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516A -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516A
KR20160002516A KR1020140081017A KR20140081017A KR20160002516A KR 20160002516 A KR20160002516 A KR 20160002516A KR 1020140081017 A KR1020140081017 A KR 1020140081017A KR 20140081017 A KR20140081017 A KR 20140081017A KR 20160002516 A KR20160002516 A KR 20160002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is
image
examinee
chart
iri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민
김일동
Original Assignee
최정민
김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민, 김일동 filed Critical 최정민
Priority to KR102014008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2516A/ko
Publication of KR2016000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 진단을 진행하는 원격진료 시스템 또는 건강진단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 분야에 적용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과정; 및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상기 제1 과정에서 획득한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오버랩(overlap)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과정은,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단계; 좌우측 눈 영역을 인식하여 추출하고,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는 제2 단계; 및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단계; 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켜 피검진자의 체질 및 이상 징후 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자가진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HEALTH EXAMINATION USING IRIDOLOGY CHART}
본 발명은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비교를 통해 건강상태 진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비교를 통해 건강진단을 진행하는 원격진료 시스템 또는 건강진단 앱(APP)이 설치된 스마트폰 등의 분야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가 진료를 할 때 문진, 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을 통해 정확한 병증을 진단한다.
상기와 같은 대면진료에서는 환자 즉, 피검진자에 따라 잘못된 대답을 하거나 통증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오진의 우려가 있다.
최근 들어, 오진의 우려가 없는 것으로 알려진 홍채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홍채이미지를 통해 건강진단을 진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홍채는 뇌의 연장으로서 수십만 가닥의 신경말단(자율신경, 동안신경, 감각신경)과 모세혈관 및 근섬유조직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홍채는 뇌와 신경계를 통하여 모든 장기와 조직에 연결되어 있어서 전신건강에 대한 직접적인 진단지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인간의 홍채는 건강의 이상 징후에 따라 홍채 곳곳에 특유의 증상이 나타난다.
홍채학(iridology)에서는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홍채 상에 나타난 모든 변화로부터 연관된 조직의 질병상태를 진단하고 신체의 요구가 무엇인가를 알아내게 된다. 다시 말하면, 홍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복잡한 섬유막 구조로 되어있고 신경을 통하여 대뇌와 신체 각 부위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 내의 각 조직 및 장기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화학적 변화에 따른 정보가 바이브레이션(vibration)으로 전달되어 섬유조직의 형태를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홍채 상의 색상과 구조상의 변화에 대한 분석으로 신체 기관의 건강상태, 신진대사 과정의 최종산물인 노폐물이나 외부에서 흡입한 독소의 축적정도와 축적부위 및 신체의 체질구별 등이 가능한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홍채차트로 정리된다.
홍채를 이용한 진찰법은, 긍정적인 측면에서 수용하여 활용하는 이들은 환자가 현재 자각하고 있는 체감증상의 약 70~80%를 문진(問診)없이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점을 이용해 불문진단의 한 방편으로 홍채학을 이용하고 있기도 하고, 어떤 이들은 개개의 병명에 국한된 질병의 진단뿐만 아니라 유기체로서의 인체를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환자가 자각하지 못하는 신체적 불균형까지도 진단하고 조정하게 되므로 전인적 치료를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홍채진단을 통해서 파악할 수 있는 것들로는 감염의 존재 위치, 약물의 축적 여부, 몸의 산성 상태, 장기의 상태, 유전적 강약, 건강의 단계, 영양학적 필요, 치료에 따른 환자의 상태 등을 들 수 있다.
홍채진단을 진행하는 종래 기술이 특허등록번호 제10-0533787호에 제시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533787호의 내용을 살펴보면, 홍채영상 촬영장치와 촬영된 홍채영상을 분석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피검진자 정보, 홍채의 위치 정보, 홍채의 특이 증상에 관한 정보, 질병 정보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와 홍채영상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홍채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피검진자의 건강상태를 진단하는 진단 프로그램이 저장된 진단 프로그램 모듈 및 검진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홍채도표와 피검진자의 홍채영상을 육안으로 비교하기 때문에 홍채영상의 수평이 맞지 않거나 그 크기가 다른 경우에 오진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홍채도표에서는 동공에서의 거리 및 그 각도에 따라 신체 내의 각 조직 및 장기와의 관계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눈의 6:00 ~ 7:00 사이에는 그 각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신장, 음낭, 치골, 항문, 직장 등의 이상 징후와 관계가 있는데, 획득된 홍채영상이 소정각도 만큼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면 신장에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에 무릎, 발등에 이상 징후가 있는 것으로 오진할 수 있다.
또한, 좌측 눈의 9:00 ~ 10:00 사이에는 동공 쪽으로 근접함에 따라 순차적으로 갑상선, 부갑상선, 기관지의 이상 징후와 관계가 있는데, 홍채영상의 크기와 홍채도표의 크기가 다른 경우에는 부갑상선에 이상 징후가 있음에도 기관지 또는 갑상선에 이상 징후가 있는 것으로 오진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3787호(2005. 11. 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을 토대로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켜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피검진자의 체질 및 이상 징후 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획득할 때 좌우측 눈의 동공, 각막윤부, 외안각 또는 내안각을 연결하는 선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함으로써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정확한 오버랩이 가능하여 오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정확한 오버랩이 가능하여 오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입력하는 촬영부;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추출하고, 좌우측 눈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며,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홍채이미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키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홍채차트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과정; 및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상기 제1 과정에서 획득한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오버랩(overlap)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과정에서는,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의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인식하여 추출하고, 좌우측 눈의 동공, 각막윤부, 외안각 또는 내안각을 연결하는 선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가 수행된 후,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과정에서는, 피검진자의 좌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좌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고, 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우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되, 동일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오버랩(overlap)된 화면의 부분확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피검진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제4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적용하면,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켜 피검진자의 체질 및 이상 징후 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자가진단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피검진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경우에 체질과 그에 따른 권장음식을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피검진자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홍채이미지의 각도조절 및 크기조절에 의해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의 정확한 오버랩이 가능하여 오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피검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이용하여 원격진료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간 및 장소의 제약이 없어지게 되고, 주기적으로 정해진 의사에게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주치의를 두는 효과가 있을 뿐 만 아니라, 질병의 조기발견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고, 기존 원격진료의 문제점인 오진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강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홍채차트를 이용하여 건강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강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홍채차트를 이용하여 건강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은, 촬영부(10), 메모리부(20), 데이터베이스부(30), 영상처리부(40), 마이컴(50), 디스플레이부(60), 통신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촬영부(10)는,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할 수 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20)는,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홍채차트는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성별, 연령에 따른 다수의 홍채차트를 저장하여 피검진자가 자신에게 맞는 홍채차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는, 홍채이미지에서 무늬, 색깔 별 질병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질병정보와 함께 권장음식이나 처방전 등이 같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0)와 데이터베이스부(30)는 하나의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 영상처리부(40)는, 상기 촬영부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추출하고, 좌우측 눈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며,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마이컴(50)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홍채이미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켜서 이미지 분석을 통해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의 무늬, 색깔에 따라 질병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60)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홍채차트를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오버랩(overlap)시켜서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마이컴에서 판단된 피검진자의 질병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부(70)는,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건강진단 시스템에서 홍채차트를 이용하여 건강진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촬영부(10)를 통해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획득한다.(S10 단계 참조)
그후, 상기 영상처리부(40)에서는, 상기 촬영부(10)로부터 피검진자의 얼굴영상을 입력받아 그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인식하여 추출하고(S20 단계 참조), 좌우측 눈의 동공, 각막윤부, 외안각 또는 내안각을 연결하는 선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한다.(S30 단계 참조) 이로 인해 홍채이미지의 수평이 맞추어진다.
상기 수평이 맞추어진 후,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한다.(S40 단계 참조)
상기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과정은 상기 영상처리부(4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마이컴(50)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진 후, 상기 마이컴(50)에서는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오버랩(overlap)시켜서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디스플레이 한다.(S50 단계 참조)
이때, 피검진자의 좌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좌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고, 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우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되, 동일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에 의해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자가진단이 가능하며 피검진자의 체질 및 이상 징후 부위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60)에 표시되는 오버랩(overlap)된 화면에서 특정 부분을 확대하여 자세한 관찰이 가능하다.(S60 단계 참조)
상기 과정이 수행된 후,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0)에 저장된 정보 데이터와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피검진자 홍채이미지의 무늬, 색깔에 따라 피검진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한다.(S70 단계 참조) 이때, 질병정보와 함께 권장음식이나 처방전 등이 같이 출력될 수 있다.
피검진자가 전문적인 확인 또는 상담을 원하는 경우에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80)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한다.(S80 단계 참조)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촬영부 20 : 메모리부
30 : 데이터베이스부 40 : 영상처리부
50 : 마이컴 60 : 디스플레이부
70 : 통신부

Claims (8)

  1.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입력하는 촬영부;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에서 입력된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추출하고, 좌우측 눈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며,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처리된 홍채이미지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홍채차트를 오버랩(overlap)시키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홍채차트와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3.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를 획득하는 제1 과정; 및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를 상기 제1 과정에서 획득한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오버랩(overlap)시켜서 디스플레이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에서는,
    좌우측 눈을 포함하는 피검진자 얼굴의 일부 혹은 전체 영상을 획득하는 제1 단계; 및
    상기 제1 단계의 영상에서 좌우측 눈 영역을 인식하여 추출하고, 좌우측 눈의 동공, 각막윤부, 외안각 또는 내안각을 연결하는 선을 이용하여 정확한 수평이 유지되도록 회전을 진행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가 수행된 후, 홍채상의 위치와 신체 조직/장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홍채차트와 동일한 크기로 좌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에서는, 피검진자의 좌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좌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고, 우측 눈의 홍채이미지는 우측 눈의 홍채차트와 오버랩(overlap)시키되, 동일 화면 또는 서로 다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오버랩(overlap)된 화면의 부분확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진단프로그램에 의해 피검진자의 체질 및 건강상태를 판단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이 수행된 후, 피검진자의 홍채이미지와 홍채차트가 오버랩(overlap)된 영상을 의사단말기로 전송하여 의사의 원격진료가 진행되도록 하는 제4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방법.

KR1020140081017A 2014-06-30 2014-06-30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2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17A KR20160002516A (ko) 2014-06-30 2014-06-30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017A KR20160002516A (ko) 2014-06-30 2014-06-30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516A true KR20160002516A (ko) 2016-01-08

Family

ID=5517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17A KR20160002516A (ko) 2014-06-30 2014-06-30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251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56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90107932A (ko) *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네패스 홍채를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시스템
CN113456019A (zh) * 2021-08-09 2021-10-01 辽宁中医药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基于虹膜线条图像的视疲劳诊断与评估方法
US11327320B2 (en) 2016-12-23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787B1 (ko) 2003-06-30 2005-12-06 김태준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3787B1 (ko) 2003-06-30 2005-12-06 김태준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4562A (ko) * 2016-12-23 201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327320B2 (en) 2016-12-23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90107932A (ko) * 2018-03-13 2019-09-23 주식회사 네패스 홍채를 이용한 건강 관리 예측 시스템
CN113456019A (zh) * 2021-08-09 2021-10-01 辽宁中医药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基于虹膜线条图像的视疲劳诊断与评估方法
CN113456019B (zh) * 2021-08-09 2024-02-27 辽宁中医药大学附属第二医院 一种基于虹膜线条图像的视疲劳诊断与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83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condition diagnosis, treatment and prognosis determination
US9122773B2 (en) Medical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and program
WO2013155002A1 (en) Wireless telemedicine system
US11311188B2 (en) Visual and mental testing using virtual reality hardware
US2022016022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Vision Acuity and/or Conducting Visual Field Tests in a Head-Mounted Vision Device
KR20160002516A (ko)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80182476A1 (en) Mapping of clinical findings in fundus images to generate patient reports
US20190014996A1 (en) Smart medical diagnosis system
WO2020103288A1 (zh) 糖网眼底特征数据变化的分析方法与系统,及存储设备
KR20110019992A (ko) 홍채학을 이용한 진단시스템 및 방법
Han et al. Comparison of telemedicine screening of diabetic retinopathy by mydriatic smartphone-based vs nonmydriatic tabletop camera-based fundus imaging
KR20180133091A (ko) 혀 및 문진을 통한 건강진단 시스템
US10588506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quantitative detection of disorders in the field of vision
KR20080064680A (ko) 홍채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홍채검진 방법
WO20221158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valuating vision acuity and/or conducting visual field tests in a head-mounted vision device
JP2024512045A (ja) メンタルヘルスを診断および監視するための視覚システム
KR100533787B1 (ko) 홍채 진단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hen et al. Meta-analysis of functional neuroimaging and dispositional variables for clinical empathy
KR20180133081A (ko) 귀 및 문진을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00178793A1 (en) Refraction Measurement of the Human Eye with a Reverse Wavefront Sensor
Martel et al. Comparative study of teleophthalmology devices: smartphone adapted ophthalmoscope, robotic ophthalmoscope, and traditional fundus camera-The recent advancements in telemedicine
KR102624293B1 (ko)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832885B2 (en) Patient home monitoring and physician alert for ocular anatomy
US20230005618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US20230094530A1 (en) Diagnostic imaging support device, diagnostic imaging support system, and diagnostic imaging suppor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