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289Y1 -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289Y1
KR200471289Y1 KR2020130009445U KR20130009445U KR200471289Y1 KR 200471289 Y1 KR200471289 Y1 KR 200471289Y1 KR 2020130009445 U KR2020130009445 U KR 2020130009445U KR 20130009445 U KR20130009445 U KR 20130009445U KR 200471289 Y1 KR200471289 Y1 KR 2004712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attachment
shoe
decorative pie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준영
Original Assignee
정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영 filed Critical 정준영
Priority to KR2020130009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2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2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2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4Ornamental buckles; Other ornaments for shoes without fastening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81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hook-and-loop type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발의 갑피에 일측부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장식구가 탈부착되는 장식편을 구비하여 상기 장식편이 신발 착용자의 이동시 발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풀거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식구들이 상기 장식편과 함께 유동되어 상기 장식구의 입체감과 생동감을 더욱 극대화시키고, 위험 지역에서는 상기 장식편의 비부착부를 상기 갑피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편과 상기 갑피 사이에 끼워 고정시켜 장식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SHOES HAVING DECORATION PARTS TO MOVE FREELY ATTACHED UPPER}
본 고안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신발의 갑피에 일측부가 부착되고 상부에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장식구가 탈부착되는 장식편을 구비하여 상기 장식편이 신발 착용자의 이동시 발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풀거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장식구들이 상기 장식편과 함께 유동되어 상기 장식구의 입체감과 생동감을 더욱 극대화시키고, 위험 지역에서는 상기 장식편의 비부착부를 상기 갑피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편과 상기 갑피 사이에 끼워 고정시켜 장식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outsole)과, 상기 밑창의 상부에 부착된 중창(midsole)과, 상기 중창의 상부 테두리에 부착된 갑피(upper)를 포함하여 착용자의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발은 사용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면서 사용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생활 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신발 또한 자기표현의 일부로 인식되어 단순한 기능적인 용도로 사용되던 것에서 사용자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발 디자인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그 중 하나가 신발끈 또는 갑피에 다양한 종류의 장식구(또는, 액세사리)를 장착하여 장식성을 부가한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장식구들은 신발끈(혹은, 신발끈 결합홀) 또는 갑피에 인쇄방식, 재봉방식, 혹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접착방식 등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됨으로 변경이나 변형이 불가능하여 사용자가 쉽게 싫증을 느끼는 원인이 되었다. 특히 아이들의 경우에는 고정화된 장식구에 빠르게 싫증을 느껴 새로운 신발을 교체하기 위해 일부러 신발을 훼손하려는 경우도 종종 발생되어 경제적으로 낭비적인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신발은 주로 갑피에 장식구가 부착되어 장식된 것이 대부분이므로 신발을 제작함에 있어서 신발을 보다 입체적이고 미려하게 장식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1999-0036893호(공개일 : 1999. 10. 05),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00-0018205호(공개일 : 2000. 10. 1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8129호(등록일 : 2002. 05. 3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1351호(등록일 : 2002. 06. 27) 등에는 신발끈 또는 갑피에 착탈이 가능한 다양한 장식구들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싫증이 유발될 때마다 적절히 이들을 교체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장식구들이 신발끈이나 갑피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함에 따라 장식구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키는데는 여전히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1999-0022383호(공개일 : 1999. 07. 05),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41093호(등록일 : 2004. 01. 29),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465777호(등록일 : 2013. 03. 07) 등에는 신발의 갑피에 나비, 날개 또는 꽃 형상의 장식구를 별도의 작동수단을 통해 유동시켜 장식구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하였으나, 추가되는 작동수단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품 단가가 증가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잦은 고장으로 인한 수명 단축과, 상기 장식구의 큰 부피 때문에 야외 활동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KR 20-1999-0036893 U, 1999. 10. 05. KR 20-2000-0018205 U, 2000. 10. 16. KR 20-0278129 Y1, 2002. 05. 30. KR 20-0281351 Y1, 2002. 06. 27. KR 20-1999-0022383 U, 1999. 07. 05. KR 20-0341093 Y1, 2004. 01. 29. KR 20-0465777 Y1, 2013. 03. 07.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으면서 위험지역이 아닌 지역에서는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도록 하여 그 상부에 탈부착되는 장식구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위험지역에서는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10)과, 상기 밑창(10)의 상부에 부착된 중창(20)과, 상기 중창(10)의 상부 테두리에 부착된 갑피(30)를 포함하는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갑피(30)는 본체(31)와,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31)의 외면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편(32)과, 상기 본체(31)의 장식편 부착영역(31-1)에 부착되되,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박음질되거나,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부착부(33-1)와, 상기 부착부(33-1)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비부착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비부착부(33-2)에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구(1)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공(33-2a)이 형성된 장식편(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수의 보강편(32) 중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을 구획하는 인접 보강편(32a, 32b)은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과 대향하여 상기 본체(31)에 부착되는 부착점(32a-1, 32b-1)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의 종단부(32a-2, 32b-2)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부착부(33-2)에는 적어도 일측부에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상기 비부착부(33-2)로부터 일체로 고정부(33-3)가 더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고정부(33-3)는 인출시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삽입시에는 상기 부착점(32a-1, 32b-1)에 의해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과 상기 본체(31)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32a-3, 32b-3)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식편(33)은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에 비해 강성이 낮은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33-3)는 상기 비부착부(33-2)에 비해 강성이 높은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부착부(33-1)는 벨크로 또는 똑딱이 방식으로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위험지역이 아닌 지역에서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장식구가 장착된 장식편을 갑피의 본체로부터 분리시켜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도록 하여 상기 장식구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위험지역에서는 상기 장식편을 상기 갑피의 본체에 고정시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100)은 기본적으로 밑창(outsole, 10)과, 밑창(10)의 상부에 부착된 중창(midsole, 20)과, 중창(20)의 상부 테두리에 부착된 갑피(upper, 30)를 포함한다. 또한, 신발(100)의 내면의 바닥 부위, 즉 밑창(10)의 상부에 접착되는 안창(insole,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밑창(10)은 신발(100)의 바닥에 부착되는 창으로서, 내구성과 견지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발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재질, 예를 들면 카본 러버(carbon rubber), 듀랄론(duralon), 솔리드 러버(solid rubber), DRC(Durable Rubber Compound), 검 러버(gum rubber), 스티키 러버(sticky rubb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창(20)은 밑창(10)과 갑피(30)를 연결하는 창으로서, 밑창(10)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되지 않은 충격을 2차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중창(20)은 부드럽고 가벼우면서 유연한 재질, 예를 들면, E.V.A(Ethylene Vinyl Acetate), 파일론(phylon),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파일라이트(phylit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갑피(30)는 외부 환경, 예를 들면, 비, 바람, 먼지 등으로부터 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발(10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발이 적절하게 통풍이 되도록 통풍성을 제공하고, 신발 전체 디자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갑피(30)는 신발(10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천연가죽(natural leather), 메쉬(mesh), 인조가죽(synthetic leather), 인조 캥거루 가죽(KNG 10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갑피(30)는 본체(31)와, 보강편(32)과, 장식편(33)을 포함한다.
본체(31)는 중창(20)의 상부 테두리에 부착되고, 갑피(30)의 외관 디자인과 형태를 유지하고 발등과 관절부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체(32)의 외면에는 부착되는 위치 및 용도와, 그리고 신발(100)의 미적 디자인을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보강편(32)이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부착된다.
보강편(32)은 본체(31)의 외면에 추가로 부착되는 방수 코팅처리된 패드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본체(31)의 정면부, 후면부 또는 좌우측부에 박음질되어 본체(31)의 일부분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강편(32)은 본체(31)의 취약 부위를 보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신발(100)의 미적 디자인을 더욱 극대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1)의 전방 좌우측(신발끈을 중심으로 좌우측)에 마련된 장식편 부착영역(31-1)에는 장식편(33)이 부착되어 있으나, 본 고안에서 장식편(33)이 부착되는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형상과 위치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장식편(33)은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박음질되거나,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부착부(33-1)와, 부착부(33-1)와 일체로 연장되어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과 연동하여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는 비부착부(33-2)를 포함하고, 비부착부(33-2)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구(1)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공(33-2a)이 형성되어 있다.
비부착부(33-2)는 본체(31)의 외면, 즉 장식편 부착영역(31-1)으로부터 분리되어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림으로써 상부에 탈부착되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장식구(1)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켜 사용자, 특히 아이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33)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비부착부(33-2)의 적어도 일측부에 장식편 부착영역(31-1)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장식편 부착영역(31-1)을 구획하는 보강편(32)과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 고정부(3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3-3)는 비부착부(33-2)와 일체로 형성되어 비부착부(33-2)의 일부일 수 있으며, 비부착부(33-2)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거나, 혹은 비부착부(33-2)에 비해 강성이 높은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위험지역에서는 신발 착용자의 안전을 위해 보강편(32)과 본체(31) 사이에 마련된 수납부(32-2)에 수납된다.
비부착부(33-2)는 비교적 부드럽고 가벼운 재질, 예를 들면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리기 때문에 위험지역, 예를 들면 에스컬레이터를 타거나, 놀이동산 또는 놀이터 등에서 놀이기구를 이용하는 중에 비부착부(33-2)의 일부가 에스컬레이터 또는 놀이기구에 끼거나 걸려 인명사고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고정부(33-3)를 보강편(32)과 본체(31) 사이에 마련된 수납부(32-2)에 삽입시켜 수납하고, 이를 통해 위험지역에서는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비부착부(33-2)가 나풀거리는 것을 억제하여 비부착부(33-2)의 나풀거림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보강편(32) 중 장식편 부착영역(31-1)과 인접하게 부착된 인접 보강편은 장식편 부착영역(31-1)과 대향하여 본체(31)에 부착되는 부착점(32-1)(예를 들어, 박음질 방식으로 부착되는 경우 봉제선에 해당함)이 장식편 부착영역(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접 보강편의 적어도 일측 종단부(32a)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되고, 이에 따라 인접 보강편의 일측 종단부(32a)에서 부착점(32-1) 사이에서 본체(1)의 외면과 분리되어 고정부(33-3)가 삽입되는 수납부(3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신발(100)은 위험지역이 아닌 지역에서는 고정부(33-3)를 수납부(32-2)로부터 인출하여 비부착부(33-2)가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도록 하여 상부에 장착된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장식구(1)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키는 한편, 위험지역에서는 고정부(33-3)를 수납부(32-2)에 삽입 수납하여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제공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a)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이고, (b)는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편(33)은 부착부(33-1, 도 1참조), 비부착부(33-2) 및 고정부(33-3)를 포함하고, 비부착부(33-2)에는 1개 또는 다수의 장식구(1)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된 장착공(33-2a, 도 2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장식편(33)의 부착부(33-1)는 박음질 방식 또는 탈부착 가능한 부착방식, 예를 들면 벨크로 방식 또는 똑딱이 방식으로 본체(31)의 장식편 부착영역(31-1)에 부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장식구(1)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돼지 형상, 하트 모양, 별 모양 등과 같이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캐릭터로서,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풍선과 같이 특정 물건일 수 있다.
장식구(1)는 도 4와 같이, 특정한 모양 및 형상을 구현하는 형상부(1-1)와, 형상부(1-1)의 배면에 설치되어 형상부(1-1)를 비부착부(33-2)의 장착공(33-2a)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하는 장착부(1-2)를 포함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장착부(1-2)의 구조는 제한을 두지 않으며, 비부착부(33-2)의 장착공(33-2a)에 형상부(1-1)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할 수 있는 공지된 장착구조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도 5는 장식편이 본체에 박음질 방식으로 부착된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장식편이 본체에 벨크로 방식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신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이해를 돕는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표기된 도면부호와 동일 부호를 사용하되, 보강편(32)과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모양 및 형상을 서로 다르게 도시하였다. 즉, 도 1 및 도 2에서는 하나의 보강편에 의해 장식편 부착영역(31-1)이 구획되어 있으나, 도 5 및 도 6에서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된 인접 보강편(32a, 32b)에 의해 장식편 부착영역(31-1)이 구획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보강편(32a, 32b)은 장식편 부착영역(31-1)을 경계로 좌우에 부착되되, 장식편 부착영역(31-1)과 대향하여 본체(31)에 부착되는 부착점(32a-1, 32b-1) 중 적어도 일부가 장식편 부착영역(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접 보강편(32a, 32b)의 종단부(32a-2, 32b-2)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인접 보강편(32a, 32b)의 일측 종단부(32a-2, 32b-2))에서 부착점(32a-1, 32b-1) 사이에는 수납부(32a-3, 32b-3)가 각각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편(33)에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다수의 장식구(1)를 장착한 상태에서 장식편(33)의 부착부(33-1)를 박음질 방식 또는 탈부착 가능한 벨크로 방식으로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부착하여 고정한다.
신발 착용자는 위험지역에서 장식편(33)의 좌우측부에 연장된 고정부(33-3)를 수납부(32a-3, 32b-3)에 삽입하여 장식편(33)이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는 것을 억제시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착용자는 위험지역이 아닌 지역에서 고정부(33-3)를 수납부(32a-3, 32b-3)로부터 인출하여 장식편(33)이 신발 착용자의 발의 움직임 또는 바람에 의해 자연적으로 나풀거리도록 하여 상부에 장착된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장식구(1)의 생동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이들이 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장식구 1-1 : 형상부
1-2 : 장착부 100 : 신발
10 : 밑창 20 : 중창
30 : 갑피 31 : 본체
31-1 : 장식편 부착영역 32 : 보강편
32a, 32b : 인접 보강편 33 : 장식편
33-1 : 부착부 33-2 : 비부착부
33-3 : 고정부 33-2a : 장착공
32a-1, 32b-1 : 부착점(봉제선) 32a-2, 32b-2 : 종단부
32a-3, 32b-3 : 수납부

Claims (5)

  1. 삭제
  2. 착용자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밑창(10)과, 상기 밑창(10)의 상부에 부착된 중창(20)과, 상기 중창(20)의 상부 테두리에 부착된 갑피(30)를 포함하는 신발(100)에 있어서,
    상기 갑피(30)는,
    본체(31);
    다양한 모양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31)의 외면에 부착된 다수의 보강편(32); 및
    상기 본체(31)의 장식편 부착영역(31-1)에 부착되되,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박음질되거나, 탈부착 가능하도록 부착된 부착부(33-1)와, 상기 부착부(33-1)와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31)의 외면으로부터 분리되는 비부착부(33-2)를 포함하고, 상기 비부착부(33-2)에는 다양한 모양 및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장식구(1)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다수의 장착공(33-2a)이 형성된 장식편(33); 을 포함하되,
    상기 다수의 보강편(32) 중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을 구획하는 인접 보강편(32a, 32b)은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과 대향하여 상기 본체(31)에 부착되는 부착점(32a-1, 32b-1)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의 종단부(32a-2, 32b-2)로부터 이격되어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비부착부(33-2)에는 적어도 일측부에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상기 비부착부(33-2)로부터 일체로 고정부(33-3)가 더 연장 형성되어 있되, 상기 고정부(33-3)는 인출시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의 상부 일부를 덮도록 위치되고, 삽입시에는 상기 부착점(32a-1, 32b-1)에 의해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과 상기 본체(31) 사이에 형성된 수납부(32a-3, 32b-3)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편(33)은 상기 인접 보강편(32a, 32b)에 비해 강성이 낮은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33-3)는 상기 비부착부(33-2)에 비해 강성이 높은 섬유 재질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33-1)는 벨크로 또는 똑딱이 방식으로 상기 장식편 부착영역(31-1)의 일측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KR2020130009445U 2013-11-18 2013-11-18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KR2004712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45U KR200471289Y1 (ko) 2013-11-18 2013-11-18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445U KR200471289Y1 (ko) 2013-11-18 2013-11-18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289Y1 true KR200471289Y1 (ko) 2014-02-12

Family

ID=5141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445U KR200471289Y1 (ko) 2013-11-18 2013-11-18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2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95235A1 (en) * 2017-01-06 2018-07-12 Under Armour, Inc.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in Variable Patterns
CN109068786A (zh) * 2016-05-03 2018-12-21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用于鞋舌鞋类的柔性紧固系统
KR102296976B1 (ko) 2020-10-29 2021-09-02 (주)아남전기 포터블 신발갑피 접착장치
KR102311792B1 (ko) 2021-04-13 2021-10-13 (주)아남전기 인덕션 가열기술을 이용한 신발갑피 접착장치
KR102467772B1 (ko) * 2022-08-23 2022-11-16 최세근 디자인에 따라 결합 가능한 모듈이 구비된 신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683U (ko) * 1983-11-21 1985-07-08 김영국 운 동 화
JPH0163409U (ko) * 1987-10-16 1989-04-24
KR200447942Y1 (ko) * 2009-07-22 2010-03-09 김광필 신발 악세사리 및 그 악세사리가 구비된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3683U (ko) * 1983-11-21 1985-07-08 김영국 운 동 화
KR850002782Y1 (ko) * 1983-11-21 1985-11-25 김영국 운 동 화
JPH0163409U (ko) * 1987-10-16 1989-04-24
KR200447942Y1 (ko) * 2009-07-22 2010-03-09 김광필 신발 악세사리 및 그 악세사리가 구비된 신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8786A (zh) * 2016-05-03 2018-12-21 艾利丹尼森零售信息服务公司 用于鞋舌鞋类的柔性紧固系统
US20180195235A1 (en) * 2017-01-06 2018-07-12 Under Armour, Inc.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in Variable Patterns
US11149382B2 (en) * 2017-01-06 2021-10-19 Under Armour, Inc. Articles with embroidered sequins in variable patterns
KR102296976B1 (ko) 2020-10-29 2021-09-02 (주)아남전기 포터블 신발갑피 접착장치
KR102311792B1 (ko) 2021-04-13 2021-10-13 (주)아남전기 인덕션 가열기술을 이용한 신발갑피 접착장치
KR102467772B1 (ko) * 2022-08-23 2022-11-16 최세근 디자인에 따라 결합 가능한 모듈이 구비된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289Y1 (ko) 유동 장식편이 부착된 갑피를 구비한 신발
US2759284A (en) Ornament displaying sandal
US20140075791A1 (en) Outsole cover
US9032643B2 (en) Elastic strap sandal
US20100180472A1 (en) Attachment assembly for decorative shoe accessory
US8015731B2 (en) Interchangeable fashion covering for a high heel shoe
EP2777779A1 (en) Leg pads for a hockey goalkeeper
US20060201034A1 (en) Alterable / designable shoe
US20140059891A1 (en) Structure of shoe
JP3128268U (ja) 犬用靴
KR20160140145A (ko) 장식 교체형 신발
KR101144963B1 (ko) 조립식 슬리퍼
KR20080084329A (ko) 자수 신발
KR101498683B1 (ko) 샌들
CN202800331U (zh) 鞋底防水及缓冲改良结构
CN202959009U (zh) 一种休闲网布鞋
CN204232382U (zh) 一种舞蹈鞋
US20140317964A1 (en) Shoe sleeved structure
CN207186081U (zh) 一种高跟鞋
CN203969401U (zh) 一种轻便舒适旅游鞋
US9675136B2 (en) Customizable footwear
CN204132545U (zh) 时尚高跟鞋
US20230142589A1 (en) Simulated injection-molded toy boot
CN203341091U (zh) 一种麻底布鞋
CN201550690U (zh) 全能运动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