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992A -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992A
KR20110019992A KR1020090077641A KR20090077641A KR20110019992A KR 20110019992 A KR20110019992 A KR 20110019992A KR 1020090077641 A KR1020090077641 A KR 1020090077641A KR 20090077641 A KR20090077641 A KR 20090077641A KR 20110019992 A KR20110019992 A KR 20110019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image
iris image
disease
examin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기
신우현
유용선
Original Assignee
윤영기
유용선
신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기, 유용선, 신우현 filed Critical 윤영기
Priority to KR1020090077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9992A/ko
Publication of KR2011001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9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16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for diagnostics of the ir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12Biomedic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환자들의 홍채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와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은,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와 기준위치와 기준회전각으로 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상기 기준크기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부에서 추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홍채, 홍채학, 건강상태, 진단, 회전각 보정

Description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diagnosing system and method using iridology}
이 발명은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들의 홍채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있다가 피검진자의 홍채영상과 비교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채는 자율신경과 동안신경, 감각신경 등 수십만 가닥의 신경말단과 모세혈관 및 근섬유 조직을 가지고 있고, 뇌와 신경계를 통하여 모든 장기와 조직에 연결되어 있다. 이 홍채 조직에는 다양한 무늬와 현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인체의 다양한 현상을 반영하여 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진단지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홍채의 색상과 구조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체 기관의 건강상태, 신진대사 과정의 최종 산물인 노폐물이나 외부에서 흡입한 독소의 축적정도와 축적부위 및 신체의 체질구별 등이 가능하다. 이러한 홍채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강 수준이나 치료에 대한 반응, 인체골격, 질병 회복 및 진행에 관한 상태를 판독하고 진단 하는 방법을 홍채진단이라 하며, 그 체계를 학문으로 정립한 것이 홍채학이다.
도 1은 홍채학에서 홍채 진단에 사용되는 홍채 상의 위치와 신체 기관과의 관계를 나타낸 홍채 도표이다. 홍채학에 따르면, 임의의 신체 기관에 질병이 발생하면, 해당 신체 기관에 대응하는 위치의 홍채 영역에 해당 질병에 해당하는 특유의 무늬와 현상들이 나타닌다. 따라서, 임의의 환자의 홍채에 나타나는 무늬와 현상 및 그 위치를 해석하면 해당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
홍채를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찰법은, 환자가 현재 자각하고 있는 체감증상의 약 70% ~ 80%를 문진없이도 파악할 수 있고, 개개의 병명에 국한된 질병의 진단뿐만 아니라 유기체로서의 인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환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신체적 불균형까지도 진단하기 때문에, 최근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 불문진단의 한 방편으로 홍채학을 이용하는 의사들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홍채진단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들로는 4단계로 구분되는 장기의 질병 진행 정도(급성, 아급성, 만성, 퇴행성)와, 스트레스 지수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링, 약물의 중독을 반영하는 피그멘테이션, 혈액순환장애를 나타내는 순환링, 몸의 독소를 나타내는 래디얼 등의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들과 병소와 연관하여 인체의 종합적인 건강상태를 해석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의사가 환자의 홍채를 육안으로 관찰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홍채 도표 및 홍채의 이미지 특징(위치, 무늬, 현상 등)들을 이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였다. 그러므로 의사 개개인의 경험적 주관적인 요소가 많이 작용하여 검진을 하는 의사들의 개인적 판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자료로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김태준과 김상호가 특허권자인 대한민국특허 제10-533787호에서는, 임상실험 결과의 기준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피검진자의 홍채 촬영영상과 비교하여 객관적인 진단결과를 출력하는 홍채 검진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 선행 특허는 홍채학에 근거한 건강 진단 시스템으로서 홍채영상 촬영장치와 촬영된 홍채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컴퓨터시스템은 피검진자 정보, 홍채의 위치 정보,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 질병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홍채영상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홍채영상을 비교분석하여 피측정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프로그램이 저장된 진단프로그램 모듈 및 검진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로 구성된다.
이 선행 특허는 홍채영상의 컬러이미지를 그레이스케일 이미지로 변환하고, 동공과 홍채와의 경계 및 홍채와 흰동자와의 경계타원을 산출하고, 산출된 타원을 기준으로 시각좌표에 따라 홍채영상을 스캔하면서 이상 부위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선행 특허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선행 특허는 피검진자의 홍채가 기울어져서 촬영된 경우(고개를 삐딱하게 하거나 카메라가 기울어진 경우) 또는 홍채가 화면의 상하좌우로 치우친 경우, 촬영된 피검진자의 홍채 영상의 회전각과 위치를 보정하지 않은 채 홍채 도표에 대응시켜 이상 부위를 찾기 때문에, 전혀 엉뚱한 위치에 무늬가 있는 것으로 인 식하여 엉뚱한 진단 결과가 출력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홍채 도표는 각 신체 기관과 관련된 홍채의 대략적인 위치를 표시할 뿐이고, 동일 신체 기관에 동일한 질병이 발생한 환자들이라 하더라도 해당 신체 기관에 대응되는 영역의 홍채 이미지가 일대일로 완전히 매칭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의사에 의해 육안으로 진단할 경우에는 동일하다고 판단될 수 있더라도 홍채 이미지를 촬영한 결과가 일대일로 완전히 매칭될 수는 없다), 선행 특허는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들의 홍채 이미지를 일대일 매칭하여 그 결과로서 해당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기 때문에 오진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이 발명의 목적은, 피검진자의 촬영된 홍채 이미지의 회전각 및 위치를 보정하고 새로운 홍채 이미지 분석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피검진자의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은,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와 기준위치와 기준회전각으로 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상기 기준크기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부에서 추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은,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와 기준위치와 기준회전각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진단시스템의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에 있어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 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상기 기준크기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르면, 홍채학을 이용하여 피검진자의 건강 상태를 정확하고 세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발명의 명세서에서 이미지라 함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홍채 이미지를 의미한다.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진단시스템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210)와, 카메라(210)에서 촬영된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와,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230)와, 신체 기관별로 구획된 홍채 도표의 영역별로 상기 홍 채 이미지 보정부(220)에서 보정된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된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 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부(240)와,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부(240)에서 추출된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촬영체와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하여 광원이 점등된 상태로 피검진자의 홍채를 근접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카메라는 촬영체와 촬영체를 중심으로 동일 축 상에 배열된 2개의 광원들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촬영체는 광원이 점등된 상태에서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며, 이때 홍채 이미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의 반사이미지(31)가 포함된다. 이 경우, 반사이미지가 획득된 영역에서는 홍채 이미지가 획득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 영역에 대응되는 신체 기관의 건강 상태를 진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카메라(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체(211)와, 촬영체(211)를 중심으로 배열된 4개의 광원들(212, 213, 214, 215)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4개의 광원들(212, 213, 214, 215)은 제1축으로 배열된 2개의 제1축배열광원들(212, 213)과, 제1축과 다른 제2축으로 배열된 2개의 제2축배열광원들(214, 215)로 구분된다. 2개의 제1축배열광원들(212, 213)이 동시에 점등되고, 2개의 제2축배열광원들(214, 215)이 동시에 점등되도록 제어된다.
카메라(210)는 피검진자의 동일한 홍채에 대해, 제1축배열광원들(212, 213)을 이용한 제1촬영과 제2축배열광원들(214, 215)을 이용한 제2촬영을 고속(예컨대, 0.1초 이내)으로 수행한다.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는 제1촬영된 홍채 이미지와 제2촬영된 홍채 이미지를 중첩하여 촬영된 홍채 이미지로부터 광원들에 의한 반사 이미지를 제거하고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보정한다. 즉, 카메라(210)는 2개의 제1축배열광원들(212, 213)을 점등하고 2개의 제2축배열광원들(214, 215)을 소등한 상태로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이미지를 획득한 후, 거의 동시에(0.1초 이내에) 2개의 제1축배열광원들(212, 213)을 소등하고 2개의 제2축배열광원들(214, 215)을 점등한 상태로 홍채를 촬영하여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여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에게 전송한다. 카메라(210)가 2장의 홍채 이미지를 모두 촬영한 후, 2장의 홍채 이미지를 함께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에게 전송하여도 무관하다.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홍채 이미지 보정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홍채 이미지 보정부는 피검진자의 동일한 홍채에 대해 각기 다른 위치에 광원의 반사이미지가 포함된 2장의 홍채 이미지를 입력받는다(S501).
2장의 홍채 이미지를 중첩하여 상기 홍채 이미지로부터 광원에 의한 반사이미지를 제거한다(S502).
다음, 반사이미지가 제거된 홍채 이미지의 배경 영역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한 비율(예컨대, 50%씩)로 확장한다(S503).
다음, 홍채와 흰동자와의 경계를 추출하여 촬영된 홍채의 크기를 산출하고, 홍채의 크기가 기준크기가 되도록 홍채 이미지를 축소 또는 확대한다(S504).
다음, 홍채와 동공의 경계를 추출하고(S506), 추출된 동공이 기준지점에 위 치하도록 홍채 이미지를 이동한다(S507).
다음, 상안검(위 눈꺼풀)의 경계선과 하안검(아래 눈꺼풀)의 경계선을 각각 추출하고(S508), 상안검과 하안검의 경계선을 가상으로 확장하여 내안각(안쪽 눈꼬리점)과 외안각(바깥쪽 눈꼬리점)을 추출한다(S509).
다음, 내안각과 외안각을 잇는 직선이 기준선이 되도록 홍채 이미지를 회전한다(S510).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저장한다. 이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 중 해당 신체 기관에 해당하는 홍채 도표의 영역만이 저장된다.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되는 환자의 홍채 이미지는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에 의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와 크기, 위치 및 회전각이 일치하도록 처리된 후 저장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의 홍채도표에 따르면 위장에 대응되는 홍채의 영역은 좌,우측 홍채의 중심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 형상이다. 이 위장 대응 영역의 무늬와 형상은 위장에 발생된 질병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데이터베이스에는 신체기관과 질병종류와 해당 신체기관에 대응하는 홍채 영역의 형상이 링크되어 저장된다.
홍채 이미지 분석부(240)는 신체 기관별로 구획된 홍채 도표의 영역별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에서 보정된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데이 터베이스(230)에 저장된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 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한다.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홍채 이미지 분석부의 동작 흐름도이다.
홍채 이미지 보정부(220)에서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 중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상/하, 좌/우로 10% 영역을 확장하여 피검사 이미지를 추출한다(S701). 이는 피검사자의 홍채 고유의 특징이 반영되도록 하기 위하여, 검사하는 영역을 확장한 것이다.
다음,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사대상 신체기관의 검사대상 질병의 이미지를 추출한다(S702).
피검사 이미지와 질병 이미지의 중심을 일치시킨 기준상태에서 두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기준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한다(S703). 이때, 단계 S703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기준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좌측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좌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한다(S704). 이때, 단계 S704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좌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우측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우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한다(S705). 이때, 단계 S705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우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상측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상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한다(S706). 이때, 단계 S706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상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하측으로 1픽셀씩 이동시키면서 두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하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한다(S707). 이때, 단계 S707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하측 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계산할 수도 있다.
다음, 단계 S703 내지 단계 S707에서 각각 계산된 픽셀 일치율들의 평균값을 계산한다(S708). 단계 S708에서 구한 평균 일치율이 임계값(예컨대, 87%) 이상이면(S709), 해당 검사대상 질병명을 저장한 후(S710) 단계 S711로 진행하고, 단계 S708에서 구한 평균 일치율이 임계값(예컨대, 87%) 이상이 아니면 바로 단계 S711로 진행한다.
단계 S711에서는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모든 질병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었는 지를 체크하여, 검사대상 질병이 남아있으면 검사대상 질병을 변경하여 단계 S702로 되돌아간다. 한편,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모든 질병에 대한 검사를 완료하여 검사대상 질병이 남아있지 않으면(S711), 모든 신체기관에 대한 검사가 완료되었는 지를 체크한다(S713). 검사대상 신체기관이 남아있으면 검사대상 신체기관을 변경하여 단계 S701로 되돌아가고, 모든 신체기관에 대한 검사를 완 료하였으면(S713), 검사를 종료한다.
출력부(250)는 홍채 이미지 분석부(240)에서 분석된 결과, 즉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얻어진 질병명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방법으로는 화면에 텍스트로 표시하는 방법과, 인쇄 출력하는 방법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3차원 신체 이미지에 직접 표시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 발명은 동일 시스템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통상적인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를 통해 직접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직접 촬영하여 획득할 수도 있고, 미리 저장된 홍채 이미지를 활용하여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분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경우, 웹서버가 홍채 이미지 보정부와 홍채 이미지 분석부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컴퓨터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웹서버로 전송하면, 웹서버가 그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보정한 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클라이언트컴퓨터에게 출력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경우, 클라이언트컴퓨터가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구비하고 웹서버가 홍채 이미지 분석부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컴퓨터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보정한 후 웹서버로 전송하고, 웹서버가 그 홍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분석결과를 클라이언트컴퓨터에게 출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으로 구현될 경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홍채 이미지 보정부와 홍채 이미지 분석부를 구비하고 웹서버가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컴퓨터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보정하고 분석하며, 그 분석과정에서 웹서버가 신체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클라이어트 컴퓨터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홍채학에서 홍채 진단에 사용되는 홍채 상의 위치와 신체 기관과의 관계를 나타낸 홍채 도표,
도 2는 이 발명에 따른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3은 광원의 반사이미지가 포함된 홍채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이 발명에 따른 홍채 이미지 보정부의 동작 흐름도,
도 6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확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이 발명에 따른 홍채 이미지 분석부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3차원 신체 이미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1)

  1.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와 기준위치와 기준회전각으로 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상기 기준크기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부에서 추출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를 촬영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촬영체와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광원은 상기 촬영체를 중심으로 배열된 4개의 광원들이고, 상기 4개의 광원들은 제1축으로 배열된 2개의 제1축배열광원들과, 제1축과 다른 제2축으로 배열된 2개의 제2축배열광원들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동일 홍채에 대해 상기 제1축배열광원들이 점등되고 상기 제2축배열광원들이 소등된 상태로 제1홍채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제1축배열광원들이 소등되고 상기 제2축배열광원들이 점등된 상태로 제2홍채이미지를 획득하며,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는 제1홍채이미지와 제2홍채이미지를 중첩하여 상기 제1홍채이미지와 제2홍채이미지에 포함된 광원의 반사이미지를 제거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와 흰동자의 경계를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와 동공의 경계를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위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상안검과 하안검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상안검과 하안검의 경계선을 가상으로 확장하여 내안각과 외안각을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신체기관명과, 상기 신체기관에 발병되는 질병명과, 상기 질병 환자들의 홍채 이미지 중 해당 신체기관에 대응하는 영역의 형상이 링크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 중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한 피검사 이미지를 추출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사대상 신체기관의 검사대상 질병의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매칭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별 픽셀값을 비교하여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며, 상기 픽셀 일치율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대상 질병명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11. 신체 기관 및 질병별 환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와 기준위치와 기준회전각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진단시스템의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에 있어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의 크기와 위치와 회전각을 상기 기준크기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홍채 이미지 보정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환자의 홍채 이미지와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부를 통해 보정된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비교하여 임계값 이상으로 매칭되는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홍채 이미지 분석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진자의 동일한 홍채에 대해 서로 다른 위치에 광원에 의한 반사이미지가 포함된 적어도 2장의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단계와,
    상기 적어도 2장의 홍채 이미지를 중첩하여 상기 반사이미지를 제거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획득하는 반사이미지제거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단계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와 흰동자의 경계를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크기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단계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홍채와 동공의 경계를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위 치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보정단계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로부터 상안검과 하안검의 경계선을 추출하고 상기 상안검과 하안검의 경계선을 가상으로 확장하여 내안각과 외안각을 추출하여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를 기준회전각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신체기관명과, 상기 신체기관에 발병되는 질병명과, 상기 질병 환자들의 홍채 이미지 중 해당 신체기관에 대응하는 영역의 형상이 링크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단계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 중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한 피검사 이미지를 추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사대상 신체기관의 검사대상 질병의 이미지를 추출하는 제2단계와,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매칭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픽셀별 픽셀값을 비교하여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3단계와,
    상기 픽셀 일치율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상기 검사대상 질병명을 추출하는 제 4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피검진자의 홍채 이미지 중 검사대상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상/하, 좌/우로 일정 크기의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피검사 이미지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중심을 일치시킨 기준상태에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기준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1소단계와,
    상기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좌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2소단계와,
    상기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우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우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3소단계와,
    상기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상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4소단계와,
    상기 질병 이미지를 기준상태로부터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피검사 이미지와 상기 질병 이미지의 대응되는 두 픽셀의 픽셀값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픽셀수를 카운팅하고, 하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을 계산하는 제5소단계와,
    상기 제1소단계 내지 제5소단계에서 각각 계산된 픽셀 일치율들의 평균값을 계산하여 상기 평균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검사대상 질병 정보를 추출하는 제6소단계를 포함한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소단계 내지 제5소단계는,
    각각의 소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후 그 평균값을 각각 기준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 좌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 우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 상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 하측이동상태에서의 픽셀 일치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2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홍채 이미지 분석단계어서 추출된 신체기관 및 질병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방법.
KR1020090077641A 2009-08-21 2009-08-21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9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41A KR20110019992A (ko) 2009-08-21 2009-08-21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641A KR20110019992A (ko) 2009-08-21 2009-08-21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992A true KR20110019992A (ko) 2011-03-02

Family

ID=4392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641A KR20110019992A (ko) 2009-08-21 2009-08-21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999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45B1 (ko) * 2012-03-06 2014-08-29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의 특정 부위에 대한 분석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KR101432275B1 (ko) * 2012-03-06 2014-09-25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 특정 부위에 대한 변화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KR20150139710A (ko) * 2014-06-03 2015-1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자가진단 안내장치
KR20170093645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063711A (zh) * 2019-05-30 2019-07-30 博奥生物集团有限公司 中医目诊仪光源装置
KR20190107932A (ko) *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네패스 홍채를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745B1 (ko) * 2012-03-06 2014-08-29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의 특정 부위에 대한 분석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KR101432275B1 (ko) * 2012-03-06 2014-09-25 주식회사 아이벡 생체 중 특정 부위에 대한 변화정보 출력방법 및 장치
KR20150139710A (ko) * 2014-06-03 2015-12-1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단말기를 기반으로 하는 인체 자가진단 안내장치
KR20170093645A (ko) * 2016-02-05 2017-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7932A (ko) *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네패스 홍채를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시스템
CN110063711A (zh) * 2019-05-30 2019-07-30 博奥生物集团有限公司 中医目诊仪光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64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03761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ease and accuracy of gaze tracking
Trucco et al. Validating retinal fundus image analysis algorithms: issues and a proposal
US91491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eye conditions
Miao et al. Virtual reality-based measurement of ocular deviation in strabismus
JP2018520820A (ja) 視覚の様相を検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JP7196606B2 (ja) 眼科情報処理装置および眼科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70188705A1 (en) Ocular fundus portion analyzer and ocular fundus portion analyzing method
KR20110019992A (ko)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US11642068B2 (en) Device and method to determine objectively visual memory of images
CN111402184B (zh) 一种实现远程眼底筛查和健康服务的方法和系统
JP4901620B2 (ja) 眼底検査画像解析システム、及び眼底検査画像解析プログラム
KR20160002516A (ko)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33787B1 (ko)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10510145B2 (en) Medical image comparison method and system thereof
JPH06125876A (ja) 眼神経乳頭診断装置
CN115619747B (zh) 幼儿眼底视网膜全景影像图谱生成和随访数据对齐方法
JP6033478B2 (ja) 眼科装置、層厚比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017491B2 (ja) 眼科装置
JP6223527B2 (ja) 眼科装置、層厚比較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03875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549096A (ja) 深層学習を使用する生体眼球測定
JP2016187475A5 (ja) 眼科情報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Al-Kanany et al. General Awareness and Knowledge about Glaucoma Cataracts for Diabetic
CN115953717A (zh) 一种基于三维重建的眼位偏斜角度的测量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