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486A -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 Google Patents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486A
KR20110015486A KR1020090073052A KR20090073052A KR20110015486A KR 20110015486 A KR20110015486 A KR 20110015486A KR 1020090073052 A KR1020090073052 A KR 1020090073052A KR 20090073052 A KR20090073052 A KR 20090073052A KR 20110015486 A KR20110015486 A KR 20110015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nsor
unit
nois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9754B1 (ko
Inventor
박쌍영
Original Assignee
박쌍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쌍영 filed Critical 박쌍영
Priority to KR1020090073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754B1/ko
Publication of KR20110015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된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을 전송받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초과된 감지값이 전송된 경우, 외부로 소리 또는 빛 등의 신호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실로 신호를 전송하여 층간소음에 의한 이웃간의 다툼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의 내벽에 설치되어 전원 또는 통신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단자부와, 실내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어 실내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부와, 상기 전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신호를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며 외부로 소리, 빛 등의 신호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진동, 소음, 층간, 감지, 센서, 측정

Description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Socket with Vibration sensor}
본 발명은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의 바닥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을 제어부로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에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초과된 감지값이 전송된 경우, 표시부로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시켜 외부로 소리 또는 빛 등의 신호로 사용자에게 경각심을 일으킴과 동시에, 중앙처리실로 신호를 전송하여 층간소음에 의한 이웃 간의 다툼을 방지할 수 있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빌라, 아파트 등과 같이 여러 가구의 가족이 모여 사는 다가구 주택에서는 윗 층과 아래층 또는 옆 집들 간의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에 의해 많은 다툼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층간의 소음이나 옆집의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건물의 시공시에 고가의 내장재를 층간에 삽입하거나 시공이 완료된 건물에는 별도로 방음을 목적으로 하는 방음벽을 설치하여 상호 이웃 간의 분쟁 소지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있 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내장재나 방음벽 자체가 고가로 이루어져 건물의 시공비 또는 유지보수에 필요한 비용이 많이 들게 되고, 설치 후에도 실제 사용자들이 자신으로 인해 발생 되는 층간의 진동이나 소음이 어느 정도인지 인식할 수 있는 별도의 구성이 없으므로 고가의 시공비를 들여도 이웃들 간에 분쟁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진동이나 소음으로 인한 이웃 간의 분쟁이 있을 시에, 얼마만큼의 진동이나 소음으로 이웃에게 피해를 주었는지에 대한 증거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이웃들 간에 다툼이 끊이질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실내의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빛 등의 신호로 표시함과 동시에 중앙처리실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차후에 발생할 수 있는 이웃 간의 다툼에서 증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신이 주거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 등을 확인하도록 하여 이웃들에게 줄 수 있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외출하거나 휴가와 같이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되더라도 설치된 센서에 의해 방범효과도 얻을 수 있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되 전원 또는 통신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결합되되 건물 바닥면의 내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단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신호 값을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되 외부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신호 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보다 높은 진동신호 값이 입력되는 경우에 중앙처리실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진동 및 소음의 전기적인 신호를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에는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소음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진동감지센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값은 소음을 나타낸 측정값으로 58db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크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실내에 거주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의 크기를 알려주어 이웃간의 다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감지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실로 전송하여 저장함으로서, 필요할 때 증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외출 및 휴가와 같이 장시간 집을 비우게 될 때 바닥면과 벽면에 구비되는 센서부를 통하여 방범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1)는, 실내의 내벽(SW)에 설치되어 실내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 전원 또는 통신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단자부(10)와, 실내의 바닥면(BW)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21)가 구비된 센서부(20)와, 상기 단자부(10)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 받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되며, 외부로 소리, 빛 등의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신호를 방출하는 표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자부(10)는,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전원을 공급하는 형상으로 이루 어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으며, 통신을 위해 구비되는 전화선, 또는 TV 신호를 전송받는 안테나와 같이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자부(10)는, 전면이 개방되고, 내측으로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전면을 덮는 덮개(11)가 구비되어 후술하는 표시부(40)가 상기 덮개(11)에 고정 결합 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후술하는 제어부(30)가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부(10)에 형성되는 수용공간 및 덮개는 일반적인 형태의 전원부의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20)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감지센서(21)가 구비되되, 상기 진동감지센서(21)는 실내의 바닥면(BW)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며, 각각의 진동감지센서(21)는 제어부(30)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실내의 어디에서 발생한 진동인지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진동감지센서(21)의 위치를 상기 제어부(30)에 미리 입력하여 진동이 감지된 곳을 후술하는 표시부(40)를 통해 방출하여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진동감지센서(21)는, 건축시 실내를 콘크리트 타설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미리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단자부(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전송 받은 후 미리 입력된 기준값과 비교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기준값이란 2003년 부터 시행된 거주지의 바닥 충격음 용인 한계를 규정한 법의 기준에 따른 58db 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센서부(20)에서 감지한 데이터를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에 비해 초과된 데이터가 입력될 때는 후술하는 표시부(40)를 통하여 소리 또는 빛을 방출하여 실내 사용자에게 경고하고, 동시에 중앙처리실(100)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측정된 값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내부에 리얼타임클락(RTC) 회로를 구비하여 감지된 데이터를 시간별로 정리하여 중앙처리실(100)로 전송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30)에는 센서부(2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중앙처리실(1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전송부(3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부(30)에서 발생한 신호를 중앙처리실(1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부(40)는, 상기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되며, 외부로 소리 또는 빛을 방출할 수 있도록 스피커(41) 또는 램프(42)가 구비되어, 실내에서 발생한 진동이 기준값 이상일 때 실내의 사용자에게 소리 또는 빛을 방출하여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실내에서 발생한 진동이 이웃에게 불편함을 주는 것을 알게 되어 자신의 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표시부(40)에는 실내에서 발생한 진동의 수치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3)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실내에서 발생한 진동의 수치를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 뿐만 아니라 소리를 감지할 수 있도록 실내의 내벽(SW)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하여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소음감지센서(22)가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소음감지센서(22)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을 감지한 후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하는 것으로, 각각의 소음감지센서(22)가 개별적으로 제어부(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진동감지센서(2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진동감지센서(21)는 생활 중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이를 변환하는 것이며, 소음감지센서(22)는 사용자의 대화, TV 시청, 음악 감상 등과 같이 실생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음을 감지하여 허용된 기준값 이상일 때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소음감지센서(22)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단자부(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나아가, 도 4에서는, 상기 제어부(30)에 감지부(32)를 더 구비하여 센서부(20)를 형성하는 진동감지센서(21)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즉, 상기 진동감지센서(21)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감지된 측정값을 제어부(30)로 전송해야 하는데, 진동감지센서(21)가 고장이 발생하여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없게 될 때 이를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수리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지부(32)는, 제어부(30)와 진동감지센서(21)를 연결하는 케이블(C)의 단선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30)로 각각의 진동감지센서(21)의 상태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단자부(10)에, 실내에 사람이 없는 시간을 외부에서 입력할 수 있는 컨트롤러(12)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30)에는 비상시 관공서(200) 및 미리 입력된 비상번호(300)로 침입자의 발생을 전송하는 외부송신부(33)를 구비한 상태의 개략도이다.
다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출 또는 휴가와 같이 장시간 거주지를 이탈하는 경우에 진동감지센서(21) 및 소음감지센서(22)를 이용하여 실내에 침입자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컨트롤러(12)를 이용하여 제어부(30)에 현재 실내에 사용자가 없음을 인지시키면, 상기 제어부(30)에서는 센서부(20)에서 감지된 데이터와 비교하는 기준값을 58db 보다 낮게 설정한 후 상기 센서부(20)에서 감지된 데이터가 새롭게 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비상신호를 경찰서, 소방서와 같은 관공서 및 중앙처리실, 보안회사 또는 사용자의 핸드폰 등 미리 입력된 비상번호(300)로 전송하여 실내의 침입자의 발생을 알리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장시간 집을 비울 때에 상기 센서부(20)를 통해 침입자의 존재를 알 수 있으며, 동시에 관공서 및 보안회사 등에 동시에 신호를 전송하여 침 입자를 검거할 수 있도록 하여 방범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이때 상기 표시부(40)는 동작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를 구비한 콘센트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콘센트 BW : 바닥면 SW : 내벽
10 : 전원부 11 : 덮개 12 : 컨트롤러
20 : 센서부 21 : 진동감지센서 22 : 소음감지센서
30 : 제어부 31 : 전송부 32 : 감지부
33 : 외부송신부
40 : 표시부 41 : 스피커 42 : 램프
43 : 디스플레이
100 : 중앙처리실 200 : 관공서 300 : 비상번호

Claims (6)

  1.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되 전원 또는 통신케이블 등이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와 결합되되 건물 바닥면의 내측에 설치되어 진동을 감지하는 복수개의 진동감지센서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상기 단자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신호 값을 전송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되 외부로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진동신호 값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 보다 높은 진동신호 값이 입력되는 경우에 중앙처리실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상기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진동 및 소음의 전기적인 신호를 숫자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에는 실내에서 발생한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소음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바닥면에 설치된 진동감지센서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은 소음을 나타낸 측정값으로 58db을 기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KR1020090073052A 2009-08-08 2009-08-08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KR10106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052A KR101069754B1 (ko) 2009-08-08 2009-08-08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052A KR101069754B1 (ko) 2009-08-08 2009-08-08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486A true KR20110015486A (ko) 2011-02-16
KR101069754B1 KR101069754B1 (ko) 2011-10-10

Family

ID=43774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052A KR101069754B1 (ko) 2009-08-08 2009-08-08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7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KR101475261B1 (ko) * 2013-06-11 2014-12-22 주식회사 옵티메드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603B1 (ko) 2013-08-26 2013-12-27 주식회사 엘앤에스씨 층간진동감지소음분석장치를 이용한 층간소음정보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호별 층간소음 업데이트정보 생성방법
KR101716445B1 (ko) * 2015-11-20 2017-03-15 (주)화봉전기 층간소음 실시간 관리 및 저감유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3358B1 (ko) * 1999-06-24 2001-11-07 김용섭 다층주택 생활환경 경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61B1 (ko) * 2013-05-08 2013-07-22 동하정보기술 주식회사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KR101475261B1 (ko) * 2013-06-11 2014-12-22 주식회사 옵티메드 층간소음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9754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6248B2 (ja) 警報器
KR101630308B1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 알림 장치
KR101289061B1 (ko) 층간소음 발생근원지 판별 기능이 구비된 전등 스위치 및 층간소음 판별 시스템
WO2018035339A1 (en) Electrical wall outlet fire detection system
JP2010033518A (ja) 警報器
KR101795765B1 (ko) 층간 소음 및 실내 소음의 자가 인지 모니터링시스템
KR100974632B1 (ko) 지그비 방식을 이용한 무선 방범 네트워크 시스템
US20180182218A1 (en) Fire detection system
KR101069754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JP5350705B2 (ja) コントローラ装置
JP2007233734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432483Y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단독형 화재감지기
JP2013113746A (ja) 騒音監視装置
KR20090041002A (ko) 보안기능을 구비한 가전제품
KR100643790B1 (ko) 첨단아파트 화재경보시스템 및 운영방법
JP4602817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9237873A (ja) 警報器システム
JP2007233733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2012027881A (ja) Plc自動危険通報システム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100813162B1 (ko) 공동 주택의 개별 세대 보안 시스템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JP4789528B2 (ja) 共同住宅用火災報知システム
JP2010020663A (ja) 警報器
JP2007233736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