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896A -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896A
KR20090035896A KR1020070100926A KR20070100926A KR20090035896A KR 20090035896 A KR20090035896 A KR 20090035896A KR 1020070100926 A KR1020070100926 A KR 1020070100926A KR 20070100926 A KR20070100926 A KR 20070100926A KR 20090035896 A KR20090035896 A KR 20090035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ight emitting
electrode
hole
buff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0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5896A/ko
Publication of KR20090035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며, 적어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형성되며, 루브렌(Rubrene)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한다. 이에 의해 정공을 트래핑 시켜주는 버퍼층을 구비하여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를 향상시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루브렌, 버퍼층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정공을 트래핑 시켜주는 버퍼층을 형성하여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사용되는 기판상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전극 사이에 발광층이 형성된 자발광소자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부터 각각 전자와 정공을 발광부 내로 주입시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생성된 엑시톤(exc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하는 장치이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넓은 시야각, 고속 응답성, 고 콘트라스트 등의 뛰어난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래픽 디스플레이의 픽셀, 텔레비젼 영상 디스플레이나 표면광원(Surface Light Source)의 픽셀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얇고 가벼우며 색감이 좋기 때문에 차세대 평면 디스플레이에 적합한 장치이다. 그리고, 플라스틱과 같이 휠 수 있는(Flexible) 투명 기판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용도를 갖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구조를 살펴보면, 투명 기판 위에 띠(stripe) 형태로 형성되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제1 전극과, 제1 전극 위에 형성되는 정공 주입층(HIL : Hole Injecting Layer) 또는 정공 수송층(HTL : Hole Transporting Layer)과,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 수송층 위에 형성되는 발광층과, 발광층 위에 형성되는 전자 주입층(EIL : Electron Injecting Layer) 또는 전자 수송층(ETL : Electron Transporting Layer)과, 전자 주입층 또는 전자 수송층 위에 형성되는 제2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빛이 방출되는 방향에 따라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과 배면발광(Bottom-Emission)방식 등이 있고, 구동 방식에 따라 수동 매트릭스형(Passive Matrix)과 능동 매트릭스형(Active Matrix) 등으로 나누어져 있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중 능동 매트릭스형을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표시부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들에 신호가 공급되면, 서브 픽셀 내부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커패시터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가 구동하게 되어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인 제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제2 전극의 순서로 이루어진 소자구조로서 수명을 향상 시키는데는 한계가 있다.
현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는, 능동형 매트릭스 방식의 장치에서 제1 전 극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버퍼로서 루브렌(Rubrene)을 사용중이다.
이에 따라, 제1 전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으로 이루어진 소자 구조에서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 정공을 트래핑 시켜주는 버퍼층을 형성하여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를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장치의 수명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며, 적어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형성되며, 루브렌(Rubrene)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한다.
상기 버퍼층은 루브렌(Rubr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버퍼층의 두께는 5 내지 30Å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정공을 트래핑 시켜주는 버퍼층을 형성하여,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를 향상시켜 소자의 수명을 향상시킴으로써,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10) 상에 다수 개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하는 표시부(15), 표시부(15)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부(30), 구동부(30)에 외부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패드부(25), 표시부(15)와 구동부(30) 또는 패드부(25)와 구동부(30)를 연결하는 다수 개의 배선(35) 및 다수 개의 배선(35) 중 구동부(30)와 연결되는 일단에 위치하는 다수 개의 패드 전극(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부(30)는 집적회로가 실장된 형태의 칩의 형태일 수 있으며, 패드부(25)에는 연성 인쇄 회로(FPC : Flexible Printed Circuit)(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수동 매트릭스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2는 도 1에 표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I-I`방향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부(15)는 다 수 개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영역이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50) 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5), 제1 전극(55) 상에 형성되는 유기물층(60), 및 제2 전극(65)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이격시키는 절연막(75) 및 격벽(80)을 포함한다.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1 전극(55)은 투명 전극일 수 있으며, 인듐주석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65)은 알루미늄(Al)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가 수동 방식으로 구동되는 경우, 제1 전극(55)은 애노드(Anode) 전극, 제2 전극(65)은 캐소드(Cathode) 전극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능동 매트릭스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정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I-I`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표시부(15)는 다수 개의 서브 픽셀(20)을 포함하는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영역이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예로 설명한다.
표시부(15)에 위치한 다수 개의 서브 픽셀(20)을 설명하면, 기판(100) 상에 버퍼층(105)이 형성되고, 버퍼층(105) 상에 비정질 또는 다결정 실리콘일 수 있는 반도체층(110)이 형성된다.
반도체층(110) 상에 게이트 절연막인 제1 절연막(115)이 형성되고, 제1 절연막(115) 상에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대응되는 게이트 전극(120)이 형성된다.
게이트 전극(120)을 포함하는 기판(100) 상에 층간 절연막인 제2 절연막(125)이 형성되고, 제2 절연막(125) 상에 형성되며 제1 절연막(115) 및 제2 절연막(125)을 관통하는 콘택홀들(130a, 130b)을 통해 반도체층(110)의 일정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이 형성된다.
따라서, 반도체층(110), 제1 절연막(115), 게이트 전극(120), 제2 절연막(125),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성한다.
그리고, 소스 전극(135a) 또는 드레인 전극(135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140)이 위치한다. 제1 전극(140)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135a) 및 드레인 전극(135b)이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 소스 전극(135a) 또는 드레인 전극(135b) 상에 제1 전극(140) 형성된다.
제1 전극(140) 상에는 화소정의막인 제3 절연막(145)이 위치하며, 제3 절연막(145)은 제1 전극(140)의 일부 영역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50)을 포함한다.
제3 절연막(145) 및 개구부(150) 상에 유기물층(155)이 위치하고, 유기물층(155)상에 제2 전극(160)이 위치하여 제1 전극(140), 유기물층(155) 및 제2 전극(160)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구성된다.
도 2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기물층(155)은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으로 나뉜다. 발광층의 재료로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기물층(155)은 적어도 발광층(EML)을 포함하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그 밖에 정공 수송 억제를 위한 정공 저지층 등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물층(155)은 발광층 외에, 유기물층 내의 정공 수송층과 전공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는 루브렌(Rubrene)으로 이루어진 버퍼층을 포함한다. 또한, 버퍼층 외에, 제1 전극과 유기물층 내의 정공 주입층 사이에 유기물과 무기물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2 버퍼층을 포함한다. 버퍼층 및 제2 버퍼층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4a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200) 상에, 제1 전극(205) 및 제2 전극(245)이 형성되며, 제1 전극(205)과 제2 전극(245) 사이에 유기물층이 형성된다. 유기물층으로 제1 전극(205)에서 제2 전극(245) 방향으로, 정공 주입층(215), 버퍼층(220), 정공 수송층(225), 발광층(230), 전자 수송층(235) 및 전자 주입층(240)이 차례로 형성된다.
전자 주입층(240)은 제2 전극(245)으로부터 발생된 전자의 속도를 완충하여 전자 수송층(235)에 공급한다.
전자 수송층(235)은 전자를 발광층(230) 쪽으로 가속시키게 되며, 정공 수송 층(225)은 정공을 발광층(230) 쪽으로 가속시키게 된다.
발광층(230)에는 전자 수송층(235)과 정공 수송층(22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자와 정공이 충돌된다. 이때 발광층(230)은 발광하여 가시광을 발생시킨다.
발광층(230)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으로 나뉜다. 발광층(230)의 재료로는 형광물질 또는 인광물질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인광물질을 위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적색 발광층은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1,3-bis(carbazol-9-yl)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PIQIr(acac)(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tris(1-phenylquinoline)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펀트를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리듐계 전이금속화합물과 백금 포르피린류 등이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PBD:Eu(DBM)3(Phen) 또는 Perylene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청색 발광층은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4,6-F2ppy)2Irpic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3,4-CN)3Ir, (3,4-CN)2Ir(picolinic acid), (3,4-CN)2Ir(N3), (3,4-CN)2Ir(N4), (2,4-CN)3Ir 등의 이리듐계 전이금속화합물이 있다. 이와는 달리, spiro-DPVBi, spiro-6P, 디스틸벤젠(DSB), 디스트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녹색 발광층은 CBP 또는 mCP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을 포함하며, Ir(ppy)3(fac tris(2-phenylpyridine)iridium)을 포함하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하는 인광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트리스(2-페니피리딘)Ir(III)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와는 달리,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을 포함하는 형광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버퍼층(220)은, 제1 전극(205)이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통상, 정공의 이동속도와 전자의 이동속도가 다름으로 인하여,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IVL(Current-Voltage-Luminance) 특성 및 수명이 저하되는 현상이 있고,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버퍼층(220)을 사용한다.
한편, 버퍼층(220)으로 바람직하게는 루브렌(Rubrene)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루브렌의 화학식은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7072045829-PAT00001
루브렌(Rubrene)은 황색 발광재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외관 색상은 붉은 색깔은 나타내고 있다. 정공을 트래핑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기도 하다.
루브렌(Rubrene)의 물성은 최저비점유분자궤도(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는 3.3 eV이고, 최고점유분자궤도(HOMO: 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는 5.17eV이며, 녹는점(Tm)은 330℃ 이고 분해온도(Td)는 350 내지 370℃이다.
루브렌(Rubrene)은 정공을 트래핑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므로,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이를 사용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이동속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를 향상시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버퍼층(220)의 두께와 효율의 관계 및 두께와 수명외 관계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b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기판(300) 상에, 제1 전극(305) 및 제2 전극(345)이 형성되며, 제1 전극(305)과 제2 전극(345) 사이에 유기물층이 형성된다. 유기물층은 제1 전극(305)에서 제2 전극(345) 방향으로, 제2 버퍼층(310), 정공 주입층(315), 버퍼층(320), 정공 수송층(325), 발광층(330), 전자 수송층(335) 및 전자 주입층(340)이 차례로 형성된다. 도 4b의 구조는 도 4a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제2 버퍼층(310)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제2 버퍼층(310)은, 제1 전극(305)과 정공 주입층(315) 사이에 제2 버퍼층(310)을 형성된다. 제2 버퍼층(310)은 유기물과 무기물의 화합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버퍼층(320)과 마찬가지로 정공을 트래핑 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2 버퍼층(310)의 유기물과 무기물의 구성 비율은 1:1 내지 1:100 일 수 있다.
제2 버퍼층(310)은 유기물과 무기물의 화합물로 형성되어 버퍼층(320)과 마찬가지로 제1 전극에서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 하는 역할을 하는 물질이며, 제1 전극(305)과 정공 주입층(315) 사이에 이를 사용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의 이동속도 차이를 추가로 보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루브렌(Rubrene)으로 형성된 버퍼층(310)과 제2 버퍼층(310)에 의해 전하 이송 밸런스(Charge Carrier Balance)를 향상시켜 장치의 수명을 향상시킨다.
도 5a 는 도 4a의 유기물층의 에너지 밴드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전극(205) 상에 정공 주입층(215)이 형성되며, 정공 주입층(215)으로 주로 copper phtalocyanine(CuPc) 또는 NPD(4.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이 사용되며, 그 두께는 100 내지 300Å로 형성된다.
정공 주입층(215) 상에 루브렌(Rubrene) 물질로 이루어진 버퍼층(220)을 5 내지 30Å을 형성한다.
버퍼층(220) 상에 정공 수송층(225)으로 NPD(4.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를 300 내지 500Å을 형성하고, 정공 수송층(225) 상에 발광층(230)을 200 내지 300Å으로 형성한다.
발광층(230) 상에 전자 수송층(235)으로 Alq3(8-hydroxyquinoline aluminum)을 300 내지 400Å으로 형성하며, 전자 수송층(235) 상에 전자 주입층(240)으로 리튬에 결합된 금속화합물 또는 유기화합물을 1 내지 10Å으로 형성한다. 리튬에 결합된 금속화합물은 LiF 또는 LiQ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F 또는 LiQ는 강한 쌍극자를 가지며, 이러한 쌍극자 현상에 의해, 전자 주입이 원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버퍼층(220)의 두께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효율과 수명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설명된다. 단 표 1은 실험값이다.
실험두께 (Å) 전 압 (V) 효 율 (Cd/A) 수 명 (Hr) 비 고 (Cd/A 기준) 비 고 (수명기준)
5 7.0 24.3 240 100% 100%
10 6.5 27.4 285 113% 117%
20 6.2 31.4 350 129% 146%
30 7.0 23.6 230 97% 96%
40 7.6 19.4 200 79.8% 83%
버퍼층(220)의 두께를 5내지 30Å이하로 형성한 경우는 제1 전극(205)이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하는 효과로 인하여 IVL(Current-Voltage-Luminance) 특성은 100 내지 129% 향상되고, 수명의 특성은 100 내지 146% 향상된다.
반면 버퍼층(220)의 두께를 30Å 보다 크게 형성한 경우는 버퍼층(220)의 두께 증가로 인해 제1 전극(205)이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하지 못하고 정공의 전달을 억제하여 IVL(Current-Voltage-Luminance) 특성 및 수명의 특성이 저하된다.
버퍼층(220)의 두께를 5 내지 30Å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구동전압이 7V 이하로 소모되어 장치의 효율 및 수명이 향상되지만, 반면, 30Å 이상의 두께로 버퍼층(220)을 형성한 경우에는 구동전압이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서 장치의 효율 및 수명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도 5b 는 도 4b의 유기물층의 에너지 밴드구조를 도시한 도이다.
도 5b를 도 5a와 비교하면, 제1 전극(305) 상에, 정공 주입층(315), 버퍼층(320), 정공 수송층(325), 발광층(330), 전자 수송층(335), 전자 주입층(340)이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나, 도 5b는 도 5a와 달리, 제1 전극과 정공 주입층 사이에 유기물과 무기물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제2 버퍼층(310)이 더 형성된다.
제2 버퍼층(310)의 유기물과 무기물은 NPD(4.4`-bis[N-(1-naphthy1)-N-pheny1-amino]bipheny1)과 LiF의 화합물이며 비율은 1:1 내지 1:100의 비율로 두 물질의 비율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버퍼층(310)의 두께는 1 내지 80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이다.
도 6a는 버퍼층(220)의 두께와 효율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버퍼층(220)의 두께를 5 내지 30Å으로 형성하고 효율(Cd/A)을 측정한 결과, 제1 전극(205)이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하는 효과로 인하여 효율이 24.3 내지 31.4Cd/A 까지 향상된다.
반면, 버퍼층(220)의 두께를 30Å보다 크게 형성하였을 때에는 버퍼층(220)의 두께 증가로 인해서 제1 전극(205)이 공급하는 정공을 트래핑하지 못하고 정공의 전달을 억제한다. 정공의 전달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이는 장치의 효율의 저하를 가져온다.
도 6b는 버퍼층(220)의 두께와 수명의 관계를 도시한다. 이에 따르면 버퍼층(220)의 두께를 5 내지 30Å으로 형성하고 수명(Hr)을 측정한 결과 루브렌(Rubrebe)의 사용으로 인하여 수명이 240 내지 350 시간까지 향상된다.
반면, 버퍼층(220)의 두께를 30Å 보다 크게 형성하였을 때에는 버퍼층(220)의 두께 증가로 인하여 정공의 전달이 억제되고 이는 구동전압의 저하를 야기시키고, 장치의 수명의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5a는 도 4a의 유기물층의 에너지 밴드구조를 도시한 도,
도 5b는 도 4b의 유기물층의 에너지 밴드구조를 도시한 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의 실험결과를 도시한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00: 기판 205: 제1 전극
215: 정공 주입층 220: 버퍼층
225: 정공 수송층 230: 발광층
235: 전자 수송층 240: 전자 주입층
245: 제2 전극

Claims (8)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형성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 사이에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며, 적어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형성되며, 루브렌(Rubrene)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5 내지 3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정공 주입층 사이에 형성되며, 유기물과 무기물이 소정비율로 혼합된 제2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으로 나뉘어,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는 인광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5.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도며,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 층간 절연막,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형성되며, 진공증착에 의해 형성되는 적어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및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물층; 을 포함하고,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정공 주입층과 정공 수송층 사이에 형성되며, 루브렌(Rubrene)을 포함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의 두께는 5 내지 3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물층은,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정공 주입층 사이에 유기물과 무기물이 소정비율로 혼합된 제2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으로 나뉘어, 상기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는 인광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0070100926A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35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26A KR20090035896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926A KR20090035896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896A true KR20090035896A (ko) 2009-04-13

Family

ID=40761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926A KR20090035896A (ko) 2007-10-08 2007-10-08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589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68A (ko) * 2009-08-06 2011-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43324A (ko) * 2009-10-21 2011-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128468B1 (ko) * 2009-11-02 2012-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3887444A (zh) * 2013-12-31 2014-06-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可提高寿命的oled蓝光器件
CN117082888A (zh) * 2023-10-12 2023-11-1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68A (ko) * 2009-08-06 2011-0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10043324A (ko) * 2009-10-21 2011-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128468B1 (ko) * 2009-11-02 2012-04-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3887444A (zh) * 2013-12-31 2014-06-25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可提高寿命的oled蓝光器件
CN103887444B (zh) * 2013-12-31 2017-02-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可提高寿命的oled蓝光器件
CN117082888A (zh) * 2023-10-12 2023-11-17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7082888B (zh) * 2023-10-12 2024-01-26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模组和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0973B2 (en) Color-sta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ack
TWI463914B (zh) 藉由經摻雜電洞傳遞層之改良有機發光裝置(oled)穩定性
KR20150079244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72644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US20160163992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36504A (ko) 백색 유기발광소자
US9379169B2 (en) Very high resolution AMOLED display
KR20090035896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46948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0752306A (zh) 有机发光显示装置和用于车辆的照明设备
EP3608985B1 (en)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00200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7863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78631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160090780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10076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56715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EP3796411B1 (en)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000980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589744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615764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090035193A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609379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291801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KR101588895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