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850A -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 Google Patents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850A
KR20110014850A KR1020090072421A KR20090072421A KR20110014850A KR 20110014850 A KR20110014850 A KR 20110014850A KR 1020090072421 A KR1020090072421 A KR 1020090072421A KR 20090072421 A KR20090072421 A KR 20090072421A KR 20110014850 A KR20110014850 A KR 20110014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ip
connector
connector fixing
b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4958B1 (ko
Inventor
윤건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폴리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폴리피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폴리피아
Priority to KR1020090072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9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2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hook and loop faste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배 본체에 착탈될 수 있어 밴 본체와의 분해 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 본체의 내면의 형상과 동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하여 이동시에는 배본체의 안에 넣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구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배본체와 ; 상기 배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고정홈과 대향되는 부분에 연결구고정홈이 형성된 부구와 ; 상기 연결구고정홈에 끼워져 배본체와 부구를 연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배, 부구, 연결구

Description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BOAT WITH ASSEMBLY FLOATER}
본 발명은 배에 관한 것으로써,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배 본체에 착탈될 수 있는 부구를 갖는 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부구를 배 본체의 내면의 형상과 동일 유사한 형성으로 구성하여 이동시에는 배본체의 안에 넣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한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에 관한 것이다.
놀이나 낚시 등에 많이 사용되는 것 중 하나로 배가 있다.
이러한 배는 통상적으로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바람을 넣어 사용하는 고무 튜브 형태의 것이 많이 사용되게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바람을 넣어 사용하는 튜브 형상의 배는 물놀이나 낚시 도중 날카로운 것에 부딛혔을 때 구멍이 생겨 바람이 빠지게 되고고 이렇게 바람이 빠질 경우 부력을 상실하여 탑승자가 물에 빠지는 일이 종종 있었다.
또한, 이러한 튜브 형태의 배의 경우 별도의 수납 공간이 없으므로 물놀이에 필요한 물건이나 음료 등을 보관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류의 배로는 단순하여 사람이 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통체 형 상으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렇게 탑승 공간만이 형성된 배의 경우 부력이 약하여 많은 사람이 탈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탑승자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칠 경우 배가 쉽게 뒤집히는 문제가 있으며, 이 또한 고무 보트와 같이 물놀이 용품이나 음료 등을 보관할 수납공간이 없어 이들을 보관하는 데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방된 것으로써, 연결구에 의해 부구를 배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구를 배 본체의 내면의 형상과 동일 유사한 형성으로 구성하여 이동시에는 배본체의 안에 넣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하며, 부구에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놀이 도중 필요한 물품을 수납공간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물품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구고정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배본체와 ; 상기 배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고정홈과 대향되는 부분에 연결구고정홈이 형성된 부구와 ; 상기 연결구고정홈에 끼워져 배본체와 부구를 연 결시키는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부구를 배본체에 착탈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 및 보관시에는 부구를 분리할 수 있어 이동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부구를 배 본체의 내면의 형상과 동일 유사한 형성으로 구성함으로써, 이동시에는 부구를 배본체의 안에 넣은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이동이 용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구에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놀이 도중 필요한 물품을 수납공간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물품이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와 배의 조립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하여 배 안에 보관한 상태의 평면고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 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는 연결구(3)에 의해 배본체(1)에 착탈되는 부구(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구고정홈(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배본체(1)와 ; 상기 배본체(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고정홈(13)과 대향되는 부분에 연결구고정홈(23)이 형성된 부구(2)와 ; 상기 연결구고정홈(13, 23)에 끼워져 배본체(1)와 부구(2)를 연결시키는 연결구(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본체(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성으로 구성되고, 상단의 점, 후방에는 하나 이상의 손잡이(1b)가 형성되어 있어 손잡이(1b)를 잡은 상태에서 들어올려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배본체(1)를 들어올려 이동시킬 때에는 많은 힘이 소요됨으로 저면의 일측 단부에 바퀴(1a)를 설치하여 다른쪽 만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끌어 바퀴(1a)가 굴러가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배본체(1)의 양 측벽의 안쪽에는 다수의 격벽지지돌기(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격벽지지돌기(11)는 내면 벽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격벽지지돌기(11)가 한 쌍을 이루며, 이러한 격벽지지돌기 쌍이 다수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선택적으로 격벽(4)을 설치하여 배본체(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격벽지지돌기(11) 쌍은 격벽(4)의 양단을 기기하는 수단으로 이렇게 격벽지지돌기(11) 쌍에 의해 양단이 고정된 격벽(4)의 하단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게 하기 위해 상기 격벽지지돌기(11) 쌍의 하단과 접하는 격벽지지돌기(11)들 사이에의 바닥에는 격벽고정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격벽(4)으로 구획된 격실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격실커버(4a)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결식 내부에 보관된 물품을 보호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본체(1)의 양측 외벽에는 상기한 연결구고정홈(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연결구고정홈(13)에 상기 연결구(3)가 끼워져 고정되며, 이렇게 배본체(1)에 끼워져 고정된 연결구(3)에 부구(2)가 연결된다.
이렇게 부구(2)를 배에 연결시키는 연결구(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폭의 연결부(33)의 양단에 연결부(33)와 수직을 이루고 고정돌부(31, 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고정홈(13, 23)은 상기 연결부(33)에 대향되는 협폭의 연결홈(12b, 23b)과 수직을 이루는 고정홈(13a, 23a)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연결구(3)는 도 2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도시하였을 때 연결부(33)를 중심으로 양단에 고정돌부(31, 32)가 형성되어 장구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배본체(1)와 부구(2)에는 상기 연결부(33)와 고정돌부(31, 32)에 대향되는 연결홈(12a, 23b)와 고정홈(13a, 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본체(1) 및 부구(2)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되고, 배본체(1)와 부구(2)의 하단과 상단의 얀측에 각각 설치되며 배본체와 부구를 연결시키며, 배본체(1)와 부구의 연결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배본체와 부구 사이에는 최소한 2개의 연결구가 설치된다.
이렇게 연결구(3)에 의해 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구(2)는 배본체(1)가 가라앉지 않게 부력을 높이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하나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2)의 상부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으로는 개폐 가능한 수납실(21)과 항상 개방되어 있는 수납홈(22)이 있으며, 상기 수납실(2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1)의 중앙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파고 그 상부에 수납실커버(21a)를 개폐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홈(22)은 부구(2)의 상부면에 놓여진 컵이나 병 또는 음식물이 담긴 그릇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부구(2)의 상부에 소정의 깊이로 홈을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배본체(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구(2)는 배본체(1)로붙처 분리하여 보관할 때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동시 배본체(1)와 구부(2)의 부피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부구(2)의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구(2)를 배본체(1)의 내부에 넣어질 수 있는 상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부구(2)를 배본체(1)의 안내 넣어진 상태에서 부구(2)가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부구(2)는 높이가 배본체(1)의 내부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하고, 두개의 부구(2)의 배본체(1)와 결합되는 면을 서로 대향되게 한 상태가 되게 하였을 때 두 개의 부구(2)의 평면이 배본체(1)의 내부 형상과 동일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이렇게 구성된 부구(2)들을 배본체(1)의 내부에 넣었을 때 부구(2)들의 바깥면 중 최소한 두 부분 이상이 배본체(1)의 내면에 꼭 기인 상태가 되게 하여 매본체(1)의 안에 넣어진 부구(2)들이 배본체(1)의 안에서 흔들리지 않게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와 배의 조립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의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하여 배 안에 보관한 상태의 평면고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에서 부구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배본체 1a : 바퀴 1b : 손잡이
11 : 격벽지지돌기 11a : 격벽고정홈
13 : 연결구고정홈 13a : 고정홈 13b : 연결홈
2 : 부구 21 : 수납실 21a : 수납실커버
22 : 수납홈
23 : 연결구고정홈 23a : 고정홈 23b : 연결홈
3 : 연결구 31, 32 : 고정돌부 33 : 연결부
4 : 격판 4a : 결실커버

Claims (7)

  1. 상부가 개방된 통체 형상으로 구성되고, 양 측벽에 각각 하나 이상의 연결구고정홈(1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배본체(1)와 ;
    상기 배본체(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고정홈(13)과 대향되는 부분에 연결구고정홈(23)이 형성된 부구(2)와 ;
    상기 연결구고정홈(13, 23)에 끼워져 배본체(1)와 부구(2)를 연결시키는 연결구(3)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3)는 협폭의 연결부(33)의 양단에 연결부(33)와 수직을 이루고 고정돌부(31, 3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고정홈(13, 23)은 상기 연결부(33)에 대향되는 협폭의 연결홈(12b, 23b)과 수직을 이루는 고정홈(13a, 23a)을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본체(1)의 내면 벽의 서로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두 개의 격벽지지돌기(11) 쌍이 하나 이상의 형성되어 있어 격판(4)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지지돌기(11) 쌍의 하단과 접하는 격벽지지돌기(11)들 사이에는 격벽(4)의 하단이 끼워지는 격벽고정홈(11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4)에 의해 구획된 격실의 상부에는 격실커버(4a)이 착탈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2)에는 수납실(21)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실(21)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하게 수납실커버(21a)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2)는 높이가 배본체(1)의 내부 높이와 동일하고, 두 개의 부구(2)들의 배본체(1)와 결합되는 면을 서로 대향되게 한 상태로 배본체(1)의 내부에 넣어었을 때 구부(2)들의 외면 일부가 내본체(1)의 내면에 꼭 끼인 상태가 될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KR1020090072421A 2009-08-06 2009-08-06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KR101114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21A KR101114958B1 (ko) 2009-08-06 2009-08-06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421A KR101114958B1 (ko) 2009-08-06 2009-08-06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850A true KR20110014850A (ko) 2011-02-14
KR101114958B1 KR101114958B1 (ko) 2012-03-06

Family

ID=4377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421A KR101114958B1 (ko) 2009-08-06 2009-08-06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9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199A (zh) * 2013-06-21 2013-11-13 浙江奇峰泵业有限公司 一种混氧机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2695B2 (ja) * 1998-08-04 2008-07-02 株式会社カーメイト ボート
KR100428743B1 (ko) * 2001-07-27 2004-04-29 배달익 조립식 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85199A (zh) * 2013-06-21 2013-11-13 浙江奇峰泵业有限公司 一种混氧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4958B1 (ko)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576B2 (en) Floating fishing tackle box and method of making same
US8672719B2 (en) Aquatic sport board
US4790256A (en) Two-piece combination boat and luggage carrier
US6029845A (en) Floating beverage holder
US5350058A (en) Chambered enclosure for maintaining a toy in a dry condition
US20180199742A1 (en) Ballasted, neutrally bouyant floating beverage-container holder which provides floatation, insulation and stability to a beverage container in water
US7302906B2 (en) Boat construction with stowable seat
JPH06270883A (ja) 小型船舶の船体構造
US20160324350A1 (en) Ballasted, neutrally buoyant floating beverage-container holder which provides floatation, insulation and stability to a beverage container in water
KR20150003349U (ko) 활게 안전운반 및 육질개선용 통
KR101114958B1 (ko) 조립식 부구를 갖는 배
US20110197494A1 (en) Wade Fishing Caddy
KR101688998B1 (ko) 블록형 조립식 다목적 레저 보트
US6253950B1 (en) Floating cooler
KR200487098Y1 (ko) 부표
JP2013237425A (ja) 開閉ボート
US9834286B2 (en) Buoyant pool float
US20190100289A1 (en) Transparent modulatable kayak with shading system
CN208827724U (zh) 可作为船舶的车顶行李箱
KR20160009909A (ko) 인명구조용 보트
US6543378B1 (en) Personal watercraft
US7281488B1 (en) Seat for shallow draft floating watercraft
JP3166415U (ja) 複合ボート
US20060096872A1 (en) Polyethylene ring drink float
US9540073B1 (en) Lightweight personal watercr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