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0371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0371A
KR20200090371A KR1020190007313A KR20190007313A KR20200090371A KR 20200090371 A KR20200090371 A KR 20200090371A KR 1020190007313 A KR1020190007313 A KR 1020190007313A KR 20190007313 A KR20190007313 A KR 20190007313A KR 20200090371 A KR20200090371 A KR 20200090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otor
draining
water leve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647B1 (ko
Inventor
강진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7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47B1/ko
Priority to US16/747,725 priority patent/US11718946B2/en
Publication of KR20200090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0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ai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otor parameters, e.g. rotor time constant, flux, speed,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8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pump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202/085
    • D06F2204/084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20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trol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s
    • H02P2205/03Power loop, i.e. comparison of the motor power with a power refere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와,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제1 파워에 도달하여,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 이내를 유지하다가, 제1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버터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완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배수펌프 구동장치는, 배수시 모터를 구동하여 수입부에 입력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통상 배수 펌프 구동을 위해,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의한 정속 운전에 의해 모터를 배수펌프 구동장치는, 배수시 모터를 구동하여 수입부에 입력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통상 배수 펌프 구동을 위해, AC 펌프 모터를 이용하는 경우,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의한 정속 운전에 의해 모터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입력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50Hz인 경우, 배수 펌프 모터는 3000rpm으로 회전하며, 입력 교류 전원의 주파수가 60Hz인 경우, 배수 펌프 모터는 3600rpm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AC 펌프 모터에 의하면, 배수시 모터의 속도 제어가 되지 않아, 배수시 배수 기간이 길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 해소를 위해, 배수 펌프 모터로,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76485호와 특개2002-166090호는,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기반의 배수 펌프 모터를 예시한다.
이러한 선행문헌들을 보면, 배수 펌프 모터 제어시, 속도 제어를 수행하므로, 배수시, 배수 완료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배수 완료 판단시, 수위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정확한 배수 완료 판단이 어렵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버터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수 완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와,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제1 파워에 도달하여,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 이내를 유지하다가, 제1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며,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와,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와 출력 전류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배수 완료시,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제1 주파수 이상이며, 출력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이하인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상승하는 중에, 출력 전류가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출력 전류 검출부는, 모터 또는 인버터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와,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모터의 속도 또는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제1 파워에 도달하여,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 이내를 유지하다가, 제1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컨버터의 안정성 향상 및 배수 완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며,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와,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와,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와,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와, 스위칭 동작에 의해,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교류 전원을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와,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와,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와 출력 전류 검출부로부터의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배수 완료시,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컨버터의 안정성 향상 및 배수 완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제1 주파수 이상이며, 출력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이하인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부는,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상승하는 중에, 출력 전류가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출력 전류 검출부는, 모터 또는 인버터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모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수펌프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한다.
도 5는 도 4의 배수펌프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6은 도 5의 메인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파워 제어와 속도 제어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파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은 도 8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포가 삽입되어 세탁, 헹굼 탈수 등을 수행하는 세탁기 또는 습포가 삽입되어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이하에서는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한다.
세탁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0)과,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조작키들과, 세탁기(100)의 작동상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115)과, 케이싱(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출입하는 출입홀을 여닫는 도어(113)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에 세탁기(100)의 각종 구성품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1)와, 본체(111)의 상측에 구비되고 내조(122) 내로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포출입홀을 형성하는 탑커버(1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본체(111)와 탑커버(1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케이싱(110)은 세탁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면 충분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지지봉(135)은, 케이싱(110)을 이루는 구성 중 하나인 탑커버(112)에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110)의 고정된 부분 어느 곳과도 결합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시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117)과, 조작키들(117)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8)를 포함한다.
도어(113)는, 탑커버(112)에 형성된 포출입홀(미표기)을 여닫는 것으로, 본체(111)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도록 강화유리 등의 투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100)는, 세탁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조(120)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124)와, 외조(124)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내조(122)를 구비할 수 있다. 세탁조(120)의 상부에는 세탁조(120)의 회전시 발생하는 편심을 보상하기 위한 밸런서(134)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세탁기(100)는, 세탁조(12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펄세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장치(138)는, 내조(122) 및/또는 펄세이터(133)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동장치(138)의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내조(122)만이 회전되거나, 펄세이터(133)만이 회전되거나, 내조(122)와 펄세이터(133)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하는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138)는, 도 3의 구동부(220), 즉 구동 회로에 의해 동작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탑커버(112)에는 세탁용 세제, 섬유 유연제 및/또는 표백제 등의 각종 첨가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114)가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급수유로(123)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가 세제박스(114)를 경유한 후 내조(122) 내로 공급된다.
내조(122)에는 복수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내조(122)로 공급된 세탁수가 복수의 홀을 통해 외조(124)로 유동한다. 급수유로(123)를 단속하는 급수밸브(12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수유로(143)를 통해 외조(124)내의 세탁수가 배수되고, 배수유로(143)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39) 및 세탁수를 펌핑하는 배수펌프(14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수유로(143)의 단부에, 세탁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171)가 구비될 수 있다. 순환펌프(171)에서 펌핑되는 세탁수는, 순환 유로(144)를 통해, 세탁조(120) 내로 다시 투입될 수 있다.
지지봉(135)은, 외조(124)를 케이싱(110) 내에 매달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케이싱(110)에 연결되고, 지지봉(135)의 타단은 서스펜션(150)에 의해 외조(124)와 연결된다.
서스펜션(150)은, 세탁기(100) 작동 중에 외조(124)가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예를 들어, 내조(122)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외조(124)가 진동할 수 있으며, 내조(122)가 회전하는 중에는 내조(122)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 내조(122)의 회전 속도 또는 공진 특성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진동하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메인 제어부(210)의 제어 동작에 의해, 구동부(220)가 제어되며, 구동부(220)는 세탁조 모터(230)를 구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조(120)에 세탁조 모터(230)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배수펌프(141)를 구동하기 위한 배수 모터(630), 및 배수 모터(630)를 구동하는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는,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순환펌프(171)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730), 및 모터(730)를 구동하는 순환펌프 구동장치(720)를 구비할 수 있다. 순환펌프 구동장치(720)는, 메인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를 배수펌프 구동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조작키(10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118)를 제어하여, 세탁 코스, 세탁 시간, 탈수 시간, 헹굼 시간 등, 또는 현재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구동부(220)를 제어하여, 세탁조 모터(230)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세탁조 모터(2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225)와 세탁조 모터(2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20)에 기초하여, 세탁조 모터(230)가 회전하도록 구동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검출된 전류와, 감지된 위치 신호가 구동부(220)에 입력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되거나, 메인 제어부(210)와 구동부(220)에 함께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220)는, 세탁조 모터(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버터(미도시), 및 인버터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20)는, 인버터(미도시)에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버터 제어부(미도시)가 펄스폭 변조(PWM) 방식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의 교류 전원을 세탁조 모터(230)에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전류 검출부(220)에서 검출된 전류(io) 또는 위치 감지부(235)에서 감지된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0)가 회전하는 동안에, 세탁조 모터(230)의 전류값(io)에 기초하여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의 편심량, 즉 세탁조(120)의 언밸런스(unbalance;, UB)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편심량 감지는, 전류 검출부(225)에서 검출된 전류(io)의 리플 성분 또는 세탁조(120)의 회전 속도 변화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수위 센서(121)는, 세탁조(120) 내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조(120) 내에 물이 없는 공수위의 수위 주파수는 28KHz일 수 있고, 세탁조(120) 내에 물이 허용 수위까지 도달한 만수위 주파수는 23KHz일 수 있다.
즉,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는 세탁조 내의 수위에 반비례할 수 있다.
한편, 수위 센서(121)에서 출력되는 세탁조 수위(Shg)는, 수위 주파수 또는 수위 주파수의 반비례하는 수위 레벨일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세탁조 수위(Shg)에 기초하여, 세탁조(120)가 만수위인지, 공수위인지, 또는 리셋 수위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배수펌프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예시하고, 도 5는 도 4의 배수펌프 구동장치의 내부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배수 모터(63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버터(420), 인버터 제어부(430), 메인 제어부(21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와 인버터 제어부(430)는,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제어부와 제2 제어부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는, 컨버터(410), dc 단 전압 검출부(B), dc단 커패시터(C), 출력전류 검출부(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수펌프 구동장치(620)는, 입력 전류 검출부(A), 리액터(L)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의 배수펌프 구동장치(620) 내의 각 구성 유닛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 vs)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입력 전류 검출부(A)는, 상용 교류 전원(405)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전류(is)를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입력 전류 검출부(A)로, CT(current trnasformer), 션트 저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검출되는 입력 전류(is)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 또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컨버터(410)는, 리액터(L)를 거친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상용 교류 전원(405)의 종류에 따라 컨버터(410)의 내부 구조도 달라진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 없이 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져, 별도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상 교류 전원인 경우, 4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인 경우, 6개의 다이오드가 브릿지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삼상 교류 전원의 경우, 6개의 스위칭 소자 및 6개의 다이오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컨버터(410)가,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경우, 해당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전원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스위칭 소자와 변압기를 구비하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410)는, 입력되는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여 변환된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dc단 커패시터(C)는, 입력되는 전원을 평활하고 이를 저장한다. 도면에서는, dc단 커패시터(C)로 하나의 소자를 예시하나, 복수개가 구비되어, 소자 안정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류 전원이 바로 입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태양 전지로부터의 직류 전원이 dc단 커패시터(C)에 바로 입력되거나 직류/직류 변환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예시된 부분을 위주로 기술한다.
한편, dc단 커패시터(C) 양단은, 직류 전원이 저장되므로, 이를 dc 단 또는 dc 링크단이라 명명할 수도 있다.
dc 단 전압 검출부(B)는 dc단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검출부(B)는 저항 소자, 증폭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검출되는 dc 단 전압(Vdc)은,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 또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Vdc)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동기 모터(630)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기 모터(630)가 삼상인 경우, 도면과 같이, 인버터(420)는, 직류 전원(Vdc)을 삼상 교류 전원(va,vb,vc)으로 변환하여, 삼상 동기 모터(63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동기 모터(630)가 단상인 경우, 인버터(420)는, 직류 전원(Vdc)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단상 동기 모터(630)에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의해,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원이 동기 모터(630)에 출력되게 된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인버터(420)에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인버터 제어부(430)는, 메인 제어부(210)로부터 입력되는 전압 지령치(Sn)에 기초하여, 인버터(420)에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인버터 제어부(430)는, 전압 지령치(Sn) 또는 스위칭 제어 신호(Sic)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의 전압 정보(Sm)를 메인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인버터(420)와 인버터 제어부(430)는,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하나의 인버터 모듈(IM)로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센서리스 방식을 기반으로,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전류(io)와, dc단 전압 검출부(B)에서 검출된 dc단 전압(Vdc)를 입력받을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 전류(io)와 dc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파워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Sn)를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모터(630)의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파워 제어를 수행하고, 파워 제어에 기초한 전압 지령치(Sn)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버터 제어부(430)는, 파워 제어에 기초한 전압 지령치(Sn)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삼상 배수 모터(630) 사이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할 수 있다.
출력전류 검출부(E)는, 삼상 배수 모터(630)와 인버터(42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에 흐르는 출력전류(io)를 검출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배수 모터(63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인 상 전류(phase current)(ia,ib,ic) 중 a 상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면과 달리, dc단 커패시터(C)와 인버터(420) 사이에 배치되어 모터에 흐르는 출력전류를 순차적으로 검출할 수도 있다. 이때, 1개의 션트 저항 소자(Rs)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시분할로, 배수 모터(630)에 흐르는 상 전류(phase current)(ia,ib,ic)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된 출력전류(io)는, 펄스 형태의 이산 신호(discrete signal)로서, 인버터 제어부(430) 또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메인 제어부(210)에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삼상 배수 모터(630)는,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ar)를 구비하며, 각상(a,b,c 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이러한 배수 모터(630)는, 브러시리스(BrushLess와, BLDC) D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수 모터(630)는, 표면 부착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Surface-Mounted Permanent-Magnet Synchronous Motor;, SMPMSM), 매입형 영구자석 동기전동기(Interi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IPMSM), 및 동기 릴럭턴스 전동기(Synchronous Reluctance Motor;, Synr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SMPMSM과 IPMSM은 영구자석을 적용한 동기 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이며, Synrm은 영구자석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도 6은 도 5의 메인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10)는, 속도 연산부(520), 전력 연산부(521), 파워 제어기(523), 속도 제어기(540)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520)는,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 수신되는 배수 모터(630)의 전압 정보(Sm)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연산부(520)는, 인버터 제어부(430)로부터 수신되는 배수 모터(630)의 전압 정보(Sm)에 대한 제로 크로싱을 연산하고, 제로 크로싱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의 속도(
Figure pat00001
)를 연산할 수 있다.
전력 연산부(521)는, 출력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전류(io)와, dc단 전압 검출부(B)에서 검출된 dc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P)를 연산할 수 있다.
파워 제어기(523)는, 전력 연산부(521)에서 연산된 파워(P)와, 설정된 파워 지령치(P* r)에 기초하여,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워 제어기(523)는, 연산된 파워(P)와, 파워 지령치(P*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2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속도 제어기(540)는, 속도 연산부(5200에서 연산된 속도(
Figure pat00002
)와, 파워 제어기(523)에서 생성된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Sn)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제어기(54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3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Sn)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전압 지령치(Sn)는, 인버터 제어부(430)로 출력될 수 있다.
인버터 제어부(430)는, 메인 제어부(210)으로부터의 전압 지령치(Sn)를 입력받아,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게이트 구동부(미도시)에서 게이트 구동 신호로 변환되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에 입력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버터(420) 내의 각 스위칭 소자들(Sa,S'a,Sb,S'b,Sc,S'c)이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파워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시작시, 배수 모터(630)에 대해 파워 제어를 수행하며, 잔수에 도달하는 경우, 파워 제어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효율적으로 배수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 전류(io)의 레벨이 작아질수록, 전압 지령치(Sn)가 커지도록 제어하며,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듀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 모터(630)는, 배수 모터(630)로 브러시리스(BrushLess) DC 모터(630)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속 제어가 아닌 파워 제어가 간편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제1 파워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배수 모터(630)의 속도 또는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제1 파워를 초과하는 경우,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제1 파워에 도달한 경우,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워 제어가 수행되어 일정한 파워로 구동됨으로써, 컨버터(410)가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면 되므로, 컨버터(410)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파워 제어가 수행됨으로써, 설치 조건에 따라 배수 성능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 모터(630)가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배수 시간이 단축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파워 제어와 속도 제어에 따라 모터에 공급되는 파워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파워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의 파형은 Pwa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Tm1 시점까지 파워 제어 수행에 따라 파워가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며, Tm1 시점에 파워 제어가 종료되는 것을 예시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파워 제어 수행에 따라, 세탁조(120)의 수위가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일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파워 제어 수행에 따라,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제1 파워(P1)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양정이 가변되더라도,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파워 제어 수행에 따라,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일정한 제1 파워(P1)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제1 파워(P1)의 의미는,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제1 허용 범위(Prag) 이내의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허용 범위(Prag) 이내는,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대략 10% 이내에서 맥동하는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파워 제어 수행시, 오버 슈트되는 Pov 기간을 제외한, Tseta 시점부터 배수 완료시점(Tm1) 까지,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제1 허용 범위(Prag) 이내의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배수시 양정이 가변하더라도 양수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버터(410)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허용 범위(Prag)는, 제1 파워(P1)의 레벨이 커질수록 커질 수 있다. 또한, 제1 허용 범위(Prag)는, 배수 완료 기간(Pbs)이 길어질수록, 커질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10)는, 양정이 기준 레벨(Iref)인 경우, 배수 시작 후 제1 시점(Tseta)부터 배수의 완료시(Tm1)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제1 허용 범위(Prag) 이내의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며, 양정이 제2 레벨인 경우, 제1 시점(Tseta)부터 배수의 완료시(Tm1)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하지 않고,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제1 허용 범위(Prag) 이내의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시, 파워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출력 전류(io)와 dc단 전압(Vdc)에 기초하여, 파워를 연산하고, 연산된 파워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Sn)를 출력하며, 인버터 제어부(430)는, 전압 지령치(Sn)에 기초하여, 스위칭 제어 신호(Sic)를 배수 모터(630)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 전류(io)의 레벨이 작아질수록, 전압 지령치(Sn)가 커지도록 제어하며,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듀티가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한 파워로 배수 모터(630)가 구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파워 제어 수행을 위해,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Pov 기간 중 급격히 상승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파워 제어 죵료시,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가, Tm1 시점부터 급격히 하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속도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 즉, 배수 모터(630)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의 파형은 Pwb와 같이 예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Tm2 시점까지 속도 제어가 수행되며, Tm2 시점에 속도 제어가 종료되는 것을 예시한다.
속도 제어에 따른 파워 파형(Pwb)에 따르면, 배수시, 세탁조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배수 모터(630)의 속도는 일정하나,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는 순차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도 7에서는, 속도 제어 구간(Pbsx) 동안, 배수 모터(630)에 공급되는 파워는 순차적으로 낮아져, 배수 완료 시점인 Tm2에, 대략 Px까지 낮아지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속도 제어시의 배수 모터(630) 동작 종료시점이, Tm2로서, 파워 제어시 보다, 대략 Tx 기간 늦춰지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제어 수행에 따라, 배수시, 배수 시간이, 속도 제어 수행에 비해, 대략 Tx 기간 만큼 단축되게 된다. 또한, 컨버터(410)에서 공급되는 파워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컨버터(410)의 동작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탈수는, 세탁 행정, 헹굼 헹정, 탈수 행정의 각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행정 중 , 헹굼 행정 중, 탈수 행정 중에, 탈수가 수행될 수 있다. 탈수 수행 중, 배수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수 모터(630)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탈수를 위해, 세탁조(120)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세탁조 모터(230)가 동작하며, 배수를 위해, 배수 모터(630)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배수 동작 중 배수 완료 판단을,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21)에 기초하여 수행하는 경우, 정확한 배수 완료 판단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수위 센서(121)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 판단을 수행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특정 시간 이상 동안 배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확한 배수 완료 판단이 어렵고,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도 8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중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810), 배수 동작 중인 경우,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15).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증가되거나,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17).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할 때까지,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증가되거나,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여,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Pavg) 이내를 유지하는 지 여부 또는 제1 범위(Pavg)를 벗어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20).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서,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S840),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50).
도 7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210)는, 컨버터(410) 보호, 배수 시간 단축 등을 위해, 파워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메인 제어부(210)는,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a)는, 배수 중,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 파형(Fma)을 예시하며, 도 9의 (b)는,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의 파형(Pwo)을 예시하며, 도 9의 (c)는, 배수 모터(630)의 속도 파형(Mwo)을 예시한다.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이 시작되면,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하도록,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증가되거나,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의 (b)의 Tst 시점 전까지,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하며, Tst 시점에,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9의 (c)의 Tst 시점 전까지,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W1에서 W2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Tst 시점에, 배수 모터(630)의 속도가 W2에 도달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P1)에 도달한 경우,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Pavg) 이내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워 제어에 의해, 도 9의 (b)의 Tm1 시점 전까지,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제1 파워(P1)를 기준으로, 제1 범위(Pavg) 이내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경우, 즉, 도 9의 (b)의 Tm1 시점 이후부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도 10과 같이, 배수 완료 메시지(1010)가 오디오로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완료 판단시, 인버터(420) 등의 동작을 정지시켜, 결국, 배수 모터(63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파워 제어에 의해,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며,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와,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도 9의 (a)와 같이,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서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도 9의 (a)와 같이, 제1 주파수(F1) 이상이며,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범위를 벗어나서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배수 동작 중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배수 모터(630)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1의 동작 방법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중 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910), 배수 동작 중인 경우,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제1 주파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25).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점차 증가하는 경우는, 세탁조(120) 내의 수위가 점차 낮아지는 경우에 대응한다.
따라서, 메인 제어부(210)는, 세탁조(120) 내의 수위가 상당히 낮아져, 수위 주파수가, 기준 수위 또는 공수위 등에 대응하는 제1 주파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제1 주파수 이상인 상태에서, 출력 전류의 레벨이 감소하여, 제1 레벨 이하인 지 여부를 판단한다(S930).
그리고, 메인 제어부(210)는, 출력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이하인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S940),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50).
도 7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210)는, 컨버터(410) 보호, 배수 시간 단축 등을 위해, 파워 제어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의 (a)는, 배수 중, 수위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 파형(Fma)을 예시하며, 도 13의 (b)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 파형(Ima)을 예시한다.
배수가 원활히 수행되는 경우, 배수 모터(6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는 높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나, 배수가 상당히 진행된 경우, 배수 모터(630)에 흐르는 출력 전류는, 도 13의 (b)와 같이,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동작 중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의 레벨이 하강하여, 제1 레벨(Lv1) 이하인 경우, 즉, 도 13의 (b)의 Tm1a 시점 이후부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도 10과 같이, 배수 완료 메시지(1010)가 오디오로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배수 완료 판단시, 인버터(420) 등의 동작을 정지시켜, 결국, 배수 모터(630)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로부터의 수위 주파수와 출력 전류 검출부(E)로부터의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배수 완료시,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서리스 방식에 의해, 배수 펌프 배수 모터(630)를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컨버터(410)의 안정성 향상 및 배수 완료 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수위 센서(121)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도 13의 (a)와 같이, 제1 주파수(F1) 이상이며, 출력 전류(io)의 레벨이, 도 13의 (b)와 같이, 제1 레벨(Lv1) 이하인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제어부(210)는, 도 13의 (a)와 같이, 수위 센서(121)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상승하는 중에, 도 13의 (b)와 같이, 출력 전류(io)가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수 펌프의 동작 완료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수 시간을 단축하고, 전력 낭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출력 전류 검출부(E)는, 배수 모터(630)와 접지단 사이 또는, 도 12와 같이, 인버터(420)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5의 메인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메인 제어부(210)는, 필터부(522), 속도 연산부(520), 전류 제어기(523a), 속도 제어기(54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522)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io)를 필터링하여, 필터링된 전류(Im)를 전류 제어기(523a)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52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의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연산부(520)는, 출력 전류 검출부(E)에서 검출되는 출력 전류(io)에 대한 제로 크로싱을 연산하고, 제로 크로싱에 기초하여, 배수 모터(630)의 속도(
Figure pat00004
)를 연산할 수 있다.
전류 제어기(523a)는, 필터부(522))에서 필터링된 전류(Im)와, 설정된 전류 지령치(I*m)에 기초하여,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제어기(523a)는, 필터링된 전류(Im)와, 설정된 전류 지령치(I*m)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25)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속도 지령치(ω* r)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속도 제어기(540)는, 속도 연산부(5200에서 연산된 속도(
Figure pat00005
)와, 파워 제어기(523)에서 생성된 속도 지령치(ω* r)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Sn)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속도 제어기(540)는, 연산 속도(
Figure pat00006
)와 속도 지령치(ω* r)의 차이에 기초하여, PI 제어기(544)에서 PI 제어를 수행하며, 이에 기초하여, 전압 지령치(V*)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생성된 전전압 지령치(V*)에 기초한, 펄스폭 변조(PWM) 방식에 따른 인버터용 스위칭 제어 신호(Sic)가 인버터(420)에 출력되며, 이에 따라, 인버터(420)가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세탁물 처리기기로, 탑 로드(top load) 방식을 예시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의 구동장치(620)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방식, 즉, 드럼 방식에도 적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수펌프의 구동장치(620)는, 세탁물 처리 기기(100) 외에, 식기 세척기, 에어컨 등 다양한 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수펌프의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수펌프의 구동장치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동작방법은 배수펌프의 구동장치 및 세탁물 처리기기에 각각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세탁조 모터;
    상기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
    상기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상기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상기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배수 동작 중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제1 파워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상기 모터의 속도 또는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증가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파워에 도달하여, 상기 제1 파워에 대응하는 제1 범위 이내를 유지하다가,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파워 제어에 의해, 상기 배수 동작 중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상기 제1 범위 이내가 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배수 동작 중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상기 배수 동작 중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상기 제1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에서 감지되는 수위 주파수가 증가하는 중에, 상기 배수 동작 중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감소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세탁조;
    상기 세탁조를 회전시키는 세탁조 모터;
    상기 세탁조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
    상기 세탁조의 배수를 위해 동작하는 배수 펌프;
    상기 배수 펌프를 동작하기 위한 모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컨버터;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컨버터로부터의 상기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교류 전원을 상기 모터에 출력하는 인버터;
    상기 모터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와 상기 출력 전류 검출부로부터의 상기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배수 완료 여부를 판단하고, 배수 완료시,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제1 주파수 이상이며, 상기 출력 전류의 레벨이 제1 레벨 이하인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로부터의 수위 주파수가 상승하는 중에, 상기 출력 전류가 하강하는 경우, 배수 완료로 판단하고, 상기 배수 완료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류 검출부는,
    상기 모터 또는 상기 인버터와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007313A 2019-01-21 2019-01-21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27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13A KR102627647B1 (ko) 2019-01-21 2019-01-21 세탁물 처리기기
US16/747,725 US11718946B2 (en) 2019-01-21 2020-01-21 Laundry treatmen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313A KR102627647B1 (ko) 2019-01-21 2019-01-21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0371A true KR20200090371A (ko) 2020-07-29
KR102627647B1 KR102627647B1 (ko) 2024-01-19

Family

ID=71609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313A KR102627647B1 (ko) 2019-01-21 2019-01-21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718946B2 (ko)
KR (1) KR1026276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6300A1 (en) * 2001-09-21 2003-03-27 Maytag Corporation Pump cycling control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20160049367A (ko) * 2014-10-27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6408B1 (ko) * 2016-04-18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55157B2 (en) * 1998-11-17 2002-12-05 Fisher & Paykel Appliances Limited Laundry machine
JP2001276485A (ja) 2000-03-29 2001-10-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JP4517501B2 (ja) 2000-11-30 2010-08-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乾燥機
JP4007309B2 (ja) * 2003-10-28 2007-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KR101756409B1 (ko) * 2016-04-18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56300A1 (en) * 2001-09-21 2003-03-27 Maytag Corporation Pump cycling control system for a washing machine
KR20160049367A (ko) * 2014-10-27 2016-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56408B1 (ko) * 2016-04-18 2017-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647B1 (ko) 2024-01-19
US20200232135A1 (en) 2020-07-23
US11718946B2 (en) 2023-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34749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processing machine comprising same
KR102560461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US20210285141A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654743B (zh) 洗涤物处理装置
AU2019299800B2 (en) Laundry machine
US11970807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257868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146281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KR10262764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6154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39461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US11739459B2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US12006616B2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US20210234494A1 (en) Drain pump driving apparatus and laundry treatment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20200005380A (ko) 순환펌프 구동장치 및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