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184A - 조명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조명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184A
KR20110014184A KR1020107027532A KR20107027532A KR20110014184A KR 20110014184 A KR20110014184 A KR 20110014184A KR 1020107027532 A KR1020107027532 A KR 1020107027532A KR 20107027532 A KR20107027532 A KR 20107027532A KR 20110014184 A KR20110014184 A KR 2011001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late
lighting device
scatter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리트 오베르스루이젠
라이프바이크 로날드 반
코닝 헨드릭 데
에폐 제이. 호르닉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1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03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interposition of elements with electrically controlled variable light transmissivity, e.g. liquid crystal elements or electrochromic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8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 G02B6/006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varying in density, size, shape or depth along the light guide to provide homogeneous light output intens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1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in the bulk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G02B6/0043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Abstract

조명 디바이스(1401; 1402; 1403; 1404)는 반투명 플레이트형 광원(1409; 1400)을 포함한다.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1411; 1412)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일 수 있고, 주표면(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1415)를 구비한다. 요철부(1415)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재료 부분으로서 및/또는 표면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요철부(1415)는 바람직하게는 도트의 패턴으로 샌드블래스팅에 의해 배열될 수 있고, 도트는 20 내지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도트 밀도는 5 내지 500 도트/cm2의 범위일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디바이스{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조명 및/또는 꾸밈 또는 장식 용도로 광을 제공하는데 적합한 조명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조명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들 조명 디바이스는 차폐 수단을 구비한 하우징 내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백열형, 가스 방출형, LED형 등일 수 있다. 백열형의 경우에, 실제 발광 소자는 백열 와이어이고, 주변의 유리 전구가 실제로 차폐 부재이다. 이와 별개로, 램프 전기자(armature)는 또한 "캡" 등으로서 지시되는 추가의 차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차폐 부재는 손상으로부터 발광 소자를 기계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하고, 또한 발광 소자의 직접적인 조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수의 조명 디바이스에서, 이러한 차폐 부재는 발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용하고 이를 반사 및/또는 산란에 의해 주변으로 분배한다. 이와 같이, 차폐 부재는 수동 광원 또는 2차 광원이라 명명할 수 있고, 실제 발광 소자는 능동 광원 또는 1차 광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디자인의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조명 디바이스가 오프될 때 실질적으로 투명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요 양태에 따르면, 조명 디바이스는 반투명 플레이트형 광원을 포함한다. 플레이트형 광원은 1차 광원, 즉 실제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플레이트형 광원은 대안적으로 그 측면들 중 하나 이상에 인접하여 배열된 하나 이상의 1차 광원을 구비한 2차 광원일 수 있고, 1차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주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커플링 아웃될 때까지 플레이트형 광원의 주표면에 주로 평행하게 이동한다. 양 경우에, 플레이트형 광원은 플레이트형 광원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오프 상태에서, 또는 플레이트형 광원이 플레이트형 광원의 주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주 방향의 성분을 적어도 갖는 광을 방출하는 온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광은 랜덤 방향으로 방출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 광원은 플레이트형 광원을 통해 방출된 광의 일부를 재반사하기 위해 일 측면에 배치된 반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는 플레이트형 광원의 다른 측면에서 조명 레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부재의 반사율이 높을수록, 플레이트형 광원의 광 출력이 양호하다. 그러나, 광원이 오프 상태일 때, 광원은 예를 들어 시각적으로 비가시화되도록 완전히 투명해야 하고, 증가된 반사율은 일반적으로 감소된 투과율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명 디바이스가 온 상태일 때 양호한 조명 효과의 성능을 갖고 조명 디바이스가 오프 상태일 때 양호한 광 투과 성능을 갖는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 광원은 산란층 상에 떨어지는 광의 부분을 산란시키도록 배열된 산란층을 구비한다. 산란이라는 것은 광이 랜덤 방향으로 지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산란은 또한 확산 반사를 포함한다. 그 측면 에지들 중 하나 이상에 인접하여 배열된 하나 이상의 1차 광원을 구비한 2차 광원인 플레이트형 광원의 경우에, 산란층은 광의 커플링 아웃을 지원하기 위해 플레이트형 광원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상세가 종속 청구항에 언급되어 있다.
산란층은 플레이트형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을 산란시킬 뿐만 아니라 산란층 상에 떨어지는 주위광의 부분을 산란시킬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특정 실시예에서, 산란층은 산란층에 의한 산란량을 제어하기 위한 전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산란 디바이스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이 실시예는 소위 능동 산란층을 포함한다. 산란층에 의한 광 산란량은 바람직하게는 산란층의 대향 측면들에서 전극에 의해 생성되는, 산란층을 가로지르는 전위차에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극은 매우 투명하고 인듐 주석 산화물(ITO)을 포함할 수 있지만, 때때로 투명 전극으로서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또한 공지된 인듐 아연 산화물(IZO)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전극의 입방 저항은 상이한 상태들 사이에서 스위칭하는데 필요한 2개의 전극 사이의 요구 전압을 최소화하기 위해 충분히 낮다.
바람직하게는, 산란 디바이스는 광의 임의의 산란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제 1 상태와 광의 산란이 비교적 강한 제 2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하도록 배열된다. 일반적으로, 제 1 상태는 조명 디바이스의 턴오프 상태에 대응하고, 제 2 상태는 조명 디바이스의 턴온 상태에 대응한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층을 가로지르는 전압차는 제 2 상태에 대해 최소여서 조명 디바이스가 턴오프되는 주기 동안 어떠한 에너지 소비도 초래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산란 디바이스는 스위칭 가능한 디바이스이고, 반사 부재는 스위칭 가능한 디바이스이고, 산란 디바이스 및 반사 부재는 동시에 스위칭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서, 산란층은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과성이고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주위광의 부분을 산란시키도록 배열된 산란 편광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이 실시예는 소위 수동 산란층을 포함하는데, 즉 산란량이 미리 결정되고 조명 디바이스의 작동 중에 제어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란 편광기는 각각의 편광 방향에 대해 상이한 거동을 갖는 재료이다. 산란 편광기는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제 1 편광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산란시키도록 배열된다. 산란 편광기의 예는 헨리 자그트(Henry Jagt)의 "에너지 효율성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을 위한 폴리머 편광 광학 장치(Polymeric polarization optics for energy efficient liquid crystal display illumination)", 2001년, 챕터 2의 박사 논문 및 특허 출원 WO01/90637호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반사층은 반투명 미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에서, 반사층은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디스플레이 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명한 편광기이다. 반사 편광기는 제 2 편광 방향에 대해 브래그 반사(Bragg reflection)를 가능하게 하고 직교, 즉 제 1 편광 방향에 대해 투과를 제공하는 주기로 교번하는 복굴절 및 비복굴절층의 적층체일 수 있다. 이 원리에 기초하는 반사 편광기의 예는 비큐이티(Vikuity)TM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의 명칭 하에 쓰리엠 컴퍼니(3M company)에 의해 공급되는 편광기 필름이다.
반사 편광기를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US5506704호, US5793456호, US5948831호, US6193937호 및 '피치 구배를 갖는 콜레스테릭 폴리머 네트워크로부터의 광대역 반사 편광기(Wide-band reflective polarizers from cholesteric polymer networks with a pitch gradient)', 디. 제이. 브로어(D. J. Broer), 제이. 러브(J. Lub), G.N. Mol, 네이처 378(6556), 467-9(1995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콜레스테릭 필름에 기초한다. 1/4 파 필름과 조합하여, 이 필름은 DBEF와 동일한 광학 기능을 제공한다.
대안적으로, 반사 편광기는 광의 파장보다 작은 주기를 갖는 금속의 좁은 주기 라인이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적용되는 소위 와이어 그리드 원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양태, 특징 및 장점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을 지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은 조명 디바이스가 오프될 때 실질적으로 투명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도 1a는 플레이트형 광원이 턴온될 때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1b는 플레이트형 광원이 턴오프될 때 도 1a의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산란층과 반사층 사이에 배치된 흡수 편광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산란층의 전방에 배치된 흡수 편광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산란 편광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산란층을 포함하는 산란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산란층의 경계부에 추가의 광원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조명 디바이스의 개략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조명 디바이스의 바람직한 상세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a는 플레이트형 광원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1b는 도 11a에 따른 플레이트형 광원을 갖는 조명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a와 유사한 도면.
도 11c는 도 11a에 따른 플레이트형 광원을 갖는 조명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b와 유사한 도면.
도 12a 내지 도 12d는 조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조명 디바이스 상의 휘도의 감퇴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산란기의 다른 세그먼트에 대한 휘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그래프를 갖는 조명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조명 디바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은 도식적이고 실제 축적대로 도시된 것은 아니다.
이하, 먼저 산란층 및 반사 부재의 특정 양태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2는 대상물(104)의 전방에 배열된 조명 디바이스(103)의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 조명 디바이스(103)는 본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대향 측면들 상의 산란층(102) 및 반사 부재(106)를 포함한다. 조망자가 도면 부호 204로 개략적으로 지시되어 있다. 이하, 조명 디바이스(103)로부터 조망자(204)를 향한 방향이 제 1 방향으로서 지시될 것이다. 주위 광원(202)은 주위광(208)을 생성한다. 산란층(102)은 주위광(208)의 일부 및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일부를 산란하기 위해 배열된다. 조망자(204)로부터 볼 때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후방에 위치된 반사 부재(106)는 산란된 주위광(206)의 일부 및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일부를 제 1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해 배열된다.
도 1a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턴온될 때 조명 디바이스(103)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조망자(204)는 산란층(102)의 각각의 치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표면을 본다. 산란층(102)은 색상이 균질할 수 있는데, 즉 단일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층(102)은 미리 결정된 질감(texture)을 표현하는 다수의 색상을 갖는다. 이는 산란층(102)의 제 1 영역에 제 1 색상을 갖는 염료가 위치되고, 반면에 산란층(102)의 제 2 구역에는 제 2 색상을 갖는 염료가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b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턴오프될 때 이 조명 디바이스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제, 조명 디바이스는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제 1 방향으로 대상물(104)로부터 기원하는 광(210)(도 2 참조)은 산란층(102)을 통과하고, 조명 디바이스의 전방에 위치된 조망자(204)에 의해 관찰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조망자(204)는 조명 디바이스를 통해 조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턴오프될 때 주위광의 산란량을 감소시키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조망자(204)는:
- 조망자(204)를 향해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104)로부터 기원하는 광, 및/또는
- 주위 광원(202) 및 플레이트형 광원(950)으로부터 기원하고(직접 및/또는 간접) 산란층(102)에 의해 산란되고 선택적으로 반사층(106)에 의해 반사되는 산란된 광(206)을 구비한다.
산란층(102)은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서 산란된 주위광(206)의 양을 제한하도록 배열된 산란 디바이스(600)(도 6 참조)에 포함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산란층(102)은 수동적이다.
도면들과 함께, 다수의 유형의 편광기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편광기라는 것은 광선의 각각의 성분의 편광 방향에 따라 광선을 필터링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편광기는 제 1 편광 방향을 갖는 광선의 성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과성이고, 편광기는 제 1 편광 방향과 직교하는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광선의 성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영향을 준다는 것은 산란 및 흡수를 포함한다.
다양한 편광기가 이하의 기능: 즉
-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편광기가 산란층(102)으로서 사용되고,
-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에서, 편광기가 반사층(106)으로서 사용되는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산란층(102)과 반사층(106) 사이에 배치된 흡수 편광기(40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4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흡수 편광기(402)는 산란된 주위광(206)의 일부를 흡수하도록 배열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흡수 편광기(402)는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주위광의 성분을 흡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유는 이하와 같다.
본 발명의 조명 디바이스에 의한 주위광의 산란 및 반사에 기인하여, 조망자(204)는 반사된 주위광을 수용한다. 광 흡수 수단(402)으로서 흡수 편광기(402)를 적용함으로써, 반사층(106)의 전방에서 반사가 감소될 수 있다. 요구된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 흡수 편광기(402)는 반사층(106)에 의해 반사되어 있을 수 있는, 제 2 편광 방향을 갖는 산란된 주위광(206)의 성분을 흡수하도록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층(106)은 또한 편광기에 기초한다.
도 4는 산란층(102)의 전방에 배치된 흡수 편광기(40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401)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401)의 이 실시예는 도 3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400)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차이점은 흡수 편광기(402)의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수 편광기(402)는 도 3 및 도 4와 관련하여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스위칭 가능한 흡수 편광기이다. 스위칭 가능한 흡수 편광기의 기능 및 위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바와 같은 특허 출원 WO03/079318호에 개시된 것에 대응한다.
도 5는 산란 편광기(5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산란 편광기(500)는 각각의 편광 방향에 대한 상이한 거동을 갖는 재료이다. 산란 편광기는 제 1 편광 방향(D1)을 갖는 광에 대해 실질적으로 투명하고, 제 1 편광 방향(D1)과 직교하는 제 2 편광 방향(D2)을 갖는 광을 산란시키도록 배열된다. 산란 편광기의 예는 헨리 자그트의 "에너지 효율성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을 위한 폴리머 편광 광학 장치", 2001년, 챕터 2의 박사 논문 및 특허 출원 WO01/90637호에 설명되어 있다.
산란 편광기(500)는 폴리머 매트릭스(502) 내에 매립된 입자(504 내지 510)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EN 또는 PET와 같은 공지의 폴리머(502)와 소형 입자(504 내지 510)를 혼합하고, 이어서 이 혼합물을 포일로 압출하고 이 포일을 신장하여 산란 편광기(500)를 제조한다. 신장은 단축 배향을 제공하여, 제 1 편광 방향(D1)에 대해 투명하게 하고, 이는 반면에 직교하는 제 2 편광 방향(D2)에 대해 산란한다.
산란 편광기(500)의 원리는 이하와 같다. 백색원으로서 도시된 소형 입자(504 내지 510)는 제 1 편광 방향(D1)을 갖는 광에 대한 제 1 폴리머 반사율(no) 및 제 2 편광 방향(D2)을 갖는 광에 대한 제 2 폴리머 반사율(ne)을 갖는 단축 배향된 폴리머 매트릭스(502)에서 반사율(nd)을 갖는 분산된 위상에 대응한다. 입자(504 내지 510)의 굴절률(nd)은 제 1 폴리머 굴절률(no)에 정합하고, 반면 제 2 폴리머 굴절률 ne>>nd이다.
산란 편광기(500)는 무채색 신장된 포일 내에 매립된 소형 입자에 기초할 수 있다. 입자는 예를 들어 200 nm의 직경을 갖고 스티렌-부타디엔(S-BR) 고무 코어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쉘로 이루어진 코어-쉘 입자[롬 앤 하스(Rohm and Hass), 파라로이드(Paraloid) EXL 3647]일 수 있다. 색상을 첨가하기 위해, 염료 또는 안료가 입자(504 내지 510) 또는 폴리머 매트릭스(502)에 첨가될 수 있다. 염료가 폴리머 매트릭스(502)에 첨가될 때 또한 특히 신장 방향에 평행한 편광이 채색되게 되지만 산란 편광기(500)는 제 1 편광 방향(D1)에 대해 투과성으로 남아 있도록 정렬된 폴리머 매트릭스(502)를 갖고 자체로 배향되는 2색성 염료가 선택될 수 있다.
구형 입자를 사용하는 대신에, 입자는 또한 예를 들어 세장형인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자는 폴리머 매트릭스 재료의 신장 프로세스 중에 초기에 구형 입자의 용융 및 연신에 의해 얻어지는 파이버형 형상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산란 편광기(500)는 산란층(102)으로서 또는 반사층(106)으로서 적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는 산란 및 반사 기능의 모두를 충족하는 단일의 산란 편광기(500)를 포함하는데, 즉 산란층(102) 및 반사층(106)은 모두 단일의 산란 편광기(500)에 의해 실현된다.
도 6은 산란층(102)을 포함하는 산란 디바이스(6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산란 디바이스(600)는 산란층(102)에 의한 광의 산란량을 제어하도록 배열된다.
산란 디바이스(600)는:
- 예를 들어 유리, PMMA 또는 소정의 다른 실질적으로 투명한 재료에 기초하는 실질적으로 편평한 기판(602 내지 604)의 세트,
- 전압차를 인가하기 위한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각각의 기판(602 내지 604)에 인접한 전기 전도체(606 내지 608)의 세트. 상기 전기 전도체들은 대체로 투명하고 또한 적합하게는 ITO에 기초한다, 및
- 전기 전도체(606 내지 608)의 세트에 의해 개재되는 산란층(102)을 포함한다.
산란층(102)은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분산 액정(PDLC), 콜레스테릭 텍스처 액정(CTLC), 액정(LC) 겔 또는 폴리머 네트워크 액정(PNLC)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체(606 내지 608) 상에, 즉 산란층(102)을 가로질러 적절한 전위차를 인가함으로써, 액정의 배향이 수정될 수 있어, 산란층(102)에 의한 광 산란량의 증가 또는 감소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에서 산란 디바이스(600)의 기능을 지시하기 위해, 조명 디바이스의 후방의 대상물(104)로부터 기원하는 광(210)의 방향, 주위광(208)의 방향 및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의해 방출된 광 및 산란된 주위광(206)의 방향이 도시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디바이스를 가능한 한 얇게 얻기 위해, 반사층(106)과 산란층(102) 사이의 거리는 가능한 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산란 디바이스(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층(106)을 포함한다. 이는 소위 셀-내 구조이다. 반사층(106)은 전극(와이어 그리드에서와 같이)일 수 있다. 반사층(106)은 산란 디바이스(600)에 대해 선택적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반사층(106)을 포함하지 않고 반사층(106)에 인접하는 산란 디바이스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사층(106)과 산란층(102) 사이에 비교적 작은 거리를 갖고 반사층(106)이 산란 디바이스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반사층(106)에 인접한 기판(602)은 비교적 얇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사율 정합 유체, 즉 접착제가 반사층(106)과 산란 디바이스(600) 사이의 광학 접촉을 실현하도록 적용된다.
장식적인 디자인 이유로, 산란층(102)을 부분적으로, 예를 들어 산란 디바이스(600)의 단지 일부만에 대응하는 표면 영역에 걸쳐 스위칭하도록 요구되면, 산란 디바이스(600)의 기판(602 내지 604)은 패터닝된 전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패터닝된 전극은 이산 방식으로 광 산란 영역을 개방 및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패터닝된 전극은 조명 영역을 단지 부분적으로 개방하거나 조명 전력의 구배를 인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산란 디바이스(600)는 상기 부분 표면 영역의 크기 및/또는 치수를 시간에 따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산란층(102)의 경계부에 추가의 광원(702 내지 704)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700)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 디바이스(700)의 이 실시예는 산란층(102)에 의해 추가의 광원(702 내지 704)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방출하도록 배열된다. 이는 추가의 광원(702 내지 704)으로부터의 광이 산란층(102) 내에 커플링되고, 산란층(102)에 의해 산란되고, 이어서 산란층(102)의 표면에서 다수의 위치에서 방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광(706)의 부분은 제 1 방향으로, 즉 조망자(204)를 향해 방출될 것이다.
광원(702 내지 704)의 작동은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작동과 동시적일 수 있다. 이 결과는 증가된 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산란 디바이스(600)는 또한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작동과 동시에 제어된다.
도 7에는, 산란층(102)의 각각의 경계부에 위치되어 있는 2개의 추가의 광원(702 내지 704)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의 광원 중 하나의 광원(704)은 산란층(102)의 후방에 위치되고, 추가의 광원 중 다른 하나(702)는 더 멀리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이한 색상을 갖는 광을 발생시키도록 배열된 다수의 광원(702 내지 704)이 사용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배후의 기본 개념이 설명되었다. 이하, 몇몇 더 바람직한 상세가 설명될 것이다.
도 8은 조명 디바이스(900)의 몇몇 특징의 개략 단면도이다. 디바이스(900)는 반사 부재(906) 및 산란 디바이스(902)를 포함한다. 반사 부재(906)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평면 형상을 갖는다. 사용시에 조망자(204)에 지향되게 되는 반사 부재(906)의 제 1 표면은 전방 표면(911)이라 지시될 것이다. 제 1 표면(911)에 대향하는 제 2 표면은 반사 부재(906)의 후방 표면(912)이라 지시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산란 디바이스(902)는 사용시에 조망자(204)에 지향되게 되는 전방 표면(921)과, 조망자(204)로부터 이격되어 지향되는 후방 표면(922)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 디바이스(900)는 산란층(902)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바람직하게는 산란층(902)에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지 않는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950)을 포함한다.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사용시에 조망자(204)에 지향되게 되는 전방 표면(951) 및 후방 표면(952)을 갖는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산란층(902)의 후방측에 배열되는데, 즉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전방 표면(951)은 산란층(901)의 후방 표면(922)에 인접한다.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산란층(902)의 전방에 배열되는데, 즉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후방면(952)은 산란층(902)의 전방 표면(921)에 인접한다.
작동은 이하와 같다. 조명 디바이스(900)가 그 장식 또는 조명 상태에 있을 때,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스위칭 온된다. 도 9a의 경우에, 플레이트형 광원(950)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화살표 96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층(902)의 전체 표면에 걸쳐 산란층(902) 내에 커플링되고, 화살표 962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조망자(204)를 향해 산란층(902)에 의해 전방 산란된다. 도 9b의 경우에, 플레이트형 광원(950)으로부터 나오는 광은 화살표 963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산란층(902)의 전체 표면에 걸쳐 산란층(902) 내에 커플링되고, 화살표 964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플레이트(950)를 통해 조망자(204)를 향해 산란층(902)에 의해 재산란된다. 그 결과, 양 경우에, 조망자(204)는 약간 유백색 외관의 방출광을 갖는 것으로서 산란층(902)을 관찰할 수 있다.
도 9a의 경우에, 플레이트형 광원(950)으로부터 반사 부재(906)로 지향된 임의의 광선은 대부분 반사 부재(906)에 의해 재반사되고, 그 투명도의 견지에서 플레이트(950)를 통과하고, 산란층(902)에 진입하여 따라서 산란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9b의 경우에는, 산란층(902)을 통과하여 반사 부재(906)에 도달하는 임의의 광선은 대부분 반사 부재(906)에 의해 재반사되고 산란층(902)에 재진입하여 따라서 산란에 기여하게 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된다.
도 9a에 도시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외부 전방 표면 상에 먼지 입자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원하지 않는 전방 산란에 대해 더 강한 점에서 도 9b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해 장점을 갖는다.
조명 디바이스가 오프될 때, 산란층(902)은 비산란 상태로 스위칭되어, 조망자(204)가 산란된 광(962, 964)에 의해 방해받지 않게 될 수 있다. 대상물(104)로부터의 광(914)은 그 투명도에 기인하여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의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반사 부재(906)를 완전히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된다.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산란 특성을 갖고 그 주변을 따라 배열된 하나 이상의 광원을 구비하는 수동 플레이트로서 적합하게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2개의 상태, 즉 산란 상태와 비산란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여, 스크린(104)이 온될 때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산란 특성이 스위칭 오프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실제로 자체로 광을 발생시키는 능동 광원으로서 구현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예로서, 플레이트형 광원(950)은 유기 LED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산란층(902)은 2개의 상태, 즉 산란 상태와 층(902)이 실질적으로 투명한 비산란 상태를 갖는 스위칭 가능한 층이다.
특정 장식 효과가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0a는 도 9a의 실시예의 조명 디바이스(9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지만, 이하의 내용은 도 9b의 실시예에도 또한 적용된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면은 조명 디바이스(900)가 중앙부(971) 및 중앙부 외측의 주연부(972)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플레이트형 광원(950) 및 산란층(902)의 대응 중앙부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중앙부(957) 및 산란층(902)의 중앙부(907)라 각각 칭할 것이다. 플레이트형 광원(950) 및 산란층(902)의 대응 주연부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주연부(958) 및 산란층(902)의 주연부(908)라 각각 칭할 것이다.
장식 모드에서, 전체 조명 디바이스(900)는 조망자(204), 즉 주연부(972) 및 중앙부(971)의 모두를 향해 산란된 광(962 또는 964)을 생성한다. 주연부(972)의 이면, 즉 조망자(204)로부터 이격되어 지향되는 외부 표면은 흑색층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장식 모드에서, 사용자는 중앙 투명부 둘레에 백색(또는 백색같은) 프레임을 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허용하기 위해, 조명 디바이스(900)의 중앙부(971)는 스위칭 오프되지만, 조명 디바이스(900)의 주연부(972)는 스위칭 온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특히, 플레이트형 광원(950)의 에지를 따라 배열된 광원(967)은 스위칭 온 상태로 남아 있고, 산란층(902)의 중앙부(907)는 그 비산란 상태로 스위칭되고 산란층(902)의 주연부(908)는 그 산란 상태로 스위칭된다.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능동 광원이면, 그 중앙부(957) 및 주연부(958)는 바람직하게는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될 수 있어, 이 경우에 중앙부(957)가 스위칭 오프되고 주연부(958)가 스위칭 온된다.
이러한 백색 프레임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디바이스(900)는 바람직하게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로부터 독립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될 수 있고 중앙부(971) 또는 주연부(972)를 구성하도록 요구에 따라 조합될 수 있는 다수의 섹션(981, 982, 983, 984) 등을 갖는다.
조명 디바이스를 평판 램프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른 상세로서, 전술된 광원(950)으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도면 부호 1300으로 지시된 실질적으로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의 특히 유리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광원(1300)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1311, 1312) 및 원주방향 측면(1313)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로서 구현된다. 플레이트 본체(1310)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윤곽을 갖는데, 이 경우 측면은 도면에 도시된 그 직립 상태에서, 하부면, 상부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함한다. 발광이 고려되는 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는 일반적으로 수동적이지만, 능동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서로 평행한 표면을 갖는 임의의 플레이트형 투명 재료가 광 안내 플레이트로서 사용에 적합한 것이 주목된다.
광원(1300)은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측면(1313)에 인접하여 미리 결정된 위치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능동 발광 소자(1320)를 추가로 포함한다. 능동 발광 소자(1320)는 유리하게는 LED로서 구현되지만, 예를 들어 가스 배출 튜브와 같은 다른 실시예가 또한 가능하다. 도 11a가 측면도이면, 이 도면은 측면(1313)의 하부면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능동 발광 소자(1320)를 도시한다.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측면(1313)은 발광 소자(1320)로부터의 광이 반사가 거의 또는 전혀 없이 용이하게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에 진입하도록 마무리된다.
조명 성능을 얻기 위해,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산란 특성을 가져야 하는데, 즉 광은 주표면(1311, 1312)에 수직인 성분을 갖는 방향에서 주표면(1311, 13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커플링 아웃되어야 한다. 적합한 산란 특성을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표면(1311, 1312) 중 적어도 하나가 영구 불균일부 또는 요철부(1315)를 구비하는 것이 제안된다. 요철부(1315)는 표면(1311)으로부터 돌출하는 재료 부분(볼록부)으로서 또는 표면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만입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b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광원(1300)으로 대체되는 도 9a의 디바이스(900)와 유사한 조명 디바이스(1301)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a와 유사한 도면이다. 여기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는 산란 디바이스(902)의 후방 표면(922)에 지향된 그 전방 표면(1311)을 갖는다. 여기서,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은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후방 표면(1312)이다.
도 11c는 플레이트형 광원(950)이 광원(1300)으로 대체되는 도 9b의 디바이스(900)와 유사한 조명 디바이스(1302)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9b와 유사한 도면이다. 여기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는 산란 디바이스(902)의 전방 표면(921)에 지향된 그 후방 표면(1312)을 갖는다. 여기서, 요철부를 구비하는 것은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전방 표면(1311)이다.
따라서, 요철부를 갖는 주표면은 산란 디바이스(902)로부터 이격하여 지향된다. 상기 경우에, 산란 디바이스(902)는 바람직하게는, 산란 돌출부 및 광학적 커플링의 조합이 위장 디바이스의 전체 표면에 걸쳐 충분한 광 강도를 성취하기 어렵게 너무 높은 아웃커플링 효율을 초래할 수 있는 상황에서, 광학적으로 커플링되지 않고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근접하게, 가능하게는 심지어 플레이트형 광원(950)에 접촉하여 위치된다는 것이 주목된다.
요철부는 플레이트 본체(1310)에 산란 특성을 제공하거나 이러한 특성을 첨가한다. 따라서, 대응 표면(1311, 1312) 상의 분포에 따라, 상기 요철부는 발광 소자(1320)가 온 상태이고 조명 디바이스(1302, 1301)가 그 장식 상태에 있을 때의 상황에서 조명 디바이스(1302, 1301)의 균일성 및 효율을 향상시킨다.
요철부(1315)는 대응 표면(1311, 1312)에 걸쳐 균등하고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그러나, 요철부(1315)가 예를 들어 사진과 같은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특정 패턴에 따라 분포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요철부(1315)는 도트 패턴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도트의 밀도 및/또는 크기는 표면(1311, 1312)에 걸쳐 다양할 수 있다. 요철부(1315)를 제공하기 위한 적합한 방법의 예는 샌드블래스팅이고, 여기서 마스크가 밀도 또는 다른 장식 선호도의 원하는 편차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니샤 프린팅 컴퍼니 리미티드(Nissha Printing Co Ltd)의 일본 특허 출원 제 1999-223805호(공개 번호: 제 2001-052519호)는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로서 광 안내 플레이트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광 안내 플레이트는 2개의 비평행 표면을 포함하고, 하나의 표면은 20 ㎛ 미만의 직경을 갖고 원의 부분을 따른 단면 형상을 갖는 비-미러 돌출부를 구비한다. 돌출부에 대면하는 광 안내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디바이스는 미러 평면을 포함한다. 광은 플레이트의 측면에 입력되고, 부분적으로 돌출부에 의해 출력된다. 돌출부에 의해 출력된 광은 미러에 의해 반사되고, 광 안내 플레이트의 폭을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돌출부에 대향하는 표면에서 출력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오프 상태에서 투명하지 않고, 따라서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투명 조명 디바이스로서 적합하지 않다.
특정 실험 실시예에서, 플레이트 본체(1310)는 유리로 제조되었고, 요철부는 도트 패턴으로 샌드블래스팅에 의해 형성되었다. 도트의 크기(실질적으로 원형 도트의 직경)는 변경되었고, 도트의 밀도도 변경되었다.
오프 상태에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가시도는 증가하는 도트 크기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0.4 mm보다 큰 도트 크기가 바람직하지 않은 가시도를 수반하는 것으로 판명되어, 0.4 mm보다 작은 도트 크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도트 크기의 바람직한 범위는 20 내지 200 ㎛이고, 이 크기는 샌드블래스팅을 사용하여 양호하게 성취될 수 있다. 대략 0.1 mm의 도트 크기가 매우 만족스런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더 작은 도트 크기가 또한 양호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감소된 가시도의 견지에서 바람직할 수 있지만, 마스크를 사용하는 필요성의 견지에서 미리 규정된 패턴을 제조하는 것이 더 어렵다.
또한, 도트 밀도는 플레이트형 광원(1300)의 휘도 및 그에 따른 온 상태의 조명 성능에 상당히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플레이트 본체(1310)의 영역이 더 높은 도트 밀도를 가질 때, 더 많은 광이 플레이트 본체(1310)로부터 커플링 아웃되고, 따라서 더 높은 국부 휘도 및 더 양호한 조명 성능이 이 영역에서 성취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더 많은 광이 커플링 아웃되고, 더 적은 광이 이러한 영역을 넘어 남아 있어, 따라서 발광 소자(1320)로부터 더 큰 거리에서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어 온 상태에서의 조명 성능을 감소시킨다. 0.1 mm의 도트 크기에서, 5 내지 500 도트/cm2 범위의 도트 밀도가 적합한 절충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에서, 반사 부재와 산란층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가 설명되었고, 산란층은 플레이트형 광원을 구비한다. 대체로, 산란층과 플레이트형 광원의 조합은 조명 디바이스의 영역에 걸쳐 광의 분산 섬광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산란층 및 플레이트형 광원의 모두는 기본적으로 상이한 목적을 담당한다. 다소의 확산광을 제공하는 플레이트형 광원으로부터 시작하여, 산란층은 이 광을 더 산란시키고 더욱 더 확산시키고 주위광을 산란시킴으로써 휘도를 더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적합한 디자인에서 플레이트형 광원 자체의 조명 성능은 이미 개별 산란층이 생략될 수 있도록 하는데 충분하다.
상기 내용은 예를 들어 유기 LED를 사용하여 또는 무기 박막 전계 발광층에 의해 구현된 능동 플레이트형 광원에,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에도 적용된다. 이 이해에 기초하여, 도 12a 내지 도 12d는 개별 산란층이 생략되어 있는 조명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2a에서, 조명 디바이스(1401)는 능동 플레이트형 광원(1409)과 반사 부재(906)의 조합을 포함한다.
도 12b에서, 조명 디바이스(1402)는 조망자(204)를 향해 지향된 그 전방 표면(1411)에 요철부(1415)를 갖는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과 반사 부재(906)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향을 갖는 디바이스는 도 12c의 디바이스와 비교할 때 더 높은 광 효율을 갖는다.
도 12c에서, 조명 디바이스(1403)는 조망자(204)로부터 이격하여 지향된 그 후방 표면(1412)에 요철부(1415)를 갖는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과 반사 부재(906)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향을 갖는 디바이스는 도 12b의 디바이스와 비교할 때 오염에 대해 더 강인하다.
도 12d에서, 조명 디바이스(1404)는 그 전방 표면(1411) 및 그 후방 표면(1412)의 모두에 요철부(1415)를 갖는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과 반사 부재(906)의 조합을 포함한다. 따라서, 실시예(1402, 1403)의 장점이 조합된다. 또한, 2개의 상이한 표면(1411, 1412)에서의 요철부를 서로 상이한 패턴으로 배열함으로써 특정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들(1402, 1403, 1404)에서, 발광 소자는 항상 도면 부호 1420으로서 지시된다. 플레이트 본체(1410) 및 요철부(1415)에 대해서, 도 11a 내지 도 11c의 플레이트 본체(1310) 및 요철부(1315)와 관련하여 언급된 것과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도 12a 내지 도 12에서, 조명 디바이스(1401 내지 1404)는 반투명 또는 스위칭 가능 미러일 수 있는 반사 부재(906)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시된다. 이러한 부재는 유리하고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 부재는 적절한 조명 디바이스를 성취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이 주목된다.
상기에서, 플레이트형 광원 및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예를 들어, 도 8 및 도 9a 내지 도 9b 참조)를 포함하고, 플레이트형 광원은 측면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를 갖는 광 안내 플레이트로서 구현되어 있는 조명 디바이스의 실시예가 설명되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더 큰 거리에서의 휘도가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문제점은 수평축이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도면의 아래에 도시됨)의 발광 소자(1320)로부터의 거리를 표현하는 그래프를 도시하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수직축은 특정 위치에서 발생된(즉, 커플링 아웃된) 광량을 표현한다. 이 양은 예를 들어 평방 센티미터당 절대 강도로서 표현될 수 있지만, 발광 소자의 강도의 백분율로서 이 양을 표현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특정 위치에서의 아웃커플링 효율(p)(즉, 커플링 아웃된 위치에 도달하는 광의 강도의 백분율)이 발광 소자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것으로 가정하면, 각각의 위치(i)에서 커플링 아웃되어 다음 위치(i+1)에 도달하는 광량[INT(i+1)]의 양[LOUT(i)]은 이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LOUT(i)=p·INT(i)
INT(i+1)=(1-p)·INT(i)
따라서, LOUT(i)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 곡선으로서 도식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명백할 것이다.
p가 비교적 작으면,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범위에 걸친 LOUT(i)의 감퇴는 눈에 띄지 않거나 수용 가능하기에 충분히 작을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형 광원의 표면 광 강도는 비교적 작을 수 있다. p가 증가되면, 발광 소장 근접한 위치(작은 i의 값)에서의 플레이트형 광원의 표면 광 강도가 증가될 수 있지만, 불가피하게 발광 소자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의 플레이트형 광원의 표면 광 강도는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크기에 따라 더 적은 정도로 증가되거나 또는 심지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310)의 정도에 걸친 LOUT(i)의 감퇴는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도트 크기 및 도트 밀도는 균일하지만, 광 출력은 불균일할 수 있고, 이는 수용 불가능할 수 있다. 특정 정도로, 이 문제점은 예를 들어 발광 소자로부터의 거리의 함수로서 아웃커플링 효율(p)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트 크기 및/또는 도트 밀도를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의 대향 측면들에 발광 소자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접근법을 도시한다. 이 도면은 조명 디바이스(1600)의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1650)의 정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조명 디바이스(1600)는 산란기(1650)의 후방에 위치되어 따라서 보이지 않는 플레이트형 광원을 또한 포함한다. 플레이트형 광원은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이 구현된 수동형이고, 그 측면 조명(1620)은 산란기의 좌측 측면에 도시되어 있다.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1650)의 스위칭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도면 부호 1670으로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양태에 따르면,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1650)는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1660)로 세분되고, 개별 세그먼트는 1 내지 N의 범위인 지수(i)에 의해 식별되고, N은 세그먼트의 수를 지시한다. 세그먼트(1660)는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지만,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세그먼트(1660)의 종방향 차원은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1620)이 위치되는 측면인 광 입력 측면(1621)에 평행하게 지향된다. i를 증가시키기 위해, 발광 소자(들)(1620)로부터 종방향 세그먼트[1660(i)]까지의 거리는 더 커진다.
산란기 세그먼트[1660(i)]는 개별적으로 독립적으로 스위칭 가능하다. 제어기(1670)는 각각의 산란기 세그먼트[1660(1), 1660(2),...,1660(N)]에 커플링된 산란기 제어 출력부[1671(1), 1671(2),...,1671(N)]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670)는 발광 소자 또는 소자들(1620)에 커플링된 제어 출력부(1672)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제어기(1670)는 시간 순차적인 방식으로 산란기 세그먼트[1660(i)]를 구동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어기(1670)는 일 특정 산란기 세그먼트[1660(j)]가 산란 상태에 있고 모든 다른 산란기 세그먼트[1660(i)](i≠j)는 비산란 상태에 있는 방식으로 각각의 산란기 세그먼트[1660(i)]에 대한 그 각각의 제어 출력[1671(i)]에서 제어 신호[Sc(i)]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어기(1670)는 미리 결정된 세그먼트 유지 기간[τ(j)] 동안 이 상태를 유지하고, 이어서 후속의 특정 산란기 세그먼트[1660(j+1)]가 산란 상태에 있고 모든 다른 산란기 세그먼트[1660(i)](i≠j+1)는 비산란 상태에 있는 다음 상태로 계속된다. 이는 모든 산란기 세그먼트가 이들의 산란 상태로 간단히 스위칭될 때까지 계속되고, 다음에 사이클이 반복된다. 달리 말하면, 산란 상태는 산란기 상에서 주사된다. 사이클 기간(T)은 ∑τ(j)로서 정의될 수 있다.
산란기 세그먼트의 수는 적어도 2개일 수 있고, 원리적으로 원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면에서, 세그먼트의 수는 8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접근법의 장점은,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예를 들어, 도 11a의 1310)로부터 커플링된 광량이 그 비산란 상태에 있는 이들 산란기 세그먼트에 대해 매우 낮고, 그 산란 상태에 있는 산란기 세그먼트에 대해 비교적 높다는 것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광 강도의 감퇴는 단지 그 산란 상태에 있는 산란기 세그먼트의 폭에 걸쳐 그리고 이 폭에 따라 관찰될 수 있고, 이러한 감퇴는 p에 대해 비교적 높은 값에서도 비교적으로 낮을 수 있다.
물론, 그 산란 상태에 있는 산란기 세그먼트(들)만이 조명 효과를 갖고, 다른 세그먼트들은 실제적으로 조명 효과를 갖지 않는다. 그러나, 이 상황은 순간적이고, 세그먼트 유지 기간(τ) 동안 지속된다. 사이클 기간(T)보다 큰 시간 스케일에서, 모든 세그먼트는 부분적으로 조명 상태에 있고, 조명비는 DR=τ(j)/T로서 정의될 수 있다. 사이클 기간(T)이 예를 들어 10 ms 이하와 같이 충분히 짧으면, 순차적인 조명 또는 "주사 조명"이 인간의 눈에 거의 또는 전혀 눈에 띄지 않는다. 각각의 산란기 세그먼트에 대해, 평균 출력 광량은 DR·LOUT으로서 기록될 수 있다. 중요한 양태는 이 평균 출력 광량이 기본적으로는 모든 세그먼트에 대해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도 14에 산란기(1650)와 정렬된 그래프 내의 2개의 곡선에 도시되어 있고, 여기서 일 곡선(1682)은 제 2 산란기 세그먼트가 그 산란 상태에 있을 때(j=2)의 광 분포를 도시하고, 반면에 다른 곡선(1686)은 제 6 산란기 세그먼트가 그 산란 상태에 있을 때(j=6)의 광 분포를 도시한다. 제 6 산란기 세그먼트의 광 강도는 제 2 산란기 세그먼트의 광 강도와 동일한 레벨에 있고, 이는 제 1 내지 제 5 세그먼트가 광을 거의 "소비"하지 않는 사실에 기인한다.
산란기 세그먼트의 수 또는 세그먼트의 폭은 균일성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발광 소자(1620)의 광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세그먼트당 감퇴는 산란기 세그먼트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산란기가 발광 소자(들)로부터 더 이격하여 산란기 세그먼트에 대한 광의 손실로부터 여전히 문제가 있으면, 발광 소자(들)로부터 증가하는 거리(즉, 증가하는 j)에 따라 세그먼트 유지 기간[τ(j)]을 증가시킴으로써 이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란 세그먼트는 단지 산란 상태 또는 비산란 상태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 산란의 효율(p)이 제어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광의 손실은 산란 효율[p(j)]이 발광 소자(들)로부터의 증가하는 거리(즉, 증가하는 j에 대해)에 따라 증가하도록 제어기가 세그먼트를 제어하게 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발광 소자(들)(1620)의 광 강도는 시간에 따라 일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기(1670)는 발광 소자(들)(1620)의 광 강도를 제어하기 위해 발광 소자(들)에 커플링된 제어 출력부(1672)를 갖는다. 이 경우, 광의 손실은, 광 강도가 순간적으로 산란하는 세그먼트[1660(j)]와 발광 소자(들) 사이의 증가하는 거리(즉, 증가하는 j에 대해)에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발광 소자(들)(1620)를 제어기가 제어하게 함으로써 보상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들)(1620)는 단지 조명 디바이스(1600)의 일 측면(1621)을 따라 배열되고, 산란기(1650)는 이 측면에 평행하게, 즉 도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 1 세그먼트(1660)로 세분된다. 광은 이 일 측면(1621) 및 상기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세그먼트(1660)만에 수직으로, 즉 도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균일성은 또한 조명 디바이스(1600)의 대향 측면(1622)을 따라 배열된 발광 소자(들)를 가짐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균일성은 산란기(1650)가 또한 복수의 제 1 세그먼트에 수직인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 2 세그먼트로 세분되면 향상될 수 있고, 제 2 발광 소자(들)는 조명 디바이스(1600)의 상기 일 측면(1621)에 수직인 제 3 측면(1623)을 따라 배열되고, 가능하게는 또한 발광 소자(들)는 상기 제 3 측면(1623)에 대향하는 제 4 측면(1624)을 따라 배열된다. 이 복수의 제 2 세그먼트의 시간 순차적 제어에 대해, 복수의 제 1 세그먼트에 대해 언급되어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 적용되고, 이 복수의 제 2 세그먼트의 시간 순차적 제어는 상기 복수의 제 1 세그먼트의 시간 순차적 제어와는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다.
플레이트형 광원은 지금까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실제로 특정 장식 효과는 플레이트형 광원이 곡선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지면 성취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곡률은 단지 일 방향에서 일 수 있지만, 2개의 서로 수직인 방향에서 일 수도 있다(베개형 또는 안장형을 얻기 위해). 도 15a 및 도 15b는 플레이트형 광원(1700)이 자체로 폐쇄되도록 360°로 만곡되어 있는 플레이트 본체(1710)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1701, 1702)의 마지막 예를 도시한다. 곡률 반경이 일정한 것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들 도면은 플레이트형 광원이 상부 에지(1741) 및 하부 에지(1742)를 갖는 실린더를 형성하도록 만곡되고 종축이 도면 부호 1714로 지시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플레이트 본체(1710)는 본체 축(1714)에 평행한 2개의 종방향 에지(1743, 1744)를 추가로 갖는다.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재차 능동 광원일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플레이트형 광원(1700)이 수동 광원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a의 실시예에서, 하부 에지(1742)는 광 입력 에지이고,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1720)는 하부 에지(1742)와 정렬하여 위치된다. 대안적으로 및/또는 추가적으로, 발광 소자는 또한 상부 에지(1741)와 정렬하여 위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2개의 축방향 에지(1743, 1744)가 서로 접촉하여 배열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원주방향에서 광 분포가 연속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발광 소자(1720)는 평면형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도 15b의 조명 디바이스(1702)에서, 2개의 축방향 에지(1743, 1744)는 광 입력 에지이고, (하나 이상의) 발광 소자(1720)는 이들 2개의 에지 사이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발광 소자로부터의 광이 제 1 에지를 거쳐 진입하거나 대향 에지를 거쳐 진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심지어 하나의 단일 발광 소자를 갖는 대향 에지들로부터 광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발광 소자(1720)는 TL 램프와 같은 종방향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반투명 플레이트형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일 수 있고, 주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를 구비한다.
요철부는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재료 부분으로서 및/또는 표면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요철부는 바람직하게는 도트의 패턴으로 샌드블래스팅에 의해 배열될 수 있고, 여기서 도트는 20 내지 200 ㎛의 범위, 대략 100 ㎛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도트 밀도는 5 내지 500 도트/cm2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도면 및 상기 설명에서 상세히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도시 및 설명은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적이거나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이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히려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
플레이트형 광원(950)과 함께 사용된 광원(967)은 예를 들어 백색과 같은 단지 하나의 색상의 광만을 방출할 수 있지만, 이들 광원(967)이 가변 색상을 갖는 광을 방출하여 은폐광이 벽의 외관에 정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이들 광원은 RGB형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른 변형이 도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의 연구로부터 청구된 발명을 실시할 때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해되고 실시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는"은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고, 단수 표현의 용어는 복수의 것들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단지 특정 수단이 서로 상이한 종속 청구항에 인용되는 것은 이들 수단의 조합이 장점을 갖고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지시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범위에서의 임의의 도면 부호는 범주를 한정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정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이 또한 설명된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2: 산란층 103: 조명 디바이스
104: 대상물 106: 반사 부재
202: 주위 광원 204: 조망자
206: 주위광 208: 주위광
400: 조명 디바이스 402: 흡수 편광기
500: 산란 편광기 600: 산란 디바이스
702 내지 704: 추가의 광원 900: 조명 디바이스
902: 산란층 906: 반사 부재
921: 전방 표면 922: 후방 표면
950: 플레이트형 광원 951: 전방 표면
952: 후방 표면 967: 광원
971: 중앙부 972: 주연부
1300: 플레이트형 광원 1302: 조명 디바이스
1310: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 1311, 1312: 주표면
1313: 측면 1315: 요철부
1320: 능동 발광 소자 1400: 광원
1401: 조명 디바이스 1402: 조명 디바이스
1403: 조명 디바이스 1410: 플레이트 본체
1411: 전방 표면 1412: 후방 표면
1415: 요철부 1409: 광원
1600: 조명 디바이스 1650: 산란기
1660: 종방향 세그먼트 1670: 제어기
1700: 플레이트형 광원 1702: 조명 디바이스

Claims (25)

  1. 조명 디바이스(1401; 1402; 1403; 1404)로서,
    반투명 플레이트형 광원(1409; 1400)을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들(1411; 1412)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이고, 상기 주표면들(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1415)를 구비하는 조명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415)는 상기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재료 부분으로서 및/또는 상기 표면 내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로서 구현되는 조명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는 조망자(204)에 지향되는 전방 표면(1411) 및 상기 전방 표면에 대향하는 후방 표면(1412)을 갖고, 상기 요철부(1415)는 상기 전방 표면(1411)에 배열되는 조명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상기 후방 표면(1412)에 인접한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에 평행하게 배열된 산란층(902)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는 조망자(204)에 지향되는 전방 표면(1411) 및 상기 전방 표면에 대향하는 후방 표면(1412)을 갖고, 상기 요철부(1415)는 상기 후방 표면(1412)에 배열되는 조명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상기 전방 표면(1411)에 인접한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에 평행하게 배열된 산란층(902)을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는 조망자(204)에 지향된 전방 표면(1411) 및 상기 전방 표면에 대향하는 후방 표면(1412)을 갖고, 상기 요철부(1415)는 상기 전방 표면(1411) 및 상기 후방 표면(1412)의 모두에 배열되는 조명 디바이스.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상기 후방 표면에 대면하는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400)에 평행하게 배열된 반사 부재(906)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415)는 샌드블래스팅에 의해 배열되는 조명 디바이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1415)는 도트의 패턴으로 배열되는 조명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는 20 내지 20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 ㎛의 크기를 갖는 조명 디바이스.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밀도는 5 내지 500 도트/cm2의 범위인 조명 디바이스.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 밀도 및/또는 도트 크기는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표면에 걸쳐 변하는 조명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은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측면(1313)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도트 밀도 및/또는 도트 크기는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의 광 아웃커플링 효율(p)이 상기 발광 소자(1420)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409; 1400)에 평행하게 배열된 산란기(165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산란층은 서로 평행한 복수의 종방향 세그먼트들[1660(i)]로 세분되는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1650)로서 구현되고, 상기 세그먼트들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스위칭 가능하고,
    상기 디바이스는 각각의 상기 산란기 세그먼트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출력부(1671)를 갖는 제어기(167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시간 순차적 방식으로 그의 산란 상태로 상기 세그먼트들을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160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들(1411; 1412)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이고, 상기 주표면들(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1415)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은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측면(1313)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20; 16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미리 결정된 세그먼트 유지 기간[τ(i)] 동안 그의 산란 상태로 각각의 개별 세그먼트[1660(i)]를 유지하고, 상기 세그먼트 유지 기간[τ(i)]은 발광 소자들(1620)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조명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투명한 주표면들(1411; 1412)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이고, 상기 주표면들(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1415)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은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측면(1313)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20; 16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산란기 세그먼트들(1660)의 산란 효율(p)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산란 효율은 상기 발광 소자(1620)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게 되는 조명 디바이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은 2개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주표면들(1411; 1412)을 갖는 투명한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를 포함하는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이고, 상기 주표면들(1411; 1412) 중 적어도 하나는 영구 요철부(1415)를 구비하고,
    상기 수동 플레이트형 광원(1400)은 상기 광 안내 플레이트 본체(1410)의 측면(1313)에 인접하여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420; 162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발광 소자(들)(1620)의 광 강도(intensity)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발광 소자(들)(1620)에 커플링된 광 제어 출력부(1672)를 갖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산란기 세그먼트들(1660)의 시간 순차적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 소자(들)의 광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광 강도는 순간적으로 산란하는 세그먼트와 상기 발광 소자(들) 사이의 거리가 증가함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 조명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가능한 산란기(1650)는 또한 상기 복수의 제 1 세그먼트들에 수직인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제 2 세그먼트들로 세분되고, 상기 제어기는 시간 순차적 방식으로 그의 산란 상태로 상기 복수의 제2 세그먼트를 또한 스위칭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디바이스.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플레이트형 광원(1409)은 능동 플레이트형 광원인 조명 디바이스(1401).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곡선형 플레이트 본체를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1701, 1702).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제 1 축방향 단부 에지(1741), 제 2 축방향 단부 에지(1742) 및 종축(171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종방향 에지들(1743, 1744)을 갖는 플레이트 본체(1710)를 포함하는 수동 광원이고,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상기 축방향 단부 에지들(1742)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720)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1701).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제 1 축방향 단부 에지(1741), 제 2 축방향 단부 에지(1742) 및 종축(1714)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2개의 종방향 에지들(1743, 1744)을 갖는 플레이트 본체(1710)를 포함하는 수동 광원이고,
    상기 플레이트형 광원(1700)은 상기 종방향 에지들(1743, 1744)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720)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명 디바이스(1702).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본체(1710)는 그의 2개의 종방향 에지들(1743, 1744)이 서로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거의 360°에 걸쳐 만곡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720)는 상기 종방향 에지들(1743, 1744) 사이에 위치되는 조명 디바이스(1702).
KR1020107027532A 2008-05-08 2009-04-27 조명 디바이스 KR20110014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55866.0 2008-05-08
EP08155866 2008-05-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184A true KR20110014184A (ko) 2011-02-10

Family

ID=40823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532A KR20110014184A (ko) 2008-05-08 2009-04-27 조명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10050127A1 (ko)
EP (1) EP2277081A2 (ko)
JP (1) JP2011520230A (ko)
KR (1) KR20110014184A (ko)
CN (1) CN102016698A (ko)
BR (1) BRPI0908288A2 (ko)
MX (1) MX2010012048A (ko)
RU (1) RU2010150142A (ko)
TW (1) TW201000803A (ko)
WO (1) WO200913631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8552A (ja) * 2011-05-13 2012-12-06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照明付き鏡
JP6424428B2 (ja) * 2012-10-26 2018-11-2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導光体、導光体の製造方法、光シャッター及び面光源装置
DE202012104953U1 (de) * 2012-12-19 2014-03-26 Zumtobel Lighting Gmbh Leuchte mit einem gekrümmten Lichtleitelement
DE202014105394U1 (de) * 2014-11-11 2016-02-12 Zumtobel Lighting Gmbh LED-Leuchte mit einem gebogenen Lichtleiter
EP3250950A1 (en) * 2015-01-29 2017-12-06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Electro-optical device stack
CN110658583A (zh) * 2019-11-06 2020-01-07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2922A (zh) * 1998-06-02 2000-11-08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配置前照光的触摸屏装置
US6425673B1 (en) * 1999-09-20 2002-07-30 Mitsubisshi Chemical Corporation Light guide pipe having elongate roughened protrusions and/or roughened concaves, planar light source unit having a broad viewing angle characteristic,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20001594A (ko) * 2000-06-26 2002-01-09 가마이 고로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반사형 액정 표시 장치
DE10205405A1 (de) * 2002-02-09 2003-08-21 Thomas Emde Fensterelement
DE10231502A1 (de) * 2002-07-12 2004-01-22 Thomas Emde Fensterelement
US7015989B2 (en) * 2003-05-12 2006-03-21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dual light unit
GB0326005D0 (en) * 2003-11-07 2003-12-1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aveguide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JP4468110B2 (ja) * 2004-08-20 2010-05-26 有限会社クリオテック 発光用エレメント、これを備えた発光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6323302A (ja) * 2005-05-20 2006-11-30 Sanyo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装置
JP2007073206A (ja) * 2005-09-02 2007-03-22 Nidec Sankyo Corp Led光源装置、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7167418A (ja) * 2005-12-22 2007-07-05 Fujifilm Corp 展示装置
JP2007305544A (ja) * 2006-05-15 2007-11-22 Mitsubishi Rayon Co Ltd 面光源装置用導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8041295A (ja) * 2006-08-02 2008-02-21 Seiko Instruments Inc 照明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0803A (en) 2010-01-01
WO2009136310A3 (en) 2009-12-30
EP2277081A2 (en) 2011-01-26
BRPI0908288A2 (pt) 2015-07-21
JP2011520230A (ja) 2011-07-14
MX2010012048A (es) 2010-12-06
WO2009136310A2 (en) 2009-11-12
US20110050127A1 (en) 2011-03-03
RU2010150142A (ru) 2012-06-20
CN102016698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323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isguising device
JP5384347B2 (ja) 照明システム、照明器具および表示デバイス
TWI554796B (zh) 用以將光耦合進入透明板的系統和方法
TWI596406B (zh) 光導元件
US9268166B2 (en) NVIS campatible backlight device and LCD using the same
JP2009510513A (ja) 画像表示装置
JP6263478B2 (ja) 照明装置
TW201248081A (en)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CN101655639B (zh) 包含非均匀线光源的侧光式lcd背光模组
KR20110014184A (ko) 조명 디바이스
TW201229634A (en) Light source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JP5290435B2 (ja) 調光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2005043A1 (ja) 液晶表示装置
KR20180060288A (ko) 디스플레이장치
JP2010218693A (ja) 点状光源用導光板
JP4966146B2 (ja) 面発光装置
TW200933090A (en) A light source device and a display device
EP2388513B1 (en) Light module
KR100939191B1 (ko) 미세 구멍이 분포된 반사시트를 구비한 백라이트용 광학패널
TWI598858B (zh) 前光模組及其顯示裝置
CN116559991A (zh) 光导元件及包含其的显示装置
KR20130016972A (ko) 확산층을 구비하는 도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디스플레이 장치 및 조명 장치
JP2004146191A (ja) 面光源
KR20120056468A (ko) 광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표시장치
CN102734695A (zh) 具有整体光学间隔体的散射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