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9680A -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9680A
KR20110019680A KR1020090077327A KR20090077327A KR20110019680A KR 20110019680 A KR20110019680 A KR 20110019680A KR 1020090077327 A KR1020090077327 A KR 1020090077327A KR 20090077327 A KR20090077327 A KR 20090077327A KR 20110019680 A KR20110019680 A KR 20110019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ide bar
opening
upper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1132B1 (ko
Inventor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7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113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8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tud, pin, or spigot has a resilien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와 같은 제 3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중공의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봉할 수 있고 또한 대상 부재로부터 분리,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캡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등과 같은 중공의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캡은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다수의 측면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측면 부재는, 상부 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연장편; 제 1 및 제 2 연장편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연장편 사이에 배치된 하부 평면부, 상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외면이 하부 평면부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부로 구분된 탄성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캡의 각 측면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대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편의 상부면이 대상 부재의 개구의 주변 영역 하부면에 대응하고 상부 부재는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한다.
사이드 바, 개구, 캡, 탄성편

Description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Cap employed for closing opening and side bar assembly of roof carrier for veh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이프 등과 같은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이드 바에 형성된 개구를 캡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밀폐하고 장착된 캡을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사이드 바의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실내 공간의 협소함에 따른 짐이나 물건 등의 수납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의 루프 패널(Roof panel)의 상부에 루프 캐리어(Roof carrier)를 장착한 후 레저 스포츠용 물건은 물론 그 외의 화물 등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루프 캐리어는 루프 패널의 양측에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사이드 바와, 루프 패널을 가로질러 양 사이드 바에 록킹되는 2개의 크로스 바(cross bar)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이 크로스 바를 사이드 바를 따라 슬 라이딩시킴으로써 됨으로써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 바 사이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루프 캐리어의 구조를 도 1을 통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프 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 패널(P) 상부에 장착된다. 루프 캐리어(10)는 차량의 루프 패널(P) 상면 양측에 제 1 방향 (즉, 차량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설치된 1쌍의 사이드 바(21, 22)와, 사이드 바(21, 22) 사이에 사이드 바와 수직하게 배치되고 그 양단부가 양 사이드 바(21, 22)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2개의 크로스 바(11, 12)를 포함한다.
크로스 바(11, 12)는 사이드 바(21, 22) 상에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며, 따라서 크로스 바(11, 12) 사이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동된 크로스 바(11, 12)를 사이드 바(21, 22)에 록킹시키기 위하여 각 크로스 바(11, 12)의 종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록킹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느 한 사이드 바(21)와 사이드 바(21)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커버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편의상 차량의 루프 패널(P)의 일부와 장착 볼트를 도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사이드 바(21)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에는 다수의 개구(21A 및 21B)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볼트(B)가 사이드 바(21)의 하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21B)를 관통하여 차량의 루프 패널(P)에 고정됨으로써 사이드 바(21)는 차량의 루프 패널(P) 상에 고정된다.
즉, 사이드 바(21)의 저면이 차량의 루프 패널(P)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에 서, 작업자는 장착 볼트(B)를 사이드 바(21)의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21A)를 통하여 하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21B)와 대응시킨다.
이후 작업자가 상부 부재의 개구(21A)를 통하여 장착 공구(T: 쇄선으로 도시함)를 사이드 바(21) 내부로 밀어 넣어 장착 볼트(B)를 차량의 루프 패널(P)에 고정시킴으로써 사이드 바(21)는 차량의 루프 패널(P) 상에 고정된다(도 3의 상태).
이후, 작업자는 사이드 바(21)의 상부 부재에 커버(23)를 장착하여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21A)를 밀폐한다. 즉, 사이드 바(21)의 상부 부재의 양측부 내측면에는 전 길이(또는 임의의 구간)에 걸쳐 그루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작업자는 커버(23)의 한 종단을 사이드 바(21)의 한 종단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커버(23)를 사이드 바(21)의 길이 방향으로 밀어 커버(23)의 양 측단부를 사이드 바(21)의 그루브 내에 각각 수용시킨다. 따라서, 사이드 바(21)의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21A)는 커버(23)에 의하여 밀폐된다.
이와 달리, 커버(23)를 사이드 바(21)의 상단에 대응시킨 상태에서 커버(23)을 가압하여 그 양 측단부를 억지끼워 맞춤 방법으로 사이드 바(21)의 그루브 내에 끼워넣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사이드 바(21 및 22) 및 이에 장착되는 커버(23)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사이드 바(21 및 22)의 양측부에는 커버(23)의 양 측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그루브로 인하여 압출/인발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사이드 바는 설계된 규격을 만족할 만큼 정밀한 구조를 갖기 어렵다.
또한, 사이드 바와는 별도로 사이드 바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21A)를 밀봉하기 위한 부재, 즉 커버(23)를 별도로 제조하여야 하며, 커버(23)를 사이드 바에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조립 공정이 요구된다.
한편,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23)는 온도 차이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사이드 바에 장착된 커버(23)는 사이드 바의 견고한 체결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와 함께, 커버(23)가 사이드 바의 전체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기 때문에 전 길이에 걸쳐 커버(23)의 양 측단부가 사이드 바의 그루브 내에 정확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수용되기 어려우며, 따라서 외부의 진동에 의하여 커버(23)가 사이드 바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중공의 대상 부재(즉, 사이드 바) 및 커버에 의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와 같은 제 3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중공의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봉할 수 있고 또한 대상 부재로부터 분리,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캡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를 갖는 위의 구조를 갖는 캡 및 사이드 바를 포함하여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한 사이드 바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등과 같은 중공의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캡은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다수의 측면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측면 부재는, 상부 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연장편; 제 1 및 제 2 연장편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연장편 사이에 배치된 하부 평면부, 상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외면이 하부 평면부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부로 구분된 탄성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캡의 각 측면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대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편의 상부면이 대상 부재의 개구의 주변 영역 하부면에 대응하고 상부 부재는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한다.
한편, 상부 부재는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 캡이 대상 부재의 개구를 밀폐할 때 상부 부재의 표면과 대상 부재의 표면은 단차가 없는 표면을 형성한다.
또한, 각 측면 부재의 각 탄성편은 상부 경사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그루브를 더 포함하며, 상부 부재는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측면 부재의 탄성편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다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캡은 상부 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루프 패널용 사이드 바 조립체는 차량의 루프 패널 양측에 각각 장착된 중공의 사이드 바; 및 각 사이드 바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다수의 캡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루프 패널용 사이드 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캡으로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성 및 특징을 갖는 기능을 캡을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캡을 설명하기 위하여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의 구성 요소, 즉 차량 루프 패널에 장착된 사이드 바 및 사이드 바에 장착되는 캡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는 소정 길이를 갖는 사이드 바(100) 및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에 장착되어 사이드 바(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밀폐하는 다수의 캡(200)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사이드 바(100)의 용도, 전체적인 구성 그리고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사이드 바(21 및 22)의 전체적인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며, 따라서 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캡(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캡(200)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캡(200)은 상부 부재(210), 상부 부재(210)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를 포함한다. 또한 캡(200)은 상부 부재(210)의 전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 1 측면 부재(220)와 제 2 측면 부재(230)를 연결하는 전면 부재(240) 그리고 상부 부재(210)의 후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 1 측면 부재(220)와 제 2 측면 부재(230)를 연결하는 후면 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부재(210)
상부 부재(2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이드 바(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개구(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형상과 동일하며, 또한, 상부 부재(210)의 상부면의 형상은 사이드 바(100)의 표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캡(200)이 사이드 바(100)의 개구 내에 삽입될 때, 상부 부재(210)의 상부면과 사이드 바(100)의 상부면은 단차가 없는 표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캡(200)이 사이드 바(100)가 아닌, 중공의 원통형 파이프 또는 평판형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봉하기 위하여 사용될 때, 캡(200)의 상부 부재(210)의 표면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면이 아닌, 곡면 또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부 부재(210)의 양 측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연장된 절개부(211)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은 사이드 바(100)의 상부면과 동일하게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구성은 상부 부재(210)를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 1 측면 부재(220)의 구성만을 설명한다.
제 1 측면 부재(220)는 상부 부재(210)의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되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으로 이루어지며, 2개의 연장편(221 및 222)의 하단은 연결편(22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연결편(223)의 중앙부에는 공간부(223A)가 폭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에는 상향 연장된 탄성편(224)이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편(224)의 상단 및 양 측단은 상부 부재(210) 그리고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편(224)은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과 평행한 하부 평면부(224A) 및 상부 경사부(224B)로 구분된다. 하부 평면부(224A)는 연결편(223)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며, 상부 경사부(224B)는 하부 평면부(224A)의 상단에서 상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상부 경사부(224B)의 외면은 하부 평면부(224A)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태이다.
상부 경사부(224B)의 중앙부에는 상단이 개방된 그루브(224B-1)가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그루브(224B-1)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그 깊이(폭)가 점차적으로 증가, 즉 그루브(224B-1)의 바닥면(도면에서는 측벽면)은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과 평행한 상태이다.
한편, 그루브(224B-1)의 개방된 상단은 상부 부재(210)의 측단부에 형성된 절개부(211)와 대응하며, 또한 상부 경사부(224B)의 상부면(224B-2)은 상부 부재(210)의 하부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부 부재(210)의 하부면 아래에 위치한다.
전면 부재(240) 및 후면 부재(250)
상부 부재(210)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전면 부재(240)와 후면 부재(250)는 제 1 측면 부재(220)와 제 2 측면 부재(230)의 전단 및 후단을 각각 연결하며, 상부 부재(210)와의 경계부에는 소정 깊이의 그루브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캡(200)을 구성하는 전면 부재(240)와 후면 부재(250)는 얇은 두께의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가 외력에 의하여 외측 또는 내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 부재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전면 부재(240)와 후면 부재(250)의 하부에는 소정 면적이 제거된 절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캡(200)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고 캡(200)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캡(200)을 사이드 바(100)에 장착하는 과정 및 캡(200)을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도 4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사이드 바(100)에 장착된 캡(200)에 의하여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101)가 밀폐된 상태를 각각 도시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는 사이드 바(100)가 고정되는 차량의 루프 패널(P)을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공(中空)의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 및 하부 부재에는 다수의 개구(도 8 및 도 9에는 캡이 장착되는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만을 도면 부호 "101"로 지시함)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 볼트(B)가 하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관통하여 차량의 루프 패널(P)에 결합됨으로써 사이드 바(100)는 차량의 루프 패널(P) 상에 고정된다(도 8 및 도 9의 미설명 부호 "T"는 장착 볼트(B)를 루프 패널(P)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 공구이다)
이후, 작업자는 캡(200)을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101)에 삽입한다. 캡(200)이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에 형성된 개구(101)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20)의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 그리고 탄성편(224)의 하부 평면부(224A)는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 내로 원활하게 삽입되나, 탄성편(22)의 상부 경사부(224B)는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캡(200)의 계속적인 삽입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는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에 의 하여 가압되어 캡(200)의 내측으로 점차적으로 이동, 즉 탄성편(224)이 캡(200)의 내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캡(200)의 양 측면 부재(220 및 230)가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를 통하여 사이드 바(100)의 내부로 완전히 수용되면,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와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의 접촉 상태가 해제되어 캡(200)의 내측으로 휘어진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탄성편(224)은 탄성에 의하여 최초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1)의 상부면(224B-2)은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9의 상태). 이 상태에서는, 인위적인 상향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캡(200)은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캡(200)이 개구(101)를 통하여 사이드 바(100)의 내부로 위치한 상태에서, 캡(200)의 상부 부재(210)의 상부면은 사이드 바(100)의 상부 부재의 표면과 동일 면을 이루게 되며,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연결편(223)은 사이드 바(100)의 하부 부재의 바닥면과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연결편(223)의 중앙부에는 폭 방향으로 공간부(2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편(223)의 공간부(223A)에 의하여 연결편(223)의 하단부는 압축 상태가 되며 따라서 사이드 바(100)의 내부에 위치한 캡(200)에는 상향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캡(200)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사이드 바(100)의 하부 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공간부(223A)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220 및 230)의 연결편(233)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캡(200)은 사이드 바(100) 내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이드 바(100)에 장착된 캡(200)을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캡(200)을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송곳 등과 같은 가늘고 긴 길이를 갖는 기구(D)를 상부 부재(210)의 양 측단부에 형성된 절개부(211)에 삽입한다. 여기서,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과 캡(200)의 상부 부재(210)가 대응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부 부재(210)의 절개부(211)에 의하여 기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캡(200)의 상부 부재(210)의 절개부(211)를 통하여 삽입된 기구(D)는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의 중앙부에 형성된 그루브(224B-1) 내로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기구(D)의 하단부를 캡(1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기구(D)에 의하여 가해지는 외력에 의하여 각 측면 부재(220 및 230)의 탄성편(224)은 하부 평면부(224A)의 종단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전한다.
각 측면 부재(220 및 230)에서의 탄성편(224)의 회전에 의하여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의 상부면(224B-2)과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의 대응 상태는 해제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부 부재(210)를 잡고 캡(200)을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 제거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편(223)의 하단에 형성된 공간부(223A)에 의 하여 연결편(223)의 하단부는 압축 상태이기 때문에 탄성편(224)의 상부 경사부(224B)의 상부면(224B-2)과 사이드 바(100)의 개구(101)의 주변 영역의 하부면의 대응 상태가 해제될 때, 연결편(2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측면 부재(220 및 230), 즉 캡(200)은 소정 높이 상향 돌출되며,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용이하게 캡(200)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구성을 갖는 캡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또 다른 형태의 캡(300)은 상부 부재(310), 상부 부재(310)의 양측에서 각각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320 및 330), 상부 부재(310)의 전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 1 측면 부재(320)와 제 2 측면 부재(330)를 연결하는 전면 부재(340) 그리고 상부 부재(310)의 후면에서 하향 연장되어 제 1 측면 부재(320)와 제 2 측면 부재(330)를 연결하는 후면 부재(3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부재(310), 전면 부재(340) 및 후면 부재(350)의 구성 그리고 각 측면 부재(320 및 330)의 전체적인 구성은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캡(200)의 대응 부재와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캡(200)에서는 각 측면 부재(예를 들어, 220)를 구성하는 제 1 및 제 2 연장편(221 및 222)의 하단이 연결편(223)으로 연결되고 연결편(223)의 중앙부에 공간부(2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달리, 도 10에 도시된 캡(300)에서는 각 측면 부재(320 및 330)의 연결편(323)에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고, 제 1 연장편(321)과 제 2 연장편(322)의 하부에 일단이 개방된 절개부(322-1; 도 10에서는 제 2 측면 부재(320)의 제 2 연장 편(322)에 형성된 절개부만을 도시함)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바(100)의 내부에 캡(300)이 위치할 때, 절개부(322-1)에 의하여 각 측면 부재(320 및 330)에 상향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며, 따라서 캡(300)에 작용하는 충격은 절개부(322-1)에 흡수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캡(300)을 분리할 때 캡(300)이 상향 탄성력에 의하여 소정 높이 돌출됨으로써 캡(300)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사이드 바(100)의 하부 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절개부(322-1)가 형성된 각 측면 부재(320 및 330)의 연장편(321, 322)이 충격을 흡수하게 되며, 따라서 캡(300)은 사이드 바(100) 내에서 유동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캡(300)을 사이드 바(100)에 장착하고 사이드 바(1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위에서 설명한 캡(200)의 장착 및 분리 과정과 동일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연결편(223)의 중앙부에 공간부(223A)를 형성(도 3 내지 도 9의 구성)하지 않고 또한 제 1 연장편(321)과 제 2 연장편(322)의 하부에 일단이 개방된 절개부(322-1)를 형성(도 10의 구성)하지 않고 연결편 및/또는 연장편의 하단에 고무 등과 같은 탄성체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즉, 위의 설명에서는 캡이 차량의 루프 패널에 장착되는 사이드 바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시킨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사용된 캡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즉, 사이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부재, 예를 들어, 중공의 파이프 또는 중공의 부재 상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시키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캡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는 캡이 2개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지만, 3개 이상의 측면 부재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3개 이상의 전면 부재와 후면 부재(즉, 연결 부재)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느 한 사이드 바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A-A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의 사시도.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 조립체를 구성하는 캡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도 4의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4의 선 C-C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또 다른 구성을 갖는 캡의 사시도.

Claims (15)

  1. 차량의 루프 패널 양측에 각각 장착된 중공의 사이드 바; 및
    각 사이드 바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다수의 캡으로 이루어지되,
    각 캡은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다수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며,
    각 측면 부재는, 상부 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연장편; 제 1 및 제 2 연장편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연장편 사이에 배치된 하부 평면부, 상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외면이 하부 평면부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부로 구분된 탄성편을 포함하여,
    캡의 각 측면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사이드 바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각 측면 부재의 탄성편의 상부면이 개구의 주변 영역 하부면에 대응하고 상부 부재는 사이드 바의 개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는 사이드 바의 개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 캡이 사이드 바의 개구를 밀폐할 때 상부 부재의 표면과 사이드 바의 표면은 단차가 없는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의 각 탄성편은 상부 경사부의 중앙부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그루브를 더 포함하며,
    상부 부재는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측면 부재의 탄성편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다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이웃하는 2개의 측면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는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연결편은 그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제 1 및 제 2 연장편은 그 하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절개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 의 사이드 바 조립체.
  8. 파이프 등과 같은 중공의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캡에 있어서,
    상부 부재 및 상부 부재의 측부로부터 하향 연장된 다수의 측면 부재를 포함하되,
    각 측면 부재는, 상부 부재에서 이격된 상태로 하향 연장된 제 1 및 제 2 연장편; 제 1 및 제 2 연장편의 하단을 연결하는 연결편; 연결편으로부터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연장편 사이에 배치된 하부 평면부, 상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외면이 하부 평면부의 종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진 상부 경사부로 구분된 탄성편을 포함하여,
    캡의 각 측면 부재가 개구를 통하여 대상 부재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편의 상부면이 대상 부재의 개구의 주변 영역 하부면에 대응하고 상부 부재는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9. 제 8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는 대상 부재에 형성된 개구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어 캡이 대상 부재의 개구를 밀폐할 때 상부 부재의 표면과 대상 부재의 표면은 단차가 없는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0. 제 8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각 탄성편은 상부 경사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단이 개방된 그루브를 더 포함하며,
    상부 부재는 측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 측면 부재의 탄성편의 그루브에 대응하는 다수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부 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며, 제 1 및 제 2 측면 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2. 제 11 항에 있어서,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는 하부에 형성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3. 제 8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연결편은 그 중앙부에 폭 방향으로 형성된 공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4. 제 8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제 1 및 제 2 연장편은 그 하부에 형성되고 일단이 개방된 절개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15. 제 8 항에 있어서, 각 측면 부재의 연결편 및/또는 연장편의 하단에는 탄성체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KR1020090077327A 2009-08-20 2009-08-20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KR10125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27A KR101251132B1 (ko) 2009-08-20 2009-08-20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327A KR101251132B1 (ko) 2009-08-20 2009-08-20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680A true KR20110019680A (ko) 2011-02-28
KR101251132B1 KR101251132B1 (ko) 2013-04-04

Family

ID=4377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327A KR101251132B1 (ko) 2009-08-20 2009-08-20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11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214B2 (en) 2019-05-27 2021-10-26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30B2 (en) 2019-05-27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29B2 (en) 2019-05-27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504890B2 (en) 2019-05-27 2022-11-22 Hyundai Motor Company Insert molding apparatus
KR20230007670A (ko) * 2021-07-06 2023-01-13 오린태 차량용 루프 레일 체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5561B1 (ko) 2014-12-31 2016-07-01 주식회사 삼전 결합 및 강성 보강 차량용 루프캐리어의 일체형 사이드 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3510B1 (ko) 2015-04-07 2016-12-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루프랙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98646U (ko) * 1991-01-31 1992-08-26
JP4592950B2 (ja) * 2000-12-27 2010-12-08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
JP2006282119A (ja) * 2005-04-05 2006-10-19 Suzuki Motor Corp 車両のルーフサイド部取付構造
JP5157303B2 (ja) * 2007-08-01 2013-03-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ルーフモールディング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5214B2 (en) 2019-05-27 2021-10-26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30B2 (en) 2019-05-27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186229B2 (en) 2019-05-27 2021-11-30 Hyundai Motor Company Roof r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504890B2 (en) 2019-05-27 2022-11-22 Hyundai Motor Company Insert molding apparatus
KR20230007670A (ko) * 2021-07-06 2023-01-13 오린태 차량용 루프 레일 체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1132B1 (ko)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132B1 (ko) 개구 밀폐용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사이드 바 조립체
CN107415843B (zh) 承重条
US7832606B2 (en) Belt clip for detachably fixing cellular phone
US8286924B2 (en) Clip
US7841817B2 (en) Pin and bush fastener with high fastening strength, and airbag attached to vehicle body by such a fastener
US8043038B2 (en) Anchor
EP1783005B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CN110087952B (zh) 用于将物体固持在交通工具内衬上的装置以及交通工具
EP2644333B1 (en) Improved support for a serie of offset keys, and case for offset keys comprising at least two corresponding hinged supports
EP3444564B1 (en) Level with removable end cap
US11982543B2 (en) Level with removable end cap
ES2641888T3 (es) Cremallera con dientes de cremallera de metal estampado
JP2007522025A (ja) ハンドルロックアセンブリ
WO2014022435A1 (en) Crossbar t-slot infill
JP6508313B1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取付構造
GB2547170A (en) Retaining device
US20180205210A1 (en) Wire housing protector
CN108767538B (zh) 索环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US9232833B2 (en) Double locking buckle
KR20170036911A (ko) 도어 프레임
KR101049656B1 (ko) 고정구
KR100449296B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KR101701243B1 (ko) 헬멧
JP6371104B2 (ja) 組み付け構造及び車両用内装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