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4293B1 -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4293B1
KR102624293B1 KR1020230096099A KR20230096099A KR102624293B1 KR 102624293 B1 KR102624293 B1 KR 102624293B1 KR 1020230096099 A KR1020230096099 A KR 1020230096099A KR 20230096099 A KR20230096099 A KR 20230096099A KR 102624293 B1 KR102624293 B1 KR 10262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eatment
dizziness
diagnosis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6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지수
Original Assignee
전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지수 filed Critical 전지수
Priority to KR1020230096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4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4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virtual reality) 기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어지럼증(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해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가 제1안구데이터, 제2안구데이터, 제1자세데이터,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제2치료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며; VR 기기가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1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며; 사용자 단말기가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2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며; 및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가 VR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준다.

Description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various dizziness}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VR(virtual reality) 기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어지럼증(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해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어지럼증은 머릿속이 움직이는 느낌을 수반하는 불안정한 감각을 일컫는 단어로, 성인 인구의 20% 이상이 1년에 1회 이상 어지럼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발표한 국내 다빈도 질환 분류에 따르면, 어지럼 관련 질환이 100위 이내의 발생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분류되며 그 순위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그리고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은 병의원을 찾게 되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으로, 단순한 약물 치료 외에도 다양한 보조적 처치가 질병의 치료와 환자의 일상생활 능력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석증은 평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 얹어진 미세한 돌(이석)이 떨어져 나와, 신체를 움직일 때마다 제 위치에 있지 않고 주변 구조물(특히, 반고리관)로 들어가게 되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한쪽 세반고리관이 3개가 존재하며,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이탈이 가능해 좌우 총 12가지 방향으로 이석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명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전정신경의 염증성 질환으로 인한 어지럼, 균형감각 저하. 감기 등의 합병증으로 인한 바이러스성이 가장 많으며, 혈류량의 감소로 인한 혈관성 질환인 경우도 있으며, 전정신경염은 인구 10만 명당 3.5명꼴로 발병하며, 초기 적절한 약물/재활 치료가 시행되지 않으면 만성적인 어지럼증이 후유증으로 남을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9301호(2009.06.11 공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해 사용자의 어지럼증 여부를 진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이석치환술을 제공함으로써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스스로 손쉽게 어지럼증을 치료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 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스마트 디바이스가 어지럼증 자가진단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정보를 토대로 이석증, 메니에르 또는 전정신경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증으로 판단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석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 스마트 디바이스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석 위치에 따른 치료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단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안진 현상 발생 여부를 다시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8294호(2020.11.06. 등록)는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 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주변의 VR 장치와 통신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 장치로서, 어지럼증의 진단을 위해 지정 상황에 매칭하여 기 제작된 콘텐츠를 환자가 착용하는 VR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전송한 콘텐츠에 반응하는 환자의 반응 데이터를 VR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VR 장치에 표시되는 지정 상황의 콘텐츠를 변경해 가며 환자마다의 어지럼증에 대한 증상별 세부 검사를 진행하여 세부 검사 결과를 근거로 환자의 증상을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제어부는, 어지럼증상 가상현실 상황 부여, 시각적 및 청각적 상황 분류, 스트레스 요소의 파악, VR 장치에의 데이터 표시, 수집 데이터의 분석 결과에 따른 대응 시뮬레이션 노선 변경, 상황 부여에 근거한 세부 상황 추가, 반응 데이터 수신 및 의심 원인 증상 도출의 순으로 동작하여 증상별 세부 검사를 진행하고, 설문에 따른 환자의 어지럼증 증상에 따라 시각적 및 청각적 상황 중 적어도 하나의 1차 상황에 따른 콘텐츠를 VR 장치로 전송하고, 분석 결과를 근거로 대응 시뮬레이션 노선을 변경해 지정 상황의 콘텐츠를 변경하며, 이명의 경우 1차 상황에 따라 A, B의 콘텐츠를 제공하여 환자가 B의 콘텐츠에 반응한 경우 B에 연계되는 다른 상황에 따른 복수의 콘텐츠를 VR 장치로 제공하여 1차 상황에서의 노선을 변경하며, 1차 상황이 시각적인 상황이었다면 빛, 속도, 장소의 상황 설정을 추가하는 2차 상황의 상황 추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다양한 가상현실 상황을 설정하여 민감하게 나온 반응(예: 그래프) 위주(혹은 중점)의 심층 검사 실시가 가능할 수 있으며, 어지럼증 환자마다 겪는 원인 및 요인을 가상현실로 구현하여 집중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상황을 부여한 가상현실 검사 기술이 가능하여 활용성이 뛰어나고, 축적 데이터에 근거한 의심 병명 및 치료 방향성을 확실하게 제시할 수 있으며, 표시된 의심 증상에 따른 환자별 재활 치료 연계를 통하여 어지럼증 치료 및 증상 완화도 가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후유증 예방을 위해 환자의 회복 정도를 모니터링 해야 하지만, 치료 경과에 대한 진단 툴이 일시적 의사의 진찰뿐인 단점이 있으며, 또한 변화하는 이석증의 방향 혹은 전정신경염의 기능 회복에 따른 물리적인 보조 치료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의학적인 방법이 전무한 상태인 단점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진료시간과 환자 불편감에 대한 관리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데, 의사가 환자 당 제공할 수 있는 상담/진찰시간은 한계가 있으며, 환자들이 호소하는 어지럼 질병의 특성상 병원에 내원했을 당시에 이상증상이 진찰, 혹은 검사 상에서 충분히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진단의 정확도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의 정밀검사 혹은 수일 내의 반복적인 진찰이 필수이나 이것이 불가능해 어지럼증의 이유에 대한 오진 혹은 약물 남용 가능성이 높은 단점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석증과 전정신경염의 고식적인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한계점이 있는데, 이석증에 처방되는 약물은 치료약물이 아니라 이석증 증상을 '덜 느끼게' 도와주는 약물이나, 이런 약물치료만 장기적으로 지속 시 약물 의존도가 높아지며 만성적인 어지럼 증상이 남을 수 있으며, 또한 약물의 경우 진정효과가 있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잦으며, 병원에서 체위교정술이라는 물리적인 치료를 하지만 한차례의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위해서는 나와 있는 이석들의 위치를 제자리로 돌리기 위한 '이석정복술'을 단기간 내에 반복적으로 요하며, 이석이 빠진 방향에 맞춘 이석정복술을 자주 처치해 주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그리고 전정신경염의 초기 급성기 약물치료 시기가 지나면 환자들의 증상이 호전되기 시작하는데, 양쪽 전정계의 불균형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보상작용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되도록 빠른 시기에 전정재활치료를 시행하여 말초성 전정기능 불균형을 중추신경계에서 보상하도록 전문가들은 권장하는데, 전정재활치료에 대한 규칙적인 병원 내원이 필요하나 접근성이 낮으며, 자가 전정재활치료의 경우 환자 개개인별 맞춤 치료가 아니며, 치료에 대한 동기부여가 부족해 환자와 의사가 전정재활운동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기 보다는 약물처방(전정억제제)을 선호하게 되며, 고령인 경우, 치료기간이 늦어지는 경우 혹은 초기에 적절한 전정재활운동이 시행되지 않는 경우 역동징후들은 전정기능이 회복되지 않으면 평생 지속되고 후유증이 남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후 약물은 이미 고장나버린 전정신경으로 인한 어지럼 증상에 대한 증상 완화에 그치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59301호 한국등록특허 제10-217829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VR(virtual reality) 기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어지럼증(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해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제1안구데이터, 제2안구데이터, 제1자세데이터,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제2치료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1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VR 기기;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2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여 제1안구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서; 및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제1자세데이터를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 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어지럼증에 대한 자가 진단과 비약물적 치료 보조를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상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동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 또는 프로그램 중에서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세에 따른 이석증의 위치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운동 방향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 제시를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이석증 탈출 방향 별 체위교정술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가 스스로 화면을 보며 빠져있는 이석증의 방향을 확인하도록 하며, 체위를 단계별로 바꿀 때 이석이 이동할 시기에 안구진탕이 발생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 안구진탕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이석이 이동할 때 안구진탕이 발생했다가 진정되는 양상을 화면에 이석의 움직임으로 시각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디지픽스를 가상 시스템화하여 체위에 따른 안진의 증가와 감소를 확인하도록 하며, 안진이 줄어들면 화면에도 완전히 이석이 이동한 것으로 표현하여 다음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가장 최근에 적용한 상태 확인 또는 치료 목록들을 표기해 줌과 동시에 저장해 주며, 저장되는 목록으로 실행 일자, 진단 및 치료 내용, 세부 내용, 성공실패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자이로스코프를 내장하여, 일자걷기, 족답검사 시행 시에 편위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VR 기기는,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정재활치료에 대한 정보를 맞춤으로 제공받아, 전정안반사평가 이상 시에 대한 주시안정운동, VOR 향상을 위한 전정안구반사운동, 도약안구운동 증진을 위한 능동적 눈-머리움직임운동, 경부안반사훈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여 제2안구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제2자세데이터를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컬러 명암 인식을 통한 사용자 안구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 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안구 움직임의 수직, 수평, 회전성 운동을 시간 흐름대로 정리해서 안구 움직임을 그래프화 및 정량화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안구진탕이 하나의 축의 움직임이 아닌 수평 안진 발생하다가 수직 움직임으로 넘어가는 경우에, 수평 수직 회전 전체 인티그럴한 값의 안구진탕 그래프화시켜 주며, 반복적인 안구 중앙 축의 변화, 환자가 시 고정을 항상 동일하게 못하므로 한쪽으로 일탈되는 것, 혹은 순간적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값과 같은 잡파들을 중앙선으로 교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진단 로직 알고리즘과 전정신경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와 전정 기능을 분석해 주며,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안구 움직임별 이석증 방향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를 분석해 주며,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방향에 따른 다양한 체위교정술을 안구 움직임의 규칙적인 정보로 알고리즘화하여 12가지 방향으로 빠질 수 있는 방향을 확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이석증이 제대로 들어갔는지를 3D 형태로 시각화해 주며, 이때 안구진탕이 지속되고 있을 때에는 시각화된 돌의 움직임이 지속되도록 시각화해 주고, 안구진탕이 진정되었을 때에는 원하는 방향으로 돌이 이동되었음을 보여주도록 시각화해 주며, 여기서 안구진탕 유무에 대한 시각화로서는 돌의 이동 정도나 양을 표현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자세에 따른 기본 전정기관의 위치 형태의 경우에 최초 바른 자세에서의 자이로스코프 감지가 된 것에 따라 캘리브레이션해 주며, 진단방법으로 병변 발견한 뒤 병변측으로 자세 취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가 감지해 취한 방향대로 전정신경 3축 회전으로 표현해 주며며, 안구진탕의 경우 그래프에서 톱니바퀴화되어 보이도록 하고 시간 축에 따라 안구움직임의 시간당 발생 빈도 Hz에 따라 시각적으로 VR 내의 돌이 이동해 나가는 것을 표현해 주며, 최초 Hz 측정 뒤 톱날 빈도가 0이 될 때까지의 Hz 변화에 따라 완전 0가 될 때에 원하는 위치로 옮겨진 것으로 이미지화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전정안반사를 평가하며, 이때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을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동적시력으로 확인하도록 하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이 확인된다면, 주시안정운동을 처방하는 근거로 해 주고, 치료 후 추적검사로 호전 여부를 평가하는 데에 사용하도록 하며, 자발안진/두부충동검사/도약안구운동/원활추종운동, 동적 시력검사와 같은 표준화되어 있는 안구의 움직임에 대한 정량화 대상을 측정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하며, 이때 자세 및 보행에 대한 평가의 경우,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편위각도를 수신받아 신체감각신호 의존도를 평가해 주며, 롬버그 검사, 주관적 시수직 검사의 자이로스코프와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의 정량화 가능한 검사들을 평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전정재활치료의 경우, 미리 정해놓은 운동종류와 순서에 따라 모든 환자가 사용하는 기성식 전정재활운동과, 개인 환자의 치료시작 전과 도중 평형상태를 반복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운동 전략을 수정하는 맞춤식 전정재활치료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기성식 전정재활운동을 자가로 집에서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우선 제공하고, 맞춤식 전정재활운동을 환자의 안구운동과 균형감각 유지를 안구움직임과 자이로스코프로 평가한 뒤에 이에 따른 맞춤으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환자가 자가로 시행한 안구진탕의 진단데이터를 의사에게 전달하여 의사가 확진하도록 하고 승인 시에 환자에게 치료 프로토콜이 원격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제3치료데이터를 판독하여 상기 의사 단말기로 전송해 주며,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의사처방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방법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환자의 안구진탕 데이터를 상기 의사 단말기를 통해 의료진에게 전달해 주며, 이때 안구진탕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전달하도록 하며, 일반 안진 기계가 출력해 내는 그래프 데이터로 전환시켜 의사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 전송해 줄 데이터를, 그래프화 된 데이터의 잡파를 제거한 후에 전송해 주며, AI 베이스진단툴을 이용하여, 환자에게서 진폭을 보며 진단하듯 가능성이 높은 질환 순서대로, 의심질환을 순차적으로 나열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의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치료효과평가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이석증이 발생한 방향에 따른 반복적 치료 방법에 대한 치료지도서를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 내에 선택적으로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병원 진료 후 의사가 선택 및 세팅해 준 프로그램 내 치료방향 외에도 추가적인 방향의 이탈이 의심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병원 플랫폼으로 전달한 후에 의료인 승인 시 추가 치료법에 대해 선정해서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환자별로 확인되는 자가진단 안진의 방향과 치료법을 상기 의사 단말기로 통보하여 의료인이 안진방향과 치료 효율성에 대한 확인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진단되는 이석증의 방향 종류에 따라 어떤 치료법을 시행했을 때에 결과가 더 빨리 좋아지는지에 대한 AI 베이스 학습을 통해 나이대별, 연령별 질환, 빈도별 치료효과에 대한 분석으로 최선의 치료법에 대하여 알고리즘화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전정신경기능을 저하시키는 전정신경염의 경우, 평가 검사들의 정량적인 수치의 변화를 환자 균형감각 호전에 따라 수치화한 정량적 지표들의 변화에 맞추어 맞춤전정재활운동을 시행하도록 하는 기반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툴을 이용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맞춤형치료데이터를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해 주며, 또한 진단수치별 재평가한 후에 추가 적절운동안내알고리즘도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VR 기기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V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주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의 경우에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도약안구운동, 원활추종운동, 동적 시력검사를 정량화 대상으로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VR 기기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C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주며, 이때 경부안반사 훈련 결과를 역이용해 마지막 결과 값에서 표적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는 도약안구운동 정도를 정량화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상기 VR 기기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균형감각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주며, 이때 롬베르그 검사 탈락 시간, mCTSIB 검사 자이로센서의 흔들리는 빈도와 각도 크기를 정량화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안구운동의 측정의 기본으로 도약안구운동, 원활추종운동을 활용한 VOR 측정의 경우, 만성화된 경우 VOR 운동 이득이 없다면, 목 근육들을 통해 머리를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VCR, 경추에 있는 고유수용기들에 의해 눈 움직임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COR, 경추의 고유수용기들을 통해 몸통과 하지에 관련된 근육들을 조절해 주는 CSR, 머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CCR의 리플렉스 강화 운동으로 전환시켜 주며, 이때 급성기 치료의 경우에 전정적응의 호전을 주 목표로 VOR을, 만성화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전정대치에 대한 훈련을 목표로 VSR, VCR, COR, CSR, CCR을 활용하도록 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는, 자세안정성을 위해서,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한 일자걷기, 족답검사을 통해, 일자걷기 5m 시 일탈 각도를 정량화해 주며, 족답검사 시 로테이션된 각도를 정량화해 주며, 주관적 시수직 검사 시에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를 정량화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은,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제3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의사에게 통보하여 진찰과 함께 어떤 종류의 이석증인지를 확인하도록 해 주며, 의사의 처방을 입력받아 의사처방데이터를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의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사 단말기는, 치료를 시행한 후에,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통보되는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제3치료데이터를 참고하여 추적 진찰하도록 하며, 이에 의사의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의사 단말기는,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통보받은, 환자 자가로 치료한 데이터의 누적에 대해 결과 값에 따라 의사가 파악한 뒤에 치료법 모듈레이션해 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데이터베이스가 제1안구데이터, 제2안구데이터, 제1자세데이터,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제2치료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단계; VR 기기가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1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가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2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는 단계; 및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가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VR(virtual reality) 기기와 사용자 단말기를 활용하여 어지럼증(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해서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어지럼증에 대한 연속적인 환자의 평형감각의 정도와 안구진탕을 개인별로 맞춤화해서 파악하고 치료하여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시간대 별로 파악하기 힘든 의사 입장에서도 누적되는 연속적인 증상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약물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병원 외에서의 반복적 데이터를 정보화시켜 의사입장에서 환자의 치료와 의사의 진료 효율성 증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어지럼증 질병의 종류와 문제의 방향(에로, 이석증의 경우 12가지 방향), 문제의 정도(예로, 전정신경염 혹은 기타 전정기능장애의 경우 전정기능의 보상, 대치 정도)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VR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에서의 안구 움직임 그래프화 및 정량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에서 이용하는 안구 움직임별 이석증 방향 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의사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VR 기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있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에서의 안구 움직임 그래프화 및 정량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있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에서 이용하는 안구 움직임별 이석증 방향 진단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있는 의사 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VR(virtual reality) 기기(110), 사용자 단말기(120),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의사 단말기(150), 네트워크(160)를 포함한다.
VR 기기(110)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감지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제1치료데이터로 출력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VR 고글 등일 수 있으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어지럼증에 대한 자가 진단과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움직임(즉, 동공)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와의 연동(즉,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 중에서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세에 따른 이석증의 위치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운동 방향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 제시를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이석증 탈출 방향 별 체위교정술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가 스스로 게임을 하듯 화면을 보며 빠져있는 이석증의 방향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이석이 이동할 때 안구진탕이 발생했다가 진정되는 양상(체위를 단계별로 바꿀 때 이석이 이동할 시기에 안구진탕이 발생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 안구진탕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함)을 환자의 화면에 이석의 움직임으로 시각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디지픽스(dizzyfix)를 가상 시스템(virtual system)화하여 체위에 따른 안진의 증가와 감소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진이 줄어들면 화면에도 완전히 이석이 이동한 것으로 표현하여 다음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가장 최근에 적용한 상태 확인(진단) 또는 치료 목록들을 표기해 줌과 동시에 저장해 줄 수도 있으며, 가정에서의 치료 시 관찰된 안진 상태(진단)와 자가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의료인에게 진료를 볼 때에 추가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목록은, 실행 일자, 내용(진단/치료), 세부 내용(알고리즘), 성공실패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자이로스코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해당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하여 일자걷기, 족답검사(stepping test) 시행 시에 편위각도를 측정하여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VR 기기(110)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정재활치료에 대한 정보를 맞춤으로 제공받아, 전정안반사평가 이상 시(적응증은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동적시력검사에서 이상 소견 시)에 대한 주시안정운동(Gaze stabilization exercise), VOR 향상을 위한 전정안구반사운동, 도약안구운동(saccade) 증진을 위한 능동적 눈-머리움직임운동, 경부안반사훈련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여, 해당 감지한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제2치료데이터로 출력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스마트폰, 핸드폰 등일 수 있으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어지럼증에 대한 자가 진단과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컬러 명암 인식을 통한 사용자 안구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VR 기기(110)와의 연동(즉, 무선 통신)을 통해 VR 기기(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 중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세에 따른 이석증의 위치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화하여 운동 방향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 제시를 해 줄 수 있다. 이하, VR 기기(110)와 유사한 기능은 편의상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안구데이터(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자세데이터(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움직임의 수직, 수평, 회전성 운동을 시간 흐름대로 정리해서 안구 움직임을 그래프화 및 정량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시간에 따른 수평움직임, 수직움직임, 회전움직임을 각각 그래프화 시키는 것 외에도, 단일요소만 봐서는 안구진탕이 하나의 축의 움직임이 아닌 수평 안진 발생하다가 수직 움직임으로 넘어가는 경우에, 이상 징후를 체크 못할 수 있으므로, 수평 수직 회전 전체 인티그럴(integral)한 값의 안구진탕 그래프화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잡파(예를 들어, 반복적인 안구 중앙 축의 변화, 환자가 시 고정을 항상 동일하게 못하므로 한쪽으로 일탈(deviation)되는 것, 혹은 순간적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값)들을 중앙선으로 교정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진단 로직 알고리즘과 전정신경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와 전정 기능을 분석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간소화된 안구 움직임별 이석증 방향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를 분석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방향에 따른 다양한 체위교정술을 안구 움직임의 규칙적인 정보로 알고리즘화하여 12가지 방향으로 빠질 수 있는 방향을 확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이석증이 제대로 들어갔는지를 3D 형태로 시각화해 주는데, 이때 안구진탕이 지속되고 있을 때에는 시각화된 돌의 움직임이 지속되도록 시각화해 주고, 안구진탕이 진정되었을 때에는 원하는 방향으로 돌이 이동되었음을 보여주도록 시각화해 줄 수 있으며, 여기서 안구진탕 유무에 대한 시각화로서는 돌의 이동 정도나 양을 표현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자세에 따른 기본 전정기관의 위치(position) 형태의 경우에 최초 바른 자세에서의 자이로스코프 감지가 된 것에 따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할 수 있으며, 진단방법으로 병변 발견한 뒤 병변측으로 자세 취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가 감지해 취한 방향대로 전정신경 3축 회전으로 표현해 줄 수 있으며, 안구진탕의 경우 그래프에서 톱니바퀴화되어 보이도록 하고 시간 축에 따라 안구움직임(예를 들어, 톱날모양, 도약안구운동(saccade))의 시간당 발생 빈도(Hz)에 따라 시각적으로 VR 내의 돌이 이동해 나가는 것을 표현해 줄 수 있으며, 최초 Hz 측정 뒤 톱날 빈도가 0이 될 때까지의 Hz 변화(즉, 감속도)에 따라 완전 0가 될 때에 원하는 위치로 옮겨진 것으로 이미지화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전정안반사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때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을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동적시력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이 확인된다면, 주시안정운동을 처방하는 근거로 해 주고, 치료 후 추적검사로 호전 여부를 평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발안진/두부충동검사/도약안구운동/원활추종운동, 동적 시력검사와 같은 표준화되어 있는 안구의 움직임에 대한 정량화 대상(진폭, 진동수, 반사속도)을 측정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때 자세 및 보행에 대한 평가의 경우 기존 기술에서는 동적자세검사 외에는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장비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검사가 신체검사 및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이용하여 진행되고 있었으나, 이를 정량화해 줌으로써,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편위각도를 수신받아 신체감각신호 의존도(시각, 하체감각기능)를 평가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롬버그(Romberg) 검사, 주관적 시수직 검사 등 자이로스코프와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 등 정량화 가능한 검사들을 평가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전정재활치료의 경우, 미리 정해놓은 운동종류와 순서에 따라 모든 환자에서 사용하는 기성식 전정재활운동(generic method)과, 개인 환자의 치료시작 전과 도중 평형상태를 반복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운동 전략을 수정하는 맞춤식 전정재활치료(customized method)로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기성식 전정재활운동을 자가로 집에서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우선제공, 맞춤식 전정재활운동을 환자의 안구운동과 균형감각 유지를 안구움직임과 자이로스코프로 평가한 뒤에 이에 따른 맞춤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환자가 자가로 시행한 안구진탕 등의 진단데이터를 의사에게 전달하여 의사가 확진하도록 하고 승인 시에 환자에게 치료 프로토콜이 원격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3치료데이터)를 판독하여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의사처방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방법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선택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원격 진료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해당 획득한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를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의사처방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는 치료프로그램을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환자의 안구진탕 데이터를 의사 단말기(150)를 통해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안구진탕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전달해 주는데, 이때 일반 안진 기계가 출력해 내는 그래프 데이터로 전환시켜 의사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데이터를, 환자 촬영 동영상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프화 된 데이터의 잡파를 제거한 후에 전송해 줄 수 있으며, AI(artificial intelligence) 베이스진단툴(based diagnostic tool)을 이용하여, 환자에게서 진폭을 보며 진단하듯 가능성이 높은 질환 순서대로, 의심질환을 순차적으로 나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효과평가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이석증이 발생한 방향에 따른 반복적 치료 방법에 대한 치료지도서를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 내에 선택적으로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병원 진료 후 의사가 선택 및 세팅해 준 프로그램 내 치료방향 외에도 추가적인 방향의 이탈이 의심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병원 플랫폼으로 전달한 후에 의료인 승인 시 추가 치료법에 대해 선정해서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환자별로 확인되는 자가진단 안진의 방향과 치료법을 의사 단말기(150)로 통보하여 의료인이 안진방향과 치료 효율성에 대한 확인을 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진단되는 이석증의 방향 종류에 따라 어떤 치료법을 시행했을 때에 결과가 더 빨리 좋아지는지에 대한 AI 베이스 학습(based learning)(딥러닝)을 통해 나이대별, 연령별 질환, 빈도별 치료효과에 대한 분석으로 최선의 치료법에 대하여 알고리즘화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전정신경기능을 저하시키는 전정신경염의 경우, 평가 검사들의 정량적인 수치의 변화(예를 들어, VOR(vestibulo-ocular reflex)(전정안구반사; 안뜰눈반사) 상승, 도약안구운동(saccade) 상승, COR(cervico-ocular reflex) 상승, 자세안정운동의 상승 등)를 환자 균형감각 호전에 따라 수치화한 정량적 지표들의 변화에 맞추어 맞춤전정재활운동을 시행하도록 하는 기반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툴을 이용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맞춤형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진단수치별 재평가한 후에 추가 적절운동안내알고리즘도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V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의 경우에 두진후안진(HST), 두부충동검사(HIT), 도약안구운동(saccade), 원활추종운동(smooth pursuit), 동적 시력검사(visual acuity test) 등을 정량화 대상(예를 들어, 진폭, 진동수, 반사속도 등)으로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C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이때 경부안반사 훈련 결과를 역이용해 마지막 결과 값에서 표적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는 도약안구운동(saccade) 정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균형감각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이때 롬베르그(Rombserg) 검사 탈락 시간, mCTSIB(modified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검사 자이로센서의 흔들리는 빈도와 각도 크기를 정량화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안구운동의 측정의 기본으로 도약안구운동(saccade), 원활추종운동(smooth pursuit)을 활용한 VOR 측정의 경우, VOR 상승이 가장 주된 기능이므로 이를 회복시키는 것이 급성기에서 타 리플렉스(reflex) 회복보다 중요하므로, 만성화된 경우 VOR 운동 이득이 없다면, 주로 목 근육들을 통해 머리를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VCR(vestibulocollic reflex), 주로 경추에 있는 고유수용기들에 의해 눈 움직임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COR(cervico-ocular reflex), 경추의 고유수용기들을 통해 몸통과 하지에 관련된 근육들을 조절해 주는 CSR(cervico-spinal reflex), 머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CCR(cervico-collic reflex) 등의 리플렉스 강화 운동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급성기 치료의 경우에 전정적응(adaptation)의 호전을 주 목표로 VOR을, 만성화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전정대치에 대한 훈련을 목표로 VSR(vestibulospinal reflex), VCR, COR, CSR, CCR을 활용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자세안정성을 위해서, 자이로스코프가 내장되어 있는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활용한 일자걷기, 족답검사(stepping test)을 통해, 일자걷기 5m 시 일탈(deviation) 각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족답검사 시 로테이션(rotation)된 각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주관적 시수직 검사 시에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 등을 정량화해 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안구데이터(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자세데이터(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이석증과 전정신경염, 기타 전정기관 기능장애 등에 대해서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간소화하게 자가로 진단하도록 하며, 해당 진단 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한 물리적 위치교정술을 스스로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병원과 가정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로 제공해 주기 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프로그램(또는, 앱)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여기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은, 물리엔진개발프로그램(unity 3D)을 통한 소프트웨어 개발물로서 VR 기기용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단말기용 앱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분석한 이석증의 위치와 전정 기능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이석증 진단 치료 알고리즘 또는 중추성 혹은 기타 말초성과 이석증의 구분을 알고리즘들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진단 방법에 대한 데이터(예를 들어, 딕스-홀피크 테스트(dix-hallpike test)(후반고리관 이상 시 안진 발생), 라잉-다운 테스트(lying-down test)(옆고리관 이상 시 안진 발생), 헤드 롤 테스트(head roll test)(옆고리관 이상 시 안진 발생), 직현수 테스트(앞고리관 이상 시 안진 발생), 헤드 벤딩 테스트(옆고리관 이상 시 안진 발생) 등)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의사처방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방법데이터(예를 들어, 에플리법(epley maneuver)(후반고리관), 구포니법(gufoni maneuver)(옆반고리관), 바비큐법(barbeque maneuver)(옆반고리관 고리성 결석), 아피아니법(appiani maneuver)(옆반고리관 팽대부릉성 결석 시) 등)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의사 단말기(150)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3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의사에게 통보하여 진찰과 함께 어떤 종류의 이석증인지를 확인하도록 해 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사의 처방(즉, 디지털 치료제 처방)을 입력받아 의사처방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의사 단말기(150)는, 치료를 시행한 후에,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되는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3치료데이터)를 참고하여 추적 진찰하도록 하며, 이에 의사의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의사 단말기(150)는, 디지털 치료로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받은, 환자 자가로 치료한 데이터의 누적에 대해 결과 값에 따라 의사가 파악한 뒤에 치료법 모듈레이션(modulation)해 주도록 할 수 있다.
네트워크(160)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VR 기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 간의 통신, VR 기기(110)와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 간의 통신, 사용자 단말기(120)와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 간의 통신,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와 의사 단말기(150) 간의 통신을 연결시켜, VR 기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 사이의 데이터, VR 기기(110)와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 사이의 데이터, 사용자 단말기(120)와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 사이의 데이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와 의사 단말기(150) 사이의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VR 기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를 활용하여 어지럼증(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해서 AI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를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어지럼증에 대한 연속적인 환자의 평형감각의 정도와 안구진탕을 개인별로 맞춤화해서 파악하고 치료하여 환자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환자의 상태를 시간대 별로 파악하기 힘든 의사 입장에서도 누적되는 연속적인 증상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하여 약물을 더욱 더 효율적으로 배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병원 외에서의 반복적 데이터를 정보화시켜 의사입장에서 환자의 치료와 의사의 진료 효율성 증대에도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어지럼증 질병의 종류와 문제의 방향(예로, 이석증의 경우 12가지 방향), 문제의 정도(예로, 전정신경염 혹은 기타 전정기능장애의 경우 전정기능의 보상, 대치 정도)에 따른 환자 맞춤형 치료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석증과 전정신경염, 기타 전정기관 기능장애 등에 대한 진단 기구를 VR 기기(110)와 사용자 단말기(120)로 간소화 시켜 자가로 진단할 수 있도록 하고,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 진단 기구의 분석 자동화(예로, 딥러닝(deep learning) 등)을 통해 이석증이 발생한 방향과 방향에 따른 적절한 물리적 위치교정술을 스스로 반복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병원과 가정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해 줌으로써, 진단과 치료 자체 난이도가 높지 않고 기계적인 알고리즘에 따라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상생활에서의 자가 치료로 질병의 후유증을 최소화 하거나 즉각적인 자가 치료가 가능하므로 이석증과 전정신경염에 대한 디지털 치료제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환자가 질병초기 지속적으로 전정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어 후유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미 후유증이 있는 일반적인 전정신경기능저하 환자 혹은 중추성 어지럼증 환자도 잔존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재활운동을 통해 일상생활 능력 증진이 가능하며, 치료에 대한 반응에 대한 객관화가 되지 않고 DHI(dizziness handicap inventory)라는 환자의 주관적인 설문지로 치료효과를 평가한 종래 기술에 비해, 디지털 치료제를 통해 전정신경기능 이상에 대한 회복 정도를 정량화 하여 치료기간 산정과 재활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종래 기술의 전정재활운동이 획일화된 전정재활운동을 제시하는 것에 대비해서, 환자의 안구 움직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통한 환자의 전정기능의 취약지점을 파악한 뒤에 이에 맞춤형 전정재활운동을 양성되먹임으로 제공하여 치료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AI 베이스 러닝(based learning)(예로, 딥러닝 등)을 통해 각 편위된 기능별 어떤 운동법이 더 치료효과가 좋은지 또한 정량화할 수 있으며, 문진이나 주먹구구식으로 진행되던 전정안반사평가, 자세평가, 보행평가를 정량화, 표준화하고, 치료 또한 환자의 취약한 균형감각저하의 원인에 맞춘 맞춤형 치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물리엔진과 연동된 전정 재활 치료 시스템으로, 가장 흔한 어지럼증 질병(예를 들어, 이석증, 전정신경염 등)에 대한 진단과 치료, 재활운동을 효율적이고 스스로도 진단 가능하도록 해 주며, 나아가 원격 진료 시 어지럼증 분야에서 핵심적인 환자 임상소견을 정량화하여 진료에 도움을 주어 디지털 치료제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다른 단순 전정 기능 운동과는 달리, 가장 많은 병인 이석증과 전정신경염, 전정신경 기능 저하에 대한 진단 정확도와 기능 손상 정도에 대한 정량화로, 기능 손상 정도별 맞춤형 체위교정술 및 전정재활운동에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이석증의 진단과 치료의 경우, 작은 이석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는 없으므로, 이석이 움직일 때 전정기관과 연결되어 있는 안구의 움직임과 떨림 양상(안구진탕)에 대한 패턴을 분석해 이석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이탈방향은 자세를 여러 특수 방향으로 변경해 보면서 나와 있는 이석의 위치를 인위적으로 변경시켰을 때 관찰되는 안구 움직임의 변화를 관찰해서 어느 방향인지를 진단하도록 하며, 안구의 움직임을 의사의 시진으로 관찰하기도 하나, 정밀도를 위해 카메라가 달린 VR 기기(110)(예로, 고글)을 환자에게 씌워서 안구를 확대해 움직임 양상을 관찰하도록 하고, 안구 움직임 분석 소프트웨어가 안구 움직임을 그래프화해서 보여주는 전기안진검사를 통해 확인하도록 하며, 치료 시에는 머리의 방향을 회전하여 중력을 이용한 이석의 위치 교정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또한 검사 시에는 특정 방향으로 머리를 회전하여 이때 나타나는 반응(즉, 안구의 움직임 및 어지럼증의 정도)을 확인하는 것에 비해, 치료방법은 중력을 이용하여 이석을 반고리관에서 빼내는데 목표를 두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100)은, 전정신경염의 진단과 치료의 경우, 작은 전정신경을 직접 눈으로 관찰할 수는 없으므로, 전정기관과 연결되어 있는 안구의 지속되는 떨림 양상에 대한 패턴을 분석해 어지럼증의 원인이 전정신경염이 맞는지, 다른 병 원인은 아닌지를 감별하도록 하며, 급성기 약물치료로 신경염과 어지럼 증상을 완화하며 근본적으로는 전정재활치료를 통해 주시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자세 안정성 향상을 통해 어지럼 증상 호전과 일상 활동 개선이 되도록 해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VR 기기(110)에서는, 해당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한 제1안구데이터와 해당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한 제1자세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1).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VR 고글 등인 경우에,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어지럼증에 대한 자가 진단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VR 기기(1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안구 움직임(즉, 동공)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VR 기기(110)에서는, 해당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와의 연동(즉,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자이로스코프를 내장하고 있는 VR 기기(110)에서는, 해당 자이로스코프를 활용하여 일자걷기, 족답검사(stepping test) 시행 시에 편위각도를 측정하여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1에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전송하는 한편,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와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도, 해당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한 제2안구데이터와 해당 자이로 센서에서 감지한 제2자세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2).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스마트폰, 핸드폰 등인 경우에,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받아 설치한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어지럼증에 대한 자가 진단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컬러 명암 인식을 통한 사용자 안구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 안구를 추적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해당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VR 기기(110)와의 연동(즉, 무선 통신)을 통해 VR 기기(110)와 데이터를 송수신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2에서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되는 안구데이터(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자세데이터(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3).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구 움직임의 수직, 수평, 회전성 운동을 시간 흐름대로 정리해서 안구 움직임을 그래프화 및 정량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시간에 따른 수평움직임, 수직움직임, 회전움직임을 각각 그래프화 시키는 것 외에도, 단일요소만 봐서는 안구진탕이 하나의 축의 움직임이 아닌 수평 안진 발생하다가 수직 움직임으로 넘어가는 경우에, 이상 징후를 체크 못할 수 있으므로, 수평 수직 회전 전체 인티그럴(integral)한 값의 안구진탕 그래프화시켜 줄 수 있으며, 또한 잡파(예를 들어, 반복적인 안구 중앙 축의 변화, 환자가 시 고정을 항상 동일하게 못하므로 한쪽으로 일탈(deviation)되는 것, 혹은 순간적으로 좌우로 움직이는 값)들을 중앙선으로 교정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진단 로직 알고리즘과 전정신경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와 전정 기능을 분석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예와 같이, 간소화된 안구 움직임별 이석증 방향 진단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에 대한 잡파를 제거하여 이석증의 위치를 분석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분석한 결과에 대응하는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판독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는, 방향에 따른 다양한 체위교정술을 안구 움직임의 규칙적인 정보로 알고리즘화하여 12가지 방향으로 빠질 수 있는 방향을 확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이석증이 제대로 들어갔는지를 3D 형태로 시각화해 주는데, 이때 안구진탕이 지속되고 있을 때에는 시각화된 돌의 움직임이 지속되도록 시각화해 주고, 안구진탕이 진정되었을 때에는 원하는 방향으로 돌이 이동되었음을 보여주도록 시각화해 줄 수 있으며, 여기서 안구진탕 유무에 대한 시각화로서는 돌의 이동 정도나 양을 표현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자세에 따른 기본 전정기관의 위치(position) 형태의 경우에 최초 바른 자세에서의 자이로스코프 감지가 된 것에 따라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할 수 있으며, 진단방법으로 병변 발견한 뒤 병변측으로 자세 취하게 되면 자이로스코프가 감지해 취한 방향대로 전정신경 3축 회전으로 표현해 줄 수 있으며, 안구진탕의 경우 그래프에서 톱니바퀴화되어 보이도록 하고 시간 축에 따라 안구움직임(예를 들어, 톱날모양, 도약안구운동(saccade))의 시간당 발생 빈도(Hz)에 따라 시각적으로 VR 내의 돌이 이동해 나가는 것을 표현해 줄 수 있으며, 최초 Hz 측정 뒤 톱날 빈도가 0이 될 때까지의 Hz 변화(즉, 감속도)에 따라 완전 0가 될 때에 원하는 위치로 옮겨진 것으로 이미지화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전정안반사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때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을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동적시력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이 확인된다면, 주시안정운동을 처방하는 근거로 해 주고, 치료 후 추적검사로 호전 여부를 평가하는 데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자발안진/두부충동검사/도약안구운동/원활추종운동, 동적 시력검사와 같은 표준화되어 있는 안구의 움직임에 대한 정량화 대상(진폭, 진동수, 반사속도)을 측정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정신경 기능 평가 기술을 이용하여 자세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때 자세 및 보행에 대한 평가의 경우 기존 기술에서는 동적자세검사 외에는 체계적이고 정량화된 장비가 많지 않고 대부분의 검사가 신체검사 및 검사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이용하여 진행되고 있었으나, 이를 정량화해 줌으로써,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부터 편위각도를 수신받아 신체감각신호 의존도(시각, 하체감각기능)를 평가해 줄 수 있으며, 또한 롬버그(Romberg) 검사, 주관적 시수직 검사 등 자이로스코프와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 등 정량화 가능한 검사들을 평가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정재활치료의 경우, 미리 정해놓은 운동종류와 순서에 따라 모든 환자에서 사용하는 기성식 전정재활운동(generic method)과, 개인 환자의 치료시작 전과 도중 평형상태를 반복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운동 전략을 수정하는 맞춤식 전정재활치료(customized method)로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기성식 전정재활운동을 자가로 집에서 체계적으로 할 수 있도록 우선제공, 맞춤식 전정재활운동을 환자의 안구운동과 균형감각 유지를 안구움직임과 자이로스코프로 평가한 뒤에 이에 따른 맞춤으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환자가 자가로 시행한 안구진탕 등의 진단데이터를 의사에게 전달하여 의사가 확진하도록 하고 승인 시에 환자에게 치료 프로토콜이 원격으로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를 판독하여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의사처방데이터에 대응하는 치료방법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0)로부터 선택하여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진단되는 이석증의 방향 종류에 따라 어떤 치료법을 시행했을 때에 결과가 더 빨리 좋아지는지에 대한 AI 베이스 학습(based learning)(딥러닝)을 통해 나이대별, 연령별 질환, 빈도별 치료효과에 대한 분석으로 최선의 치료법에 대하여 알고리즘화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전정신경기능을 저하시키는 전정신경염의 경우, 평가 검사들의 정량적인 수치의 변화(예를 들어, VOR(vestibulo-ocular reflex)(전정안구반사; 안뜰눈반사) 상승, 도약안구운동(saccade) 상승, COR(cervico-ocular reflex) 상승, 자세안정운동의 상승 등)를 환자 균형감각 호전에 따라 수치화한 정량적 지표들의 변화에 맞추어 맞춤전정재활운동을 시행하도록 하는 기반으로 삼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평가 툴을 이용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해당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맞춤형치료데이터를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진단수치별 재평가한 후에 추가 적절운동안내알고리즘도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V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전정안반사의 동적 불균형의 경우에 두진후안진(HST), 두부충동검사(HIT), 도약안구운동(saccade), 원활추종운동(smooth pursuit), 동적 시력검사(visual acuity test) 등을 정량화 대상(예를 들어, 진폭, 진동수, 반사속도 등)으로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COR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이때 경부안반사 훈련 결과를 역이용해 마지막 결과 값에서 표적으로 다시 이동해야 하는 도약안구운동(saccade) 정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VR 기기(110)를 이용한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에 따라 균형감각 호전에 대한 평가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이때 롬베르그(Rombserg) 검사 탈락 시간, mCTSIB(modified Clinical Test of Sensory Interaction and Balance) 검사 자이로센서의 흔들리는 빈도와 각도 크기를 정량화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안구운동의 측정의 기본으로 도약안구운동(saccade), 원활추종운동(smooth pursuit)을 활용한 VOR 측정의 경우, VOR 상승이 가장 주된 기능이므로 이를 회복시키는 것이 급성기에서 타 리플렉스(reflex) 회복보다 중요하므로, 만성화된 경우 VOR 운동 이득이 없다면, 주로 목 근육들을 통해 머리를 안정화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VCR(vestibulocollic reflex), 주로 경추에 있는 고유수용기들에 의해 눈 움직임을 조절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COR(cervico-ocular reflex), 경추의 고유수용기들을 통해 몸통과 하지에 관련된 근육들을 조절해 주는 CSR(cervico-spinal reflex), 머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CCR(cervico-collic reflex) 등의 리플렉스 강화 운동으로 전환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급성기 치료의 경우에 전정적응(adaptation)의 호전을 주 목표로 VOR을, 만성화되어 있는 환자에서는 전정대치에 대한 훈련을 목표로 VSR(vestibulospinal reflex), VCR, COR, CSR, CCR을 활용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자세안정성을 위해서, 자이로스코프가 내장되어 있는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활용한 일자걷기, 족답검사(stepping test)을 통해, 일자걷기 5m 시 일탈(deviation) 각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족답검사 시 로테이션(rotation)된 각도를 정량화해 줄 수 있으며, 주관적 시수직 검사 시에 시수직막대에 대한 편향정도 등을 정량화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3에서 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VR 기기(110)에서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데이터(제1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시켜 주게 된다(S604).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고글 등인 경우에, VR 기기(110)에서는,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되는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 중에서 이석증 위치별 자세 변경을 안내할 기본 프로그램인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세에 따른 이석증의 위치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운동 방향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 제시를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이석증 탈출 방향 별 체위교정술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가 스스로 게임을 하듯 화면을 보며 빠져있는 이석증의 방향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단계별로 이석이 이동할 때 안구진탕이 발생했다가 진정되는 양상(체위를 단계별로 바꿀 때 이석이 이동할 시기에 안구진탕이 발생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 안구진탕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함)을 환자의 화면에 이석의 움직임으로 시각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디지픽스(dizzyfix)를 가상 시스템(virtual system)화하여 체위에 따른 안진의 증가와 감소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안진이 줄어들면 화면에도 완전히 이석이 이동한 것으로 표현하여 다음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가장 최근에 적용한 상태 확인(진단) 또는 치료 목록들을 표기해 줌과 동시에 저장해 줄 수도 있으며, 가정에서의 치료 시 관찰된 안진 상태(진단)와 자가 치료에 대한 정보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를 통해 의료인에게 진료를 볼 때에 추가로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목록은, 실행 일자, 내용(진단/치료), 세부 내용(알고리즘), 성공실패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VR 기기(110)에서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정재활치료에 대한 정보를 맞춤으로 제공받아, 전정안반사평가 이상 시(적응증은 두진후안진, 두부충동검사, 동적시력검사에서 이상 소견 시)에 대한 주시안정운동(Gaze stabilization exercise), VOR 향상을 위한 전정안구반사운동, 도약안구운동(saccade) 증진을 위한 능동적 눈-머리움직임운동, 경부안반사훈련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4에서 제1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주는 한편,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데이터(제2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수단을 통해 출력시켜 주게 된다(S605).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제2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스마트폰, 핸드폰 등인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도, 입력수단을 통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경우에,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되는 비약물적 치료 보조(즉,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제2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줌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앱(또는, 프로그램) 중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에 따라 자이로 센서를 활용하여 자세에 따른 이석증의 위치를 화면에 시각적으로 표현화하여 운동 방향 격려와 적절한 피드백 제시를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5에서 제2치료데이터를 출력시켜 주는 한편,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원격 진료 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술한 단계 S603에서 획득한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를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6).
상술한 단계 S606에서 진단데이터 및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환자의 안구진탕 데이터를 의사 단말기(150)를 통해 의료진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안구진탕 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전달해 주는데, 이때 일반 안진 기계가 출력해 내는 그래프 데이터로 전환시켜 의사에게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6에서 진단데이터 및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의사 단말기(150)로 전송해 줄 데이터를, 환자 촬영 동영상 그대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래프화 된 데이터의 잡파를 제거한 후에 전송해 줄 수 있으며, AI(artificial intelligence) 베이스진단툴(based diagnostic tool)을 이용하여, 환자에게서 진폭을 보며 진단하듯 가능성이 높은 질환 순서대로, 의심질환을 순차적으로 나열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6에서 진단데이터 및 치료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환자별로 확인되는 자가진단 안진의 방향과 치료법을 의사 단말기(150)로 통보하여 의료인이 안진방향과 치료 효율성에 대한 확인을 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6에서 진단데이터 및 치료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의사 단말기(150)에서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전송되는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의사에게 통보하여 진찰과 함께 어떤 종류의 이석증인지를 확인하도록 해 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사의 처방(즉, 디지털 치료제 처방)을 입력받아 의사처방데이터를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7).
상술한 단계 S607에서 의사처방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의사 단말기(150)에서는, 치료를 시행한 후에,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되는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치료데이터를 참고하여 추적 진찰하도록 하며, 이에 의사의 치료효과에 대한 평가를 입력받아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7에서 의사처방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의사 단말기(150)에서는, 디지털 치료로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보받은, 환자 자가로 치료한 데이터의 누적에 대해 결과 값에 따라 의사가 파악한 뒤에 치료법 모듈레이션(modulation)해 주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7에서 의사처방데이터를 전송하게 되면,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의사처방데이터를 수신받아 이에 대응하는 치료프로그램을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주게 된다(S608).
상술한 단계 S608에서 치료프로그램을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의사 단말기(150)로부터 전송되는 치료효과평가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이석증이 발생한 방향에 따른 반복적 치료 방법에 대한 치료지도서를 이석증 치료 프로그램 내에 선택적으로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제공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608에서 치료프로그램을 전송함에 있어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130)에서는, 병원 진료 후 의사가 선택 및 세팅해 준 프로그램 내 치료방향 외에도 추가적인 방향의 이탈이 의심될 경우 이에 대한 정보 병원 플랫폼으로 전달한 후에 의료인 승인 시 추가 치료법에 대해 선정해서 VR 기기(110) 또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110: VR 기기
120: 사용자 단말기
130: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
140: 데이터베이스
150: 의사 단말기
160: 네트워크

Claims (5)

  1. 제1안구데이터, 제2안구데이터, 제1자세데이터,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제2치료데이터를 미리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제1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1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VR 기기; 제2안구데이터와 제2자세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해 주며, 제2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출력시켜 주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제1안구데이터 또는 제2안구데이터와 제1자세데이터 또는 제2자세데이터를 분석하여 진단데이터를 획득하고, 획득한 진단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치료데이터 또는 제2치료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VR 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VR 기기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여 제1안구데이터를 획득하는 적외선 센서; 및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제1자세데이터를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며; 이석증 탈출 방향 별 체위교정술을 상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가 스스로 화면을 보며 빠져있는 이석증의 방향을 확인하도록 하며, 체위를 단계별로 바꿀 때 이석이 이동할 시기에 안구진탕이 발생하고,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 안구진탕 사라지는 원리를 이용하여, 단계별로 이석이 이동할 때 안구진탕이 발생했다가 진정되는 양상을 화면에 이석의 움직임으로 시각화시켜 주며; 디지픽스를 가상 시스템화하여 체위에 따른 안진의 증가와 감소를 확인하도록 하며, 안진이 줄어들면 화면에도 완전히 이석이 이동한 것으로 표현하여 다음 자세를 취하도록 유도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안구를 감지하여 제2안구데이터를 획득하는 카메라; 및
    사용자의 자세를 감지하여 제2자세데이터를 획득하는 자이로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부터 진단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제3치료데이터를 수신받아 의사에게 통보하여 진찰과 함께 어떤 종류의 이석증인지를 확인하도록 해 주며, 의사의 처방을 입력받아 의사처방데이터를 상기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서버로 전송해 주기 위한 의사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5. 삭제
KR1020230096099A 2023-07-24 2023-07-24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2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099A KR102624293B1 (ko) 2023-07-24 2023-07-24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6099A KR102624293B1 (ko) 2023-07-24 2023-07-24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4293B1 true KR102624293B1 (ko) 2024-01-12

Family

ID=8954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6099A KR102624293B1 (ko) 2023-07-24 2023-07-24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429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01A (ko)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호도스텍 터치식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콘센트 및전원 멀티탭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102178294B1 (ko) 2020-05-15 2020-11-12 가자마 이엔티 (주)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20220115681A (ko) * 2021-02-09 2022-08-18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전정물리치료 재활 장치 및 재활 방법
KR20230081824A (ko) * 2021-11-30 2023-06-08 고큐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혼합 현실 기반 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9301A (ko) 2007-12-06 2009-06-11 주식회사 호도스텍 터치식 전원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콘센트 및전원 멀티탭
KR20190102732A (ko) * 2018-02-27 2019-09-04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을 이용한 안진 측정 장치
KR20210140808A (ko) * 2020-05-13 2021-11-2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78294B1 (ko) 2020-05-15 2020-11-12 가자마 이엔티 (주) 가상현실 기반의 어지럼증 치료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15681A (ko) * 2021-02-09 2022-08-18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 기반 전정물리치료 재활 장치 및 재활 방법
KR20230081824A (ko) * 2021-11-30 2023-06-08 고큐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혼합 현실 기반 재활 치료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5815A1 (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or virtual reality for activity optimization/personalization
JP6676522B2 (ja) 対象における眼球運動を追跡するためのデバイスの作動方法、および当該デバイスによって追跡された眼球運動のデータの中枢神経系病変を位置特定するための使用方法
KR101647455B1 (ko) 어지럼증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장치
US20170273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biomechanical characterizations to patient care
WO2014015378A1 (en) A mobile computing device, application server,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system for calculating a vitality indicia, detecting an environmental hazard, vision assistance and detecting disease
KR102290504B1 (ko) 트래커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Pointer Sighting versus sensory ocular dominance
US202100932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ction measurement
WO2016001902A1 (en) Apparatus comprising a headset, a camera for recording eye movements and a screen for providing a stimulation exercise and an associated method for treating vestibular, ocular or central impairment
KR102321445B1 (ko) 무릎 트래커를 이용한 의료기기용 헬스 케어 시스템
EP3940715A1 (en) Neurological disorders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60002516A (ko) 홍채차트를 이용한 건강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092655A (ko) 재활 진단 훈련 시스템 및 재활 진단 훈련 방법
KR102624293B1 (ko) 어지럼증 진단 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230010314A1 (en) Head injury assessment based on comninations of biomarkers, cognitive assessment and/or impact detection
US201803603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ssessment and Rehabilitation of Neurologic Deficits
KR102612075B1 (ko) 가상 현실 기반 중추신경계 탈수초 질환 환자의 뇌 훈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1808836B1 (ko) 학습 장치, 학습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US20230337909A1 (en) Device for retinal neuromodulation therapy and extrafoveal reading in subjects affected by visual impairment
US202400746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Quantification and Feedback of Eye Deviations
WO2023140064A1 (ja) 眼科情報処理装置及び眼科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20007936A1 (en) Decis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neurological disorders
WO2023195488A1 (ja) 双方向視線位置判定装置、双方向視線位置判定方法およびトレーニング方法
US20230172507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Investigating or Assessing Eye or Pupil Movement
US2022008752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Presbyop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