제본하는 방식인데 실로맨 내지를 다듬재단한 다음 표지에 싸서 만든다. 표지를 내지보다 조금 크게 만들어 약간 튀어 나오게 한 것이 특징인데, 양장제본으로 제조된 책은 펼치면 중간연결면이 평면으로 표현되어, 책이 아름답고 튼튼하여 사전류나 장서류나 그림책 등에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양장제본으로 책을 만드는 방법은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시간이 길고, 재료의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반양장제본은 내지를 실로 꿰맨 다음 표지를 씌우고 표지와 내지를 함께 다듬질하는 제본으로서 표지는 일반적으로 아트지나 백상지를 사용한다. 반양장으로 만든 책도 책장이 완전히 펴져 양장제본과 마찬가지로 보이지만 양장제본에 비하여 견고하지 못하고 아름다움이 덜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철제본은 주간지 등에서 많이 이용되는 방법으로, 내지에 표지를 대고 펼쳐놓은 다음에 한 가운데를 실이나 철사로 맨 다음, 한가운데를 접어 표지와 함께 다듬제단하여 마무리하는 제본인데, 양장제본에 비해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비용이 절감되기는 하나, 책의 모양이 아름답지 못하여 적용될 수 있는 책의 종류에 제한이 있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인해, 일반적으로 앨범같은 미적인 면이 더욱 요구되는 제본은 양장제본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양장제본에 의한 경우, 모든 작업이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져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고,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본 공정 중 가장 까다로운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비용이 낮아지는 제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제본 장치는, 상면에 작업을 위한 종이가 적재되는 몸체부와, 적재된 종이를 이송시키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의 중앙을 절곡시키는 절곡부; 그리고,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 두장을 테이프로 붙이는 테이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부는, 상기 종이를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시키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1롤러부; 그리고, 상기 제 1롤러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2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제 1롤러부와 상기 제 2롤러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부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제 1절곡부와 제 2절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절곡부는, 둘레를 따라 제 1홈이 형성되는 제 1상부롤러와, 상기 제 1홈에 맞물리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하부롤러와, 상기 제 1상부롤러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절곡부는, 둘레를 따라 제 2홈이 형성되는 제 2상부롤러와, 상기 제 2홈에 맞물리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2하부롤러와, 상기 제 2상부롤러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1홈은 상기 제 2홈에 대해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다수개의 노즐에 형성되어 노즐의 선단에 종이를 흡착할 수 있는 진공흡착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에 링크구동하는 바가 마련되어, 상기 종이를 픽업할 때, 종이가 우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는 울림방지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가 종이와 접근 이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울림방지부는, 길이를 가지는 원형의 바와,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1링크; 그리고, 일단은 상기 바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 1링크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되는 제 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상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상단과 제 1축으로 연동하는 제 1종동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의 하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과 제 2축으로 연동하는 제 2종동기어와, 상기 제 1종동기어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1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 1축이 상기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종동링크와, 상기 제 2종동기어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 2축이 상기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종동링크; 그리고, 상기 제 1축이 이동하도록 제 1수평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축이 이동하도록 제 2수평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축과 상기 제 2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수직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평가이드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 및 상기 수직가이드는 'F'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테이핑부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롤러와, 상기 상부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와, 동력을 인가받아 직선운동하는 랙와, 상기 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와, 상기 피니언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과 링크에 의해 회전축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한 자유기어와, 상기 자유기어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종동롤러와, 상기 제 1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종동롤러와, 상기 제 2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배출롤러와, 상기 제 1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와,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3종동롤러와, 상기 제 3종동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회전축에 기어가 마련되는 홈롤러와, 상기 홈롤러의 홈에 맞물리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롤러의 기어와 잇수비가 다른 기어가 형성되는 돌기롤러;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홈롤러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본작업에서 내지를 절곡하는 작업과 테이핑하는 작업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효율이 좋아 작업속도가 높아지고, 작업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작업을 위한 내지가 적재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내지를 이송시키는 로딩부(20)와, 상기 로딩부(20)에 의해 이송되는 내지의 중앙을 절곡시키는 절곡부(60)와, 상기 로딩부(20)에 의해 이송되는 내지 두장을 테이프로 붙이는 테이핑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에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작업을 위한 아래에서 설명될 가공 장치가 설치되고, 상면에 제본 작업을 위한 내지가 적재되기 위한 적재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적재부(12)는 평면으로 구성되어, 양측에는 가이드턱(14)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턱(14)은 상기 적재부(12)의 횡방향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는 내지의 폭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부(12)에는 중앙에 날(16)이 마련된다. 상기 날(16)은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는 내지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테이핑작업시 날(16)의 두께만큼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에는 로딩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는 내지들을 픽업하여 절곡부(60) 또는 테이핑부(8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지를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22)과, 상기 이송유닛(22)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시키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1롤러부(52)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유닛(22)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2롤러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로딩부(20)에는 이송유닛(22)이 마련된다. 상기 이송유닛(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2)의 내지를 절곡부(60)가 구동될 때는 한장씩 테이핑부(80)가 구동될 때는 두장씩 픽업하여 로딩부(20)로 내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유닛(22)은, 상술한 기능을 위해,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24)와, 상기 프레임부(24)의 하단에 다수개의 노즐(25)이 형성되어 노즐(25)의 선단에 종이를 흡착할 수 있는 진공흡착부(26)와, 상기 프레임부(24)의 하방에 링크구동하는 바(27a)가 마련되어, 상기 내지를 픽업할 때 내지가 우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는 울림방지부(28)와, 상기 프레임부(24)가 종이와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이송유닛(22)에는 프레임부(24)가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부(2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부(12)의 폭과 같거나 보다 큰 길이로 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4)에는 양측의 상하단에 각각 제 1축(24a)과 제 2축(24b)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은 아래에서 설명될 동력전달부(30)와 연동하여, 상기 프레임부(24)가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는 내지에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4)의 하단에는 진공흡착부(26)가 마련된다. 상기 진공흡착부(2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노즐(25)과 구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고정되는 4개의 고정노즐(25a)과 양쪽에 슬라이딩가능한 각각 1개의 이동노즐(25b)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양단의 이동노즐(25b)은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는 내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4)에는 울림방지부(28)가 마련된다. 상기 울림방지부(28)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같이, 상기 이송유닛(22)이 상기 적재부(12)의 내지에 접근하여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의해 픽업할 때, 상기 적재부(12)에 적재되 는 내지에 주름이 지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울림방지부(28)는 상기 진공흡착부(26)가 상기 내지를 흡착하여 픽업할 때, 내지가 하나식 픽업되도록 내지의 자체 장력을 이용하고, 픽업되는 내지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기능을 위해, 상기 울림방지부(28)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원형의 바(27a)와, 상기 프레임부(24)의 양측단과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부(24)에 대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1링크(27b)와, 일단은 상기 바(27a)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 1링크(27b)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24)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되는 제 2링크(27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울림방지부(28)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27a)가 마련된다. 상기 바(27b)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원형의 바로 형성된다. 상기 바(27b)의 길이는 상기 적재부(12)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27b)는 외측면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바(27b)가 상기 내지에 접촉할 때 보다 마찰력이 커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울림방지부(28)에는 제 1링크(27b)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링크(27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24)의 양측단에 전방으로 직교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링크(27b)는 상기 프레임부(24)의 전방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바(27a)가 상기 프레임부(24)의 전방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울림방지부(28)에는 제 2링크(27c)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링크(27c)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바(27a)의 양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 1링크(27b)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24)의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2링크(27c)는 상기 프레임부(24)가 상기 내지에서 이격될 때는 자중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위치하다가, 상기 프레임부(24)가 상기 내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접촉하면, 상기 제 2링크(27c)는 접혀져 상기 프레임부(24)의 바닥방향으로 밀려서 접촉된다.
이때, 상기 바(27a)가 상기 내지와 접촉하면서, 상기 제 2링크(27c)가 상기 프레임부(24)의 바닥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눌리는 힘으로는 내지를 곧게 펴고 미는 힘으로는 미세하게 흩어진 내지를 일자로 정렬시킨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부(26)가 상기 내지에 접촉된다.
한편, 상기 이송유닛(22)에는 동력전달부(30)가 마련된다. 상기 동력전달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24)가 상기 내지에 접근 또는 이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면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동력전달부(3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2)와,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34)와, 상기 구동기어(34)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결기어(35)와, 상기 연결기어(35)의 상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부(24)의 상단과 제 1축(24a)으로 연동하는 제 1종동기어(36)와, 상기 연결기어(35)의 하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 부(24)의 하단과 제 2축(24b)으로 연동하는 제 2종동기어(37)와, 상기 제 1종동기어(36)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1가이드홈(38a)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4)의 제 1축(24a)이 상기 제 1가이드홈(38a)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기어(37)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2가이드홈(39a)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24)의 제 2축(24b)이 상기 제 2가이드홈(39a)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종동링크(39)와, 상기 제 1축(24a)이 이동하도록 제 1수평가이드(42)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축(24b)이 이동하도록 제 2수평가이드(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이동가능하도록 수직가이드(46)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 및 상기 수직가이드(46)는 'F'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30)에는 모터(32)가 마련되어, 상기 모터(32)가 회전하면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구동기어(34)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어(34)가 회전하면, 구동기어(34)에 연동되는 연결기어(35)가 회전하고, 상기 연결기어(35)가 회전하면 이와 연동하는 제 1종동기어(36)와 제 2종동기어(37)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종동기어(36)에는 제 1종동링크(38)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종동링크(38)에는 상기 프레임부(24)의 제 1축(24a)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제 1가이드홈(38a)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축(24b)이 상기 제 1종동링크(38)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제 1가이드홈(38a)을 따라 상기 제 1종동기어(36)에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슬라이딩가능하게 동작한다.
또한, 상기 제 2종동기어(37)에는 제 2종동링크(39)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종동링크(39)에는 상기 프레임부(24)의 제 2축(24b)이 삽입되어 연동되는 제 2가이드홈(39a)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축(24b)이 상기 제 2종동링크(39)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제 2가이드홈(39a)을 따라 상기 제 2종동기어(37)에 접근 또는 이격하도록 슬라이딩가능하게 동작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부(30)에는 가이드프레임(40)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각각의 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F"자 모양의 관통된 가이드(42, 44, 46)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42, 44, 46)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형성되는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하는 제 2수평가이드(44)와,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를 수직으로 연결하는 수직가이드(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상기 제 1축(24a)이 가이드되고,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와 상기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상기 제 2축(24b)이 가이드된다.
즉, 상기 모터(32)의 회전력을 연결기어(35)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제 1종동기어(36) 및 상기 제 2종동기어(37)가 회전할 때, 상기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링크(39)가 회전하며,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은 각각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링크(39)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이때,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은 상기 모터(32)의 동력을 전달받으면서, 상기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링크(39)의 상기 제 1가이드홈(38a)과 상기 제 2가이드홈(39a)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와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이동한다.
이상의 상기 동력전달부(30)는, 상기 모터(32)를 제외하고, 상기 프레임부(24)의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20)에는 롤러부(50)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부(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유닛(22)에 의해 픽업된 내지를 절곡부(60) 또는 테이핑부(80)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부(5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50)는, 상기 이송유닛(22)에 의해 픽업된 내지를 이송시키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1롤러부(52)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유닛(22)에 의해 픽업되는 내지를 이송시키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2롤러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수평으로 형성되어, 절곡부(60)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에 한 장의 내지가 삽입되고, 테이핑부(80)가 가동되는 경우,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에 두 장의 내지가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한다. 이는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 사이에 절곡부(60)와 테이핑부(80)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각각의 롤러부(52, 56)는 상기 내지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각 상하롤러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롤러부(52)는, 내지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는 제 1상부롤러부(53)와, 내지 하면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는 제 1하부롤러부(54)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롤러부(56)는, 내지 상면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는 제 1상부롤러부(57)와, 내지 하면에 접촉하여 이동시키는 제 2하부롤러부(58)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각각의 롤러부(52, 54)는 상기 내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에 각각 롤러(미도시)를 두고, 상기 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벨트(53a, 54a, 57a, 58a)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53a, 54a, 57a, 58a)는 이동되는 내지의 폭을 고려하여 평면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롤러부(53, 57)는 상기 하부롤러부(54, 58)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롤러부(50) 사이로 상기 내지가 유입될 때, 상기 상부롤러부(53, 57)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내지가 안정적으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제본 장치에는 절곡부(60)가 마련된다. 상기 절곡부(60) 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롤러부(50)를 따라 이동하는 내지의 중앙에 절곡홈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곡부(60)는 상기 내지에 절곡홈을 형성하기 위해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60)는, 상기 롤러부(50)의 진행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제 1절곡부(62)와 제 2절곡부(6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절곡부(62)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질의 내지에 절곡홈을 형성하기 위한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절곡부(67)는, 상대적으로 얇은 재질의 내지에 절곡홈을 형성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술한 기능을 위해, 상기 절곡부(60)는,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절곡부(62)는, 둘레를 따라 제 1홈(64a)이 형성되는 제 1상부롤러(64)와, 상기 제 1홈(64a)에 맞물리는 돌출된 돌기(65a)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 1하부롤러(65)와, 상기 제 1하부롤러(65)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1실린더(6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절곡부(67)는, 둘레를 따라 제 2홈(68a)이 형성되는 제 2상부롤러(68)와, 상기 제 2홈(68a)에 맞물리는 돌출되는 돌기(69a)가 형성되는 제 2하부롤러(69)와, 상기 제 2상부롤러(68)가 승강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 2실린더(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홈(64a)은 상기 제 2홈(68a)에 대해 상대적으로 깊이가 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절곡부(60)는, 상부롤러(64, 68)가 하부롤러(65, 69)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면서, 그 사이로 내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내지가 통과할 때, 상기 상부롤러(64, 68)의 실린더(66, 70)가 구동하여 상기 상부롤러(64, 68)가 상기 하부롤러(65, 69)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롤러(64, 68)와 상기 하부롤러(65, 69)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홈(64a, 68a)과 돌기(65a, 69a)에 의해 상기 내지에 절곡홈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절곡부(62)의 홈(64a)과 돌기(65a)는 상기 제 2절곡부(67)의 홈(68a)과 돌기(69a)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고 크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절곡부(62)가 구동하여 상기 내지에 절곡홈을 형성할 때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질의 내지를 사용하는 경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절곡부(67)가 구동하여 상기 내지에 절곡홈을 형성할 때는 상대적으로 얇은 재질의 내지를 사용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제본 장치에는 테이핑부(80)가 마련된다. 상기 테이핑부(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딩부(20)를 따라 이동하는 즉, 상기 롤러부(50)를 따라 이동하는 두 장의 내지의 중앙부분을 테이프로 붙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테이핑부(80)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롤러(82)와, 상기 상부롤러(82)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84)와, 동력을 인가받아 직선운동하는 랙(86)과, 상기 랙(86)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88)과, 상기 피니언(88)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88)과 링크(89)에 의해 회전축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한 자유기어(90)와, 상기 자유기어(90)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종동롤 러(92)와,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종동롤러(94)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와 맞물려 회전하는 배출롤러(96)와, 상기 제 1종동롤러(94)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98)와, 상기 연결기어(98)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3종동롤러(100)와, 상기 제 3종동롤러(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홈(102a)이 다수개 형성되고, 회전축에 기어(102b)가 마련되는 홈롤러(102)와, 상기 홈롤러(102)의 홈(102a)에 맞물리는 돌기(104a)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롤러(102)의 기어(102b)와 잇수비가 다른 기어(104b)가 형성되는 돌기롤러(104)와, 상기 하부롤러(84)와 상기 홈롤러(102)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칼날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테이핑부(80)에는 상부롤러(82)와 하부롤러(84)가 마련된다. 상기 상부롤러(82)와 하부롤러(84) 사이로 상기 롤러부(50)에 의해 이송되는 내지와 테이프가 서로 접촉되면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부(80)에는 랙(86)과 피니언(88)이 마련된다. 상기 랙(86)은 외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수평으로 왕복운동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피니언(88)은 상기 랙(86)의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피니언(88)에는 연동하는 자유기어(90)가 마련된다. 상기 자유기어(90)는 상기 피니언(88)과는 달리 축(90a)이 고정되지 않고, 상기 피니언(88)의 회전축에 중심으로 유동되는 링크(89)에 상기 자유기어(90)의 회전축(90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랙(86)이 이동하면, 상기 자유기어(90)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종동롤러(92)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고정턱(91)이 형성된다. 상기 랙(86) 이 A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피니언(88)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자유기어(90)는 상기 피니언(88)과 맞물려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제 1종동롤러(92)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자유기어(90)에 맞물리는 기어(92a)를 가지는 제 1종동롤러(9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종동롤러(92a)는 상기 자유기어(9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종동롤러(92)에는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맞물리는 제 2종동롤러(94)가 마련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하방에 상기 제 2종동롤러(9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 사이로 상기 내지의 중앙을 붙일 테이프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종동롤러(94)의 하방에는 상기 제 2종동롤러(94)와 맞물리는 배출롤러(96)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 사이로 유입되는 테이프에서 테이프(T)의 접촉부(S)와 보호부(P)를 분리해서 보호부(P)를 다시 상기 테이핑부(80)의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상방에는 연결기어(98)가 마련된다. 상기 연결기어(98)는,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기어(92a)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기어(98)와 맞물리는 제 3종동롤러(100)가 마련된다. 상기 제 3종동롤러(100)의 기어(100a)는 상기 연결기어와(98) 맞물려,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3종동롤러(1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종동롤러(100)의 기어(100a)에는 상방에 기어(102c)가 맞물리는 홈 롤러(102)가 마련된다. 상기 홈롤러(102)는 상기 홈롤러(102)의 기어(102c)를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홈(102a)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종동롤러(100)의 기어(100a)와 맞물리는 기어(102c)와 별도로, 상기 홈롤러(102)에는 홈롤러기어(102b)가 마련된다. 상기 홈롤러기어(102b)는 돌기롤러(104)의 돌기롤러기어(104b)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돌기롤러(104b)는 상기 홈롤러기어(102b)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며, 서로 기어 잇수비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홈롤러(102)와 상기 돌기롤러(104)가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하여, 상기 홈롤러(102) 및 돌기롤러(104)에 접촉하면서 통과하는 테이프(T)의 접촉면(X)이 상기 홈롤러(102)와 상기 돌기롤러(104) 면에 접착되어 감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 사이에서 테이프(T)의 접착부(S)와 보호부(P)로 분리되어, 보호부(P)는 상기 배출롤러(96)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 사이로 배출되고, 상기 접착부(S)는 상기 제 3종동롤러(100)와 돌기롤러(104) 사이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S)의 접착면(X)은 상기 돌기롤러(104)와 상기 홈롤러(102)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접착면(X)이 상기 롤러들을 통과하면서, 상기 홈롤러(102)와 상기 돌기롤러(104)가 서로 다른 속도에 의해 회전하는 것에 의해 접촉면(X)을 강제로 분리하여 상기 홈롤러(102) 및 상기 돌기롤러(104)에 의해 감기는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3종동롤러(100)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에 칼날부(106)가 마련된다. 상기 칼날부(106)는 상기 제 3종동롤러(100)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로 이동하는 테이프(T)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칼날부(10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날(108)과, 상기 칼날(108)을 이동시키는 실린더(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린더(110)는 상기 칼날(108)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떤 구성이라도 적용가능하다.
상기 칼날(108)의 선단은,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단을 삼각형으로 중앙이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테이핑부(80)와 상기 절곡부(60)에는 각각 승강장치가 별도로 마련된다. 상기 내지의 절곡작업과 테이핑작업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내지 중앙을 절곡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적재부(12)에 절곡할 내지를 적재한다. 상기 내지를 적재한 후, 가이드턱(14)을 이동시켜, 상기 내지가 유동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 먼저 로딩부(20)가 작동하는데, 로딩부(20)의 이송유닛(22)이 작동한다. 상기 이송유닛(22)의 모터(32)에 동력이 인가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32)에 연동되는 구동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되는 연결기어(35)들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되고, 제 1종동기어(36)와 제 2종동기어(37)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종동기어(36)와 상기 제 2종동기어(37)의 제 1종동링크(38)와 제 2종동링크(39)에 맞물려 있던 프레임부(24)의 제 1축(24a)과 제 2축(24b)이 각각 가이드프레임(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축(24a)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제 1수평가이드(42)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2축(24b)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제 2수평가이드(44)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부(24)는 적재부(12)의 내지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이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림방지부(28)의 바(27a)가 내지에 먼저 닿게 된다. 상기 바(27a)가 상기 내지에 닿인 상태에 상기 프레임부(24)는 더욱 내지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울림방지부(28)의 제 2링크(27c)가 상기 프레임부(2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27a)는 상기 내지와 밀착하면서, 상기 내지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부(24) 방향으로 밀어 내지의 정렬작용을 하여 픽업되는 상기 내지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부(26)가 상기 내지에 접촉하고,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진공이 형성되어, 진공흡착부(26)의 노즐(25a, 25b)에 상기 내지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32)가 반대로 동작하면, 상술한 방향의 반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링크(3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상기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진공흡착부(26)는 상기 내지의 일단을 픽업하여 상승하는데, 이때 상기 울림방지부(28)의 바(27a)는 상기 내지를 하방으로 계속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지는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의해 여러장이 픽업되더라도, 상기 바(27a)가 하방으로 계속 지지하는 힘에 의해 내지의 가장자리를 구부려 내지가 가진 자체 장력을 이용하하여 분리되게 되므로 한 장만 픽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완전히 상승한 후에,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내지의 일단은 상기 로딩부(20) 즉 롤러부(50) 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내지의 일단이 상기 롤러부(50)에 삽입되면,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롤러부(50)에 동력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롤러부(50) 즉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의 각각의 상하부롤러부(53, 54, 57, 58) 사이에 내지가 삽입되면서, 상기 벨트(53a, 54a, 57a, 58a)가 회전하여, 상기 내지가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 사이에는 절곡을 위한 절곡부(60)가 위치된다. 상기 절곡부(60)의 하부롤러(65, 69)와 상부롤러(64, 68) 사이의 위치는 상기 롤러부(50)들의 상부롤러(53, 57)와 하부롤러(54, 58) 사이와 같 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롤러부(50)를 따라 상기 내지가 이동할 때, 상기 내지는 상기 절곡부(60)의 상부롤러(64, 68)와 하부롤러(65, 69)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내지가 두꺼운 재질이면, 상기 절곡부(60) 중 제 1절곡부(62)의 실린더(66)가 구동하여, 상기 상부롤러(64)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롤러(64)와 홈(64a)과 상기 하부롤러(65)의 돌기(65a)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내지가 상기 제 1절곡부(62)의 상부롤러(64)와 하부롤러(65)의 홈(64a)과 돌기(65a)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내지에 절곡홈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지가 얇은 재질이면, 상기 절곡부(60) 중 제 2절곡부(67)의 실린더(70)가 구동하여, 상기 상부롤러(68)를 하강시켜, 상기 상부롤러(68)의 홈(68a)과 상기 하부롤러(69)의 돌기(69a)가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내지가 상기 제 2절곡부(67)의 상부롤러(68)와 상기 하부롤러(69)의 홈(68a)과 돌기(69a)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내지에 절곡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 형성이 완료된 내지들은 상기 롤러부(50)를 통과한 후, 후방으로 배출되어 적재되게 된다.
다음으로, 두 장의 내지 중앙을 서로 테이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적재부(12)에 테이핑 작업할 내지를 적재한다. 상기 내지를 적재한 후, 가이드턱(14)을 이동시켜, 상기 내지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날(16)을 이용하여 상기 내지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어부를 이용하여 작동시키면, 먼저, 로딩부(20)가 작동하는데, 로 딩부(20)의 이송유닛(22)이 작동한다. 상기 이송유닛(22)의 모터(32)에 동력이 인가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3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모터(32)에 연동되는 구동기어(3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연동되는 연결기어(35)들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동력을 전달되고, 제 1종동기어(36)와 제 2종동기어(37)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1종동기어(36)와 상기 제 2종동기어(37)의 제 1종동링크(38)와 제 2종동링크(39)에 맞물려 있던 프레임부(24)의 제 1축(24a)과 제 2축(24b)이 각각 가이드프레임(4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1축(24a)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제 1수평가이드(42)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제 2축(24b)은 상기 가이드프레임(40)의 제 2수평가이드(44)를 따라 이동한다. 그러면, 상기 프레임부(24)는 적재부(12)의 내지의 상방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이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울림방지부(28)의 바(27a)가 내지에 먼저 닿게 된다. 상기 바(27a)가 상기 내지에 닿인 상태에 상기 프레임부(24)는 더욱 내지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울림방지부(28)의 제 2링크(27c)가 상기 프레임부(24)의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바(27a)는 상기 내지와 밀착하면서, 상기 내지의 일단을 상기 프레임부(24) 방향으로 밀어 픽업되는 상기 내지에 주름이 생기지 않고 평평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흡착부(26)가 상기 내지에 접촉하고,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진공이 형성되어, 진공흡착부(26)의 노즐(25a, 25b)이 상기 내지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32)가 반대로 동작하면, 상술한 방향의 반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는데, 특히, 상기 제 1종동링크(38)와 상기 제 2종동링크(3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상기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진공흡착부(26)는 상기 내지의 일단을 픽업하여 상승하는데, 이때 상기 울림방지부(28)의 바(27a)는 상기 내지를 하방으로 계속 지지하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지는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의해 여러장이 픽업되어도, 상기 바(27a)가 하방으로 계속 지지하는 힘에 의해 한 장만 픽업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축(24a)과 상기 제 2축(24b)이 수직가이드(46)를 따라 완전히 상승한 후에, 상기 제 1수평가이드(42)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44)를 따라 이동하면, 상기 내지의 일단은 상기 로딩부(20) 즉 롤러부(50) 내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내지의 일단이 상기 롤러부(50)에 삽입되면, 상기 진공흡착부(26)에 진공이 해제되고, 상기 롤러부(50)에 동력이 인가된다. 그러면, 상기 롤러부(50) 즉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의 각각의 상하부롤러부 사이에 내지가 삽입되면서, 상기 벨트(53a, 54a, 57a, 58a)가 회전하여, 상기 내지가 상기 롤러부 (50)들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롤러부(52)와 상기 제 2롤러부(56) 사이에는 테이핑을 위한 테이핑부(80)가 위치된다. 상기 테이핑부(80)의 하부롤러(84)와 상부롤러(82) 사이 의 위치는 상기 롤러부(50)들의 상부롤러(53, 57)와 하부롤러(54, 58) 사이와 같은 높이에 위치된다.
상기 테이핑부(80)에는 테이핑을 위한 테이프가 장착된다. 먼저, 상기 테이프가 제 1종동롤러(92)와 제 2종동롤러(94) 사이로 인입되고, 상기 테이프(T)가 접착하기 위한 접착부(S)와 상기 접착부(S)의 접착면(X)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P)로 분리된다.
상기 보호부(P)는 상기 제 2종동롤러(94)와 배출롤러(96)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보호부(P)는 상기 제 2종동롤러(94)와 상기 배출롤러(96) 사이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T) 중 접착부(S)는 제 3종동롤러(100)와 홈롤러(102) 사이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접착부(S)의 접착면(X)은 상기 돌기롤러(104)와 면접하게 된다. 상기 돌기롤러(104)는 홈롤러(102)와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접착면(X)은 상기 돌기롤러(104)와 상기 홈롤러(102)에 면접하므로 면접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상기 돌기롤러(104) 및 홈롤러(102)를 따라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돌기롤러(104)와 상기 홈롤러(102)는 서로 기어수비가 달라 회전비 및 회전방향이 다르다. 그러므로, 상기 돌기롤러(104)와 상기 홈롤러(102)에 면접하면서 이동하는 상기 접착부(S)는 상기 돌기롤러(104) 및 상기 홈롤러(102)에 부착되는 것이 더욱 방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착부(S)는 상기 접착면(X)을 상기 상부롤러(82) 방향으로 해서 상기 상부롤러(82)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로 인입된다. 이때, 상기 롤러 부(50)에 의해 상기 내지가 이동할 때, 상기 테이프(T)의 접착부(S)는 상기 내지의 하방에 접착되면서, 상기 내지가 롤러부(50)를 따라 이동하는 힘에 의해 상기 테이프(T)도 풀리면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지의 이동이 종료되면, 상기 로딩부(20)의 선단에서 상기 내지의 말단을 센싱하여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칼날부(106)에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칼날부(106)의 실린더(110)는 상기 칼날(108)이 상기 접착부(S)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접착부(S)를 절단한다.
상기 접착부(S)는 절단되면서, 상기 내지에 접착부(S)를 부착하는 과정을 종료된다. 그리고, 상술한 과정에 의해 다음 내지가 로딩부(20)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테이핑부(80)의 테이프(T)의 접착부(S)는 상기 상부롤러(82)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에 위치되지 않고, 상기 하부롤러(84)와 상기 홈롤러(102)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접착부(S)의 선단을 상기 상부롤러(82)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까지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랙(86)에 연결된 실린더가 동작한다. 상기 실린더가 동작하면, 상기 랙(86)이 A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동하고, 상기 피니언(88)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자유기어(9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기어(92a)에 밀착되면서, 시계반대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 1종동롤러(9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2종동롤러(94)도 이에 맞물려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 사이에 인입된 테이프(T)가 상기 제 1종동롤러(92)와 상기 제 2종동롤러(94)의 회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테이프(T)의 보호부(P)는 상기 제 2종동롤러(94)와 배출롤러(96) 사이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종동롤러(92)의 기어(92a)와 맞물리는 연결기어(98)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3종동롤러(100)의 기어(100a)가 상기 연결기어(98)와 맞물려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3종동롤러(1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 3종동롤러(100)의 기어(100a)와 맞물려 회전하는 홈롤러(102)의 기어(102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테이프(T)에서 보호부(P)가 제거된 접착부(X)가 상기 제 3종동롤러(100)와 상기 홈롤러(102)로 상기 랙기어(86) 이동한 만큼 인입된다.
즉,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실린더에 의해 상기 랙(86)이 이동한 거리만큼 상기 테이프(T)의 접착부(S)가 상기 상부롤러(82)와 상기 하부롤러(84) 사이로 인입되어 다음 내지의 접착을 위해 준비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내지의 절곡시키는 절곡공정과 테이프를 붙이는 테이핑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지나, 절곡부(60)와 테이핑부(80)를 일렬로 구성하 여, 절곡공정과 테이핑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본 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본 장치의 상부장치를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제본 장치의 상부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제본 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를 상세하게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본 장치를 구성하는 이송유닛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이송유닛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제본 장치를 구성하는 절곡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제본 장치를 구성하는 칼날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칼날부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12: 적재부
14: 가이드턱 16: 날
20: 로딩부 22: 이송유닛
24: 프레임부 26: 진공흡착부
28: 울림방지부 30: 동력전달부
32: 모터 34: 구동기어
35: 연결기어 36: 제 1종동기어
37: 제 2종동기어 38: 제 1종동링크
39: 제 2종동링크 40: 가이드프레임
42: 제 1수평가이드 44: 제 2수평가이드
46: 수직가이드 50: 롤러부
52: 제 1롤러부 56: 제 2롤러부
60: 절곡부 62: 제 1절곡부
64: 상부롤러 65: 하부롤러
66: 제 1실린더 67: 제 2절곡부
68: 상부롤러 69: 하부롤러
70: 제 2실린더 80: 테이핑부
82: 상부롤러 84: 하부롤러
86: 랙 88: 피니언
90: 자유기어 92: 제 1종동롤러
94: 제 2종동롤러 96: 배출롤러
98: 연결기어 100: 제 3종동기어
102: 홈롤러 104: 돌기롤러
106: 칼날부 108: 칼날
110: 실린더

Claims (6)

  1. 상면에 작업을 위한 종이가 적재되는 몸체부;
    적재된 종이를 이송시키는 로딩부; 그리고,
    상기 로딩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 두장을 테이프로 붙이는 테이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상기 종이를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시키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1롤러부; 그리고,
    상기 제 1롤러부와 평행하게 위치되어,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롤러가 형성되는 제 2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몸체를 형성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에 다수개의 노즐에 형성되어 노즐의 선단에 종이를 흡 착할 수 있는 진공흡착부;
    상기 프레임부의 하방에 링크구동하는 바가 마련되어, 상기 종이를 픽업할 때, 종이가 우는 것을 방지하도록 미는 울림방지부;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가 종이와 접근 이격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울림방지부는,
    길이를 가지는 원형의 바;
    상기 프레임부의 양측단과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1링크; 그리고,
    일단은 상기 바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 1링크의 선단과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위치되는 제 2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연결기어;
    상기 연결기어의 상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부 의 상단과 제 1축으로 연동하는 제 1종동기어;
    상기 연결기어의 하방에 마련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과 제 2축으로 연동하는 제 2종동기어;
    상기 제 1종동기어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1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 1축이 상기 제 1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1종동링크;
    상기 제 2종동기어와 함께 회동하고, 길이를 따라 제 2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의 제 2축이 상기 제 2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 2종동링크; 그리고,
    상기 제 1축이 이동하도록 제 1수평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2축이 이동하도록 제 2수평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제 1축과 상기 제 2축이 이동가능하도록 수직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수평가이드와 상기 제 2수평가이드 및 상기 수직가이드는 'F'자 모양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본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핑부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부롤러;
    상기 상부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부롤러;
    동력을 인가받아 직선운동하는 랙;
    상기 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피니언과 링크에 의해 회전축이 연결되어 유동가능한 자유기어;
    상기 자유기어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종동롤러;
    상기 제 1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종동롤러;
    상기 제 2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배출롤러;
    상기 제 1종동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는 연결기어;
    상기 연결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3종동롤러;
    상기 제 3종동롤러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둘레를 따라 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회전축에 기어가 마련되는 홈롤러;
    상기 홈롤러의 홈에 맞물리는 돌기가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홈롤러의 기어와 잇수비가 다른 기어가 형성되는 돌기롤러; 그리고,
    상기 하부롤러와 상기 홈롤러 사이를 왕복운동하는 칼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본 장치.
KR1020090077682A 2009-08-21 2009-08-21 제본 장치 KR201100200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82A KR20110020019A (ko) 2009-08-21 2009-08-21 제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82A KR20110020019A (ko) 2009-08-21 2009-08-21 제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0019A true KR20110020019A (ko) 2011-03-02

Family

ID=4392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82A KR20110020019A (ko) 2009-08-21 2009-08-21 제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200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26B1 (ko) * 2012-06-29 2014-03-10 주식회사 한새 헤파필터의 종이프레임 절곡장치
CN110509684A (zh) * 2019-09-23 2019-11-29 潍坊宗瑞印刷机械有限公司 自动抓取装订压边机
KR102127221B1 (ko) * 2019-03-05 2020-06-26 (주)성림종합인쇄 탄자크형 달력 제본기
KR20230144327A (ko) 2022-04-07 2023-10-16 박우석 제본 장치
KR20230171189A (ko) 2022-06-13 2023-12-20 박우석 제본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326B1 (ko) * 2012-06-29 2014-03-10 주식회사 한새 헤파필터의 종이프레임 절곡장치
KR102127221B1 (ko) * 2019-03-05 2020-06-26 (주)성림종합인쇄 탄자크형 달력 제본기
CN110509684A (zh) * 2019-09-23 2019-11-29 潍坊宗瑞印刷机械有限公司 自动抓取装订压边机
KR20230144327A (ko) 2022-04-07 2023-10-16 박우석 제본 장치
KR20230171189A (ko) 2022-06-13 2023-12-20 박우석 제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20019A (ko) 제본 장치
ES2793049T3 (es) Dispositivo para cargar productos encuadernados
TW496843B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wrapping loadable objects
JP5781205B1 (ja) 延反積層装置及び裁断装置
JP4591273B2 (ja) 製本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CN107010449B (zh) 一种电子票证前段加工设备
GB2096975A (en) Stacking overturning splaying out the stacks and restacking
JP2009143036A (ja) 製本装置
KR20110020011A (ko) 제본 장치
CN215554447U (zh) 一种图书自动堆积打捆的设备
KR20110020018A (ko) 제본 장치
CN206476569U (zh) 一种分卡输送机
CN208249501U (zh) 一种纸带对折引导机构
JP3146456B2 (ja) シート束搬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シート束搬送装置並びにそれを備えた製本装置
CN109895523A (zh) 本册打孔装订一体机
CN110040565A (zh) 一种多层复合折布设备及其方法
CN108907703A (zh) 扬声器装配机
JP2009161207A (ja) テープ結束装置
CN111791626B (zh) 一种作业本生产线
JP4134854B2 (ja) 後処理方法、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0136760B1 (ko) 평면김의 결속방법 및 그 장치
CN113213215A (zh) 一种多工位卷材自动开料装置
CN112192900A (zh) 一种双片高速全自动钉箱机
TW200936469A (en) Pushing device
CN212636962U (zh) 一种封面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