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228A -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228A
KR20110015228A KR1020090072839A KR20090072839A KR20110015228A KR 20110015228 A KR20110015228 A KR 20110015228A KR 1020090072839 A KR1020090072839 A KR 1020090072839A KR 20090072839 A KR20090072839 A KR 20090072839A KR 20110015228 A KR20110015228 A KR 20110015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pecific
user
specific object
lin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인스아이앤에스
Priority to KR102009007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228A/ko
Publication of KR20110015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2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특정 객체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제2컨텐츠를 상기 제2생성 주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제2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특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과 이동통신망의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웹, IPTV, 이동통신, DMB 등의 이른바 다매체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사용자는 데스크탑 PC나 노트북을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에 접속하거나, PDA나 모바일폰을 이용하여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DMB 또는 모바일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접속하거나, TV를 이용하여 인터넷 방송(IPTV)을 시청하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컨텐츠를 접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제공된 컨텐츠를 홍보하는 방법이 다양화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상품 정보 제공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여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하게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게 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 정보를 통해 특정 공간으로 링크를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제공된 특정 객체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제2컨텐츠를 상기 제2생성 주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제2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는 제작부; 제공된 특정 객체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제2컨텐츠를 상기 제2생성 주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출력된 제2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특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제작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출력부, 및 상기 링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여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의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게 하고, 생성된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 정보를 통해 특정 공간으로 링크를 유도하게 함으로써, 바이럴 마켓팅(Viral Marketing)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매체를 통해 접속 가능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되어 특정 매체(100)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150)라 함은 매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망을 말하는 것으로, 인터넷 망, 무선 통신망, 방송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매체(100)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접속되는 다양한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 TV(Television),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데스크 탑 P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매체(100)는 사용주체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광고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복수개의 매체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다 매체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이라 함은 컨텐츠 디스플레이, 컨텐츠 전송, 컨텐츠 확인을 위한 링크 정보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매체로는 TV, IPTV, 이동통신(모바일), 인터넷 웹(Web), DMB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V는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영상과 음성 정보를 표시하는 매체를 말한다. TV는 아날로그(analog) 신호를 사용하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는 디지털 TV를 포함할 수 있다.
IPTV는 초고속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방송채널, VOD(Video On Demand),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 등을 하나의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PTV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CP(Contents Provider), PP(Program Provider) 등으로부터 컨텐츠의 수집 및 가공과 IPTV망으로의 원활한 전송을 위하여 압축하는 컨텐츠 포맷 결정, 컨텐츠를 보유한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불법 유통을 방지하기 위한 컨텐츠 보호기술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IPTV는 단순한 인터넷 TV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가 아닌 단순한 리모컨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의 2세대 이동통신, WCDMA(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2000,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등의 3세대 이동통신 및 Wibro,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차세대 이동통신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휴대를 전제로 하는 모바일폰(Mobile Phone)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인터넷 웹(Internet Web)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xml(extended markup language),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 업 언어로 제작된 문서를 전송하는 매체를 가리킨다.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는 지상파 DMB 및 위성 DMB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휴대 가능한 DMB 단말기의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에 적합하도록 설계 된 전용 컨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매체를 가리킨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매체에 대응하는 컨텐츠라 함은 해당 매체를 통해 재생이 용이하도록 최적화된 컨텐츠를 가리킨다. 구체적인 예로, 인터넷 웹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html, xml 등의 마크 업 언어나 java script, 등의 스크립트 언어, active x, ocx 등의 애드인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지며, TCP/IP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가리킨다. 이동통신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인터넷 웹의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이용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으로서 WAP을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가리킨다. IPTV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MPEG-2, MPEG-4, WMV-9, H.264 등으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가리킨다. DMB에 대응하는 컨텐츠는 MPEG-2 또는 MPEG-4로 인코딩된 멀티미디어 파일로서 IPTV보다는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도록 인코딩된 파일을 가리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수신부(310), 제작부(311), 데이터 베이스(312), 출력부(313), 링크부(314), 전송부(315), 보상 처리부(316), 분석부(317), 및 제어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실시 태양에 따라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도 있다.
수신부(310)는 다양한 신호, 또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310)는 특정 매체의 접속 신호를 수신하거나 광고주 또는 사용자로부터 브랜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접속 신호는 제어부(318)로 전달되어 분 석될 수 있다. 제어부(318)는 상기 접속 신호를 분석하여, 접속된 매체의 종류, 접속 매체의 위치 정보, 또는 접속 매체의 사용자 정보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318)는 상기 분석된 정보를 토대로 특정 매체의 접속 허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이 허락된 경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접속 매체(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310)는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수신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을 통한 접속신호 제1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인터넷 웹을 통한 접속신호는 제2수신 통로로 수신되고, TV를 통한 접속신호는 제3수신 통로로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10)는 상기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는 수신 통로를 통해 접속 매체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제작부(311)는 특정 소스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소스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소스는 컨텐츠를 이루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에 대한 기사가 이미지와 텍스트로 구성된 경우, 이미지 및 텍스트 모두 하나의 객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가 제1이미지 영역과 제2이미지 영역으로 세분화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1이미지 영역 및 제2이미지 영역도 각각의 객체가 될 수 있다.
제작부(311)는 제1매체에 대응되게 제작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제2매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부(311)는 PC용(인터넷 용)으로 제작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 적합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312)는 각종 정보가 저장되는 공간이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 컨텐츠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될 수 있다. 브랜드 컨텐츠라 함은 특정 브랜드와 관련된 컨텐츠를 말하는 것으로, 브랜드 네임(name)과 관련된 컨텐츠 및 상기 브랜드 네임을 갖는 상품과 관련된 컨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브랜드 컨텐츠는 특정 브랜드에 관련된 기사, 동영상, 이미지, 제품의 상세 정보, 제품에 관한 기사, 제품 이미지, 및 제품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되는 브랜드 컨텐츠는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컨텐츠가 제공되는 매체별로 구분되어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될 수 있다. TV용 컨텐츠, 모바일용 컨텐츠, IPTV용 컨텐츠, 인터넷 웹용 컨텐츠 등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매체별로 컨텐츠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하는 이유는 매체에 따라 재생되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 컨텐츠가 생성주체에 따라 구분되어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주체로 브랜드의 광고주,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자, 브랜드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 등이 있다. 상기 광고주는 특정 브랜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주체를 말하고, 상기 운영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운영하는 운영주체를 말하고, 상기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브랜드 컨텐츠를 제공받는 주체를 말한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12)에는 브랜드 컨텐츠 외에 사용자 행동 패턴에 대한 정보 또는 브랜드 컨텐츠에 반응 정보 등도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행동패턴에 대한 정보는 컨텐츠 이용 정보, 컨텐츠 생성정보, 컨텐츠 광고 정보, 특정 컨텐츠와 관련된 제품 구매 이력, 브랜드 검색 히스토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컨텐츠에 반응 정보는 컨텐츠의 조회수, 스크랩 회수, 댓글 수 및 편집회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313)는 각종 정보가 포함된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입력된 검색어에 매칭된 검색결과를 나타내는 화면, 브랜드 컨텐츠 탐색을 위한 매장 화면, 특정 브랜드 컨텐츠 재생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링크부(314)는 특정 링크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공간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링크 정보 함은 특정 공간으로 연결하기 위한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가 링크 정보의 일례가 될 수 있다. 링크 정보에 의해 연결되는 특정 공간은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내에 존재할 수도 있고,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전송부(315)는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된 브랜드 컨텐츠 또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된 브랜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링크 정보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한다. 외부 공간이라 함은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이외의 외부 공간을 말한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공간은 사용자 단말기, 광고주 단말기, 특정 웹 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송부(315)는, 제어부(318)의 제어를 통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에 접속된 매체를 고려하여 특정 데이터(예를 들어, 브랜드 컨텐츠 또는 링크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부(315)는 모바일 단말기에 모바일용 컨텐츠를, TV에는 TV용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송부(312)는 접속되는 매체에 대응되게 전송 통로를 구비할 수도 있다(미도시). 예를 들어, 모바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1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되고, 인터넷 웹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2전송 통로로 전송되고, TV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제3전송 통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보상 처리부(316)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등록하거나, 특정 사용자가 특정 브랜드 컨텐츠에 대한 홍보(댓글 작성, 추천 등)를 수행한 경우, 상기 특정 사용자에 대한 보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상 처리는 특정 상품에 대한 할인 쿠폰의 제공 또는 특정 상품을 구입할 수 있는 사이버 머니(money)의 제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17)는 사용자의 행동 이력을 분석하여 사용자 행동 패턴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분석부(317)는 인터넷 URL, IPTV 운영 시스템 및 이동통신 CP 시스템으로부터 피드백된 행동패턴정보를 분석하거나,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에 저장된 브랜드 컨텐츠의 이용회수 등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행동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317)는 컨텐츠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여 컨텐츠 반응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으로부터 제공되는 특정 컨텐츠의 스크랩 수, 댓글 수, 상기 특정 컨텐츠의 편집횟수 등이 반응 정보가 될 수 있다.
제어부(318)는 수신부(310), 제작부(311), 데이터 베이스(312), 출력부(313), 링크부(314), 전송부(315), 보상 처리부(316), 분석부(317)에서 수행하는 전반적인 기능을 유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작부(311)는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인터렉션(Interaction)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인터렉션 기능이라 함은 특정 객체와 특정 기능 연계되어 있어, 상기 특정 객체를 통해 상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작부(311)는 상기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S301). 상기 제1컨텐츠는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생성 주체는 운영자, 광고주,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운영자를 제1생성 주체의 예로, 특정 상품 이미지를 특정 객체의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링크 정보는 특정 화면으로 연결시키는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링크 정보는 제1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시키는 정보, 특정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시키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텐츠는 운영자가 생성한 컨텐츠를 말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운영자가 생성한 컨텐츠가 복수 개 존재할 경우, 상기 복수 개 컨텐츠 각각이 상기 제1컨텐츠가 될 수 있다.
제작부(311)는 특정 상품 이미지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할 수 있다(S302). 상기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상품 이미지(이하, 편의상 '특정 상품 이미지'라 한다)는 상기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상품 이미지로,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상품 이미지가 복수 개라면, 상기 복수 개 상품 이미지 각각이 상기 특정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생성 주체는 운영자, 광고주,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를 상기 제2생성 주체의 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공되는 특정 상품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품 이미지일 수도 있고,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된 상품 이미지일 수도 있다.
제작부(311)는 상기 제공된 특정 상품 이미지의 조합하여 제2컨텐츠(이하, '사용자 컨텐츠'라 함)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작부(311)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공된 템플릿을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다(S303). 그리고 제어부(318)는 생성된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와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할 수 있다(S304).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S302 단계 내지 S304단계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는 제공된 특정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객체 단위 편집을 손쉽게 하기 위해 제작부(311)는 템플 릿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템플릿은 컨텐츠 제작 창(4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템플릿 제공을 위한 메뉴(401)를 선택하면, 제작부(311)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메뉴(401)를 통해 제공되는 템플릿 중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번 타입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선택한 경우, 컨텐츠 제작 화면(407)에는 2번 타입 템플릿에 대응되는 포맷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포맷에 대응되게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템플릿을 이용할 경우, 간단한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드래그 입력, 터치 입력, 클릭 등)을 통해 특정 이미지가 손쉽게 수집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상품 이미지는 데이터 베이스(312)에서 추출된 상품 이미지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기 저장한 상품 이미지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 저장한 상품 이미지 확인을 위한 메뉴(403)를 선택하여, 기 저장된 특정 상품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구성요소 상기 특정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고,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텍스트는 상기 사용자가 직접 작성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18)는, 사용자에 "등록" 메뉴(405)가 선택된 경우,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와 연계하여 데이터 베이스(312)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외부 공간 전송의 허락 여부를 판단하여, 전송이 허락된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S305, S306).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상기 사 용자의 개인 블로그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하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상기 사용자 컨텐츠는 외부 공간(사용자 컨텐츠가 외부 공간으로 전송된 경우)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 내의 특정 영역(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 제공 영역)에서 출력될 수 있다(S307). 상기 출력된 사용자 컨텐츠는 접속된 특정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특정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일 수도 있고, 상기 사용자 컨텐츠 제작와 다른 타 사용자일수도 있다.
도 5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화면의 일영역(501)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 제작자 아이디)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작된 사용자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503)가 화면의 소정 영역에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사용자는 화면의 하단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컨텐츠 아이템 영역(505)에서 원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 재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일영역(507)에는 상기 재생된 사용자 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링크 정보를 통해 링크된 횟수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재생되는 사용자 컨텐츠 중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상품 이미지가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링크부(314)는 상기 링크 정보를 근거로 특정화면으로 링크시킨다(S308, S309).
도 6은 특정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링크 정보에 따라 특정 화면으로 링크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링크 정보가 제1컨텐츠(운영자에 의해 생성된 컨텐츠로, 특정 상품 이미지를 소스로 제공한 컨텐츠를 말한다)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하는 정보인 경우, 링크된 화면을 나타낸다. 도시된 화면은 상기 특정 상품 이미지(도면상, 상품 X)의 브랜드 명이 표시된 영역(601), 상기 제1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팝업 창(603), 상기 제1컨텐츠 외에 다른 운영자 컨텐츠 선택을 위한 영역(60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링크 정보가 특정 상품(도시된 화면에서는 상품 X)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인, 링크된 화면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시된 화면은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의 화면일 수 있다. 도시된 화면에는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간략 정보(가격, 원산지, 오프라인 판매처 등)와 상기 특정 상품 구매를 위한 팝업 창(607)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팝업 창(607)을 통해 상기 특정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상 처리부(316)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의 구성 요소인 특정 상품 이미지를 통해 특정 화면(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화면)이 링크된 회수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한 제작자에게 보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보상 처리부(316) 상기 제작자 이메일 또는 상기 제작자의 모바일 단말기 등으로 상기 특정 상품(예를 들어, 도 5 또는 도 6의 상품 X) 구입을 위한 쿠폰 또는 상기 특정 상품 구매 시, 할인을 위한 쿠폰 정 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보상 정도는 상기 링크 회수에 근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공간으로의 전송이 허락된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의 심사를 수행하여, 일정 퀄러티(quality) 이상의 사용자 컨텐츠만이 외부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퀄러티가 우수한 컨텐츠만을 선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화면의 일영역(701)에는 상기 사용자 컨텐츠를 제작한 사용자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컨텐츠 제작자 아이디)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작된 사용자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703)가 화면의 소정 영역에서 재생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사용자는 화면의 하단 영역에 존재하는 사용자 컨텐츠 아이템 영역(705)에서 원하는 사용자 컨텐츠를 선택하여, 선택된 사용자 컨텐츠 재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면의 일영역(707)에는 상기 재생된 사용자 컨텐츠의 외부 공간 전송 허부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공간으로 전송이 허락된 사용자 컨텐츠는 전송부(315)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공간 특정 사용자의 블로그, 특정 사용자의 이메일, 특정 사용자 단말기 등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 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시스템(300)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제공된 특정 상품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컨텐츠를 생성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특정 사용자 단말기에 사용자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특정 상품 이미지에 삽입된 링크 정보에 따라 특정 화면으로 링크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4)

  1.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특정 객체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제2컨텐츠를 상기 제2생성 주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제2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특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성 주체는
    운영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생성 주체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제1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되는 정보 및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된 특정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 중 적어 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공된 특정 객체를 조합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템플릿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링크 정보에 의해 수행된 링크 횟수에 기초하여 제2생성 주체에게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제2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객체는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1생성 주체에 의해 생성된 제1컨텐츠를 구성하는 특정 객체에 링크 정보를 삽입하고, 상기 링크 정보가 삽입된 특정 객체를 제2생성 주체에게 제공하는 제작부;
    상기 제공된 특정 객체의 조합을 통해 제2컨텐츠가 생성된 경우, 상기 생성된 제2컨텐츠를 상기 제2생성 주체와 연계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제2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을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된 제2컨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특정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상기 특정 객체에 삽입된 링크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화면으로 링크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제작부, 상기 데이터 베이스, 상기 출력부, 및 상기 링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성 주체는
    운영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생성 주체는
    사용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제1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는 화면으로 연결되는 정보 및 상기 특정 객체와 관련된 특정 브랜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공간으로 연결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부는
    상기 제공된 특정 객체를 조합하여 상기 제2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도록 템플 릿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링크 정보에 의해 수행된 링크 횟수에 기초하여 제2생성 주체에게 보상 처리를 수행하는 보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2컨텐츠를 외부 공간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객체는
    특정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090072839A 2009-08-07 2009-08-07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201100152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839A KR20110015228A (ko) 2009-08-07 2009-08-07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839A KR20110015228A (ko) 2009-08-07 2009-08-07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228A true KR20110015228A (ko) 2011-02-15

Family

ID=4377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839A KR20110015228A (ko) 2009-08-07 2009-08-07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2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41B1 (ko) * 2013-04-02 2015-01-28 주식회사 시맨틱 네트워크 기반의 객체 제공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5841B1 (ko) * 2013-04-02 2015-01-28 주식회사 시맨틱 네트워크 기반의 객체 제공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01B1 (ko) 디지털 콘텐츠 내용 맞춤형 키워드 광고를 위한 상업적 태그 집합 생성 방법
CN102656898B (zh) 在线社交网络上的自动媒体资产更新
CN102696233B (zh) 多功能多媒体装置
US20150378587A1 (en) Various Systems and Methods for Expressing An opinion
CN105872839A (zh) 视频分享实现方法以及系统
JP2011014117A (ja) 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及びコンテンツの提供システム
JP6603738B2 (ja) 二次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11018306A (ja) コンテンツの処理方法及びコンテンツの提供システム
KR20140016426A (ko) 콘텐츠 배달 시스템에서 이미지 매칭을 통하여 거래들을 촉진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01316147B (zh) 将多媒体内容在终端上进行呈现的装置和方法
US20030093796A1 (en) Viewing promoting system and viewing promot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20200087016A (ko) Lbs 및 채팅 에이전트 기반 주문전화번호를 이용한 주문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JP6059493B2 (ja) 情報生成システム、情報生成方法、および、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20080114800A (ko) 광고 시스템, 광고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0827405B1 (ko) 실시간 방송참여를 위한 폰페이지 및 홈페이지간 연동시스템 및 방법
KR20040098630A (ko) 콘텐츠 전송 장치 및 콘텐츠 작성 방법
KR20110015228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컨텐츠 제공 시스템
CN101682726A (zh) 数字多媒体广播应用格式生成方法及其设备
JP2006060426A (ja) コンテンツ再生と連動したネットワーク情報の提供方法
JP2007266831A (ja) 情報処理装置、広告放送依頼方法、プログラム
KR20110011236A (ko)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
WO2021238187A1 (zh) 信息联动系统及服务器
JP2005333406A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KR20120066543A (ko) 전자 상거래 방법
Mair Big numbers and small screen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the mobile web for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