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343A -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343A
KR20110012343A KR1020090070028A KR20090070028A KR20110012343A KR 20110012343 A KR20110012343 A KR 20110012343A KR 1020090070028 A KR1020090070028 A KR 1020090070028A KR 20090070028 A KR20090070028 A KR 20090070028A KR 20110012343 A KR20110012343 A KR 2011001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signal
unit
input
vo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767B1 (ko
Inventor
서동운
Original Assignee
㈜비엔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엔컴 filed Critical ㈜비엔컴
Priority to KR1020090070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7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10Push-to-Talk [PTT] or Push-On-Call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는, 피티티 방식(PTT, Push To Talk)의 통신기기와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 간의 음성통신을 중계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있어서, 유선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출력단자; 상기 입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입력검출부;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각각의 블루투스부로 분배하는 신호분배부; 상기 복수의 블투루스 장치 중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와 일대일로 페어링되어 상기 신호분배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피티티 키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블루투스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기기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피티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티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입력여부 또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되는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각 블루투스부의 SOC 채널(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이다.
피티티, 다중사용, 근거리 무선통신, 쇼울더마이크

Description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Bluetooth Multi-user Dongle}
본 발명은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티티 방식의 차량용 무전기 또는 휴대용 무전기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와 1 대 다수 간의 동시통화 및 인터콤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와 이동단말기, 가전제품 등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 음성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 표준으로 현재 컴퓨터, 휴대폰 , PDA 등의 다양한 제품 내장되어 일반적으로 널리 보급되어 있는 기술이며 음성 통화를 위한 헤드셋, 핸즈프리, 무선 마이크 등에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있다.
한편, PTT(Push to talk) 방식에 무전기는 주로 FM 또는 AM 등의 변조 방식에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동일 주파수로 음성을 송신 또는 수신하는 피티티 키(PTT Key)가 장착되어 있으며, 유선의 악세서리 형태로 쇼울더 마이크(Shoulder MIC), 이어 마이크, 수화기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FM, AM 등의 변조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의 경우 송신된 무선신호를 동일한 수신회로를 사용하여 여러명이 동시에 수신이 가능하나, 블루투스(Bluetooth) 방식을 이용하는 무선통신은 2.4GHz 대역에 FHSS(Frequency-hopping spread spectrum)방식으로 음성을 디지털화 하여 통신을 하므로 보안성 제고될 수 있으나, 음성 통화에 경우 1대1 방식만을 제공하여 다중사용자 환경을 구현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티티(PTT, Push to talk) 방식이 채택된 무전기의 경우 단독 사용자만이 사용하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한 대의 무전기를 여러명이 사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상에 제약이 따르며 특히 군사용이나 경찰의 공무 수행의 경우 무전병이나 운전석 자리 탑승자만이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는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 블루투스 제품에 있어 음성 통화 시 대화 상대방과 1대1로만 통화할수 있는 단점을 복수에 아날로그 방식의 블루투스 동글을 내장하여 1대 다수 간에 동시 통화 및 인터콤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있는 휴대폰 또는 무전기 등의 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티티 방식(PTT, Push To Talk)의 통신기기와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 간의 음성통신을 중계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있어서, 유선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출력단자; 상기 입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입력검출부;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각각의 블루투스부로 분배하는 신호분배부; 상기 복수의 블투루스 장치 중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와 일대일로 페어링되어 상기 신호분배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피티티 키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블루투스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기기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피 티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티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입력여부 또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되는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각 블루투스부의 SOC 채널(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가 제공된다.
이때, 전술한 피티티 방식의 통신기기는 차량용 피티티 무전기 또는 휴대용 피티티 무전기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블루투스 장치는 무선 쇼울더 마이크,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분배부로 출력하는 피드백회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는, 상기 각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피드백회로로 출력하는 오디오믹서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휴대용 또는 차량용 무전기에 유선 액세서리에 마이크 및 스피커, PTT버튼 기능을 블루투스 무선방식으로 대치함으로서 무전기와 일정 거리 이상 떨 어진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블루투스에 단점을 개선하여 동시에 여러명이 사용 가능하게 구현하여 특히 경찰용 업무 수행 시 차량안과 밖에서 업무를 수행하면 동시에 무전기에 사용이 가능하며 군사용에 특수임무 수행 시에 무전병이 가지고 있는 무전기를 중대장, 소대장 등이 공유하여 사용이 가능하여 군작전 수행 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유선입출력 연결단자 가지는 휴대폰, 컴퓨터 등에 다양한 통신기기와 연결이 가능하여 컨퍼런스콜 등에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의 개략적인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후에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차량용 무전기 1(200)에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는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무선 쇼울더 마이크 1(300), 무선 쇼울더 마이크 2(310),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320))와 각각 일대일로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 1에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가 차량용 무전기에 연결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차량용 무전기 이외에 휴대용 무전기 등 휴대용 무전기, 또는 각종 유선입출력 연결단자를 가지는 통신기기와 연결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용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유선으로 연결된 차량용 무전기 1(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차량용 무전기 2(210)로부터 전송되어 차량용 무전기 1(200)에서 수신되어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로 송신하고,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유선으로 연결된 차량용 무전기 1(200)로 출력하게 된다. 만일 차량용 무전기 1(200)이 피티티 방식의 무전기인 경우,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에는 피티티 키신호의 입력을 위한 피티티 버튼()이 구비되며,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로부터 전송되는 피티티 키신호를 수신하여 연결된 차량용 무전기 1(200)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기존 블루투스 장치가 음성통화시 대화 상대방과 1 대 1로만 통화할수 있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복수의 블루투스 동글을 내장하고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와 1 대 1로 페어링시킴으로써 1 대 다수 간의 동시 통화 및 인터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가 구성되는 경우, 피티티(PTT, Push to talk)방식의 차량용 무전기 1(200)의 쇼울더 마이크(Shoulder MIC) 입출력단자(201)에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를 유선연결하고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를 무선으로 연결하여 피티티 버튼을 제어함으로써 한 대의 차량용 무전기를 동시에 2명 이상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 차량 밖에서도 10M 근방의 거리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경찰용 또는 군사용 무전기 등의 특수 임무 수행에서 뒷자리 탑승자 또는 차량 근처의 사용자가 쉽게 무선 블루투스 방식으로 차량에 무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군사용 목적의 경우 무전병이 가지고 있는 무전기를 소대장/중대장이 쉽게 공유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가 구성되는 경우,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와 연결된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의 오디오와 마이크 신호를 내장된 복수의 블루투스 동글과 연결하여 각각의 동글과 연결된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 간에 서로 인터콤 기능으로 연결되어 휴대폰 등의 통신기기를 이용하여 컨퍼런스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컨퍼런스 통화기능을 활용하면 별도로 회의실에 모이지 않더라도 동일한 사무실의 약 10M 범위 내에서 자기 자리에서 편하게 컨퍼런스 회의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입출력단자(130), 신호입력검출부(105), 신호분배부(102),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 피티티 제어부(106), 피드백회로(104), 오디오믹서(103), 제어부(101), 전원회로(108), 충전회로(109), 충전단자(140), 엘이디 표시부(111) 및 키 버튼 입력부(107)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단자(130)는 유선케이블을 통해 차량용 무전기 1(200)의 입출력단자(201)에 연결되어 차량용 무전기 1(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신호분배부(120)로 출력하고, 피드백회로(104)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피티티 제어부(106)로부터 입력되는 피티티 제어신호를 차량용 무전기 1(200)로 출력하게 된다.
신호입력검출부(105)는 입출력단자(130)를 통해 연결된 차량용 무전기 1(200)로부터의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101)로 출력하게 된다. 피티티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송신과 수신이 동시에 수행될 수 없으므로 통상적으로 3가지 모드(수신모드, 대기모드, 송신모드)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신호입력검출부(105)는 수신모드의 시작과 종료를 판단하기 위하여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신호분배부(120)는 차량용 무전기 1(2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각각의 블루투스부(도 1에서의 블루투스부(100), 보조 블루투스부 1(110), 보조 블루투스부 2(120))로 분배하여 출력하게 된다.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는 각각 블루투스 동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각각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가 피코넷의 마스터로서 각각 피코넷을 구성/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슬레이브 장치(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를 검색하고, 검색된 슬레이브 장치와 페어링되어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는 포함되어 있는 블루투스부의 숫자와 동일한 개수의 피코넷을 구성/관리하게 된다.
한편,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를 페어링함에 있어 모든 블루투스부가 동시에 페어링 모드로 진입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키 버튼 입력부(107) 조작에 따라 순차적/개별적으로 페어링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순서로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와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부()의 경우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와 페어링시 비밀번호 입력과정이 블루투스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예:0000)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헤드셋프로파일을 가지는 블루투스 장치(쇼울더마이크 또는 블루투스헤드셋)과 신속하게 페어링이 가능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중사용장치를 구성하는 각 블루투스부(100, 110, 120)는 복수의 블투루스 장치(300, 310, 320) 중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와 1 대 1로 페어링되어 신호분배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로부터 전송되는 피티티 키신호를 수신하여 피티티 제어부(106)로 출력하며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믹서(103)로 출력하게 된다.
피티티 제어부(106)는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차량용 무전기 1(200)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피티티 제어신호를 입출력단자(130)를 통해 차량용 무전기 1(200)로 출력하게 된다.
오디오믹서(103)는 각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피드백회로(104)로 출력하고, 피드백회로(104)는 오디오믹서(103)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신호분배부(120) 및 입출력단자(130)로 출력하게 된다.
키 버튼 입력부(107)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부(101)로 출력하는 입력수단으로서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페어링 모드제어, 충전제어, 전원제어, 송수신 제한 등의 전체적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엘이디 표시부(111)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사용장치(10)의 동작상태(송신모드, 수신모드, 대기모드 등)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엘이디로 구성된 표시부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 이외에 다양한 공지의 디스플레이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전원회로(108)는 다중사용장치(10)의 구성 각부에 동작전원을 입력하게 되 며, 충전단자(140)를 통해 연결된 외부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회로(109)를 통해 인가받아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어부(101)는 신호입력검출부(105)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입력여부 또는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되는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각 블루투스부(100, 110, 120)의 SOC 채널(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게 된다. 한편, 발명을 구성하기에 따라 1차적으로 메인 블루투스부(100)가 보조 블루투스부들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명이 구성되는 경우, 신호입력검출부(105)는 메인 블루투스부(100)에 연결되어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여 출력하게 되며, 메인 블루투스부(100)는 신호입력검출부(105)로부터 음성신호 입력이 검출되는 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자신의 SOC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제어부(101)를 제어하여 보조 블루투스부들(110, 120)의 SOC 채널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SOC 채널의 비활성화 또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구성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구성과 기능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쇼울더 마이크는 블루투스 통신부(400), 안테나(401), 악세서리 단자(402), 스피커(403), 마이크(405), 오디오엠프(404), 피티티 스위치(406), 볼륨 스위치(407), 엘이디 표시부(408), 전원회 로(409), 충전 배터리(410), 충전회로(411), 충전단자(41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부(400)를 안테나(401)를 통하여 다중사용장치(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사용장치(10)의 복수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 중 하나와 일대일로 페어링되어 슬레이브로 동작하여 다중사용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피티티 스위치(406)로부터 출력되는 피티티 키신호와 마이크(405) 또는 악세서리 단자(402)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다중사용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
피티티 스위치(406)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피티티 키신호(프레스 신호, 릴리즈신호)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통신부(400)를 통하여 다중사용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엘이디 표시부(408)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동작상태(송신모드, 수신모드, 대기모드 등)을 표시하게 된다.
전원회로(409)는 충전배터리(4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구성 각부에 동작전원을 입력하게 되며, 충전배터리(410)는 충전단자(412)를 통해 연결된 외부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충전회로(411)를 통해 인가받아 충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악세서리 단자(402)는 외부 악세서리(유선 헤드셋 등, 미도시)이 연결되는 단자를 의미하며, 블루투스 통신부(400)로부터 출력되어 오디오엠프()를 통해 증폭된 음성신호를 외부 악세서리로 출력하고, 외부 악세서리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블루투스 통신부(400)로 출력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가 동작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1. 페어링 과정
차량용 무전기(200)의 유선 쇼울더 마이크 입출력단자(201)와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의 스피커/마이크/PTT 입력단자(130)를 유선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연결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키 입력부()를 조작하여 페어링을 시작하면, 제어부(101)(또는 다중사용장치(10)의 전체 동작을 메인 블루투스부(100)를 통해 제어하도록 구성된 경우 메인 블루투스부(100))는 메인 블루투스부(100), 보조 블루투스부1(110), 보조 블루투스부 2(120)를 페어링 모드(블루투스 연결가능상태)로 각각 제어하여 주위의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 1(320),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를 탐색하여 일대일로 페어링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페어링 과정은 각각의 블루투스부가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때 다중사용장치(10)의 각각의 블루투스부(100)/(110)/(120)와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300)/(310)/(320)는 각각 HSP(Headset Profile)로 연결되며, 블루투스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의 AT 명령어를 사용하여 송신과 수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2. 차량용 무전기 1(200)로부터의 음성신호 수신과정
각각의 블루투스 장치(300, 310, 320)가 다중사용장치(10)의 각 블루투스부()와 연결된 상태에서, 차량용 무전기 2(210)로부터 송신된 음성신호가 차량용 무전기1(200)에 수신되어 입출력단자(201)를 통해 음성신호가 출력되면,
다중사용장치(10)는 입출력단자(130)을 통해 신호입력검출부(105)에 비교기 회로에서 음성신호가 입력된 상태임을 검출하여 제어부(101)로 출력하며, 제어부(101)는 블루투스부(100), 보조 블루투스부 1(110), 보조 블루투스부 2(120)의 SCO(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열어 음성통화가 가능한 상태로 활성화 한다.
이때, 입출력단자(13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신호분배부(102)로 출력되며, 신호분배부(102)의 신호분배회로를 통하여 각각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의 마이크 입력 단자로 입력된다. 각 블루투스부(100, 110, 120)는 블루투스 무선 연결을 통하여 페어링된 각각의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 1(320),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로 마이크 입력단자로 입력된 동일한 음성신호를 전달한다.
차량용 무전기1(200)에 수신 상태가 완료되어 입출력단자(130)을 통해 입력되던 음성신호가 사라지면, 신호입력검출부(105)는 비교기 회로에서 음성신호 입력이 없음을 확인하여 제어부(101)로 출력하고, 제어부(101)는 각 블루투스부(100, 110, 120)의 SCO(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닫고 대기상태로 동작한다.
3. 차량용 무전기 1(200)로의 음성신호 출력과정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의 피티티 버튼(311)이 눌려지면, 다중사용장치(10)는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로부터 송신되는 피티티 동작 명령어("&PK=1\r")를 수신하여 보조 블루투스부 1(110)과의 SCO(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채널을 열고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의 마이크로 입력된 음성신호를 보조 블루투스부 1(110)을 통해 수신한다.
한편, 제어부(101)는 피티티 제어부(106)을 제어하여 입출력단자(130)을 통하여 차량용 무전기 1의 입출력단자(201)의 피티티 단자를 열어서 차량용 무전기1(200)을 송신모드로 만들어 준다. 또한, 블루투스 SCO채널을 통해 보조 블루투스부1(110)로 수신된 음성신호는 스피커 단자를 통해 오디오믹서(103)를 거쳐 입출력단자(130)로 출력되어 차량용 무전기 1의 입출력단자(201)의 마이크 단자에 입력되고, 차량용 무전기 1(200)은 입력된 음성신호를 차량용 무전기 2로 송신하게 된다.
이때 피드백 회로(104)를 통하여 다시 신호분배부(102)로 들어간 신호는 각각의 블루투스부(100, 110, 120)의 마이크 입력 단자로 입력되고, 제어부(101)의 제어에 따라서 SCO 연결을 하여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 무선블루투스헤드셋(320)의 스피커로 무선 쇼울더마이크2(310)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의 피티티 버튼(311)이 눌려져 차량용 무전기1(200)이 송신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의 PTT버튼(301)이 눌려져 송신동작이 시작되면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의 마이크로 입력되어 블루 투스부(100)의 스피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오디오믹서(103)를 통해서 보조 블루투스부 1(110)의 스피커 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와 합쳐져서 차량용 무전기 1의 입출력단자(201)로 입력되어 무선 쇼울더마이크 1(300)과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의 동시 사용이 가능해진다.
보조 블루투스부2(120)와 HSP(Headset Profile)로 연결된 일반적인 블루투스 헤드셋(320)에 통화버튼을 눌러 Headset Profile에 AT 명령어("AT+CKPD=200")가 수신되면 무선 쇼울더마이크 2(310)의 피티티 버튼(311)이 눌린 상태와 동일하게 SCO 채널을 열고 피티티 제어부(106)를 제어하여 차량용 무전기 1(200)이 송신동작을 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블루투스 헤드셋(320) 사용자가 블루투스 헤드셋의 통화버튼을 다시 눌러 Headset Profile에 AT 명령어("AT+CKPD=200")가 다시 수신되면 PTT제어부(106)을 동작을 해지하고 SCO 채널을 닫는다.
4. 블루투스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동작과정
블루투스 통신부(400)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10)와 HSP(Headset Profile)로 연결되며 Headset Profile에 AT 명령어를 사용하여 송신/수신을 제어하게 된다.
다중사용장치(10)의 신호입력검출부(105)에 음성신호가 검출되어 각각의 SCO 채널이 열리면 수신된 음성신호는 오디오엠프(404)를 거쳐 증폭되어 스피커(403)로 출력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피티티 스위치(406) 눌러진 상태가 되는 순간 자체 정 의된 피티티 동작 명령어("&PK=1\r")를 송신하여 다중사용장치(10)의 피티티 제어부(106)를 동작 시켜 차량용 무전기 1(200)을 송신 상태로 만들어 마이크(405) 또는 액세서리단자(402)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여 차량용 무전기 1(200)에 마이크 입력 단자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피티티 스위치(406)가 눌러진 상태가 해지되는 순간 자체 정의된 PTT중단 명령어("&PK=0\r")를 송신하여 피티티 제어부(106)의 동작을 해지하여 차량용 무전기 1(200)의 송신 상태를 멈춘다.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피티티 스위치(406)가 눌러져 마이크 송신 동작 중에는 오디오엠프(404)의 동작을 정지하여 불필요한 소리가 스피커로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무선 쇼울더 마이크의 구성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루투스부 101 : 제어부
102 : 신호분배부 103 : 오디오믹서
104 : 피드백 회로 105 : 신호입력 검출부
106 : 피티티 제어부 107 : 키버튼 입력부
110 : 보조 블루투스부 1 120 : 보조 블루투스부 2
200 : 차량용 무전기 1 210 : 차량용 무전기 2
300 : 무선 쇼울더 마이크 1 310 : 무선 쇼울더 마이크 2
320 :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
400 : 블루투스 통신부 407 : 피티티 스위치

Claims (5)

  1. 피티티 방식(PTT, Push To Talk)의 통신기기와 복수의 블루투스 장치 간의 음성통신을 중계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에 있어서,
    유선케이블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의 입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입출력단자;
    상기 입출력단자를 통해 연결된 상기 통신기기로부터의 음성신호 입력여부를 검출하여 제어부로 출력하는 신호입력검출부;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각각의 블루투스부로 분배하는 신호분배부;
    상기 복수의 블투루스 장치 중 하나의 블루투스 장치와 일대일로 페어링되어 상기 신호분배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 전송하고, 페어링된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피티티 키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블루투스부;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를 통해 수신된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통신기기의 송수신 모드를 제어하는 피티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피티티 제어부; 및
    상기 신호입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 입력여부 또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되는 피티티 키신호에 따라 상기 각 블루투스부의 SOC 채널(Syncronous Connection Oriented Channel)을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비활성화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 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티티 방식의 통신기기는 차량용 피티티 무전기 또는 휴대용 피티티 무전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장치는 무선 쇼울더 마이크,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는,
    상기 복수의 블루투스부 중 어느 하나의 블루투스부로부터 출력된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신호분배부로 출력하는 피드백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는,
    상기 각 블루투스 장치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음성신호를 혼합하여 상기 피드백회로로 출력하는 오디오믹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KR1020090070028A 2009-07-30 2009-07-30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KR101106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28A KR101106767B1 (ko) 2009-07-30 2009-07-30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028A KR101106767B1 (ko) 2009-07-30 2009-07-30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343A true KR20110012343A (ko) 2011-02-09
KR101106767B1 KR101106767B1 (ko) 2012-01-18

Family

ID=4377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028A KR101106767B1 (ko) 2009-07-30 2009-07-30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676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24B1 (ko) * 2011-09-20 2013-04-24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휴대용 블루투스 중계기
KR101468605B1 (ko) * 2014-05-30 2014-12-03 주식회사 라스텔 능동적인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7027186A1 (en) * 2015-08-10 2017-02-16 Hearing Lab Technology, LLC Multi-source audio amplification and ear protection devices
US10701473B2 (en) 2016-11-29 2020-06-30 Team Ip Holdings, Llc Audio amplification devices with integrated light elements for enhanced user safety
CN112260708A (zh) * 2020-10-23 2021-01-22 新疆大学 一种车载定向对讲装置及方法
KR20230069628A (ko) * 2021-11-12 2023-05-19 인소팩주식회사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KR102543726B1 (ko) * 2021-12-20 2023-06-16 대한민국 무선형 핸드 마이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9864A (ko) * 2013-01-07 2014-07-16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와 컴퓨터의 연동 시스템
KR20180064090A (ko) * 2016-12-05 2018-06-14 주식회사 사운드브릿지 블루투스 ptt 서비스 시스템 및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이어셋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317A (ko) * 2006-07-05 2009-04-23 에이저 시스템즈 인크 무선 저장 디바이스로의 다중-사용자 액세스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0791097B1 (ko) * 2006-11-29 2008-01-03 시코드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격 피티티 장치 및 핸즈프리통신시스템과 그 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7924B1 (ko) * 2011-09-20 2013-04-24 주식회사 세나테크놀로지 휴대용 블루투스 중계기
KR101468605B1 (ko) * 2014-05-30 2014-12-03 주식회사 라스텔 능동적인 페어링 시스템 및 방법
WO2017027186A1 (en) * 2015-08-10 2017-02-16 Hearing Lab Technology, LLC Multi-source audio amplification and ear protection devices
US10111014B2 (en) 2015-08-10 2018-10-23 Team Ip Holdings, Llc Multi-source audio amplification and ear protection devices
US10757512B2 (en) 2015-08-10 2020-08-25 Team Ip Holdings, Llc Multi-source audio amplification and ear protection devices
US10701473B2 (en) 2016-11-29 2020-06-30 Team Ip Holdings, Llc Audio amplification devices with integrated light elements for enhanced user safety
CN112260708A (zh) * 2020-10-23 2021-01-22 新疆大学 一种车载定向对讲装置及方法
KR20230069628A (ko) * 2021-11-12 2023-05-19 인소팩주식회사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KR102543726B1 (ko) * 2021-12-20 2023-06-16 대한민국 무선형 핸드 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6767B1 (ko) 201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767B1 (ko)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US7813696B2 (en) Bluetooth remote PTT and handsfre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ame
KR1010278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KR10104751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통신시스템
US9014633B2 (en) Bluetooth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switching modes of operation in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2110015B1 (ko) 디지털 무전기 기능을 갖는 스마트워치
US11128746B2 (en) Smart phone and Bluetooth earset having digital two-way radio function
CN202696717U (zh) 一种无线电话的控制装置
KR20090109799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핸즈프리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95710B1 (ko) 모바일 호스트 기기와 연동하는 중계기형 무전시스템
KR20120074271A (ko) 무선 개인영역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서비스 시스템
KR101048523B1 (ko) 다기능 무전기
US10264410B2 (en) Wear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group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40289A (ko) 호스트 기기 결합형 무전기
KR101257924B1 (ko) 휴대용 블루투스 중계기
KR100915839B1 (ko) 무전기의 다자간 무선 통신 시스템
KR100962618B1 (ko) 무전기의 핸즈프리 기능을 지원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1051B1 (ko) 무전기를 간이 휴대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 시스템 및 그에 사용되는 무전기
KR200451312Y1 (ko) 무전기용 핸즈프리 유니트
CN114422962B (zh) 一种兼容moto调度台和空客调度台的调度话机
KR101620041B1 (ko) 무전기를 간이 휴대전화기로 사용할 수 있는 무전기 시스템
CN201821349U (zh) 无线通讯耳机系统
KR20110013557A (ko) 스마트폰을 무전기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외부 부착형 에프알에스 통신 모듈
JPH0629917A (ja) 移動無線電話装置
KR200261793Y1 (ko) 핸즈프리 겸용 무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