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868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868A
KR20110014868A KR1020090072442A KR20090072442A KR20110014868A KR 20110014868 A KR20110014868 A KR 20110014868A KR 1020090072442 A KR1020090072442 A KR 1020090072442A KR 20090072442 A KR20090072442 A KR 20090072442A KR 20110014868 A KR20110014868 A KR 20110014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lectrode
display device
organic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9748B1 (ko
Inventor
박진호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7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수송층 사이에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이 혼합된 버퍼층을 구비하여 구동전압을 낮추고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는 멀티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평면형 디스플레이가 실용화되고 있다.
특히,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1ms 이하로서 고속의 응답속도를 가지며, 소비 전력이 낮고 자체 발광이다. 또한, 시야각에 문제가 없어서 장치의 크기에 상관없이 동화상 표시 매체로서 장점이 있다. 또한, 저온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의 반도체 공정 기술을 바탕으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므로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발광층(Emitting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이 개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구동전압 및 발광효율은 상승될 수 있으나,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이 혼합된 버퍼층을 구비하여, 구동전압, 발광효율 및 수명 특성이 우수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수송층 사이에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정공주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끌게물질은 시안화기(-CN), 하이드록시기(-OH) 및 할라이드기(-I, -Br,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끌게물질은 HAT(CN)6, CuPc, F4-TCNQ, PTCDA, 2,4,7-trinitrofluorenone, 1,4-dicyanobenzene, 9,10-dicyanoanthracene, 1,2,4,5-tetracyanobenzene 및 tetrafluoro-1,4-benzoqui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저지물질은 rubrene, NPB, TBP, TAPC, TCTA 및 2-TM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끌게물질과 상기 정공저지물질의 혼합 비율은 1:1 내지 10:1일 수 있다.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1 내지 50nm일 수 있다.
상기 정공저지물질의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정공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이 혼합된 버퍼층을 구비함으로써, 구동전압, 발광효율 및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조 또는 패시브 매트릭스 구조일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액 티브 매트릭스 구조로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기판(100) 상에 버퍼층(105)이 위치한다. 버퍼층(105)은 기판(100)에서 유출되는 알칼리 이온 등과 같은 불순물로부터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것으로, 실리콘 산화물(SiO2), 실리콘 질화물(SiNx)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층(105) 상에 반도체층(110)이 위치한다. 반도체층(110)은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한 다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110) 상에 반도체층(110)을 덮는 게이트 절연막(115)이 위치한다. 게이트 절연막(115)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15) 상에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20)이 위치한다. 게이트 전극(12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다. 게이트 전극(120) 상에 게이트 전극(120)을 덮는 층간 절연막(125)이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125)은 게이트 절연막(115)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또는 이들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층간 절연막(125) 상에 소오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이 위치한다. 여기서, 소오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게이트 절연막(115) 및 층 간 절연막(125)을 관통하는 콘택홀(130a, 130b)을 통해 반도체층(1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소오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크롬(Cr), 금(Au), 티타늄(Ti), 니켈(Ni) 또는 구리(Cu)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도체층 상부에 게이트 전극이 위치하는 탑(Top)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개시하였지만, 이와는 달리 게이트 전극이 반도체층 하부에 위치하는 바텀(Bottom) 게이트형 박막 트랜지스터(TFT)일 수도 있다.
소오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 상에 패시베이션막(140)이 위치한다. 패시베이션막(140)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또는 이들의 다중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패시베이션막(140) 상에 양극인 제 1 전극(150)이 위치한다. 제 1 전극(15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도전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전면발광일 경우에는 제 1 전극(150)에 알루미늄(Al), 은(Ag), 금(Au), 마그네슘(Mg), 칼슘(Ca)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150) 상에 인접하는 제 1 전극들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뱅크층(155)이 위치한다. 뱅크층(155)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벤조사이클로부틴계 수지(benzocyclobutene series resin), 아크릴레이트(acrylate) 등의 유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뱅크층(155)에는 제 1 전극(15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57)가 위 치할 수 있다.
그리고, 뱅크층(155)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160)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막층(160)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막층(160) 상에 음극인 제 2 전극(170)이 위치한다. 제 2 전극(170)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들로 은(Ag), 마그네슘(Mg), 칼슘(C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면발광일 때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을 정도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면발광일 때에는 빛을 제 1 전극(150)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유기막층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200)는 양극(210), 버퍼층(220), 정공수송층(230), 발광층(240), 전자수송층(250), 전자주입층(260) 및 음극(27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양극(2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함수가 높은 ITO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정공수송층(230)은 정공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NPD(N,N-dinaphthyl-N,N'-diphenyl benzidine), TPD(N,N'-bis-(3-methylphenyl)-N,N'-bis- (phenyl)-benzidine), s-TAD 및 MTDATA(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24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으로 나뉠수 있다. 발광층(240)이 적색인 경우에는,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240)이 녹색인 경우에는,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층(240)이 청색인 경우에는,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4,6-F2ppy)2Irpic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이와는 달리, spiro-DPVBi, spiro-6P, 디스틸벤젠(DSB), 디스트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수송층(250)은 전자의 수송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 PBD, TAZ, spiro-PBD, BAlq 및 SAlq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주입층(260)은 전자의 주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LiF, Li, Ba 및 BaF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극(270)은 일함수가 낮은 금속들로 은(Ag), 마그네슘(Mg), 칼슘(Ca)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 1 전극인 양극(210)과 정공수송층(230) 사이에 버퍼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220)은 양극(210)이 발광층(240)에 공급하는 정공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공의 이동속도와 전자의 이동속도의 차이로 인해, 전하 이동 밸런스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전압 및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를 보상하기 위해 버퍼층(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220)은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끌게물 질은 시안화기(-CN), 하이드록시기(-OH) 및 할라이드기(-I, -Br,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들로 HAT(CN)6, CuPc, F4-TCNQ, PTCDA, 2,4,7-trinitrofluorenone, 1,4-dicyanobenzene, 9,10-dicyanoanthracene, 1,2,4,5-tetracyanobenzene 및 tetrafluoro-1,4-benzoqui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정공저지물질은 rubrene, NPB, TBP, TAPC, TCTA 및 2-TMATA로 이루어진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rubrene일 수 있다.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은 1:1 내지 10:1의 혼합비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정공저지물질의 비율이 전자끌게물질보다 작으면, 양극에서 주입되는 정공의 이동속도가 저하되어 구동전압이 증가되고 발광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끌게물질이 정공저지물질에 대해 10:1의 비율 이하이면, 정공저지물질의 비율이 작아져 그만큼 정공의 이동속도가 늘어나게 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자세하게, 도 3의 에너지 밴드구조를 참조하여 구동원리를 설명하면, 양극(ITO)로부터 주입되는 정공은 발광층(EML)을 향해 이동하고, 음극(Al)으로부터 주입되는 전자도 발광층(EML)을 향해 이동하면, 발광층(EML)에서 정공과 전자가 엑시톤을 형성하여 발광하게 된다.
여기서, 전자끌게물질은 에너지 준위가 매우 높아 정공주입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동전압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키지만 반면 그 수명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버퍼층에 정공저지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버퍼층의 정공저지물질의 에너지 준위는 정공수송층(HTL)의 에너지 준위보다 낮기 때문에, 양극(ITO)에서 주입된 정공이 버퍼층이라는 에너지 준위 차이 즉, 장벽으로 인해 이동속도가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유기막층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이 혼합된 버퍼층을 구비함으로써, 전자끌게물질로 인해 구동전압 및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면서 정공저지물질로 인해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300)는 양극(310), 정공주입층(320), 버퍼층(330), 정공수송층(340), 발광층(350), 전자수송층(360), 전자주입층(370) 및 음극(380)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본 실시 예에서는 양극(310)과 버퍼층(330) 사이에 정공주입층(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공주입층(320)은 전술하였듯이, 양극(310)으로부터 정공의 주입을 원할하 게 돕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정공주입층(320)을 더 포함하여, 양극(310)에서 버퍼층(330)으로의 에너지 준위 장벽을 낮춰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동전압 및 발광효율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유리기판 상에 제 1 전극으로 ITO를 320Å의 두께로 적층하고, 정공주입층으로 CuPc를 50Å의 두께로 적층하고, 정공수송층으로 NPD를 700Å의 두께로 적층하고, 청색 발광층으로 호스트 CBP에 도펀트 spiro-DPVBi를 혼합하여 300Å의 두께로 적층하고, 전자수송층으로 Alq3를 2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전자주입층으로 LiF를 1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제 2 전극으로 Al을 1000Å의 두께로 형성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1>
전술한 비교예와 동일한 조건 하에, 정공주입층 대신에 HAT(CN)6과 rubrene을 4:1의 비율로 공증착하여 버퍼층을 형성한 것만을 달리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2>
전술한 비교예와 동일한 조건 하에, 정공주입층 대신에 HAT(CN)6과 rubrene을 3.3:1의 비율로 공증착하여 버퍼층을 형성한 것만을 달리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전술한 비교예와 동일한 조건 하에, 정공주입층과 정공수송층 사이에 HAT(CN)6과 rubrene을 10:1의 비율로 공증착하여 버퍼층을 형성한 것만을 달리하여 소자를 제작하였다.
전술한 비교예,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작된 소자의 구동전압, 휘도, 효율, 색좌표, 외부광자효율 및 수명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비교예와 실시예 1-3에 따라 제작된 소자의 수명 그래프를 도 5에 나타내었다.

구동전압
(V)
휘도
(cd/A)
효율
(lm/W)
색좌표 외부광자효율
(EQE %)
수명(hr) (휘도 50%에 도달하는데까지 걸리는 시간)
CIE_x CIE_y
비교예 3.5 4.3 3.9 0.149 0.061 7.8 90
실시예1 3.5 4.6 4.2 0.149 0.061 8.3 120
실시예2 3.5 4.7 4.3 0.149 0.060 8.5 200
실시예3 3.5 4.7 4.3 0.149 0.063 8.7 230
상기 표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작된 소자는 비교예와 거의 동등한 구동전압과 색좌표를 나타내면서, 휘도, 효율 및 수명 특성이 보다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이 혼합된 버퍼층을 구비함으로써, 구동전압, 발광효율 및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에너지 밴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나타낸 도면.
도 5는 비교예와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작된 소자의 수명을 나타낸 그래프.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정공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정공수송층 사이에 전자끌게물질과 정공저지물질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정공주입층을 더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끌게물질은 시안화기(-CN), 하이드록시기(-OH) 및 할라이드기(-I, -Br, -F)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끌게물질은 HAT(CN)6, CuPc, F4-TCNQ, PTCDA, 2,4,7-trinitrofluorenone, 1,4-dicyanobenzene, 9,10-dicyanoanthracene, 1,2,4,5-tetracyanobenzene 및 tetrafluoro-1,4-benzoquino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저지물질은 rubrene, NPB, TBP, TAPC, TCTA 및 2-TMA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끌게물질과 상기 정공저지물질의 혼합 비율은 1:1 내지 10:1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1 내지 50nm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저지물질의 에너지 준위는 상기 정공수송층의 에너지 준위보다 작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투명전극 또는 반사전극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90072442A 2009-08-06 2009-08-0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9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42A KR101589748B1 (ko) 2009-08-06 2009-08-0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42A KR101589748B1 (ko) 2009-08-06 2009-08-0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68A true KR20110014868A (ko) 2011-02-14
KR101589748B1 KR101589748B1 (ko) 2016-01-28

Family

ID=43773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42A KR101589748B1 (ko) 2009-08-06 2009-08-06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7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332A (ko) * 2005-04-12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7088033A (ja) * 2005-09-20 2007-04-05 Fujifilm Corp 有機光電変換素子、および撮像素子
KR20090031145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90035896A (ko) * 2007-10-08 2009-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8332A (ko) * 2005-04-12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7088033A (ja) * 2005-09-20 2007-04-05 Fujifilm Corp 有機光電変換素子、および撮像素子
KR20090031145A (ko) * 2007-09-21 2009-03-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90035896A (ko) * 2007-10-08 2009-04-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9748B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682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645366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75867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20170049702A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85918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TW201535689A (zh) 有機發光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KR20100073417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0007264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60069554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993805A (zh) 有机电致发光装置
KR20120045475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78933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1002748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694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39824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9696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00200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56715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6009078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9464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0098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9748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39838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1576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974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