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4115A -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4115A
KR20110014115A KR1020100074808A KR20100074808A KR20110014115A KR 20110014115 A KR20110014115 A KR 20110014115A KR 1020100074808 A KR1020100074808 A KR 1020100074808A KR 20100074808 A KR20100074808 A KR 20100074808A KR 20110014115 A KR20110014115 A KR 2011001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input
signal
inpu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168B1 (ko
Inventor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이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호 filed Critical 이성호
Publication of KR2011001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접한 복수개의 GUI 객체가 함께 터치되어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GUI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터치입력 인식방법은 (a)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셀(60)의 좌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b) GUI 객체(210)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단계; (c)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다면, 터치셀(60)에서 검출된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복수의 GUI 객체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고자 하는 GUI 객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복수의 GUI 객체가 동시에 터치되어도 오작동이나 오인식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ouch input}
본 발명은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접한 복수개의 GUI 객체가 함께 터치되어도 사용자가 원하는 GUI 객체를 인식할 수 있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은 LCD 등의 표시장치 위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손가락이나 펜 등의 물체가 접촉될 때 접촉되는 위치에서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장치이다.
터치패널은 구동방식에 따라 저항식, 정전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저항식 터치패널은 펜 등의 물체가 터치패널 상면에 접촉되면, 터치 압력에 의해 상하 기판의 도전층이 접촉되는 것을 저항값의 변화로 검출하는 터치패널이다. 정전식은 손가락이나 이와 유사한 도전특성을 가진 터치수단의 접근을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터치패널이다. 그밖에도 광학식, 초음파식 등 다양한 유형의 터치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복수의 터치지점을 인식하는 멀티터치 기술과 표시장치 내에 터치입력장치를 내장 설계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장치에 부가 설치되는 터치입력장치, 또는, 터치입력장치를 내장한 표시장치와 같은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다양한 터치입력 인터페이스를 갖춰야 한다. 특히,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에 대응하는 터치입력을 인식해야 한다. 예컨대,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GUI를 기반으로 표시되는 아이콘, 키보드의 키 객체, 텍스트 등의 GUI 객체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경우,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사용자가 입력한 GUI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활성화해야 한다.
종래 저항식 터치패널은 스타일러스 펜 입력을 지원하지만,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지 않거나 스타일러스 펜이 분실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종래 정전식 터치패널은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좁은 단면적을 검출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을 사용하지 않고 손가락으로 GUI 객체를 선택하는 경우, 대개 GUI 객체에 비해 손가락의 접촉면적이 넓어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가 동시에 터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런데 위와 같이 복수의 GUI 객체가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 종래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GUI 객체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오작동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가 함께 터치된 경우, 가장 많은 면적이 입력된 GUI 객체를 유효한 입력으로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GUI 객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 인식방법은, 복수의 터치셀(6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 또는 그러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를 구비한 표시장치(200)에서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에 있어서, (a)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셀(60)의 좌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b) GUI 객체(210)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단계; (c)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다면, 터치셀(60)에서 검출된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단계(d)에서 인접한 둘 이상의 GUI 객체(210)에 대하여 터치셀(60)의 커패시터의 크기가 동일하게 검출되면,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가 높은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우선순위는 GUI 객체(210)의 사용빈도에 의해 결정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우선순위는 GUI 객체(210)의 위치관계에 의해 결정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셀(60)은 구획 형성되는 도전패드(50) 및 상기 도전패드(50)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고 도전패드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3단자형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셀(60)은 상기 도전패드(50)에 충전신호를 스위칭하여 인가하는 3단자형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비가시영역(1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복수의 터치셀(6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 또는 그러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를 구비한 표시장치(200)와 같은 터치입력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에 대해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셀(60) 각각으로부터 터치좌표를 수신하는 터치좌표 수신부(82); GUI 객체(210)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입력 선택부(84); 및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는 경우, 터치셀(60)에서 검출된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유효입력 선택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셀(60)을 열방향 또는 행방향을 따라 순차 구동하고 각 터치셀(60)로부터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셀(60)은 구획 형성되는 도전패드(50) 및 상기 도전패드(50)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고 도전패드(50)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3단자형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터치셀(60)은 상기 도전패드(50)에 충전신호를 스위칭하여 인가하는 3단자형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이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비가시영역(110)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GUI 객체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셀들의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를 추출하고,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가 선택된 경우 터치셀에서의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하게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복수의 GUI 객체를 동시에 선택하는 경우에도 오인식이나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가 터치 입력하고자 하는 GUI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접한 GUI 객체들 각각의 커패시터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 이를 에러로 인식하지 않고, 사용빈도 또는 위치관계 등과 같은 우선순위에 따라 GUI 객체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장치의 일예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GUI 객체에 대응하는 터치셀의 배치를 예시한 평면도
도 6은 신체와 도전패드간 정전용량 형성 예를 개념적으로 묘사한 도면
도 7은 정전식 터치패널의 일예를 보인 회로구성도
도 8은 정전식 터치패널의 다른 예를 보인 회로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몇 가지 중요한 용어들에 대하여 정의한다.
"터치입력 인식장치"라 함은 통상 알려진 터치입력장치 또는 터치입력장치가 내장된 표시장치를 의미한다.
"터치입력장치"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대체하는 입력장치로서, 스타일러스 펜이나 사람의 손가락 등에 의해 터치 입력이 발생하면 이를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장치이다.
"터치입력장치가 내장된 표시장치"는 표시장치 내에 상기한 "터치입력장치"가 일체화된 표시장치이다. 예컨대, LCD의 칼라필터 또는 어레이기판(또는 "TFT기판")에 터치를 센싱하는 전극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터치입력장치 내장형 LCD는 터치 드라이브IC가 LCD의 화상 표시를 제어하는 LCD 드라이브IC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 등의 메인 CPU가 터치입력 신호를 직접 처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장치들을 모두 터치입력 인식장치라 칭하기로 한다.
"GUI 객체"라 함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에 의해 화상 표시되는 객체를 의미한다. 예컨대, GUI 객체는 키보드의 키 객체, 실행 아이콘, 텍스트, 입력 버튼 등의 객체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GUI 객체"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 입력 가능한 단위 그래픽 이미지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는 복수의 GUI 객체가 동시에 터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GUI 객체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몇가지 정전식 터치입력장치를 예시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하에서 언급되는 몇가지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유형의 정전식 터치입력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의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나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층, 영역, 기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면"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스위칭소자는 "TFT"로 대체되어 설명될 수 있으며, 스위칭소자와 TFT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의 예시는 터치입력장치를 보인 것이며, 도 2의 예시는 터치입력장치가 내장된 표시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입력장치(100)는 터치패널(100a)과 터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터치신호 처리기(100b)를 포함한다. 터치패널(100a)은 터치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액티브영역(105)을 구비한다. 액티브영역(105)은 복수개로 분할되며, 분할된 각 영역은 터치셀(60)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터치셀(60)은 액티브영역(105) 내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일예로서, 터치패널(100a)은 광투과성 재료로 구성되며 도시 안된 표시장치 위에 올려진다. 이 경우 터치패널(100a)의 액티브영역(105)은 표시장치의 액티브영역과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액티브영역(105)은 표시장치를 투시할 수 있도록 적절한 투과율을 가지며, 액티브영역(105)의 둘레에는 비가시영역(110)이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터치패널(100a)은 노트북의 터치패드 등과 같이 표시장치 위에 올려지지 않는 별도의 입력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200)는 터치입력장치를 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의 칼라필터와 편광판 사이, 혹은, 편광판의 상부에 상기한 터치패널(100a)이 설치되는 등으로 LCD 안에 터치패널이 내재화 될 수 있다. 또는, LCD의 어레이기판 또는 칼라필터에 터치패널(100a)이 일체화 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터치패널(100a)의 액티브영역(105)은 표시장치의 액티브영역과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터치입력 인식장치는 도 1 및 2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터치신호 처리기(100b)는 터치 컨트롤러(80), 터치좌표 수신부(82), 입력 선택부(84), 유효입력 선택부(86)로 구성된다. 이러한 "~부"와 같은 구성들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며,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예컨대,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서, "~부"는 어떤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데이터베이스, 변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는 더 큰 구성요소 또는 "~부"에 포함되거나, 더 작은 구성요소들 및 "~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는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CPU를 가질 수도 있다.
터치 컨트롤러(80)는 터치셀(60) 각각에 동작신호를 제공하고, 각각의 터치셀(60)로부터 터치입력 발생 여부를 검출한다. 동작신호 및 검출신호는 전압이나 전류와 같은 전기적 신호이거나, 기타 다른 유형의 신호일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80)는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형태 또는 ASIC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추가의 회로 구성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서, 터치 컨트롤러(80)는 매트릭스 형태의 터치셀(60)들을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스캔 구동한다. 그리고 터치입력 발생 여부에 따라 스캔 구동하는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터치셀(60)들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터치셀(60)로부터의 신호를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컨트롤러(80)의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되는 몇 가지 예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터치좌표 수신부(82), 입력 선택부(84), 유효입력 선택부(86)는 본 발명에 따라 유효한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주요 구성들이다. 이들 구성들은 터치 컨트롤러(80)에 내장되는 embedded MCU(Micro Control Unit)이거나, 터치 컨트롤러(80)의 외부에 설치되는 external MCU일 수 있다. 또는 휴대폰이나 기타 터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단말기의 CPU에 포함되거나, 이들 단말기에 별도로 장치될 수 있다.
위 구성들의 역할 및 작용관계에 대하여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흐름도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입력 인식방법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으로서, 복수의 GUI 객체(210)가 터치입력 될 때 유효하게 입력된 GUI 객체(210)를 찾아가는 과정을 보인 것이다.
터치좌표 수신부(82)가 터치 컨트롤러(80)로부터 터치좌표를 수신하는 단계(ST100)에서부터 프로세스가 시작된다(ST100). 터치 컨트롤러(80)는 전체 액티브영역(105)에 걸쳐 1회 스캔이 완료된 후, 또는 미리 정해진 스캔 횟수가 채워진 후에 터치좌표들을 터치좌표 수신부(82)로 보내준다.
다음으로, 입력 선택부(84)는 수신된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이 발생한 GUI 객체(210)를 추출한다(ST110). 이를 위하여 입력 선택부(84)는 LCD 컨트롤러 등과 같은 표시화면 제어부(90)로부터 GUI 객체(210)의 좌표를 읽어들인다. 예를 들어, 입력 선택부(84)는 GUI 객체(210)의 좌표와 터치좌표를 매핑하고, GUI 객체(210)의 좌표와 동일한 터치좌표 또는 GUI 객체(210)의 좌표 영역 내에 포함된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된 GUI 객체(210)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유효입력 선택부(86)는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터치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T120). 만약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입력 선택부(84)에 의해 추출된 GUI 객체(210)를 유효하게 처리한다(ST130).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진 아이콘 등을 터치입력하는 경우라면, 인접한 복수의 아이콘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 것이다. 따라서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런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QWERTY 자판을 터치입력으로 선택하는 경우, 유저가 손가락(25)으로 어느 하나의 GUI 객체(210)만 선택하고자 하여도 주변의 GUI 객체(210)들이 동시에 터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만약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GUI 객체(210)를 매우 크게 설정하거나, GUI 객체(210)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라면 작은 모바일 단말기의 화면에서는 full key가 배열되기 곤란할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나의 GUI 객체(210)마다 하나의 터치셀(60)이 할당될 수 있다. 만약 도 4에서와 같은 터치입력이 발생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5", "R", "T", "D", "F", "G"의 키들이 동시에 터치될 것이다. 이때, 사람은 본능적으로 자기가 입력하고자 하는 GUI 객체(210)를 중심으로 터치를 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에서 "sir"의 "r"을 입력하고자 할 때, 도 5에서와 같이 "R" 키에 손가락의 가장 많은 면적이 할당된다.
다시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 ST120에서 유효입력 선택부(86)가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면, 유효입력 선택부(86)는 터치셀(60)의 커패시터가 가장 큰 GUI 객체(210)를 유효한 입력으로 인식한다(ST140). 도시된 예에서는 GUI 객체 "R"에 손가락(25)의 가장 많은 면적이 대향되어 있으므로, "R"에서의 커패시터 크기가 가장 클 것이다. 따라서 유효입력 선택부(86)는 "R"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처리하고, 커패시터의 크기가 나머지들에 대한 터치입력은 무효로 처리한다. 각 터치셀(60)에서 커패시터의 크기를 연산하는 방법은 도 7 및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유효입력 선택부(86)가 인접한 둘 이상의 GUI 객체(210)에 대하여 동일한 터치좌표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에서 "R"과 "T"에 대응하여 동일한 크기의 커패시터가 검출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위와 같은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첫째로, 몇차례의 터치검출 신호를 샘플링하는 것이다. 통상 사람이 손가락(25)을 터치한 상태에서 완전하게 정지상태로 유지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또한 터치 컨트롤러(80)는 초당 100 프레임 내외로 터치검출 신호를 리포팅한다. 따라서, 대략 5~10 프레임의 데이터를 샘플링하면, 커패시터의 크기가 크게 검출된 GUI 객체(210)를 선택할 수 있다. 만약, 5 프레임의 데이터를 샘플링한 경우에도 "R"과 "T"에 대하여 동일한 커패시터의 크기가 검출된다면, 해당 프레임들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모든 터치입력을 무효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로, GUI 객체(210)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우선순위는 GUI 객체(210)의 사용빈도 또는 위치관계 등으로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이 "T"에 비해 자주 사용되고 이러한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면, 유효입력 선택부(86)는 위와 같은 가정의 경우가 발생할 경우 메모리를 참조하여 "R"을 유효한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좌측에 위치한 GUI 객체(210)에 우선순위를 부여한다면, 위의 가정에서 "R"을 유효한 입력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터치패널(100a)의 구성을 예시하여 각 터치셀(60)에서 커패시터의 크기를 연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자의 선행 특허를 참조하여 터치패널의 몇 가지 예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터치패널의 예시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함이다.
도 6은 신체와 도전패드간 정전용량 형성 예를 개념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전패드(50)에 손가락(25, 또는 이와 유사한 도전성의 터치수단)이 접근했을 때, 도전패드(50)와 손가락(25)이 "d"의 간격으로 이격되며, "A"라는 대향면적을 갖는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도 6의 우측 등가회로 및 수식에서 보여지듯이 손가락(25)과 도전패드(50) 사이에는 정전용량 "C"가 형성된다. 정전용량 "C"를 갖는 도전패드(50)에 전압이나 전류의 신호를 공급하여 전하량 "Q"의 크기를 갖는 전하가 축적되면, V=Q/C라는 전압관계식이 형성된다. 이때 신체는 대지에 대하여 가상으로 접지된다.
만약 손가락(25)이 도전패드(50)와 d의 간격으로 대향된 상태에서 도전패드(50)에 소정 신호를 인가한다면, 도전패드(50)와 손가락(25) 사이에 형성된 정전용량 C에는 전하가 충전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패드(50)에는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바람직하게는 TFT)의 게이트단자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전패드(50)에 전하가 충전되는 시간 및 정전용량 C에 축적된 신호가 방전되는 임의의 시간동안 신호검출용 TFT(44)가 턴 온 된다. 방전된 신호의 크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작아지며, 어느 정도 방전이 이루어지면 신호검출용 TFT(44)는 턴 오프 된다.
도 7 및 8은 위와 같은 원리를 이용한 터치패널의 회로구성을 보여준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자의 선행 등록특허 KR 10-0935403호에서 발췌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은 상기 선행 등록특허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위 터치셀(60)은 주변으로부터 고립된 도전패드(50)와, 이 도전패드(50)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된 신호검출용 TFT(44)로 구성된다. 터치 컨트롤러(80)는 충전신호 공급선(32)을 통해 각 터치셀(60)의 도전패드(50)에 충전신호를 스캔 공급한다. 신호검출용 TFT(44)의 입, 출력단자에는 각각 보조 신호선(37)과 터치신호 검출선(34)이 연결된다. 터치 컨트롤러(80)는 충전신호 공급선(32)을 통해 충전신호를 인가하며, 보조 신호선(37)으로 관측신호를 인가하며, 터치신호 검출선(34)으로부터 터치 검출신호를 수신한다.
충전신호가 인가되는 동안 신호검출용 TFT(44)는 어떤 조건(신호검출용 TFT(44)의 입출력단자에 각각 인가되는 Auxn과 Sn 사이의 전압 조건 등과 같은) 하에서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만약 터치입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황이라면, 충전신호를 오프 시켰을 때 신호검출용 TFT(44)의 게이트단 전위는 급격하게 하강한다. 여기서 기생 커패시턴스에 의한 영향은 미미하므로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검출용 TFT(44)의 게이트단 전위가 하강한 후에는 보조 신호선(37)을 통해 소정의 신호를 인가하여도 터치신호 검출선(34)으로 어떤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다.
만약 터치입력이 발생한 상황이라면, 도 6에서와 같이 손가락(25)과 도전패드(50) 사이에는 가상의 커패시터가 형성될 것이다. 그리고 이 가상의 커패시터는 충전신호에 의해 충전될 것이다. 이후 충전신호를 오프시키고 도전패드(50)를 고립시킨다면, 가상의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에 의해 신호검출용 TFT(44)는 한동안 턴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현상은 터치입력이 해제되거나, 가상의 커패시터를 강제 방전시키거나, leakage나 자유방전에 의해 가상의 커패시터가 어느정도 방전될 때까지 지속된다. 따라서 신체의 비접촉 터치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신호 D3가 온 되는 시점에서 S3 신호가 입수된다면, 터치 컨트롤러(80)는 "D3, S3" 좌표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는 터치좌표 수신부(82)로 전달된다.
도 8의 실시예는 충전신호를 안전하게 차단하고, 포인트 수에 제한 없는 멀티 터치 인식이 가능한 예시를 보여준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터치셀(60)이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를 더 포함한 것을 알 수 있다.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 역시 바람직하게는 TFT이다.
충전신호 TFT(42)의 입력단자는 충전신호 공급선(32)에 연결되고, 출력단자는 도전패드(50)에 접속된다. 터치 컨트롤러(80)는 게이트 신호선(36)을 통해 충전신호 TFT(42)의 게이트단자에 온/오프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터치 컨트롤러(80)는 게이트신호 Gn을 순차로 스캔 구동한다. 충전신호 Dn은전체 터치셀(60)에 대하여 동시에 공급되거나 게이트신호 Gn에 동기하여 공급된다. 후자의 경우라면 충전신호 공급선(32)은 도 8의 실시예와 달리 게이트 신호선(36)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충전신호 TFT(42)를 부가함으로써, 충전신호를 안정적으로 스위칭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도전패드(50)에서의 신호를 확실하게 고립시킬 수 있으며, 도 7의 실시예에 비해 터치 신호의 처리가 안정적이고, 멀티 터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도 게이트신호 G3의 인가 시점에서 S3 신호가 입수되면, 터치 컨트롤러(80)는 "D3, S3"의 좌표정보를 갖는 터치 입력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신호는 터치좌표 수신부(82)로 전달된다.
도 7 및 8의 실시예는 신호검출용 TFT(44)를 이용하여 손가락(25)과 도전패드(50)간 가상의 커패시터 발생 여부 및 크기를 검출할 수 있다. 검출 방법은 Sn의 파형을 관측하거나, 신호검출용 TFT(44)의 입출력단자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거나, 게이트단자와 출력단자간 인가되는 전위 차를 검출하는 등으로 수행된다.
이때, 도 7 및 8의 실시예는 도전패드(50)와 신체의 손가락(25)의 대향 면적에 의해서 각 터치셀(60)에 유기되는 가상의 커패시터의 크기가 결정된다. 그리고 우리는 위와 같은 방법들을 이용하여 각 터치셀(60)에서의 가상의 커패시터의 크기를 알 수 있다. 즉, 신호검출용 TFT(44)를 통해 관측되는 신호로부터, 손가락(25)이 당해 터치셀(60)에 대하여 얼마만큼의 면적을 커버하는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유효입력 선택부(86)는 인접한 둘 이상의 GUI 객체(210)에 대하여 각 터치셀(60)에서의 커패시터의 크기를 연산 및 비교하는 것으로 유효 입력을 선택할 수 있다.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았으나, 도전패드(50)는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TO(Antimony Tin Oxide),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등의 투명한 도전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패드(50)는 터치셀(60) 내에서 가능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전패드(50)의 면적이 넓을수록, 손가락(25)과 도전패드(50) 사이에서 형성되는 가상의 커패시턴스가 커져서 보다 안정적으로 터치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충전신호 TFT(42), 신호검출용 TFT(44)의 상면에는 광(Light)을 차단하기 위한 광차폐층이 설치될 수 있다. 광차폐층은 TFT의 소스전극이나 드레인전극의 제조에 사용된 메탈, 게이트전극의 제조에 사용된 메탈, 또는 불투과성 절연막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불투과성 절연막은 산화막이나 질화막 또는 절연성 폴리 실리콘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광차폐층은 TFT가 광에 반응하여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서, 충전신호 TFT(42), 신호검출용 TFT(44)는 복수의 메탈레이어로 형성됨에 따라 유저에게 시인될 수 있다. TFT들이 유저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TFT들은 터치패널(100a)의 비가시영역(11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 및 8의 회로구성도는 단지 터치셀(60)의 회로 구성을 예시한 것일 뿐이며, 각 터치셀(60)을 구성하는 TFT들은 물리적으로는 비가시영역(110)에 집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TFT들을 비가시영역(110)에 설치할 경우 광차폐층은 필요하지 않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5 : 손가락 32 : 충전신호 공급선
34 : 터치신호 검출선 36 : 게이트 신호선
37 : 보조 신호선 42 : 충전신호 스위칭소자
44 :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 50 : 도전패드
60 : 터치셀 80 : 터치 컨트롤러
82 : 터치좌표 수신부 84 : 입력 선택부
86 : 유효입력 선택부 90 : 표시화면 제어부
100 : 터치입력장치 105 : 액티브영역
110 : 비가시영역 200 : 표시장치
210 : GUI 객체

Claims (14)

  1. 복수의 터치셀(6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 또는 그러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를 구비한 표시장치(200)에서 터치입력을 인식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에 있어서,
    (a)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셀(60)의 좌표값을 수신하는 단계;
    (b) GUI 객체(210)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단계;
    (c)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에서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었다면, 터치셀(60)에서 검출된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에서 인접한 둘 이상의 GUI 객체(210)에 대하여 터치셀(60)의 커패시터의 크기가 동일하게 검출되면, 미리 정해진 우선순위가 높은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GUI 객체(210)의 사용빈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는 GUI 객체(210)의 위치관계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은 구획 형성되는 도전패드(50) 및 상기 도전패드(50)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고 도전패드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3단자형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은 상기 도전패드(50)에 충전신호를 스위칭하여 인가하는 3단자형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비가시영역(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방법.
  9. 복수의 터치셀(60)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 또는 그러한 정전식 터치입력장치(100)를 구비한 표시장치(200)와 같은 터치입력 인식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에 대해 터치입력이 발생한 경우 터치셀(60) 각각으로부터 터치좌표를 수신하는 터치좌표 수신부(82);
    GUI 객체(210)의 좌표에 대응하는 터치좌표를 읽어 터치입력에 의해 선택된 GUI 객체(210)를 추출하는 입력 선택부(84); 및
    인접한 복수의 GUI 객체(210)가 선택되는 경우, 터치셀(60)에서 검출된 커패시터의 크기가 가장 큰 GUI 객체(210)에 대한 터치입력을 유효한 입력신호로 인식하는 유효입력 선택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을 열방향 또는 행방향을 따라 순차 구동하고 각 터치셀(60)로부터 터치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컨트롤러(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은 구획 형성되는 도전패드(50) 및 상기 도전패드(50)에 게이트단자가 접속되고 도전패드(50)에서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3단자형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셀(60)은 상기 도전패드(50)에 충전신호를 스위칭하여 인가하는 3단자형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박막트랜지스터(T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용 스위칭소자(44) 및 충전신호 스위칭소자(42)는 비가시영역(110)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입력 인식장치.
KR1020100074808A 2009-08-04 2010-08-03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KR101071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721 2009-08-04
KR20090071721 2009-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115A true KR20110014115A (ko) 2011-02-10
KR101071168B1 KR101071168B1 (ko) 2011-10-10

Family

ID=435447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08A KR101071168B1 (ko) 2009-08-04 2010-08-03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KR1020100074807A KR101071165B1 (ko) 2009-08-04 2010-08-03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07A KR101071165B1 (ko) 2009-08-04 2010-08-03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71168B1 (ko)
WO (1) WO201101666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3706A1 (en) * 2013-03-15 2014-09-18 Tk Holdings Inc. Adaptive human machine interfaces for pressure sensitive control in a distracted operating environ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9696223B2 (en) 2012-09-17 2017-07-04 Tk Holdings Inc. Single layer force sensor
US9727031B2 (en) 2012-04-13 2017-08-08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7382A1 (de) 2004-11-26 2006-06-01 Huhtamaki Forchheim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dünner Schichten eines Silikons, dünnes Silikon und Verwendung
WO2013009117A2 (ko) * 2011-07-12 2013-01-17 Park Ji Hyun 사용자 입력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18084B1 (ko) * 2013-03-22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디바이스에서 화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501491B1 (ko) * 2013-11-01 2015-03-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정전식 터치 패널을 통해 인식 가능한 터치 태그, 그 정보 인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2160090B1 (ko) * 2013-12-26 2020-09-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구동방법
KR102406072B1 (ko) 2017-06-13 2022-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압력 입력에 따라 전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576A (ko) * 2004-11-09 2006-05-12 엘지엔시스(주) 터치패널의 터치 감지 방법 및 이를 채택한 터치패널
JP2007328421A (ja) * 2006-06-06 2007-12-20 Canon Inc タッチパネル、及び該装置制御方法
US7843427B2 (en) * 2006-09-06 2010-11-30 Apple Inc. Methods for determining a cursor position from a finger contact with a touch screen display
KR20090056469A (ko) * 2007-11-30 2009-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 구동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27031B2 (en) 2012-04-13 2017-08-08 Tk Holdings Inc. Pressure sensor including a pressure sensitive material for use with control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9696223B2 (en) 2012-09-17 2017-07-04 Tk Holdings Inc. Single layer force sensor
WO2014143706A1 (en) * 2013-03-15 2014-09-18 Tk Holdings Inc. Adaptive human machine interfaces for pressure sensitive control in a distracted operating environmen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664A2 (ko) 2011-02-10
KR20110014114A (ko) 2011-02-10
WO2011016664A3 (ko) 2011-04-28
KR101071165B1 (ko) 2011-10-10
KR101071168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168B1 (ko)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US1130112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input error in input apparatus
KR101521337B1 (ko) 재배치가능한 터치면 상의 제스처 방위의 검출
KR100941927B1 (ko) 터치입력 인식방법 및 장치
US8542211B2 (en) Projection scan multi-touch sensor array
US20100201615A1 (en) Touch and Bump Input Control
US8368667B2 (en) Method for reducing latency when using multi-touch gesture on touchpad
US20100103141A1 (en) Technique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Device with a Virtual Touchscreen
US20080309626A1 (en) Speed/positional mode translations
US10838539B2 (en) Touch display device, touch driving circuit, and touch sensing method
US10809841B2 (en) Method of human-machine interaction by combining touch and contactless controls
US10379686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11762508B2 (en) Techniques for handling unintentional touch inputs on a touch-sensitive surface
US10564770B1 (en) Predictive touch detection
CN107407998B (zh) 与实现电容控制表面和外周表面的电子和/或计算机设备进行交互的方法,实现该方法的界面和设备
US20120105354A1 (en) Tactile Feedback Cover Lens for a Capacitive Touchscreen System
US20120274567A1 (en) Touch-enabled input device
US11941211B2 (en) Balanced mutual capacitance systems and methods
TW201905668A (zh) 壓力感測觸控裝置
US9229572B2 (en) Touch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436304B1 (en) Computer with unified touch surface for input
US20150346905A1 (en) Modifying an on-screen keyboard based on asymmetric touch drift
KR101117328B1 (ko) 터치스크린 패널을 이용한 커패시터 캘리브레이션 방법
JP2011204092A (ja) 入力装置
JP5842079B1 (ja) 導電性パーツ付き手帳型携帯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