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8267A - 신발용 수준기 - Google Patents

신발용 수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8267A
KR20110018267A KR1020100075164A KR20100075164A KR20110018267A KR 20110018267 A KR20110018267 A KR 20110018267A KR 1020100075164 A KR1020100075164 A KR 1020100075164A KR 20100075164 A KR20100075164 A KR 20100075164A KR 20110018267 A KR20110018267 A KR 20110018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hoe
shoe cover
unit
transparen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8007B1 (ko
Inventor
윤지혜
Original Assignee
윤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혜 filed Critical 윤지혜
Priority to PCT/KR2010/00520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21801A2/ko
Priority to CN2010800367504A priority patent/CN102548440A/zh
Priority to EP10810109A priority patent/EP2468126A2/en
Priority to US13/390,523 priority patent/US8819947B2/en
Priority to JP2012525467A priority patent/JP5341255B2/ja
Publication of KR2011001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087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8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 G01C9/2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liquids in closed containers partially filled with liquid so as to leave a gas bubble
    • G01C9/26Details
    • G01C9/28Mount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이나 이물체와 접촉하고 마찰하기 쉬운 신발의 특정 부위를 감싸면서도 지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신발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 주어서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하며, 신발의 외관을 미려하게 치장하여 주어서 고급화 및 다양화를 꾀할 수 있게 하며,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는 신발용 수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발용 수준기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의 앞부분 또는 옆부분을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와, 상기 신발 커버부에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준기유닛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로 구성된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신발용 수준기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의 앞부분 또는 옆부분 중 어느 하나를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신발 커버부와, 상기 신발 커버부의 상부에 X방향으로 수준기유닛을 구비하여서 된 X방향의 지면 측정부와, 상기 신발 커버부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Y방향으로 수준기유닛을 구비하여서 된 Y방향의 지면 측정부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용 수준기{omitted}
본 발명은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신발에 설치하여서 사용하는 신발용 수준기에 관한 것이다.
신발용 수준기는 운동화나 구두 등의 일반 신발을 신고 있는 착용자가 지면에 발을 디디는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서 보행자세를 교정하는데 활용하거나, 골프화나 작업화 등의 특수 신발을 신고 있는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서 각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골프장에서 라운딩할 때 퍼팅능력을 향상시키며 공사현장에서 작업할 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신발용 수준기와 관련한 기술로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4593(2000. 06. 01 등록공고)호는 골프화의 앞 상단 부분에 부착된 수평계와, 상기 수평계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계 하단에 수평 유지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화가 선출원공개되어 있다.
또,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0026(2000. 10. 16 등록공고)호에는 골프화의 뒷굽의 내측면에 수평계를 부착 고정한 골프화가 게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들은 골프화의 앞 상단 부분 또는 골프화의 뒷굽에 수평계를 부착하여서, 골퍼가 발을 디딘 지점의 필드나 그린의 고저, 경사도 등을 파악한 후, 어프로치 자세와 골프공 타격방향 및 타격강도를 결정하여 샷 또는 퍼팅할 수 있게 되므로, 골퍼의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발명들은 골프화 앞 상단 부분 또는 골프화의 뒷굽에 수평계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골퍼가 보행, 샷, 퍼팅 동작할 때 발을 굽히거나 펴는 움직임을 방해하게 되는 불편이 있었으며, 골퍼가 지면에 발을 디디면 바지 자락이 수평계를 가리는 현상이 발생되어 골퍼가 수평계를 관측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골프화의 외관을 불량하게 하여 착용시 거부감을 유발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안출한 것으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2131호(2009. 05. 25 공개)의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9-0052132(2009. 05. 25 공개)의 "수준기가 구비된 골프화"가 선출원공개되어 있다.
이러한 선출원공개발명들은 공통적으로 바닥창 또는 갑피의 선단 테두리와 측면 테두리에 각각 설치되는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를 갖고 있어, 신발이나 골프화를 착용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의 고저, 경사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X방향 수준기는 선단 테두리에 Y방향 수준기는 측면 테두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보행, 샷, 퍼팅 동작할 때 발을 굽히거나 펴는 움직임을 방해받지 않게 되고, 지면에 발을 디딜 때 바지 자락이 수준기를 가리지 않게 되어 수준기를 용이하게 관측할 수 있으며, 외관이 불량해짐을 방지하여 착용자가 만족하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공고발명들에 있어 X방향 수준기와 Y방향 수준기는 단순히 지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는 기능만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신발 또는 골프화의 손상을 예방하거나 품질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없었다.
즉, 신발 또는 골프화의 전방 테두리 설치된 X방향 수준기와 측면 테두리에 설치된 Y방향 수준기는, 신발 또는 골프화의 외관을 보호하고 치장하여 줄 수 있는 구성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하여서, 신발 또는 골프화 착용자가 보행으로 이동하거나 골프장에서 라운딩할 때, 지면이나 이물체와 접촉하고 마찰하기 쉬운 신발 또는 골프화의 앞부분과 옆부분이 손상되는 현상이 유발되므로, 결과적으로 신발 또는 골프화의 외관을 항상 새것과 같이 최상의 상태로 유지 관리할 수 없고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별히 높은 품질 수준을 기대하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신발 또는 골프화를 고급화하고 다양화하여 줄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지면이나 이물체와 접촉하고 마찰하기 쉬운 신발의 특정 부위를 감싸면서도 지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신발이 손상되지 않게 보호하여 주어서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신발용 수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둘째 신발의 외관을 미려하게 치장하여 주어서 고급화 및 다양화를 꾀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신발용 수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셋째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여서 편의성을 제고하여 주는 신발용 수준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신발용 수준기(1)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앞부분(A)을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10)와, 상기 신발 커버부(10)에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신발용 수준기(1)는 신발(2)의 앞부분(A)을 신발 커버부(10)로 감싸서 보호하고 치장하여 주는 동시에, 신발 착용자가 신발 커버부(10)에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로서 지면의 상태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첫째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보행으로 이동하거나, 골프화와 같은 신발을 신고 있는 착용자가 골프장에서 샷 또는 퍼팅 동작할 때, 지면 또는 이물체와 마찰하거나 충돌하여 손상되기 쉬운 신발(2)의 앞부분(A)을 신발 커버부(10)로 감싸서 보호하여 주게 되므로, 신발(2)이 항상 새것처럼 깨끗하게 유지되게 하면서도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게 되며, 둘째 신발(2)의 앞부분(A)이 신발 커버부(10)로 감싸져서 미려하게 치장되게 하여 주므로, 신발(2)의 외관이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면서도 변화시켜 주어서 높은 품질 수준을 기대하는 신발 착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게 되며, 셋째 신발 커버부(10)에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로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발을 디디는 상태를 체크하여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며, 골프화, 작업화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이나 경사 상태를 측정하여 골프장에서 라운딩할 때 퍼팅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현장에서 작업할 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신발의 앞부분에 설치하기 이전의 분리 상태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신발의 앞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일부절결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3은 도 2의 일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신발 커버부에 걸침부와 밑창보호부를 갖는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일측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신발 커버부에 연결부를 갖는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일측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곡선형으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일부절결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일체형 투명케이스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수준기형성용 장공으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9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신발의 옆부분에 설치하기 이전의 분리 상태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0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신발의 옆부분에 설치한 상태를 일부절결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1은 도 10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임
도 1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신발 커버부에 걸침부와 밑창보호부를 갖는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신발 커버부에 연결부를 갖는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곡선형으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의 설치상태를 일부절결 평면도로 나타낸 것임
도 1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일체형 투명케이스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지면 측정부에 수준기형성용 장공으로 된 수준기유닛을 구비한 신발용 수준기를 일부절결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7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임
도 18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를 설치한 상태를 일측 단면도로 나타낸 것임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발 커버부(10)는 신발(2)의 앞부분(A)을 감싸서 보호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전체적으로 궁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오목하게 요입된 대접면(11)을 통해서 신발(2)의 앞부분(A)에 맞댐 접합시킬 수 있게 하여서, 신발(2)의 앞부분(A)이 지면 또는 이 물체와의 마찰이나 충돌로 인해 손상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대접면(1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신발(2)의 앞부분(A)에 견실하게 맞댐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경량이면서 내마모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여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신발(2)의 앞부분(A)에 신발 커버부(10)를 부착 고정시켜서 본 발명의 신발용 수준기(1)를 설치할 때, 신발(2)의 중량이 증가 됨을 억제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신발 커버부(10)가 신발(2)의 앞부분(A)에 부착된 상태에서 지면 또는 이물체와의 마찰이나 충돌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그 상부의 단면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를 배치하는데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여 주도록 한다.
또,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가져서, 운동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는 신발(2)의 앞부분(A) 쪽 갑피(2a)와 밑창(2b)을 함께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그 하부 끝부분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걸침부(13)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침부(13)는 골프화를 포함하여 작업화, 구두와 같은 신발(2)의 앞부분(A) 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밑창테두리(2c) 위에 걸쳐져서 상기 신발 커버부(10)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갑피(2a)를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걸침부(13) 외측 끝부분에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보조 밑창보호부(14)를 형성하여서, 신발(2)의 앞부분(A) 쪽 갑피(2a)는 상기 신발 커버부(10)로 감싸서 보호하고, 신발(2)의 앞부분(A) 쪽 밑창테두리(2c)는 보조 밑창보호부(14)로서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그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15)로서 신발(2)의 밑창(2b) 앞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하부 끝부분이 연결부(15)를 통하여 신발(2)의 밑창(2b) 앞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서, 신발(2)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밑창(2b)과 함께 신발 커버부(10)를 한번에 갑피(2a)와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신발(2)을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을 통합하고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지면 측정부(20)는 구비된 수준기유닛(20a)으로 지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주는 구성부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를 수준기유닛(20a)을 통해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좌우방향으로 곡선형의 장홈(20c)을 형성하여 두고, 그 곡선형의 장홈(20c) 내에 곡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이나 곡선형의 장홈(20c)이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요입되게 하고, 이 장홈에 상응하도록 원호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수준기유닛(20a)을 형성하여,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이나 곡선형의 장홈(20c))에 수준기유닛(20a)를 끼우고 접착제 등으로 접합 고정시켜서,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반쪽 원통형 또는 반쪽 다각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수준기유닛(20a)이 돌출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 실시예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에 따라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의 기포(21)가 움직이면서 눈금(23)을 지시하게 하여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방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은 그 투명케이스와 동일한 재질의 투명성 밀봉재료를 열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켜서 밀봉하게 된다.
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투명성의 소재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를 돌출되게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그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게 하여서, 신발 커버부(10)와 지면 측정부(20)를 1개의 금형으로 일시에 성형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신발용 수준기(1)의 제작에 따른 설비비용 및 제작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는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일측은 액체(22)를 주입한 후 투명성 밀봉재료로 밀봉하게 된다.
또,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투명성의 소재로 성형된 신발 커버부(10)의 상부 근처에 일측이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을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상기 신발 커버부(10) 상면의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의 단면에 내장 구비되게 하여서, 외적인 충격으로부터 수준기유닛(20a)이 보호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지면 측정부(20)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여서 사용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은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일측은 액체(22)를 주입한 후 투명성 밀봉재료로 밀봉하게 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1)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옆부분(B)을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10-1)와, 상기 신발 커버부(10-1)에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1)로 구성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1)는 신발(2)의 옆부분(B)을 신발 커버부(10-1)로 감싸서 보호하고 치장하여 주는 동시에, 신발 착용자가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1)로 지면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줌으로써, 첫째 작업화,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보행으로 이동하거나, 골프화와 같은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골프장에서 샷 또는 퍼팅 동작할 때, 지면 또는 이물체와 마찰하거나 충돌하여 손상되기 쉬운 신발(2)의 옆부분(B)을 신발 커버부(10-1)로 감싸서 보호하여 주게 되므로, 신발(2)이 항상 새것처럼 깨끗하게 유지되게 하면서도 사용수명을 연장시켜 주게 되며, 둘째 신발(2)의 옆부분(B)이 신발 커버부(10-1)로 감싸져서 미려하게 치장되게 하여 주므로, 신발(2)의 외관이 시각적으로 돋보이게 하면서도 변화시켜 주어서 높은 품질 수준을 기대하는 신발 착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게 되며, 셋째 신발 커버부(10-1)에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1)로 운동화, 구두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발을 디디는 상태를 체크하여 보행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하며, 골프화, 작업화 등의 신발을 신은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이나 경사 상태를 측정하여 골프장에서 라운딩할 때 퍼팅능력을 향상시키고 공사현장에서 작업할 때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전체적으로 궁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오목하게 요입된 대접면(11)을 통해서 신발(2)의 옆부분(B)에 맞댐 접합시킬 수 있게 하여서, 신발(2)의 옆부분(B)이 지면 또는 이물체와의 마찰이나 충돌로 인해 손상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대접면(1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신발(2)의 옆부분(B)에 견실하게 맞댐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가져서, 운동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는 신발(2)의 옆부분(B) 쪽 갑피(2a)와 밑창(2b)을 함께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그 하부 끝부분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걸침부(13)를 갖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침부(13)는 골프화를 포함하여 작업화, 구두와 같은 신발(2)의 옆부분(B) 쪽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밑창테두리(2c) 위에 걸쳐져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가 보다 안정적인 상태로 갑피(2a)를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걸침부(13) 외측 끝부분에 내각이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보조 밑창보호부(14)를 형성하여서, 신발(2)의 옆부분(B) 쪽 갑피(2a)는 상기 신발 커버부(10-1)로 감싸서 보호하고, 신발(2)의 옆부분(B) 쪽 밑창테두리(2c)는 보조 밑창보호부(14)로서 감싸서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그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15)로서 신발(2)의 밑창(2b) 옆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하부 끝부분이 연결부(15)를 통하여 신발(2)의 밑창(2b) 옆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하여서, 신발(2)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밑창(2b)과 함께 신발 커버부(10-1)를 한번에 갑피(2a)와 부착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신발(2)을 제작하는데 따른 작업을 통합하고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여 준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는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를 수준기유닛(20a)을 통해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또, 상기 지면 측정부(20-1)는 도 14에서와 같이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전후방향으로 곡선형의 장홈(20c)을 형성하여 두고, 그 곡선형의 장홈(20c) 내에 곡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를 수준기유닛(20a)을 통해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는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이나 곡선형의 장홈(20c)이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요입되게 하고, 이 장홈에 상응하도록 원호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 수준기유닛(20a)을 형성하여,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이나 곡선형의 장홈(20c))에 수준기유닛(20a)를 끼우고 접착제 등으로 접합 고정시켜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반쪽 원통형 또는 반쪽 다각통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수준기유닛(20a)이 돌출 구비되도록 한다.
본 발명 일실시예에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에 따라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의 기포(21)가 움직이면서 눈금(23)을 지시하게 하여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방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은 그 투명케이스와 동일한 재질의 투명성 밀봉재료를 열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켜서 밀봉하게 된다.
또,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5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투명성의 소재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를 돌출되게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그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일체로 구비되게 하여서, 신발 커버부(10-1)와 지면 측정부(20-1)를 1개의 금형으로 일시에 성형 제작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신발용 수준기(1)의 제작에 따른 설비비용 및 제작원가를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는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일측은 액체(22)를 주입한 후 투명성 밀봉재료로 밀봉하게 된다.
또,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투명성의 소재로 성형된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 근처에 일측이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을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상기 신발 커버부(10-1) 상면의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1)의 단면에 내장 구비되게 하여서, 외적인 충격으로부터 수준기유닛(20a)이 보호될 수 있게 하여 주므로, 지면 측정부(20-1) 자체의 파손을 방지하여서 사용 수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준다. 이때,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은 반쪽 원호형 또는 반쪽 다각형의 단면형상으로서 일측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일측은 액체(22)를 주입한 후 투명성 밀봉재료로 밀봉하게 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 다른실시예의 신발용 수준기(1)는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앞부분(A) 또는 옆부분(B) 중 어느 하나를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신발 커버부(10-2)와,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부에 X방향으로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X방향의 지면 측정부(20-2)와,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Y방향으로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3)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다른실시예에 따르면, 신발(2)의 앞부분(A) 또는 옆부분(B)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10-2)의 상부에 X방향 및 Y방향으로 수준기유닛(20a)을 각각 구비하여서 된 X방향 및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2)(20-3)를 가져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에 대한 전후좌우 사방의 수평 및 경사 상태를 한번에 측정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 다른실시예에서 상기 신발 커버부(10-2)는 전체적으로 궁형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오목하게 요입된 대접면(11)을 통해서 신발(2)의 앞부분(A)에 맞댐 접합시킬 수 있게 하여서, 신발(2)의 앞부분(A)이 지면 또는 이물체와의 마찰이나 충돌로 인해 손상됨을 방지하여 줄 수 있게 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대접면(11)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신발(2)의 앞부분(A)에 견실하게 맞댐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신발 커버부(10-2)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가져서, 운동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테두리가 존재하지 않는 신발(2)의 앞부분(A) 쪽 갑피(2a)와 밑창(2b)을 함께 감싸서 보호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 다른실시예에서 상기 X방향의 지면 측정부(20-2)는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X방향의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되며, 상기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3)는 상기 신발 커버부(10-2)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d)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Y방향의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된다.
그리고,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2)(20-3)의 수준기유닛(20a)은 각각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신발 착용자가 발을 디딘 지면의 수평 또는 경사 상태에 따라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의 기포(21)가 움직이면서 눈금(23)을 지시하게 하여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개방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은 그 투명케이스와 동일한 재질의 투명성 밀봉재료를 열 또는 접착제 등으로 접합시켜서 밀봉하게 된다.
1: 신발용 수준기 2: 신발
2a: 갑피 2b: 밑창
2c: 밑창테두리 A: 앞부분
B: 옆부분 10, 10-1, 10-2: 신발 커버부
11: 대접면 12: 밑창보호부
13: 걸침부 14: 보조 밑창보호부
15: 연결부 20, 20-1: 지면 측정부
20-2, 20-3: X방향 및 Y방향의 지면 측정부 20a: 수준기유닛
20a-1: 개별형 투명케이스 20a-2: 일체형 투명케이스
20a-3: 수준기형성용 장공 20b: 직선형의 장홈
20c: 곡선형의 장홈 20d: 연장부
21: 기포 22: 액체
23: 눈금

Claims (22)

  1.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앞부분(A)을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10)와, 상기 신발 커버부(10)에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그 하부 끝부분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걸침부(13)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는 그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15)로서 신발(2)의 밑창(2b) 앞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는 신발 커버부(10)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좌우방향으로 곡선형의 장홈(20c)을 형성하여 두고, 그 곡선형의 장홈(20c) 내에 곡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의 상면에 투명성의 소재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를 돌출되게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그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의 수준기유닛(20a)은 투명성의 소재로 성형된 신발 커버부(10)의 상부 근처에 일측이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을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상기 신발 커버부(10) 상면의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0.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옆부분(B)을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된 신발 커버부(10-1)와, 상기 신발 커버부(10-1)에 지면의 상태를 육안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지면 측정부(20-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그 하부 끝부분에 편평하게 형성되는 걸침부(13)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1)는 그 하부 끝부분에 형성되는 연결부(15)로서 신발(2)의 밑창(2b) 옆쪽 상부에 일체로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는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전후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는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에 확보된 평활면에 전후방향으로 곡선형의 장홈(20c)을 형성하여 두고, 그 곡선형의 장홈(20c) 내에 곡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신발 커버부(10-1)의 상면에 투명성의 소재로 하여 일측이 개방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를 돌출되게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그 일체형 투명케이스(20a-2)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 측정부(20-1)의 수준기유닛(20a)은 투명성의 소재로 성형된 신발 커버부(10-1)의 상부 근처에 일측이 개방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을 형성하되, 개방된 일측을 통해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의 개방된 일측을 밀봉시키고, 상기 신발 커버부(10-1) 상면의 수준기형성용 장공(20a-3) 직상부에 위치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19.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소재로 성형되며 신발(2)의 앞부분(A) 또는 옆부분(B) 중 어느 하나를 감싼 형태로 부착되도록 형성되는 신발 커버부(10-2)와,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부에 X방향으로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X방향의 지면 측정부(20-2)와,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며 Y방향으로 수준기유닛(20a)을 구비하여서 된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커버부(10-2)는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점진적으로 두께가 얇아지게 하되, 그 하부에 끝부분이 내측을 향해 곡선으로 연장 형성되는 밑창보호부(12)를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X방향의 지면 측정부(20-2)는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면에 좌우방향으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X방향의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되며, 상기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3)는 상기 신발 커버부(10-2) 상부 중앙에서 내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d)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을 형성하여 두고, 그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직선형으로 상부가 돌출되도록 Y방향의 수준기유닛(20a)을 삽입 장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X방향 및 Y방향의 지면 측정부(20-2)(20-3)의 수준기유닛(20a)은 각각 일측이 개방 형성된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내에 기포(21)가 형성되도록 액체(22)를 주입하며, 액체(22)가 주입된 상태에서 개방되어 있는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의 일측을 밀봉시키고,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눈금(23)을 등분 표시하되, 이 눈금이 상부 외측에 노출되도록 개별형 투명케이스(20a-1)를 상기 신발 커버부(10-2)의 상면에 형성된 직선형의 장홈(20b) 내에 끼우고 고정되게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용 수준기.
KR1020100075164A 2009-08-17 2010-08-04 신발용 수준기 KR10104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5201 WO2011021801A2 (ko) 2009-08-17 2010-08-09 신발용 수준기
CN2010800367504A CN102548440A (zh) 2009-08-17 2010-08-09 鞋子用水准器
EP10810109A EP2468126A2 (en) 2009-08-17 2010-08-09 Leveling instrument for a shoe
US13/390,523 US8819947B2 (en) 2009-08-17 2010-08-09 Level device for a shoe
JP2012525467A JP5341255B2 (ja) 2009-08-17 2010-08-09 履物用水準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796 2009-08-17
KR20090075796 2009-08-17
KR20090084403 2009-09-08
KR1020090084403 2009-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8267A true KR20110018267A (ko) 2011-02-23
KR101048007B1 KR101048007B1 (ko) 2011-07-13

Family

ID=43776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164A KR101048007B1 (ko) 2009-08-17 2010-08-04 신발용 수준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19947B2 (ko)
EP (1) EP2468126A2 (ko)
JP (1) JP5341255B2 (ko)
KR (1) KR101048007B1 (ko)
CN (1) CN102548440A (ko)
WO (1) WO201102180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15B1 (ko) * 2019-11-20 2020-09-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다짐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짐도를 측정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19743B2 (en) 2007-12-19 2014-08-26 Dish Network L.L.C. Transfer of data related to broadcast programming over a communication network
US8780008B2 (en) 2008-06-20 2014-07-15 Dish Network L.L.C. Reinforced mount for an antenna assembly
US8907862B2 (en) 2011-04-12 2014-12-09 Dish Network L.L.C. Apparatus and systems for mounting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US9337545B2 (en) 2008-06-20 2016-05-10 Dish Network L.L.C. Apparatus and systems for mounting an electrical switching device
GB2463259A (en) * 2008-09-05 2010-03-10 Cathal Leonard Alignment device
US8462075B2 (en) 2010-02-23 2013-06-11 Dish Network L.L.C. Apparatus for mounting an object to a railing
US8646186B2 (en) * 2010-12-16 2014-02-11 Dish Network L.L.C. Multi-angle levels and plumbing methods
US8802985B2 (en) 2011-09-07 2014-08-12 Dish Network L.L.C. In-wall extension apparatus
US9123987B2 (en) 2012-07-31 2015-09-01 Dish Network L.L.C. Antenna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US9615630B2 (en) 2014-05-20 2017-04-11 Shantel Christine Jackson Shoe sole adjustment pad
US9933258B2 (en) 2014-10-06 2018-04-03 Paul Mitchell Investments Ltd. Shoe mounted gradiometer tool and method of adjustment
CN104457702A (zh) * 2014-12-30 2015-03-25 刘向建 水平尺用多边形水准泡
US10398190B2 (en) * 2016-02-23 2019-09-0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portions configured for customization
CN111135543A (zh) * 2019-08-07 2020-05-12 董维建 击球鞋和脚戴式击球装置
KR200497516Y1 (ko) * 2021-09-09 2023-12-01 유동진 골프용 수평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5828U (ko) * 1971-09-29 1973-06-15
JPS5225068U (ko) * 1975-08-09 1977-02-22
JPS5225067U (ko) 1975-08-09 1977-02-22
FR2499376A1 (fr) * 1981-02-06 1982-08-13 Salomon & Fils F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haussure de ski de fond et/ou de randonnee a double tige et chaussure obtenue
US4455764A (en) * 1982-06-08 1984-06-26 Rock Harold E Mountable warming cap for a shoe or boot
US5500635A (en) * 1990-02-20 1996-03-19 Mott; Jonathan C. Products incorporating piezoelectric material
US5820476A (en) * 1997-11-17 1998-10-13 Amato; Louis Golf putter leveling system
JP2001070003A (ja) * 1999-09-09 2001-03-21 Kaoru Kondo ゴルフ用シューズ
KR200184593Y1 (ko) 1999-12-31 2000-06-01 송문호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화
KR200200026Y1 (ko) 2000-05-17 2000-10-16 송문호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화
US6665962B2 (en) * 2001-05-10 2003-12-23 Gary Wayne Shepherd Shoe with level and method for determining grade
JP2005296114A (ja) * 2004-04-07 2005-10-27 Csk Plan:Kk 水平器付靴。
WO2005120275A2 (en) * 2004-06-08 2005-12-22 Keen Llc Footwear with multi-piece midsole
CA2485324A1 (fr) * 2004-11-16 2006-05-16 Yvan Champoux Methode et appareil pour la mesure in situ du mouvement angulaire des pedales automatiques commerciales
KR100796797B1 (ko) * 2006-12-27 2008-01-22 윤지혜 수준기가 구비된 골프화
EP2022359A1 (en) * 2007-08-08 2009-02-11 Bical Birigui Calcados Industria E Comercio Ltda. Infantile shoe composed by integrated outsole and sock
KR100935132B1 (ko) 2007-11-20 2010-01-06 윤지혜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
US20090320302A1 (en) * 2008-06-25 2009-12-31 William Boyd Square foot alignment device
US8474146B2 (en) * 2010-06-22 2013-07-0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color change portion and method of changing col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15B1 (ko) * 2019-11-20 2020-09-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스마트 슈즈를 이용한 다짐정보 생성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짐도를 측정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02267A (ja) 2013-01-24
CN102548440A (zh) 2012-07-04
JP5341255B2 (ja) 2013-11-13
WO2011021801A3 (ko) 2011-06-16
US8819947B2 (en) 2014-09-02
KR101048007B1 (ko) 2011-07-13
EP2468126A2 (en) 2012-06-27
US20120137530A1 (en) 2012-06-07
WO2011021801A2 (ko) 2011-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007B1 (ko) 신발용 수준기
KR100935131B1 (ko) 수준기가 구비된 골프화
US7275337B2 (en) Shoe with a composite insole
US20110119959A1 (en) External stabilizing structure for work boots
JP2012249744A (ja) シューズのカウンター構造
US10441028B2 (en) Variable-density soles for articles of footwear
KR200471289Y1 (ko)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US20140230271A1 (en) Sho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24549B1 (ko) 신발용 수준기 및 그의 설치방법
WO2016047154A1 (ja) 先芯入り合成樹脂製作業靴
CN103027434A (zh) 具有沿条的鞋子
KR100935132B1 (ko) 수준기가 구비된 신발
KR101153561B1 (ko) 수준기가 구비된 골프화
KR200425443Y1 (ko) 기능성 인솔
JP4813060B2 (ja) 釣り用履き物
WO2011031010A2 (ko) 신발용 수준기 및 그의 설치구조
CN214630330U (zh) 一种方便更换气囊的户外运动鞋
KR100533707B1 (ko) 골프화의 밑창
KR960014889B1 (ko) 신발밑창
CN208463067U (zh) 一种新型跟部具有减震功能的鞋底
KR200313768Y1 (ko) 안전화 발가락 보호용 강재선심
KR20050010233A (ko) 신발창의 구조
KR101345151B1 (ko) 골퍼의 스윙 동작을 지지하는 서포트 러버가 구비된 기능성 골프화
ITUB20156863A1 (it) Supporto ad elasticita regolabile per suola e tomaia di una scarpa da donna.
US20150052783A1 (en) Spiraled heel for a sho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