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433A -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433A
KR20110014433A KR1020090072101A KR20090072101A KR20110014433A KR 20110014433 A KR20110014433 A KR 20110014433A KR 1020090072101 A KR1020090072101 A KR 1020090072101A KR 20090072101 A KR20090072101 A KR 20090072101A KR 20110014433 A KR20110014433 A KR 201100144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speed
washing tank
speed
eccentricity
laundry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317B1 (ko
Inventor
배순철
구자인
최재혁
정한수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31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0Power supply arrangements, e.g. stand-by circui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7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spin-drying on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06F2105/48Drum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Figure P1020090072101
세탁물, 처리기기, 탈수, 속도, 감속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된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거나, 세탁물에 가열된 증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화화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통상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 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세탁 및 헹굼 행정이 완료된 후 탈수행정이 진행되는데, 탈수 행정이 진행되기 위해서는 포를 효과적으로 분산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된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제공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와,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와,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며,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세탁조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세탁조와,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며,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세탁조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회전 속도 상승시,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킴으로써, 탈수 중 포에 함유된 수분의 불균일 배출로 인한 세탁조의 과진동 또는 소음 증가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탈수 구간 중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여, 그에 따라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킴으로써, 탈수 중 포에 함유된 수분의 불균일 배출로 인한 세탁조의 과진동 또는 소음 증가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조의 편심량 감지를,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감지함으로써, 간편하고 정확한 편심량 감지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세탁조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세탁조 내로 급수를 수행함으로써, 세탁조 내의 이상 편심을 정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닛(110)에 의해 지지되는 터브(120)와,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며 포가 세탁되는 드럼(122)과, 드럼(122)을 구동시키는 모터(130)와, 캐비닛 본체(111) 외측에 배치되며 캐비닛(110)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세탁수 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20) 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드럼(122)에는 세탁수가 통과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22A)이 형성되며, 드럼(122)의 회전시 세탁물이 일정 높이로 들어 올려진 후, 중력에 의해 낙하되도록 드럼(112)의 내 측면에 리프터(124)가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결합하는 캐비닛 커버(112)와, 캐비닛 커버(112)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컨트롤패널(115)과, 컨트롤패널(115) 상측에 배치되며 캐비닛 본체(111)와 결합하는 탑플레이트(116)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2)는 포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포 출입홀(114)과, 포 출입홀(114)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18)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117) 및 디스플레이 장치(118)는 제어부(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드럼(122)에는 오토 밸런스(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오토 밸런스(미도시)는 드럼(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드럼(122)의 진동량 또는 캐비닛(110)의 진동량을 측정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드럼식은 물론, 교반식(agitator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 등 다양한 세탁물 처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기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모터(130)는 드럼(122)에 회전력을 공급하여 드럽(122)를 동작시킨다. 드럼(122)은, 도 1과 같이 터브(120) 내부에 배치되 어, 세탁을 위한 포가 삽입되며,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동작된다.
모터(13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각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모터(130)의 종류로는 BLDC(blushless DC) 모터, synRM(Synchronous Reluctance Motor)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출력전류 검출부(220)는,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한다. 모터(130)가 삼상 모터인 경우, 각 상의 출력 전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한 상의 출력 전류를 직접 검출하고, 나머지 상의 출력 전류는 추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전류 검출부(220)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제어부(210)는, 조작키(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위해, 제어부(210)는 모터(130)를 제어한다. 모터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버터(미도시)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에서 PWM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모터(13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118)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탈수 구간 중, 드럼(122)의 속도가 일시적으로 상승하 거나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드럼(122)의 편심량에 따라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탈수 구간은, 상술한 탈수 행정은 물론,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서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탈수 구간일 수도 있다.
탈수 구간에서, 탈수시의 최고 속도를 향해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상승하는 경우, 드럼(122) 내의 물빠짐이 비 대칭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드럼(122) 내의 편심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드럼(122)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일정한 속도로 유지하거나 감속시키도록 한다. 즉,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편심량에 따라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에 따라, 드럼(122)의 과진동 또는 소음 증가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즉,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까지 계속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드럼(122)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210)의 상세 동작은 도 3 내지 도 5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검출된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드럼(122)의 편심량, 즉 드럼(122)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량은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 즉 모터(13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을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 전류 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결국 드럼(122)의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편심량 감지를 위해, 제어부(210)는, 상술한 모터(130)의 출력 전류값 이외에, 모터(130)의 위치 감지부(미도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 감지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홀 센서, 인코더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감지된 위치 신호는 제어부(21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을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 값을 이용하여 산출할 수 있으며, 결국 드럼(122)의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10)는, 검출된 출력 전류를 이용하여, 드럼(122) 내의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는 드럼(122)을 정지 상태에서 소정 각도까지 회전 시키고, 드럼(122)의 회전 동안에 모터(130)의 전류값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드럼(122)의 회전 속도는 포가 드럼(122)의 내주면에 달라붙는 속도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드럼(122)의 회전 속도는, 포가 드럼(122) 내에 달라붙기 시작하는, 즉 일부 부착되고 일부 유동하는 속도인 50 내지 60rpm 범위일 수 있다. 또한, 포가 드럼(122) 내에 모두 달라붙는 속도인 대략 108rpm일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드럼(122)의 정지 및 회전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드럼(122)의 회전시 정회전과 역회전이 교번하여 수행되거나, 정회전 또는 역회전만 수회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210)는, 포량이 증가할수록 통상 모터(130)의 출력 전류의 값이 증가하게 되므로, 이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10)는, 감지된 포량에 따라 탈수 구간 중 드럼(122)의 최대 회전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포량이 커질수록. 최대 회전 속도는 작아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럼(122)의 진동량 또는 세탁물 처리기기 전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감지된 진동량은 제어부(210)에 입력되어, 편심량 감지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체 탈수 구간(Th) 중 포량 감지 구간(T1), 간이 탈수 구간(T2) 및 본 탈수 구간(T3)으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먼저, 포량 감지 구간(T1)은, 드럼(122) 내의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10)는, 드럼(122)을 정지 상태에서 제1 회전 속도(r1)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제1 회전 속도(r1)는 포의 일부가 부착되기 시작하는 회전 속도로서, 대략 50rpm 내지 60rpm 범위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 속도(r1)로의 동작은 수회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어부(210)는, 포량 감지 구간(T1) 동안, 상술한 제1 회전 속도(r1) 보다 더 큰 제2 회전 속도(r2)로 드럼(122)을 회전시켜 포량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 하다. 여기서 제2 회전 속도(r2)는 포의 전부가 드럼(122)의 내주면에 부착되는 속도로서, 대략 108rpm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회전 속도(r2)로의 동작은 수회 수행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2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량 감지 구간(T1)에, 출력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대략, 출력 전류의 값에 비례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포량 감지 구간(T1) 동안, 상술한 드럼(122)은 정회전과 역회전이 교번하여 수행되거나, 정회전 또는 역회전만 수회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량 감지 구간(T1) 동안에 감지된 포량에 따라, 제어부(210)는, 후술하는 본 탈수 구간(T3)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된 포량이 커질수록. 최대 회전 속도(rmax)는 작아질 수 있다.
다음, 간이 탈수 구간(T2)은, 드럼(122)의 편심량에 따라 간이 탈수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먼저, 드럼(122) 내의 편심량을 감지한다. 편심량 감지는, 드럼(122)을 정지 상태에서 제2 회전 속도(r2)로 상승시켜, 제2 회전 속도(r2)로 유지하는 동안에 수행된다. 즉, 드럼(122) 내의 포가 전부 부착되는 속도에서 편심량 감지를 수행한다.
감지되는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제3 회전 속도(r3)까지 상승시켜 제1차 간이 탈수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회전 속도는 공진 대역 이하의 회전 속도로서, 대략 170rpm일 수 있다.
간이 탈수 구간(T2) 동안, 제어부(210)는, 상술한 편심량 감지 및 간이 탈수를 수행 더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간이 탈수를 위한 회전 속도는 제3 회전 속도(r3)도 가능하나, 도면에서는 제3 회전 속도(r3) 보다 높은 제4 회전 속도(r4)를 예시한다. 제4 회전 속도(r4)는 공진 대역 이상의 회전 속도로서, 대략 400rpm일 수 있다. 여기서 공진 대역은 대략 200 내지 390rpm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4 회전 속도(r4)에 의한 간이 탈수가 2회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않고 다양한 패턴으로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이 탈수 구간(T2)을 거쳐, 드럼(122) 내의 포의 밸런싱이 향상되게 된다.
제어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이 탈수 구간(T2)에, 출력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 속도(r2) 유지시에,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 즉 모터(13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의해 편심량이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 변화량을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 전류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며, 결국 드럼(122)의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 본 탈수 구간(T3)은,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 제거를 위해 본격적으로 탈수를 수행한다. 본 탈수 구간(T3)은, 드럼(122) 회전 속도의 공진 대역을 벗어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향해 상승하는 구간으로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하거나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본 탈수 구간(T3) 동안,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 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도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편심량을 감지하다가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그 순간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감속시킨다.
도면에서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P1 지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4 회전 속도(r4)로 감속시키는 것(S1)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1 지점에서의 회전 속도(rp1)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드럼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P1 지점을 지난 P2 지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4 회전 속도(r4)로 감속시키는 것(S2)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2 지점에서의 회전 속도(rp2)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P1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와 P2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2 지점의 회전 속도가 더 높으므로, P2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록, 간이 탈수 구간(T2)을 거쳤지만, 본 탈수 구간(T3)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이 분 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간적으로 편심량이 증가하여 드럼(122)의 진동이 커지거나 소음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편심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이에 따라,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내인 경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이후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라도 이후의 드럼(122)의 회전 속도 상승시에 발생할 수 있는 포의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편심량이 클수록, 최대 회전 속도(rmax)가 작아지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탈수 구간(T3)의 편심량 감지 및 편심량 조정 동작을 거침으로써, 도면에서 도시한 간이 탈수 구간(T2)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포량 감지 구간(T1) 이후에, 바로 본 탈구 구간(T3)으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수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진 대역도 바로 스킵(skip)할 수 있게 된다.
본 탈수 구간(T3)에서의 편심량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서 모터(130)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의 탈수 구간(Th)은, 상술한 탈수 행정은 물론, 세탁 행정 및 헹굼 행정에서 일시적으로 수행되는 탈수 구간일 수도 있다.
도 4는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4의 드럼의 회전 속도를 보여주는 타이밍도는 도 3의 타이밍도와 거의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체 탈수 구간(Th) 중 포량 감지 구간(T1), 간이 탈수 구간(T2) 및 본 탈수 구간(T3)으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포량 감지 구간(T1) 및 간이 탈수 구간(T2)은 도 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탈수 구간(T3)은 드럼(122) 회전 속도의 공진 대역을 벗어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향해 상승하는 구간으로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의 본 탈수 구간(T3)과 비교하여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편심량을 감지하다가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경우, 그 순간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감속시킨다.
도면에서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하는 동안, 제5 회전 속도(r5)와 제6 회전 속도(r6)에서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제5 회전 속도(r5)와 제6 회전 속도(r6)는, 예를 들어, 각각 대략 800rpm, 1000rpm 정도 일수 있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포 밸렁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즉 제4 회전 속도(r4)에서 제5 회전 속도(r5)까지 상승하는 도중에, P3 지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4 회전 속도(r4)로 감속시키는 것(S3)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3 지점에서의 회전 속도(rp3)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즉 제5 회전 속도(r5)에서 제6 회전 속도(r6)까지 상승하는 도중에, P4 지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5 회전 속도(r5)로 감속시키는 것(S4)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P4 지점에서의 회전 속도(rp4)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P3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와 P4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P4 지점의 회전 속도가 더 높으므로, P4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록, 간이 탈수 구간(T2)을 거쳤지만, 본 탈수 구간(T3)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이 분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간적으로 편심량이 증가하여 드럼(122)의 진동이 커지거나 소음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편심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이에 따라,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내인 경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이후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라도 이후의 드럼(122)의 회전 속도 상승시에 발생할 수 있는 포의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편심량이 클수록, 최대 회전 속도(rmax)가 작아지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탈수 구간(T3)의 편심량 감지 및 편심량 조정 동작을 거침으로써, 도면에서 도시한 간이 탈수 구간(T2)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포량 감지 구간(T1) 이후에, 바로 본 탈구 구간(T3)으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수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진 대역도 바로 스킵(skip)할 수 있게 된다.
본 탈수 구간(T3)에서의 편심량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서 모터(130)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의 드럼의 회전 속도를 보여주는 타이밍도는 도 4의 타이밍도와 거의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그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체 탈수 구간(Th) 중 포량 감지 구간(T1), 간이 탈수 구간(T2) 및 본 탈수 구간(T3)으로 구분되어 구동된다.
포량 감지 구간(T1) 및 간이 탈수 구간(T2)은 도 3 및 도 4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탈수 구간(T3)은 드럼(122) 회전 속도의 공진 대역을 벗어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향해 상승하는 구간으로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r4)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하는 동안, 제5 회전 속도(r5)와 제6 회전 속도(r6)에서 일시적으로 머무르는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시킴으로써, 포 밸렁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일시적으로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도중에, 즉 제5 회전 속도(r5)로 유지하는 도중에, 그 시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4 회전 속도(r4)로 감속시키는 것(S5)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5 회전 속도(r5)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면에서는,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일시적으로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도중에, 즉 제6 회전 속도(r6)로 유지하는 도중에, 그 시점에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바로 이전 유지 회전 속도인 제5 회전 속도(r5)로 감속시키는 것(S6)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6 회전 속도(r6)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5 회전 속도(r5)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와 제6 회전 속도(r6)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회전 속도(r6)가 더 높으 므로, 제6 회전 속도(r6) 지점의 편심량 허용 범위를 더 높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비록, 간이 탈수 구간(T2)을 거쳤지만, 본 탈수 구간(T3)에서,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도중에,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이 분균일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순간적으로 편심량이 증가하여 드럼(122)의 진동이 커지거나 소음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편심량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감속시킨다. 이에 따라, 탈수 구간 중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 및 포 밸런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탈수 구간(T3)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내인 경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이후의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라도 이후의 드럼(122)의 회전 속도 상승시에 발생할 수 있는 포의 불균일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회전 속도(rmax)를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인 상태에서, 편심량이 클수록, 최대 회전 속도(rmax)가 작아지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탈수 구간(T3)의 편심량 감지 및 편심량 조정 동작을 거침으로써, 도면에서 도시한 간이 탈수 구간(T2)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포량 감지 구간(T1) 이후에, 바로 본 탈구 구간(T3)으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탈수 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공진 대역도 바로 스킵(skip)할 수 있게 된다.
본 탈수 구간(T3)에서의 편심량 감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210)에서 모터(130)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장치(600)는, 제어부(210), 출력 전류 검출부(220), 컨버터(610), 인버터(620), 및 위치 감지부(630)를 포함한다. 또한, 도 6의 구동장치(600)는 리액터(L), 평활 커패시터(C)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605)과 컨버터(6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6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버터(610)는 상용 교류 전원(6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컨버터(610)에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605)는 도면과 같이 리액터(L)를 거쳐 인가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6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컨버터(61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4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브릿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61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버 터(610)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 전원 변환을 수행할수도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컨버터(61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컨버터(61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컨버터(610)의 출력단을 dc 단이라 한다. dc 단에 평활된 직류 전압은 인버터(620)에 인가된다.
인버터(6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주파수 및 크기가 가변하는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130)에 출력한다.
인버터(6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6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제어부(21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각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펄스폭이 가변되며, 이에 따라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모터(130)에 출력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210)는, 인버터(6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를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인버터(6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620)에 출력한다. 제어부(21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출력 전류 검출부(220)는, 인버터(620)와 모터(1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한다. 즉, 모터(13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한다. 출력전류 검출부(220)는 각 상의 출력 전류를 모두 검출할 수 있으며, 또는 삼상 평형을 이용하여 한 상 또는 두 상의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220)는 인버터(620)와 모터(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전류 검출을 위해, 전류센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션트 저항은 인버터(620)의 3개의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에 일단이 각각 접속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제어부(210)에 인가될 수 있으며,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가 생성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된 출력전류(io)에 기초하여, 편심량 감지, 또는 포량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210)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을 위해, 속도 연산부(705), 전류 지령 생성부(710), 전압 지령 생성부(72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705)는, 위치 감지부(630)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H) 또는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모터(130)의 속도, 구체적으로는 모터(130)의 회전자의 속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모터(130)의 속도는 각속도일 수 있다. 모터(130)의 속도는, 단위 시간에 대한 위치 신호(H)의 변화량으로 연산될 수 있다. 검출된 출력 전류(io)를 이용하는 경우는 전기 방정식 및 기계 방정식에 의해 위치 신호 추정 후, 추정된 위치 신호의 변화량으로서 연산될 수 있다.
전류 지령 생성부(710)는, 추정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벡터 제어를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 d,i* q)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칼라값인 전류 지령치(I)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압 지령 생성부(720)는, d,q축 전류 지령치(i* d,i* q)와 속도 연산부(705)에서 추정되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벡터 제어를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 d,v* q)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칼라값인 전압 지령치(V)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730)는 d,q축 전압 지령치(v* d,v* q)에 기초하여 인버터(620) 내의 스위칭 소자(Sa,S'a,Sb,S'b,Sc,S'c)를 구동하도록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620)에 출력한다.
결국, 제어부(210)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등의 단계에 따라, 또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펄스폭이 가변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출력한다.
한편, 제어부(210)는, 상 전류인 출력 전류(io)가 축변환된 d,q축 전류값(id,iq)을 이용하여, 편심량 감지 또는 포량 감지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축변환된 d,q축 전류값(id,iq)의 범위에 따라 편심량 또는 포량과 매칭되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편심량 또는 포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10)는, 탈수 구간 중 드럼(122)의회전 속도를 상승시킨다(S810). 이 구간은, 최대 회전 속도(rmax)를 향해 상승하는 구간으로서, 예를 들어, 간이 탈수 구간(T2) 이후의 본 탈수 구간(T3)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탈수 구간(T3)은, 도 3과 일시적으로 상승하거나, 도 4와 같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구간일 수 있다.
다음, 속도 상승시 편심량을 감지한다(S820). 편심량 감지는,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편심량을 감지하거나, 드럼(122)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편심량 감지는,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하는 구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10)는,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인 지를 판단한다(S830). 편심량 감지는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하는 구간 동안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허용 범위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높을 수록, 허용 범위는 높아질 수 있다.
다음,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감속시킨다(S840). 본 탈수 구간(T3)에서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이 불균일하게 빠져나가는 경우, 편심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므로, 포 밸런싱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을 위해,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편심량 감지시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이전 유지 회전 속도로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 밸런싱을 위해, 속도 유지 또는 감속 이후에, 드럼(122) 내에 급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860).
한편,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계속 상승시킨다(S850). 이때,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거나, 일시적으로 계속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포 밸런싱이 안정적이라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계속 드럼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신속하게 최대 회전 속도(rmax)에 도달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10)는, 탈수 구간 중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킨다(S910). 이 구간은, 최대 회전 속도(rmax)를 향해 상승하는 구간으로서, 예를 들어, 간이 탈수 구간(T2) 이후의 본 탈수 구간(T3)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탈수 구간(T3)은, 도 5와 같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구간일 수 있다.
다음, 단계적으로 속도 상승하는 구간에서, 일정 속도 유지시 편심량을 감지한다(S920). 편심량 감지는, 모터(130)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이용하여 편심량을 감지하거나, 드럼(122)의 진동량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편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210)는,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이내인 지를 판단한다(S930). 편심량 감지는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상승하는 구간 중 일시적으로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동안 계속하여 수행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허용 범위도 가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럼(122)의 회전 속도가 높을수록, 허용 범위는 높아질 수 있다.
다음,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유지하거나 감속시킨다(S940). 본 탈수 구간(T3)에서 드럼(122) 내의 포에 함유된 수분이 불균일하게 빠져나가는 경우, 편심량이 급격히 증가할 수 있으므로, 포 밸런싱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안정성을 위해,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편심량 감지시의 회전 속도를 유지시키거나 이전 유지 회전 속도로 감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 밸런싱을 위해, 속도 유지 또는 감속 이후에, 드럼(122) 내에 급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960).
한편,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제어부(210)는, 드럼(122)의 회전 속도를 계속 상승시킨다(S950). 이때, 최대 회전 속도(rmax)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거나, 일시적으로 계속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포 밸런싱이 안정적이라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10)는, 계속 드럼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신속하게 최대 회전 속도(rmax)에 도달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기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4는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탈수 구간 중 드럼의 회전 속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세탁물 처리기기 117:조작키
118:디스플레이 장치 122:드럼
130:모터 210:제어부
220:출력 전류 검출부

Claims (37)

  1. 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탈수 구간 중,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상기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까지 일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상기 편심량에 따라 감속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는 이전 유지 구간의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구간 전의 포량 감지 구간 중,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상기 탈수 구간의 최대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상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단계는,
    상기 세탁조의 공진 속도를 지나 최대 회전 속도를 향해, 단계적으로 상승하거나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은, 상기 세탁조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출력 전류값에 기초하거나 상기 세탁조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 센서에 의한 진동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 내로 급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9. 포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탈수 구간 중,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상기 세탁조의 편심량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시, 상기 세탁조는 이전 유지 구간의 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구간 전의 포량 감지 구간 중,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상기 탈수 구간의 최대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상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 단계는,
    상기 세탁조의 공진 속도를 지나 최대 회전 속도를 향해, 단계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은, 상기 세탁조을 회전시키는 모터의 출력 전류값에 기초하거나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상기 세탁조의 진동량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 내로 급수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17.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탈수 구간 중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상기 세탁조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까지 일시에 또는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상기 편심량에 따라 감속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를 이전 유지 구간의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가 단계적으로 상승하다가 상기 편심량에 따라 감속하는 경우, 상기 세탁조를 이전 유지 구간의 속도와 상기 세탁조의 감속이 시작되는 감속시작 속도 사이의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 구간 전의 포량 감지 구간 중, 상기 감지된 포량에 따라 상기 탈수 구간의 최대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상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가변하도록 제 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상기 세탁조의 공진 속도를 지나 최대 회전 속도를 향해, 단계적으로 상승하거나 일시적으로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편심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5. 제1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소정의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연산부;
    상기 추정속도 및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진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편심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 내로 급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8. 포가 삽입되어 회전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탈수 구간 중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며,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 구간 중 일정 속도 유지시, 상기 세탁조의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유지 또는 감속시키도록 제어하 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심량이 허용 범위 내인 경우, 상기 세탁조의 회전 속도를 최대 회전 속도까지 단계적으로 상승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속시, 상기 세탁조를 이전 유지 구간의 속도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탈수 구간 전의 포량 감지 구간 중, 감지된 포량에 따라 상기 탈수 구간의 최대 회전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최대 회전 속도를 상기 감지된 편심량에 따라 가변하도록 제 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탁조의 속도 상승시,
    상기 세탁조의 공진 속도를 지나 최대 회전 속도를 향해, 단계적으로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편심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5. 제28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스위칭 동작에 따라 소정의 직류 전원을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출력 전류 또는 상기 모터의 위치에 기초하여 속도를 추정하는 속도 연산부;
    상기 추정속도 및 속도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류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류 지령 생성부;
    상기 전류 지령치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를 생성하는 전압 지령 생성부; 및
    상기 전압 지령치에 기초하여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 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진동량에 기초하여 상기 편심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편심량이 허용 범위 외인 경우, 상기 세탁조 내로 급수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72101A 2009-08-05 2009-08-05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10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01A KR101100317B1 (ko) 2009-08-05 2009-08-05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101A KR101100317B1 (ko) 2009-08-05 2009-08-05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433A true KR20110014433A (ko) 2011-02-11
KR101100317B1 KR101100317B1 (ko) 2011-12-30

Family

ID=43773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101A KR101100317B1 (ko) 2009-08-05 2009-08-05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3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9962A (zh) * 2012-10-31 2014-05-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及其操作方法
KR20160094723A (ko) * 2015-02-02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WO2018182277A1 (ko) * 2017-03-27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20180119012A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9011A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24096251A1 (ko) * 2022-10-3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탈수 행정 제어 방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89962A (zh) * 2012-10-31 2014-05-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机及其操作方法
US9637852B2 (en) 2012-10-31 2017-05-02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to determine laundry position
KR20160094723A (ko) * 2015-02-02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방법
US10047470B2 (en) 2015-02-02 2018-08-1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CN110678598A (zh) * 2017-03-27 2020-01-10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设备的脱水程序控制方法
KR20180109224A (ko) * 2017-03-27 2018-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WO2018182277A1 (ko) * 2017-03-27 2018-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AU2018244670B2 (en) * 2017-03-27 2021-05-20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ying i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CN110678598B (zh) * 2017-03-27 2022-04-08 Lg电子株式会社 洗涤物处理设备的脱水程序控制方法
US11427946B2 (en) 2017-03-27 2022-08-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spin-drying cycle of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119012A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119011A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WO2018199581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US11459685B2 (en) 2017-04-24 2022-10-0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device
WO2024096251A1 (ko) * 2022-10-31 2024-05-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탈수 행정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0317B1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08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0662434B1 (ko) 세탁기의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110031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1709475B1 (ko) 모터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US11236460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JP6184236B2 (ja) モータ駆動装置及び洗濯機
KR1019240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27438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005379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05381A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32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1010371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2866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11341B2 (en) Motor drive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KR1010725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3133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3357657B2 (ja) 全自動洗濯機及び全自動洗濯乾燥機
JP3357658B2 (ja) 全自動洗濯乾燥機
KR10106986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30045363A (ko)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의류 처리 장치
KR20210136698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00091109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90371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