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864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864B1
KR101069864B1 KR1020090024102A KR20090024102A KR101069864B1 KR 101069864 B1 KR101069864 B1 KR 101069864B1 KR 1020090024102 A KR1020090024102 A KR 1020090024102A KR 20090024102 A KR20090024102 A KR 20090024102A KR 101069864 B1 KR101069864 B1 KR 101069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troke
laundry
speed
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201A (ko
Inventor
손창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864B1/ko
Publication of KR20100105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6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 D06F37/38Driving arrangements  for rotating the receptacle at more than one speed in opposite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와,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포풀림 행정을 수행하도록,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간단하고 신속하게 포풀림 행정을 완료하여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세탁물, 처리기기, 포풀림, 탈수, 정방향, 역방향, 속도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포풀림 행정을 완료하여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거나, 세탁물에 가열된 증기를 분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에 물리적 화화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세탁물 처리기기는, 통상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 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탈수 행정에 수행하기에 앞서, 포풀림 행정을 진행하는데 통상적으로 정해진 시간 동안 진행한 후, 탈수 행정으로 바로 진입하였다. 그러나, 탈수 행정 진입시 포풀림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탈수 행정 중에 탈조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탈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편심량을 감지하여, 편심량이 특정값 보다 높으면, 탈수 행정 중 모터를 정지시키고, 그 이후, 다시 포풀림 행정을 진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세탁조의 크기가 대용량으로 가는 현 추세에 비추어 더욱 가중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포풀림 행정을 완료하여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공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와,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와, 포풀림 행정을 수행하도록,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풀림 행정시,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시키면서,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와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간단하고 정확하게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포풀림 행정의 기간이 가변되므로, 신속하게 탈수 행정으로 진입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 내부에 배치되며 수용된 세탁물의 세정이 이루어지는 세탁조(120)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작동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140)와, 세탁조(120) 내의 세탁물을 회전시키기 위해 세탁조(120) 내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장치(150)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물 처리기기(100)는, 세탁조(120)에 세탁물을 입출하기 위해 캐비닛(11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35)와, 캐비닛(110)에 입출 가능하게 장착되는 세제 박스(179)와,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세탁수가 유입되는 급수 유로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183)와, 세탁조(12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를 단속하는 배수 밸브(186) 등을 포함한다.
급수 유로로 부터 유입된 세탁수 중 일부는 세제 박스(179)로 유입되어 세제와 혼합된 후, 세탁조(120)로 공급된다. 이때, 세제 박스(179) 측으로 유입되는 세탁수는 보조 밸브(189)에 의해 단속될 수 있다.
세탁조(120)는, 세탁수가 담기는 외조(128)와, 외조(128)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조(125)를 포함한다. 이때, 내조(125)에는 세탁수가 외조(128)와 내조(125) 사이를 순환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미도시)이 형성된다.
내조(125)의 바닥에는 담수된 세탁수에 회전수류를 발생시키는 펄세이터(pulsator,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펄세이터(130)는, 구동장치(150) 내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정, 역회전되어, 세탁조(130) 내로 회전력을 공급한다. 이러한 구동장치(150)는 제어부(14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모터(미도시)와 펄세이터(130) 사이에는 모터(미도시)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도 있다. 구동장치(150)는 이러한 클러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장치(150)는 세탁조(1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세탁조(12) 중 내조(125)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정,역회전 시킬수도 있다.
세탁조(120)의 내조(125)의 상부에는 오토 밸런스(미도시)가 구비된다. 오토 밸런스(미도시)는 내조(125) 내에 수용된 세탁물의 편심량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을 저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밸런스, 볼밸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세탁조(120)의 외조(128)는 지지부재(173)에 의해 캐비닛(110)에 매달리며, 지지부재(173)의 일단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댐퍼(176)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10)의 상측에 컨트롤패널(115)이 배치된다. 컨트롤패널(115)은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조작하는 조작키들(미도시)과, 조작키들(미 도시)의 일측에 배치되며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컨트롤패널(115) 내의 조작키들(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는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각 구성요소등을 전기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3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조작키(117), 디스플레이 장치(118), 세탁조(120), 제어부(140), 모터(210), 및 위치 감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40)는, 조작키(117)로부터 동작 신호를 입력받아 동작을 한다. 이에 따라,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을 위해 모터(210)를 제어한다. 모터 제어를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인버터(미도시)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에서 PWM 스위칭 제어 신호를 인버터(미도시)로 출력하면, 복수개의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인버터(미도시)는 고속 스위칭 동작을 하여, 소정 주파수 및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을 모터(210)에 공급할 수 있다. 이때의 소정 주파수 및 소정 크기의 교류 전원은,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인버터(미도시)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4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포풀림 행정을 수행하도록, 모터(210)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모터(210)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세탁물 처리기기(100)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 장치(118)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세탁, 헹굼, 탈수 행정 등의 동작 상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터(210)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구비하며, 각상의 고정자의 코일에 소정 주파수의 각상 교류 전원이 인가되어, 회전자가 회전을 하게 된다. 모터(210)의 종류로는 BLDC 모터, synRM 모터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모터(210)는 세탁조(12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150) 내의 모터(210)는 펄세이터(1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조(120), 구체적으로는 세탁조(120) 내의 내조(125)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펄세이터(130)를 회전시키거나 세탁조(120) 내의 내조(125)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세탁조(120) 내에 회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위치 감지부(220)는, 모터(210)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모터(210)의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한다. 이 위치 감지부(220)는 홀 센서(hall sensor), 인코더(encoder)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위치 감지부(220)를 통해 감지된 위치 신호(H)는 모터(210)의 제어 동작을 위해, 제어부(140)에 입력된다.
한편, 위치 감지부(220)로 홀 센서가 사용되는 경우, 삼상 모터(210)의 각 상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나, 예를 들어, 2 상의 회전자 위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감지된 2 상의 회전자 위치 신호(Ha,Hb)는 제어부(140)에 입력된다. 본원에서는 위치 신호(H)가 2 상의 회전자 위치 신호(Ha,Hb)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4는 도 1의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동장치(150)는, 위치 감지부(220), 컨버터(410), 및 인버터(420)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의 구동장치(150)는 리액터(L), 평활 커패시터(C), 및 dc 단 전압 감지부(A)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리액터(L)는, 상용 교류 전원(405)과 컨버터(410) 사이에 배치되어, 역률 보정 또는 승압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리액터(L)는 컨버터(410)의 고속 스위칭에 의한 고조파 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컨버터(410)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컨버터(410)에 입력되는 상용 교류 전원(405)는 도면과 같이 리액터(L)를 거쳐 인가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용 교류 전원(405)을 단상 교류 전원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삼상 교류 전원일 수도 있다.
컨버터(41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 소자를 포함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4개의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브릿지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 경우 별도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동작 없이 정류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버터(410)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듯 소자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 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2개의 스위칭 소자 및 4개의 다이오드가 연결된 하프 브릿지형의 컨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버터(410)는 스위칭 동작에 의해, 승압 동작, 역률 개선 및 직류 전원 변환을 수행할수도 있다.
평활 커패시터(C)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에 접속된다. 컨버터(410)로부터 출력되는 변환된 직류 전원을 평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컨버터(410)의 출력단을 dc 단이라 한다. dc 단에 평활된 직류 전압은 인버터(420)에 인가된다.
인버터(420)는, 복수개의 인버터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평활된 직류 전원을 주파수 및 크기가 가변하는 삼상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모터(210)에 출력한다.
인버터(420)는, 각각 서로 직렬 연결되는 상암 스위칭 소자(Sa,Sb,Sc) 및 하암 스위칭 소자(S'a,S'b,S'c)가 한 쌍이 되며, 총 세 쌍의 상,하암 스위칭 소자가 서로 병렬(Sa&S'a,Sb&S'b,Sc&S'c)로 연결된다. 각 스위칭 소자(Sa,S'a,Sb,S'b,Sc,S'c)에는 다이오드가 역병렬로 연결된다.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들은 제어부(140)로부터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에 기초하여 각 스위칭 소자들의 온/오프 동작을 하게 된다. 각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는 펄스폭이 가변되며, 이에 따라 소정 주파수를 갖는 삼상 교류 전원이 모터(210)에 출력되게 된다.
한편, 제어부(14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인버터(42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 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제어부(140) 내의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출력에 대한 상세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40)는, 포풀림 행정에 비해 탈수 행정시 모터(210)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인버터 스위칭 제어 신호(Sic)의 펄스폭을 높임으으로써, 모터(210)의 속도를 증가하게 한다.
dc 단 전압 감지부(A)는 평활 커패시터(C)의 양단인 dc 단 전압(Vdc)을 순시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dc 단 전압 감지부(A)는 저항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되는 dc 단 전압(Vdc)의 순시치는 모터(210)의 이상 동작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제어부(140)에 입력된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어부(140)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의 출력을 위해, 속도 연산부(505), 전류 지령 생성부(510), 전압 지령 생성부(520), 및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속도 연산부(505)는, 위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모터(210)의 속도, 구체적으로는 모터(210)의 회전자의 속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모터(210)의 속도는 각속도일 수 있다. 모터(210)의 속도는 단위 시간에 대한 위치 신호(H)의 변화량으로서 연산될 수 있다.
한편, 속도 연산부(505)는, 위치 감지부(220)에서 감지되는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모터(210)에 흐르는 출력 전류(io)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 신호(H)에 기초하여 모터(210)의 속도를 연산하면, 모터(210)의 속도에 기초한 기계 방정식과 모터(210)의 전류에 기초한 전기 방정식 사이의 관계로부터, 출력 전류(io)를 추정할 수 있다.
전류 지령 생성부(510)는, 추정 속도(v)와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d,i*q)를 생성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벡터 제어를 통해, d,q축 전류 지령치(i*d,i*q)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칼라값인 전류 지령치(I)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압 지령 생성부(520)는, d,q축 전류 지령치(i*d,i*q)와 속도 연산부(505)에서 추정되는 출력 전류(io)에 기초하여, PI 제어기 등을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벡터 제어를 통해 d,q축 전압 지령치(v*d,v*q)를 생성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칼라값인 전압 지령치(V)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위칭 제어신호 출력부(530)는 d,q축 전압 지령치(v*d,v*q)에 기초하여 인버터(420) 내의 스위칭 소자(Sa,S'a,Sb,S'b,Sc,S'c)를 구동하도록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인버터(420)에 출력한다.
결국, 제어부(140)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 등의 단계에 따라, 또한 세탁물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 속도 지령치(v*)에 기초하여, 펄스폭이 가변되는 인버터 스위칭 제어신호(Sic)를 출력한다.
도 6은 포풀림 행정 기간이 가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6(a)는 제1 기간(Tt1) 동안 포풀림 행정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제1 기간(Tt1) 동안, 제1 속도(v1)의 정회전, 및 제2 속도(v2)의 역회전이 4회 반복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4회째에,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바로 탈수 행정(Ts1)으로 진입한다. 탈수 행정은 최대 속도(v3)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의 소정 조건은 도 7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기술한다.
다음, 도 6(b)는 제2 기간(Tt2) 동안 포풀림 행정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면에서는 제2 기간(Tt2) 동안, 제1 속도(v1)의 정회전, 및 제2 속도(v2)의 역회전이 3회 반복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3회째에,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한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바로 탈수 행정(Ts2)으로 진입한다. 탈수 행정은 최대 속도(v3)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의 소정 조건은 도 7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기술한다.
도 7 내지 도 9는 포풀림 행정에서 탈수 행정으로 진입 하기 위한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7은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와 역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의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정회전 속도(va1)의 크기와 첫번째 역회전 속도(va2)의 크기의 차이(Δva)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정회전 속도 크기와 역회전 속도의 크기의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제 어부(140)는 세탁조 내의 포풀림이 원활히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첫번째 정회전 속도(va1)의 크기와 첫번째 역회전 속도의 크기(va2)의 차이(Δva)가 제1 소정치 이내가 아닌 경우, 그 다음의 두번째 정회전 속도(vb1)의 크기와 두번째 역회전 속도(vb2)의 크기의 차이(Δvb)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첫번째, 두번째 정회전 속도(va1,vb1)의 크기와 역회전 속도(va2,vb2)의 크기의 차이(Δva,Δvb)가 모두 제1 소정치 이내가 아닌 경우, 그 다음의 세번째 정회전 속도(vc1)의 크기와 세번째 역회전 속도(vc2)의 크기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각각의 정회전 속도의 크기와 역회전 속도의 크기의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횟수는 3회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도 8은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의 차이와, 모터의 역방향 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와의 차이의 합이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첫번째 정회전 속도의 목표치(vt1)와 실제치(va1)의 차이(Δv1)와, 첫번째 역회전 속도의 목표치(vt2)와 실제치(va2)의 차이(Δv2)의 합(Δv1+Δv2)이 제2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포풀림이 제대로 수행된 경우, 각각의 차이(Δv1,Δv2)는 작은 값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제 어부(140)는 그 차이의 합(Δv1+Δv2)이 제2 소정치 이내인 경우, 포풀림이 원활히 수행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다른 예로, 첫번째 정회전 속도의 목표치(vt1)와 실제치(va1)의 차이(Δv1)와, 첫번째 역회전 속도의 목표치(vt2)와 실제치(va2)의 차이(Δv2)의 합(Δv1+Δv2)이 제2 소정치 아내가 아닌 경우, 두번째 정회전 속도의 목표치(vt1)와 실제치(vb1)의 차이(Δv3)와, 두번째 역회전 속도의 목표치(vt2)와 실제치(vb2)의 차이(Δv4)의 합(Δv3+Δv4)이 제2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첫번째, 두번째가 아닌, 세번째 정회전 속도의 목표치(vt1)와 실제치(vc1)의 차이(Δv5)와, 두번째 역회전 속도의 목표치(vt2)와 실제치(vc2)의 차이(Δv6)의 합이 제2 소정치 이내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각각의 정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의 차이와 역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의 차이의 합이 제2 소정치 이내인 횟수가 소정 횟수 이상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 횟수는 3회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도 9는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과 모터의 역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의 차이가 제3 소정치 이하인 경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는 것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3회의 정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va1+vb1+vc1)과, 3회의 정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va2+vb2+vc2)의 차이가 과, 제3 소정치 이하인 경우, 바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제어부(140)는 탈수 행정 진입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탈수 행정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펄세이터를 구비한 와권식 세탁물 처리기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관계 없이 교반식 또는 드럼식 세탁물 처리기기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다. 즉, 모터의 구동에 의해, 세탁봉, 드럼, 펄세이터 등이 회전하여, 세탁조에 회전력이 전달되기만 하면, 충분할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세탁물 처리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구동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포풀림 행정 기간이 가변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포풀림 행정에서 탈수 행정으로 진입 하기 위한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세탁물 처리기기 110:캐비닛
120:세탁조 140:제어부
150:구동장치 210:모터
220:위치 감지부 410:컨버터
420:인버터

Claims (8)

  1. 세탁물이 삽입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및
    포풀림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터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반복하여 회전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 및 역방향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상기 포풀림 행정이 수행되는 기간을 가변시켜,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풀림 행정을 수행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1 속도로 정회전시키고, 제2 속도로 역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와 상기 역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의 차이가 제1 소정치 이내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반복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와 상기 역방향 회전 속도의 크기의 차이가 제1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소정치 이하인 횟수가 적어도 3회 이상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반복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의 차이와, 상기 모터의 역방향 회전 속도의 목표치와 실제치와의 차이의 합이 제2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소정치 이하인 횟수가 적어도 3회 이상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반복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모터의 정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과 상기 모터의 역방향 회전 속도들의 크기의 합의 차이가 제3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탈수 행정으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24102A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9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02A KR101069864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102A KR101069864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01A KR20100105201A (ko) 2010-09-29
KR101069864B1 true KR101069864B1 (ko) 2011-10-04

Family

ID=4300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102A KR101069864B1 (ko) 2009-03-20 2009-03-20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86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278A (ja) 2000-06-30 2002-01-1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1278A (ja) 2000-06-30 2002-01-15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201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408B1 (ko) 배수펌프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물 처리기기
EP2591159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591160B1 (en) Washing machine
KR1023259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10031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203430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0371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2012036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422903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274388B2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92405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6986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07254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1128660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90063254A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US11811341B2 (en) Motor drive apparatus and home appliance having same
KR20210136697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3133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543582B1 (ko)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2018008527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2596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69034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30045363A (ko)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의류 처리 장치
KR10224103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10008749A (ko) 세탁물 처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