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2131B1 - 식음료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식음료 보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82131B1 KR102482131B1 KR1020210004401A KR20210004401A KR102482131B1 KR 102482131 B1 KR102482131 B1 KR 102482131B1 KR 1020210004401 A KR1020210004401 A KR 1020210004401A KR 20210004401 A KR20210004401 A KR 20210004401A KR 102482131 B1 KR102482131 B1 KR 102482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d
- stopper
- beverages
- hole
-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 B65D47/26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 B65D47/2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with slide valves, i.e. valves that open and close a passageway by sliding over a port, e.g. formed with slidable spouts having a rotational or helicoidal movement between planar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44—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the piston having a dispensing opening formed in the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인 등과 같이 공기와의 접촉에 민감한 식음료를 보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음료를 담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한채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식음료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목부, 상기 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식음료를 따르기 위한 마개부, 및 상기 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면과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제 1 구멍을 형성하는 속 마개 및 제 2 구멍을 형성하는 겉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겉 마개는 상기 속 마개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겉 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정렬되는 열린 상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서로 어긋나는 닫힌 상태 간에 전환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식음료에 대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패가 되는 식음료 보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와인이나 식초 등 공기에 노출되면 쉽게 변할 수 있는 식음료를 보관하는데 있어서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액체 형태의 음식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은 와인병에 담겨지고 와인병의 입구가 코르크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마개로 밀폐되어 포장되는데, 이러한 와인을 즐기기 위해 코르크를 개방하면 와인이 산소와 접촉하면서 수 시간 내에 산화되어 와인 본연의 맛이 아닌 신맛을 내게 된다.
따라서, 와인 본연의 맛을 느끼기 위해서는 와인병을 개봉한 순간 빠른 시간 내에 와인병 내부에 저장된 와인 전부를 마시는 것이 가장 최선이다. 그러나, 이렇게 와인 전부를 한 번에 마신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마시고 남은 와인이 산화되지 않도록 하여 보관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62746호는 용기 내부로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진 와인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선행 실용신안은 와인이 저장되는 제1 저장공간과 제2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와인이 외부로 배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개구부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1 피스톤부 및 상기 제1 저장공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저장공간에 저장된 상기 와인이 상기 제2 저장공간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제2 피스톤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저장공간은 상기 제1 피스톤부와 제2 피스톤부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 용기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실용신안의 경우 내부 식음료의 양이 적어지게 되면 용기 내부에 공기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공기와 접촉을 차단하는 효과가 줄어들게 된다. 더 나아가 용기 자체의 구조가 복잡하여 세척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음료의 양에 무관하게 공기와의 접촉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세척이 용이한 식음료 보관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또 다른 목적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음료 보관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음료를 담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한채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식음료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목부, 상기 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식음료를 따르기 위한 마개부, 및 상기 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면과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제 1 구멍을 형성하는 속 마개 및 제 2 구멍을 형성하는 겉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겉 마개는 상기 속 마개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겉 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정렬되는 열린 상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서로 엇갈리는 닫힌 상태 간에 전환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식음료에 대한 개폐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인 등 공기와 접촉 시 쉽게 변하는 식음료의 보관을 보다 더 오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와인을 보관한 상태에서 내부 보관되는 와인이 쉽게 흐르지 않도록 완벽하게 실링되어 휴대가 가능하면서도 와인 셀러 등에 보관이 가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내부 보관되는 식음료의 양에 무관하게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 시킬 수 있어 보관 기간을 더욱 오래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개부(301)의 개폐 전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식음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담은 후 공기를 빼내는 사용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음료 보관 장치(100)에 보관되어 있는 식음료를 따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사면(903)에 표시되는 눈금(1101)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상면(1201)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하면(1202)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상면(도 16) 및 하면(도17)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개부(301)의 개폐 전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식음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담은 후 공기를 빼내는 사용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음료 보관 장치(100)에 보관되어 있는 식음료를 따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사면(903)에 표시되는 눈금(1101)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상면(1201)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하면(1202)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상면(도 16) 및 하면(도17)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에 접촉 시 변화가 심한 식음료(대표적으로 와인)를 보관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인을 보관하는데 있어서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 시키기 위하여, 기존 와인 세이버들은 와인 병 내부로 추가 유입되는 공기를 허용한 상태에서 산소와 와인의 접촉을 줄이는 방식이 존재한다. 크게 산소흡수 패치와 비활성 가스(질소, 아르곤) 주입 방식으로 나뉜다.
하지만 와인병을 눕히면 산소 흡수 패치나 비활성 가스층의 보존 기능이 상실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병의 휴대 이동 불가, 셀러에 눕혀 보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셀러에 보관하지 못할 경우 온도, 자외선에 민감한 와인의 보존은 불가능하다.
그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와인 세이버들은 효과에 비해 지나친 고비용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산소흡수 패치와 비활성 가스가 일회용품인데도 대다수 레드 와인(와인 소비 중 75% 차지)의 경우 2~5일 밖에 보존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사기 앰플의 원리를 적용하여 남은 와인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해서 제안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식음료 보관 장치(100)는 식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120) 및 상기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피스톤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는, 마개부(301), 목부(302), 목가이드부(304) 및 실링부(3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부(110)는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한채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잔여 식음료의 양에 따라 용기 내부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피스톤부(110)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다가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피스톤 고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식음료 보관 장치(100)에 식음료를 부어 넣거나, 보관되어 있는 식음료를 따르기 위하여 식음료 보관 장치(100)를 기울일 경우, 목부(302)를 통하여 상기 식음료가 흐를 것이다. 즉, 상기 목부(302)는 식음료가 흐르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목가이드부(304)는 상기 용기(120)의 상단에 고정되고 가운데에 상기 목부(302)가 지나가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목부(302)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마개부(301)는, 목부(302)의 상부에, 내부에 보관되는 식음료를 밀폐시키거나 따르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마개부(301)가 밀폐시키는 구성은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실링부(303)는, 목부(302)의 하부에, 상기 용기(120)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 식음료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실링부(303)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용기(120)의 내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마개부(301)는, 제 1 구멍(405)을 형성하는 속 마개(401), 제 2 구멍(406)을 형성하는 겉 마개(402) 및 밀착 실리콘(4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겉 마개(402)는 상기 속 마개(401)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밀착 실리콘(403)은, 상기 겉 마개(402)와 속 마개(401)가 서로 밀착되어 있는 구조 상에서, 식음료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필름 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특히 밀착 실리콘(403)은, 상기 겉 마개(402) 또는 속 마개(401)와 대응되는 형상의 얇은 막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또는 제 2 구멍(405, 406)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 3 구멍(407)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겉 마개(40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405, 406)이 정렬되는 열린 상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405, 406)이 서로 엇갈리는 닫힌 상태 간에 전환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식음료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속 마개(401)는 상기 제 2 구멍(406)과는 별도의 공기 구멍(408)을 더 형성한다.
겉 마개(402)는 제 2 구멍(406)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주둥이(49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간의 전환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마개부(301)의 개폐 전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시한다.
속 마개(401) 및 겉 마개(402)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겉 마개(402)가 회전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지만, 겉 마개(402)와 속 마개(401)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경우라면 본 발명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 (a)에서와 같이 겉 마개(402)의 제 2 구멍(406)과 속 마개(401)의 제 1 구멍(405)이 서로 어긋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는, 내부에 식음료가 밖으로 토출될 수 없다. 즉, 도 5 (a)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멍(405, 406)이 어긋나도록 전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 5 (a)의 상태에서 겉 마개(40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1 및 제 2 구멍(405, 406)이 정렬되는 경우(도 5 (b))에는, 내부 식음료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상태일 것이다. 즉, 도 5 (b)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구멍(405, 406)이 일치되도록 정렬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경우에는,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에 전환하는데 있어서 겉 마개(402)의 간편한 회전 만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에 특징이 존재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겉 마개(402)를 추가로 더 회전하여, 제 2 구멍(406)과 공기 구멍(408)이 정렬되는 진공 상태(도 5 (c))를 더 정의한다. 진공 상태란, 용기 내부에 공기를 빼내기 위한 상태(진공을 만들기 위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공기를 빼내는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개념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내부에 식음료를 보관하기 위하여 담은 후 공기를 빼내는 사용 개념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빈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겉 마개(402)를 제거한 후(도 6 (a)), 다른 용기(601)에 든 액체를 빈 식음료 보관 장치(100)에 붓는다(도 6 (b)).
도 7 (a)에서와 같이 다시 겉 마개(402)를 닫은 후, 진공 상태가 되도록 겉 마개(40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피스톤부(110)를 아래 방향으로 눌러 공기를 빼낸다. 공기가 다 빠질 때까지 피스톤부(110)를 아래로 누른 후, 겉 마개(402)를 다시 돌려 닫힌 상태로 전환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식음료 보관 장치(100)에 보관되어 있는 식음료를 따르는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겉 마개(402)를 돌려 열린 상태로 전환한다. 열린 상태에서는 겉 마개(402)와 속 마개(401)의 구멍이 정렬되기 때문에, 내부에 식음료가 밖으로 토출 될 수 있을 것이다(도 8 (b)).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공기를 빼는데 있어서 내부 식음료가 튀지 않는 공기 구멍(408)의 구조를 더 제안한다.
이러한 공기 구멍(408)의 구조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측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 구멍(408)은 속 마개(401)의 표면 상에 홈을 형성하고, 홈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면(902, 903)에 홀(90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홀(901)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902, 903) 중에서 속 마개(401)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공기 구멍(408)은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사면(903) 및 수직면(90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903)과 수직면(902)이 홈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901)은 상기 수직면(902)와 경사면(903) 중에서 수직면(902)에 형성된다.
본원 발명이 이와 같은 구조의 공기 구멍(408)을 형성하는 이유는, 공기를 정밀하게 빼내기 위함이다.
상기 속 마개(401)에 형성되는 제 1 구멍(405)를 통해서도 공기를 빼낼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지만, 제 1 구멍(405)은 식음료를 따르기 위하여 구멍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정밀하게 공기를 빼내기는 쉽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구멍(405) 보다 작은 사이즈의 구멍을 통하여 공기를 빼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별도의 공기 구멍(408, 제 1 구멍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을 형성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본원 발명에 따라 공기를 모두 빼내기 위해서는 속 마개(401)의 하면과 보관 식음료(910)가 맞닿아야 하는데,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공기 구멍(408)을 통하여 공기를 빼다 보면, 옷에 보관 식음료(910)가 공기 구멍(408)을 통하여 튀어나오기 십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관 식음료(910)가 튀더라도, 위 방향으로 튀지 않도록 홈을 형성하는 경사면 또는 수직면에 홀이 형성되도록 제안하는 것이다. 즉, 옆으로 튀도록 하여 상술한 주둥이(490)로 하여금 튀는 것을 막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경사면(903)에 표시되는 눈금(1101)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사면(903)은 눈금(1101)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기를 빼내다가 보관 식음료(910)가 공기 구멍(408)의 경사면(903)을 따라 차츰 올라오면, 적정 레벨이 되었는지 여부를 눈금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눈금은 하나의 예시일 뿐, 눈금이 없다고 하더라도 경사면(903)을 따라 차츰 올라오는 보관 식음료(910)를 눈으로 확인하여 적절한 레벨이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쉬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상면(1201)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을 속 마개(401)의 하면(1202)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의 (a)는 일반 도면, 그리고 (b)는 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형성하고,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에 홀(90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면에서 바라보면, 세 개의 홈은 삼각뿔 형상을 하고 있으며, 세 개의 홈은 맞닿아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맞닿지 않아도 본 발명에 속할 것이다.
각 홈은 삼각뿔 형상을 갖기 위하여 세 개의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세 개의 경사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홀(901)이 형성되어 공기를 빼낼 수 있으며, 특히 공기를 빼낼 때 잔여 공기 방울이 남지 않도록 쉽게 빠질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보관 식음료(910)하고 맞닿는 하면(1202)에도 마찬가지로 공기방울이 잘 빠져나갈 수 있는 경사면(1401)을 형성하도록 제안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면(1202)에 공기 구멍(408)을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14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1401)이 공기 구멍(408)을 향한다는 것은, 공기 구멍(408)의 중심이 높고 주변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방울이 상기 경사면(1401)을 따라 올라가면, 대부분의 공기 방울이 갇히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경사면(1401)은, 공기 구멍(408)을 중심으로 하여, 하면(1202)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구멍(408)의 상면(도 16) 및 하면(도17)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경사면(903)은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시된 예시에서는 3 방향(120도 각도 간격)으로 홀(901)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홀(901)에 대응되도록 경사면(90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경사면(903)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즉, 보관 식음료(901)가 튀어나오더라도 나선형 경사면(903)에 의해서 튐이 예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마찬가지로, 하면(1202)에 공기 구멍(408)을 향하여 경사를 형성하는 경사면(140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경사면(1401)이 공기 구멍(408)을 향한다는 것은, 공기 구멍(408)의 중심이 높고 주변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방울이 상기 경사면(1401)을 따라 올라가면, 대부분의 공기 방울이 갇히지 않고 빠져나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경사면(1401)은, 공기 구멍(408)을 중심으로 하여, 하면(1202) 전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스톤부(1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7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공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식음료 보관 장치(100)는 식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120) 및 상기 용기를 개폐하기 위한 피스톤부(11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피스톤부(110)는, 마개부(301), 목부(302), 목가이드부(304) 및 실링부(30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100)는 마개부(301)를 덮는 덮개부(18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속 마개(401)에 공기 구멍(408)이 형성되도록 제안하였다. 하지만, 도 18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서는 겉 마개(402)에 공기구멍이 형성되도록 제안한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후술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301)의 상세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마개부(301)는, 제 1 구멍(405)을 형성하는 속 마개(401), 제 2 구멍(406)을 형성하는 겉 마개(402) 및 밀착 실리콘(40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겉 마개(402)는 상기 속 마개(401)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속 마개(401)에 공기 구멍(408)이 형성되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겉 마개(402)에 공기 구멍(408)을 형성하도록 제안한다. 즉, 상기 겉 마개(402)는 상기 제 2 구멍(406)과는 별도의 공기 구멍(408)을 더 형성한다.
겉 마개(402)와 속 마개(401)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함에 따라서 개폐 전환이 가능한 것은 상술한 도 5에서와 동일할 것이다. 즉, 겉 마개(402)와 속 마개(401) 간에 상대적인 회전 정도에 따라서, 열린 상태, 닫힌 상태 및 진공 상태 간에 서로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겉 마개(402)만이 회전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속 마개(401)가 회전되거나, 둘 다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겉 마개(402)에 구비되는 공기 구멍(408)은 도 9 내지 도 17를 통하여 상술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음료 보관 장치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식음료를 담는 용기;
상기 용기의 내면에 밀착한채로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피스톤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식음료가 흐르는 통로를 형성하는 목부, 상기 목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식음료를 따르기 위한 마개부, 및 상기 목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내면과 밀착되는 실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부는,
제 1 구멍을 형성하는 속 마개 및
제 2 구멍을 형성하는 겉 마개를 포함하며,
상기 겉 마개는 상기 속 마개와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겉 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정렬되는 열린 상태 및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이 서로 어긋나는 닫힌 상태 간에 전환되어 상기 용기에 담긴 식음료에 대한 개폐가 가능하고,
상기 겉 마개의 상면에는 공기 구멍이 더 형성되고,
상기 공기 구멍은 적어도 두 개의 경사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 각각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사면 중 제 1 경사면에 공기를 빼내기 위한 홀(hole)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경사면 중 제 2 경사면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겉 마개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구멍 및 상기 공기 구멍이 정렬되는 진공 상태로 추가적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에 고정되어 상기 목부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을 가이드하기 위한 목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부는,
상기 속 마개와 겉 마개 사이에서 상기 용기에 담긴 식음료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 실리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실리콘은,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3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음료를 보관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401A KR102482131B1 (ko) | 2021-01-13 | 2021-01-13 | 식음료 보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4401A KR102482131B1 (ko) | 2021-01-13 | 2021-01-13 | 식음료 보관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260A KR20220102260A (ko) | 2022-07-20 |
KR102482131B1 true KR102482131B1 (ko) | 2022-12-29 |
Family
ID=82609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4401A KR102482131B1 (ko) | 2021-01-13 | 2021-01-13 | 식음료 보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82131B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2192Y1 (ko) | 2002-04-24 | 2002-07-22 | 강용 |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
JP2008222269A (ja) | 2007-03-12 | 2008-09-25 | Akamatsu Kasei Kogyo Kk | 蓋付きカップ |
KR100977380B1 (ko) | 2010-03-02 | 2010-08-20 | 유하경 |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체크밸브 |
US20110290826A1 (en) | 2010-06-01 | 2011-12-01 | Harris David R | Structure for Storing Perishable Liquid |
KR101301273B1 (ko) | 2008-07-24 | 2013-08-28 |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 용기 마개 및 시스템 |
KR101338355B1 (ko) | 2013-04-18 | 2013-12-06 | 김두연 | 칸막이 용기 뚜껑 개폐 장치 |
US20140076937A1 (en) | 2012-09-18 | 2014-03-20 | Ambrose P. Cavalier | Adjustable dispensing cap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2881Y1 (ko) * | 1989-12-26 | 1994-04-27 | 주식회사 럭 키 | 용기의 뚜껑부 회전 개폐장치 |
KR20080082782A (ko) * | 2007-03-09 | 2008-09-12 | 김용정 | 가스가 배출되는 병뚜껑 구조 |
KR101091018B1 (ko) * | 2008-11-11 | 2011-12-09 | 김종현 | 음료용기 |
-
2021
- 2021-01-13 KR KR1020210004401A patent/KR1024821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2192Y1 (ko) | 2002-04-24 | 2002-07-22 | 강용 |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
JP2008222269A (ja) | 2007-03-12 | 2008-09-25 | Akamatsu Kasei Kogyo Kk | 蓋付きカップ |
KR101301273B1 (ko) | 2008-07-24 | 2013-08-28 |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 용기 마개 및 시스템 |
KR100977380B1 (ko) | 2010-03-02 | 2010-08-20 | 유하경 | 가스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체크밸브 |
US20110290826A1 (en) | 2010-06-01 | 2011-12-01 | Harris David R | Structure for Storing Perishable Liquid |
US20140076937A1 (en) | 2012-09-18 | 2014-03-20 | Ambrose P. Cavalier | Adjustable dispensing cap |
KR101338355B1 (ko) | 2013-04-18 | 2013-12-06 | 김두연 | 칸막이 용기 뚜껑 개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02260A (ko) | 2022-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05088B1 (ko) | 식음료 보관 장치 | |
ES2361946T3 (es) | Cierre de recipiente que tiene un medio para introducir un aditivo en el contenido del recipiente. | |
CN106458375A (zh) | 用于保存液体内容物的容器 | |
KR101251770B1 (ko) | 산화방지용 용기 | |
JP2024531504A (ja) | 飲食料保管装置 | |
KR20090005746A (ko) | 마개 분실 및 공회전 방지 버팀부를 구비한 용기 | |
CN107548373A (zh) | 两种内容物混合容器 | |
KR102482131B1 (ko) | 식음료 보관 장치 | |
JPH09299253A (ja) | 液体容器 | |
KR200462202Y1 (ko) | 음료용기 | |
JP3225196U (ja) | 飲料用サーバー | |
WO2019030758A1 (en) | CONTAINER | |
KR101627417B1 (ko) | 주류 및 음료 용기의 자동 공기 개폐장치 | |
US20110036838A1 (en) | Cap for a consumable liquid container | |
US20230407215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Liquid Preservation | |
US11746313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liquid preservation | |
KR102555920B1 (ko) | 와인 보관 용기 | |
KR20230024659A (ko) | 개폐가능한 이중덮개가 구비되는 뚜껑이 결합되는 물병 | |
KR200233050Y1 (ko) | 이중 개폐마개를 가진 용기 | |
KR101073334B1 (ko) | 자동 개폐형 마개 | |
KR100807849B1 (ko) | 이중 내부구조를 갖는 보틀 | |
KR200276043Y1 (ko) | 유량 조절가능한 병뚜껑 | |
KR200396029Y1 (ko) | 가스 누출 방지 마개 | |
KR20240025470A (ko) | 음료용기용 캡 및 이를 갖는 음료용기 | |
KR200395478Y1 (ko) | 음료수 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