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6197A -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6197A
KR20110016197A KR1020090073789A KR20090073789A KR20110016197A KR 20110016197 A KR20110016197 A KR 20110016197A KR 1020090073789 A KR1020090073789 A KR 1020090073789A KR 20090073789 A KR20090073789 A KR 20090073789A KR 20110016197 A KR20110016197 A KR 20110016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art
golf cart
cart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우
안기호
곽홍석
이형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지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지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지시스
Priority to KR1020090073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6197A/ko
Publication of KR2011001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 카트를 운용하는 경기 참가자로 하여금, 적절한 행동을 취하도록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 및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그리고 앞 골프 카트의 경기상황 및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 요청, 대기 요청, 그리고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 요청하는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골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시켜 경기 운용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골프장, 관제, 지리정보 기반, 카트

Description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golf course}
본 발명은 골프 카트 간의 간격, 각 홀(hole)에 관한 정보, 그리고 주변 상황에 따른 최적의 안전거리 등의 다양하고도 복합적인 정보를 분석하여, 지피에스(GPS) 단말기 등이 장착되어 있는 골프 카트를 사용하는 모든 경기자에게 적절한 행동을 취하도록 통제함으로써, 골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경기 운용을 원활하게 진행하도록 통제할 수 있도록,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golf)는 드라이버, 다양한 규격의 아이언을 포함하는 각종 클럽을 사용하여 타격함으로써, 넓은 코스에 설치되어 있는 각 홀의 홀컵(hole cup) 안으로 자신의 골프공을 넣은 다음, 해당 홀에서의 전체 타격수를 합산하여, 이로써 각 경기 참가자 간의 승패를 겨루는 스포츠이다.
이때, 각 경기 참가자들은 자신의 클럽을 직접 갖고 매 홀마다 이동하기도 하지만, 경기에 집중하기 위하여 대부분 이들 클럽을 자식의 골프백에 담아 일명 캐디라고 하는 보조요원으로 하여금 지참토록 하고, 골프 카트 등을 이용하여 각 홀 구간을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운용되는 종래의 골프장 운용방법에 따르면, 각 홀을 통과하는 각 팀의 간격이 너무 가깝거나 멀리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팀의 간격이 너무 가까운 경우 즉, 7번 홀과 8번 홀 사이에서 첫번째 팀이 8번 홀을 향하여 진행하고, 뒤를 이어 너무 가까이서 그 다음 팀이 볼을 타격하면서 같은 8번 홀을 향하여 진행하게 되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각 팀의 경기 참가자들이 상대방의 골프공에 의하여 다칠 뿐만 아니라, 동일한 홀에서 두 팀이 혼재되면서 게임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반면, 각 팀의 간격이 너무 가까운 경우 즉, 7번 홀과 8번 홀 사이에서 첫 번째 팀이 8번 홀을 향하여 진행하고, 뒤를 이어 너무 떨어진 상태에서 예를 들어 두 번째 팀이 6번 홀을 향하여 진행하는 경우에는, 7번 홀을 향하여 진행하는 팀이 없음으로써, 전체 18홀 또는 36홀에 배치되어 있는 팀이 너무 적게 편성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이때에는 특정 홀에서의 경기가 지연됨에 따라 나머지 홀의 경기가 순연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경기 진행이 더딜 뿐만 아니라, 더 많은 팀이 경기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어 비효율적으로 경기가 운용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관제 시스템은, 무전기를 통해서 짐작으로 골프 카트의 상태를 인식하거나, 지피에스(GPS) 단말기 등을탑재한 골프 카트를 운용하더라도, 직선거리를 기준으로 각 골프 카트 간의 간격을 인식할 뿐만 아니라, 각 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최소 안전거리 설정의 미숙으로 인해, 부정확한 관제를 할 수밖에 없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 골프 카트 간의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모든 카트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전체상황을 인지하여, 이에 따라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시켜 신속한 행동지침을 내림으로써, 경기 운용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골프장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 관제시스템은,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를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으로서,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 및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그리고 앞 골프 카트의 경기상황 및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 요청, 대기 요청, 그리고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 요청하는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 도로에는 해당 홀을 인식시키는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가 기설정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알에프아이디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는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지피에스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정보는 다수의 홀, 카트 도로 및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신호는, 제2 외부통신모듈에 의하여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는 각기 음성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중의 어느 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에서 경기를 종료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서 출발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디 스플레이하는 모니터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장 관제방법은,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를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어장치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앞 골프 카트의 경기상황 및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 요청, 대기 요청, 그리고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 요청하는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는,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에서 경기를 종료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대기를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서 출발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를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요청하거나, 그리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설정된 관제데이터를 기준으로 하고,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연산처리함으로써, 각 골프 카트 간의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모든 카트의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전체상황을 인지하여, 이에 따라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시켜, 각 카트에 대하여 신속한 행동지침을 내림으로써, 경기 운용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에서, 다수의 골프 카트가 위 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3은 다수의 골프 카트가 또 다른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 내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100)은, 다수의 홀(H)을 향하여 카트 도로(R)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10)를 통제하는 제어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는, 카트 본체(11)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지리정보 인식장치(12);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12)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 즉, 제어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13)은 제어장치(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1 안테나(13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는 각기 음성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 또는 영상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효율적인 관제를 위하여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13)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21);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 및 다수의 홀(H)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2); 및 입력받은 상기 위치정보들을 연산처리하고,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외부통신모듈(21)은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13)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21a)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100)의 주요구성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100)에서, 다수의 골프 카트(10a ~ 10n)는, 축전지 등의 전원에 의하여 회전되는 바퀴에 의하여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R)를 주행하는 이동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a ~ 10n)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장치(2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장치(20)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데, 이때 수신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자리에 멈추어 있거나, 출발했던 시작위치로 복귀토록 하거나, 또는 다음 홀(H)로 계속 주행토록 관제된다.
따라서, 다수의 골프 카트(10a ~ 10n) 및 다수의 홀(H0 ~ Hn)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연산처리함으로써, 각 골프 카트 간의 최소한의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대기시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경기 운용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리정보 인식장치(12)는, 지피에스(GPS) 단말기 또는 알에프아이디 시스템(RFID Tag, Reader)과 같은 장치인데, 여기서 상기 지피에스(GPS) 단말기는 다수의 지리정보위성(S)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연산처리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에프아이디 시스템(RFID Tag, Reader)은, 상기 카트 도로(R)상의 기설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해당 홀을 인식시키는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R FID Tag)와 상기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RFID TAG)로부터 읽어들인 위치데이터를 처리하는 알에프아이디 리더기(RFID Reader)로 이루어져서, 자신의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골프 카트(10a ~ 10n)는, 제1 안테나(13a)를 구비하는 제1 외부통신모듈(13)을 포함함으로써, 지피에스(GPS) 단말기 또는 알에프아이디 시스템(RFID Tag, Reader)과 같은 장치로부터 수신 또는 획득된 각 골프 카트(10a ~ 10n)의 위치정보는 상기 제어장치(20)로 전송된다.
본원 발명에서는, 필드 위의 다수의 홀(H0 ~ Hn)에 인접하도록 다양하게 카트 도로(R)가 시공되고, 상기 다수의 홀(H0 ~ Hn)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카트 도로(R)의 궤적 데이터는, 제어장치(20)에 구성되어 있는 제어기(23)에서 처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100)에서, 제어장치(20), 상기 다수의 홀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카트 도로(R)의 궤적 데이터를 처리하여, 다수의 골프 카트(10)로 하여금, 각 골프 카트 간에 최소한의 안전거리가 확보되도록 하고,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최소화되도록 관제한다.
이때, 제1 외부통신모듈(13)과 통신할 수 있는 제2 안테나(21a)를 포함하는 제2 외부통신모듈(21)를 구비함으로써, 메모리(22)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들을 제어기(23)가 연산처리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고, 이들 생성된 제어신호는 다수의 골프 카트(10)에 전송되어, 효율적인 관제가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메모리(22)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상기 다수의 홀(H0 ~ Hn)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카트 도로(R)의 궤적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다수의 홀(H0 ~ Hn)에 인접하면서, 이를 경유하도록 카트 도로(R)가 시공됨으로써, 지리정보 인식장치(12) 등에 의하여 다수의 홀(H0 ~ Hn)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다양하게 시공되어 있는 카트 도로(R)의 궤적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은 도 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다수의 골프 카트가 다양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방법 및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다수의 골프 카트가 다양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방법은,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를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S20); 수신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어장치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연산처리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0);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수신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는,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12);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12)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인 제어장치(20)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1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장치(20)는,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13)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21);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 및 다수의 홀(H)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22); 및 입력받은 상기 위치정보들을 연산처리하고,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10)의 위치를 제한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2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카트 도로(R)를 주행중인 다수의 골프 카트(10)로 하여금 멈추거나 또는 시작위치로 이동토록 하거나 또는 계속 주행토록 하는 신호중의 어느 하나이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방법에 대하여, 다수의 도표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우선, 골프장의 각 홀(H0 내지는 Hn)의 코스와 카트 도로(R)의 궤적을 폴리라인(poly line) 형태의 공간 데이터로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공간관계에 대하여 연산처리를 함으로써, 골프 카트 간의 실질적인 간격과 상황에 따른 최소 안전거리를 산출한다.
따라서, 상기 산출결과에 따라 골프장 관리자로 하여금 각 카트(10a 내지는 10n)에게 적절한 조치를 지시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골프장의 각 홀에 대해 코스 진행 궤적과 골프 카트 도로 중심선 궤적을 폴리라인 데이터로 구축한다.(도 6 참고)
또한,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를 궤적상의 일정한 간격(예를 들면, 10m 정도)으로 분할할 때 생기는 지점들과 이 지점들에서 제일 가까운 카트 도로(R)의 폴리라인 객체 위의 지점들을 산출하여, 각각 홀 정보와 골프 카트 도로 정보로서 (표 1)와 같이 설정한다.
즉, n개의 부분으로 분할한다고 가정하면,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 상에 H0에서 Hn까지의 지점들이 생성되고, 각각에 대응되는 골프 카트 도로(R)의 폴리라인 객체 상에 P0에서 Pn까지의 지점들이 생성된다.
이렇게 구축된 공간 데이터를 토대로 (표 1)와 같은 인자들을 설정하여 참조한다.
인자 명칭 인자에 대한 설명
P0 ~ Pn -1 골프 카트 폴리라인 객체 상에서 설정된 지점들
H0 ~ Hn -1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 상에서 설정된 지점들
D1 ~ Dn -1 Di 는 Hi -1과 Hi 까지의 궤적상의 거리
드라이버_최대거리 홀 코스 특성에 맞는 드라이버 최대 거리
우드_최대거리 홀 코스 특성에 맞는 우드 최대 거리
롱아이언_최대거리 홀 코스 특성에 맞는 롱아이언 최대 거리
숏아이언_최대거리 홀 코스 특성에 맞는 숏아이언 최대 거리
(표 1) 상황 판단 및 처리를 위한 인자들
이때, (표 2)와 같이, 상황 3 및 상황 4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앞 골프 카트와의 간격과 최소 안전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상황 ID 상황 조건
상황-0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에서 아웃
상황-1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 지점(H0)에 위치함
상황-2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 지점(H0)에서 출발함
상황-3 앞 골프 카트와의 간격이 최소 안전거리보다 같거나 작을 경우
상황-4 앞 골프 카트와의 간격이 최소 안전거리보다 클 경우
(표 2) 조건에 따른 상황 인식
그리고, 골프 카트 간의 간격을 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계산 기준이 되는 골프 카트의 지점을 결정해야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지리정보 인식장치(12)에 의하여 수신된 좌표에 가장 근접한 골프 카트 도로(R)의 폴리라인(Pc)의 객체상의 지점을 산출하고, 그 지점에 대응되는 홀 코스의 폴리라인(Ph) 객체상의 지점을 구하여, 골프 카트의 지점(Pn, Pn -1, Pn -2...)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두 골프 카트 지점들이 결정되면, 두 지점간의 홀 코스 폴리라인(Ph) 궤적 상에서의 거리를 구하여 골프 카트간의 간격으로 산출한다.
(표 3)에서 골프 카트간의 간격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정리하였다.
1. 골프 카트10i에 대한 GPS 및 RFID 좌표 Gi를 저장
2. Gi 에 가장 근접한 골프 카트 도로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Pi 산출
3. Pi 에 대응되는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Hi 산출
4. 골프 카트10k에 대한 GPS 좌표 Gk를 저장
5. Gk 에 가장 근접한 골프 카트 도로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Pk 산출
6. Pk 에 대응되는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Hk 산출
7. 두 골프 카트간의 간격 = Di +1 + … + Dk
(표 3) 골프 카트간의 간격 산출 알고리즘
또한, 최소 안전거리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골프 카트 지점에서 홀 끝까지의 남은 거리를 계산해야 한다.
즉,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골프 카트의 계산 지점을 구하고, 이 지점에서 홀 코스 폴리라인(Ph) 끝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그리고 현재 지점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골프 클럽을 기준으로 하여 최소 안전거리를 계산한다.
(표 4)에서 최소 안전거리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정리하였다.
1. 골프 카트10i에 대한 GPS 및 RFID 좌표 Gi를 저장
2. Gi 에 가장 근접한 골프 카트 도로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Pi 산출
3. Pi 에 대응되는 홀 코스 폴리라인 객체상의 지점인 Hi 산출
4. 홀 끝까지의 남은 거리 계산 : Remained_Dist = Di +1 + … + Dn -1
5. if (Hi == H0 and Remained_Dist > 드라이버_최대거리) then
최소 안전거리 = 드라이버_최대거리
else if (Remained_Dist > 우드_최대거리) then
최소 안전거리 = 우드_최대거리
else if (Remained_Dist > 롱아이언_최대거리) then
최소 안전거리 = 롱아이언_최대거리
else then
최소 안전거리 = 숏아이언_최대거리
(표 4) 최소 안전거리 산출 알고리즘
이때, 인식된 상황에 따라, 해당 골프 카트의 운용자에게 적절하고 구체적인 행동을 지시하게 된다.
즉, 상황-0인 경우, 앞 골프 카트가 홀 아웃한 상태이기 때문에 이동과 경기 진행을 지시한다. 반면, 상황-1인 경우, 앞 골프 카트가 시작 지점에 있기 때문에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상황-2인 경우, 앞 골프 카트가 시작 지점에서 출발한 상태이기 때문에 시작 위치로 이동하게 하고 경기 진행은 중지시킨다. 또한, 상황-3인 경우,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해당 골프 카트를 대기시키고, 경기 진행도 중지시킨다.
특히, 상황-4인 경우, 안전거리를 확보한 상태이기 때문에 해당 골프 카트에게 이동 명령과 경기 진행 재개 명령을 지시한다.
(표 5)에서 상황에 따른 처리 지시를 정리하였다.
상황 ID 상황 처리 지시
상황-0 이동 & 경기 진행 재개
상황-1 대기 & 경기 진행 중지
상황-2 시작 지점(H0)으로 이동 & 경기 진행 중지
상황-3 대기 & 경기 진행 중지
상황-4 이동 & 경기 진행 재개
(표 5) 상황에 따른 처리 지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시스템에서, 다수의 골프 카트가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다수의 골프 카트가 또 다른 방법으로 위치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제어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프장 관제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도 4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다수의 골프 카트가 다양한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홀 코스에 대한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을 예시한 지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 ~ 10n : 골프 카트 11 : 카트 본체
12 : 지리정보 인식장치 13 : 제1 외부통신모듈
13a : 제1 안테나 20 : 제어장치
21 : 제2 외부통신모듈 21a : 제2 안테나
22 : 메모리 23 : 제어기
100 : 골프장 관제시스템 H0 ~ Hn : 홀
R : 카트 도로

Claims (11)

  1.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를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으로서,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을 구비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 및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전송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그리고 앞 골프 카트의 경기상황 및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 요청, 대기 요청, 그리고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 요청하는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2. 제 1항에서,
    상기 카트 도로에는 해당 홀을 인식시키는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가 기설정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는 상기 다수의 알에프아이디-테그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알에프아이디 리더부;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3. 제 1항에서,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는 경로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지피에스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경로정보는 다수의 홀, 카트 도로 및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4. 제 1항에서, 상기 제어 신호는,
    제2 외부통신모듈에 의하여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로 전송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5. 제 4항에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는 각기 음성표시장치 또는 영상표시장치 중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신호는 음성신호 또는 영상신호중의 어느 한 형태인 골프장 관제시스템.
  6. 제 5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에서 경기를 종료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서 출발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 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골프장 관제시스템.
  7. 제 5항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는,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인 골프장 관제시스템.
  8. 다수의 홀을 향하여 카트 도로를 주행하는 다수의 골프 카트를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으로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각기 자신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와 상기 제어장치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를 비교하고, 앞 골프 카트의 경기상황 및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를 판단한 결과에 따라,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 요청, 대기 요청, 그리고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 요청하는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가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
  9. 제 8항에서,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는,
    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 그리고 상기 지리정보 인식장치가 획득한 지리정보 데이터를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제1 외부통신모듈;을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
  10. 제 8항에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제1 외부통신모듈과 통신하며,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제2 외부통신모듈; 상기 다수의 골프 카트 및 다수의 홀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골프장 관제방법.
  11. 제 10항에서, 상기 제어기는,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에서 경기를 종료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각기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대기를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가 해당 홀의 시작지점에서 출발한 경우에는 각 골프 카트에 대하여 시작 위치로 복귀 및 대기를 요청하거나,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대기를 요청하거나, 그리고 앞 골프 카트와의 거리가 최소안전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이동 및 경기진행을 요청하는 것 중의 어느 하나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골프장 관제방법.
KR1020090073789A 2009-08-11 2009-08-11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KR201100161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89A KR20110016197A (ko) 2009-08-11 2009-08-11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789A KR20110016197A (ko) 2009-08-11 2009-08-11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97A true KR20110016197A (ko) 2011-02-17

Family

ID=4377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789A KR20110016197A (ko) 2009-08-11 2009-08-11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619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01B1 (ko) * 2014-03-11 2014-09-23 주식회사 센서웨이 골프장 안전 관리 시스템
WO2018093232A1 (ko) * 2016-11-21 2018-05-24 방찬기 골프장 티마커의 타구음 감지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20180093893A (ko) * 2015-10-16 2018-08-22 레밍스 엘엘씨 로봇 골프 캐디
KR102053533B1 (ko) * 2018-05-31 2019-12-06 주식회사 에스지엠 골프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101B1 (ko) * 2014-03-11 2014-09-23 주식회사 센서웨이 골프장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80093893A (ko) * 2015-10-16 2018-08-22 레밍스 엘엘씨 로봇 골프 캐디
WO2018093232A1 (ko) * 2016-11-21 2018-05-24 방찬기 골프장 티마커의 타구음 감지를 이용하여 골프 경기의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KR102053533B1 (ko) * 2018-05-31 2019-12-06 주식회사 에스지엠 골프카트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6182B2 (ja) 対戦ゲーム処理方法、対戦ゲームシステム、そ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6287200B1 (en) Relative positioning and virtual objects for mobile devices
JP6048784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方法、携帯型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制御プログラム
ES2750959T3 (es) Sistema de suelo de juego interactivo y método
US9180378B2 (en) Conditional access to areas in a video game
US20120295699A1 (en) Conditional access to areas in a video game
KR20110016197A (ko) 골프장 관제시스템 및 방법
US200700211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user-controllable location mapping in location based gaming
JP2011183138A (ja) ゴルフ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US11132005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escape system, unmanned aerial vehicle escape method, and program
US20160243455A1 (en) Multiplayer Game Platform For Toys Fleet Controlled By Mobile Electronic Device
CN111729311A (zh) 攀爬跳跃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135337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150062295A (ko) 보드게임 테이블장치, 이를 이용한 보드게임 시스템 및 게임방법
JP4685137B2 (ja) ゴルフ用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19082910A (ja) ゴルフカート制御システムおよびゴルフカート制御プログラム
US11395969B2 (e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method
KR20220160035A (ko) 게임 프로그램, 게임 방법, 및 단말 장치
US11060884B2 (en) Terminal device, group communication system, and group communication method
KR101443331B1 (ko) 골프 게임 운영 시스템
JP2000325660A (ja) ゲーム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11612799B1 (en) Autonomous ball machines
WO2018079764A1 (ja) 携帯端末装置、ネットワークゲームシステム、競走ゲーム処理方法
US20230381585A1 (en) Automated generation of tennis statistics
KR20150022412A (ko) 스크린 골프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