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7637A -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 Google Patents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7637A
KR20110017637A KR1020090075206A KR20090075206A KR20110017637A KR 20110017637 A KR20110017637 A KR 20110017637A KR 1020090075206 A KR1020090075206 A KR 1020090075206A KR 20090075206 A KR20090075206 A KR 20090075206A KR 20110017637 A KR20110017637 A KR 20110017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levating
lifting
storage space
elev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희
Original Assignee
임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용희 filed Critical 임용희
Priority to KR1020090075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7637A/ko
Publication of KR2011001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잔에 충진되는 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술이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본체의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측면에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충진된 술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술잔, 용량 조절

Description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wine cup having extension volume}
본 발명은 술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잔에 충진되는 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술을 따라 마시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는 술잔은 따라 마시는 술의 종류에 따라 소주잔, 맥주잔, 와인잔, 위스키잔 등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각술잔은 종류별로 크기 및 형상에 있어서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중, 소주잔은 주로 유리 또는 유리+플라스틱과 같은 투명성 재질로 되어 있으며, 그 형태는 내부에 술을 담기 위한 수용공간을 가진 작은 컵(cup) 형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이러한 소주잔의 외형은 제조회사별로 차별화 되어 있지만, 수용공간의 체적은 1회에 마시는 주량에 적합한 것으로 통념화 되면서 현재까지 거의 규격화 되어 있다.
이렇게 소주잔의 수용공간 체적이 거의 유사한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해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주도 습관은 술잔에 술을 가득 채운 상태에서 이를 단번에 마시는 소위 원샷(one shot)문화가 자리잡고 있는데, 이는 개인적인 주량에 관계없이 타인에 의해 주도되기 때문에 술에 약한 사람이나 컨디션이 좋지 않은 사람들은 큰 부담감이 아닐 수 없으며, 이는 건강을 해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중 통상적으로 생각해 낼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술잔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는 여럿이 모이는 술자리의 도의상 개인적으로 작은 술잔으로 술을 마시는 독립적인 행위를 실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개인의 주량에 따라 1회에 수용되는 술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술이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본체의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부재는 측면에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충진된 술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은 개인의 주량에 따라 저장되는 술의 저장용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나친 음주에 의한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건전한 음주문화 정착을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이하 '술잔'이라 함)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술잔(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술잔(100)은 술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11)을 제공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부재(120)와, 승강부재(120)를 승강 및 하강시키는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상술한 것처럼 술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111)을 제공하는 것으로, 원통형의 상단부(112)와, 상단부(1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며 육각기둥 형태로 연장된 하단부(113)를 포함한다.
상단부(112)는 입술을 대고 술을 마시기 용이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입술에 닿는 상단은 곡률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접촉부분에서의 자극이 최소화되도록 되어 있다.
하단부(113)는 상단부(11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하단부(113)가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것은 후술하는 승강부재(120)의 승강 및 하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승강부재(120)에 대한 설명에 부가하기로 한다.
하단부(113)의 하부에는 하부판(114)이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후술하는 구동부(130)의 설치를 위한 관통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110)는 유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일반적인 술잔(100)의 저장용량과 동일한 양의 술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공간(111)의 용량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술잔(100)은 소주를 담는 소주잔으로 저장공간(111)의 용량이 일반 소주잔과 동일하지만 이 외에도 맥주잔이나 양주잔과 같이 각각의 술을 담는 잔의 용량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120)는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110)의 저장용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부재(120)가 본체(110)의 내부 최 하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승강부재(120)의 상부에서 형성되는 저장공간(111)의 저장용량이 일반적인 소주잔의 저장용량과 동일하게 되며, 승강부재(120)가 구동부(130)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하게 되면 승강한 승강부재(120)에 의해 본체(110)의 저장공간(111)의 용량이 줄어들게 된다.
승강부재(120)는 본체(1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승강부재(120)의 승강시 하부공간으로 상부의 술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승강부재(120)의 측면엔 내측으로 인입된 인입홈(1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122)에 실링부(123)가 체결된다.
실링부(123)는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서,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이 인입홈(122)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123)는 본체(110)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저장된 술이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본 체(110)의 내주면을 따라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이 크지 않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120)는 하단부(113)에 대응하도록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부재(120)가 육각기둥형태로 형성되어 본체(110)의 내주면에 접촉되므로 승강부재(120)가 하단부(113)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따라서 후술하는 구동부(130)에 의해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30)는 상기 승강부재(120)를 본체(110)의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10)의 하부판(114)의 하면에 결합되는 결합판(131)과, 이 결합판(131)에 설치되는 베어링부(132)와, 베어링부(13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부재(133)와, 결합판(131)의 하부에 설치되는 핸들(134)을 포함한다.
결합판(131)은 하부판(114)에 접착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와는 달리 고정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부재를 통해 체결시킬 수도 있다.
베어링부(132)는 결합판(13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114)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115)을 통해 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베어링부(13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나사부재(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핸들(134)은 결합판(131)의 하부에서 나사부재(133)의 하단에 결합되어 나사부재(133)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핸들(134)을 돌려 나사부재(133)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나사부재(133)는 본체(110)의 내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승강부재(120)의 나사공(121)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핸들(13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부재(133) 역시 핸들(134)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나사공(121)에 나사부재(133)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승강부재(120)는 본체(110)의 내부에 회전하지 못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나사부재(133)의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120)는 상방으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되며, 승강부재(120)가 승강한 높이에 비례하게 본체(110)의 술 저장용량을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핸들(134)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승강부재(120)가 하강하게 되므로 저장공간(111)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핸들(134)의 회전을 통해 승강부재(12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본체(110)의 술 저장용량을 본인의 주량에 맞춰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게된다.
본 실시예는 승강부재(120)가 본체(110)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면 안되므로 육각기둥 형태로 형성되었고, 본체(110)의 하단부(113) 역시 내부가 승강부재(120)와 대응하는 육각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승강부재(120)와 하단부(113)는 이 외에도 다양한 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본체(150)의 하단부(113) 내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가이드돌기(151)가 형성되어 있고, 승강부재(152)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인입된 가이드홈(153)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 이드돌기(151)가 가이드홈(153)에 끼워지도록 승강부재(152)를 본체(150)의 내부에 체결하여 승강부재(152)가 회전하지 않고 나사부재(133)의 회전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술잔은 승강부재가 본체의 하부에서 상방으로 승강하면서 저장공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체의 측방에서 저장공간측으로 인입되면서 저장공간의 용량을 줄이러가 본체 내주면의 내경을 줄이는 방법으로 저장공간의 저장용량을 축소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승강부재와 본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술잔
110; 본체
120; 승강부재
123; 실링부
130; 구동부

Claims (3)

  1. 상방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술이 저장될 수 있는 소정의 저장공간이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본체의 저장용량을 조절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중앙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측면에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인입홈에 끼워지며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충진된 술이 상기 승강부재의 하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KR1020090075206A 2009-08-14 2009-08-14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KR20110017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06A KR20110017637A (ko) 2009-08-14 2009-08-14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206A KR20110017637A (ko) 2009-08-14 2009-08-14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637A true KR20110017637A (ko) 2011-02-22

Family

ID=43775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206A KR20110017637A (ko) 2009-08-14 2009-08-14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763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329B1 (ko) * 2015-12-21 2017-01-26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CN107348782A (zh) * 2017-07-06 2017-11-17 湘潭大学 一种可变容积式双盖杯
KR20190118930A (ko) * 2018-04-11 2019-10-21 창신리빙(주) 음료 컵 본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329B1 (ko) * 2015-12-21 2017-01-26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WO2017111427A1 (ko) * 2015-12-21 2017-06-29 이재수 음료용 컵의 용량 조절장치
CN108601467A (zh) * 2015-12-21 2018-09-28 麦奥费斯株式会社 饮料杯容量调节装置
CN108601467B (zh) * 2015-12-21 2020-05-15 麦奥费斯株式会社 饮料杯容量调节装置
CN107348782A (zh) * 2017-07-06 2017-11-17 湘潭大学 一种可变容积式双盖杯
CN107348782B (zh) * 2017-07-06 2018-09-11 湘潭大学 一种可变容积式双盖杯
KR20190118930A (ko) * 2018-04-11 2019-10-21 창신리빙(주) 음료 컵 본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0999B2 (ja) 底を通じて飲料の注入がなされる飲料容器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US6314751B1 (en) Beverage chilling apparatus
US20070131709A1 (en) Automatic valve assembly for a water cooler reservoir
US10687644B1 (en) Cup holder adapter for mug
CA2573910A1 (en) Child&#39;s drinking cup
KR101498251B1 (ko) 바닥을 통해 음료 주입이 이루어지는 음료 용기
KR20110017637A (ko) 용량 조절이 가능한 술잔
KR20170053845A (ko) 오뚜기텀블러
KR20170052358A (ko) 음료 용기
CN216547309U (zh) 一种多用途的饮品保温容器
US20220053956A1 (en) Drinking vessels
CN201564913U (zh) 安全点滴输液控制装置
US20210003336A1 (en) Functional water bottle with ice forming core and ice making tool
WO2017014638A1 (en) Liquid preservation device and method
KR20110034909A (ko) 밀폐용기
KR200462202Y1 (ko) 음료용기
KR200241995Y1 (ko) 1회용 컵
CN109124009B (zh) 一种双吸管水杯
KR200258463Y1 (ko) 음료용 잔
CN213721230U (zh) 一种多功能配件水杯
KR200429845Y1 (ko) 병 따개가 내설된 휴대용 컵 보관 용기
KR102482131B1 (ko) 식음료 보관 장치
CN209136088U (zh) 水罐
CN211196959U (zh) 一种便于存储使用的酒水存储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