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7805B1 -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7805B1
KR101027805B1 KR1020090053361A KR20090053361A KR101027805B1 KR 101027805 B1 KR101027805 B1 KR 101027805B1 KR 1020090053361 A KR1020090053361 A KR 1020090053361A KR 20090053361 A KR20090053361 A KR 20090053361A KR 101027805 B1 KR101027805 B1 KR 101027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ay
call
group call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3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4975A (ko
Inventor
유용열
정회남
소순채
Original Assignee
에어텍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어텍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어텍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3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7805B1/ko
Publication of KR20100134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7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7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통화 그룹을 형성하고,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며,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수행하되,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적어도 3 개 이상의 단말기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며,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로 다자간에 양방향으로 그룹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통신 기술이 다른 이종의 통신망 간을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거리 및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와 편리하고 저렴하게 통신할 수 있다.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근거리 무선 통신, 바이너리 CDMA, 블루투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Short Range Device, Multiple Full-duplex Group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and Gateway System to Interface Different Communication Network Using Same}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자간에 양방향으로 그룹 통신을 수행하고 이종의 통신망을 연동하기 위한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그룹 통화 방법 및 시스템과 연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회, 경제 및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파 이용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충족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기술은 소출력 근거리 통신을 기반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바이너리 CDMA(B-CDMA: 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초광대역(UWB: Ultra Wideband) 통신 등과 같은 소출력 근거리 무선 접속 기술 및 제품들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기존의 무전기 방식은 여러 명이 동시에 통화 내용을 들을 수는 있지만 단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하여 PTT(Push -to-Talk)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음성을 송신하고, 수신할 때에는 PTT 버튼을 놓아야 하는 불편이 있다. 양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한 무선 전화기 방식은 3자 통화 방식으로 다른 사람이 양 쪽의 대화 내용에 참여할 수는 있지만 여러 사람이 대화에 참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무선 회의 시스템을 사용하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 통화를 할 수 있지만 간편하게 휴대하여 이동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형태로 만들어져 있지 않아 이동성이 활발한 그룹에서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이 외에 최근에 저전력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양방향 무선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약 100 m 거리 내에서 그룹 통화를 지원하지만 최대 2 명만이 동시통화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무선 통신 기술이 다른 이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연동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대역 변환 장비 또는 게이트웨이 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또한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다자간에 양방향으로 그룹 통신을 수행하고 이종의 통신망을 연동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코덱;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거나 데이터 및 명령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출력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기; 및 복수 개의 통신기 중 하나의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와 양방향 다자간 그룹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무선 단말기와 송수신하며, 복수 개의 통신기 중 다른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무선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통신기는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그룹 형성을 위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하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위한 채널을 할당받아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및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동기를 유지하고,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마스터 단말기를 포함하되,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면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는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며, 마스터 단말기와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단말기 간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고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나머지 단말기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의하면,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 단말기; 복수 개의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및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기지국;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결합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의하면,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수행하되,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적어도 3 개 이상의 단말기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근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휴대형 단말기로 다자간에 양방향으로 그룹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통신 기술이 다른 이종의 통신망 간을 연동하여 사용자가 원거리 및 근거리에 있는 다른 사용자와 편리하고 저렴하게 통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헬멧, 안전모, 철모 등과 같은 모자 또는 어깨 견장, 옷깃 및 벨트 등과 같은 옷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작고 가볍고 견고하며 방우 구조로 디자인되어 개인의 휴대가 용이하도록 설계된 개인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2.4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블루투스(Bluetooth) 모듈 및 바이너리 CDMA 모듈이 함께 내장되어 무선으로 다자간 양방향(Full-duplex) 그룹 통화와 그를 이용한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 무선으로 블루투스 휴대폰 및 MP3(MPEG Audio Layer 3)에 접속하여 휴대폰 착발신 통화(또는 그를 위한 핸즈프리 기능) 및 MP3 스테레오 음악 청취, 유선으로 휴대폰 및 MP3에 접속하여 휴대폰 착발신 통화(핸즈프리 기능) 및 MP3 스테레오 음악 청취 등이 가능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개인 휴대용 무선 통신 복합 단말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제 1 무선 통신기(110), 제 2 무선 통신기(120), 코덱(130), 입출력기(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 1 무선 통신기(110) 및 제 2 무선 통신기(120)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기를 말한다. 여기서, 제 1 무선 통신기(110)와 제 2 무선 통신기(120)는 근거리에서 무선으로 통신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RF Module)과 같은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 모듈로서는 블루투스(Bluerooth)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초광대역 무선통신(UWB: Ultra Wide-Band) 모듈,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모듈, 바이너리 코드 분할 다중 접속(B-CDMA: 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바이너리 CDMA'라 칭함) 모듈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무선 통신기(110)는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바이너리 CDMA 모듈일 수 있으며, 제 2 무선 통신기(120)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무선 통신기(110)와 제 2 무선 통신기(120)는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코덱(CODEC: Coder and Decoder, 130)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한다. 즉, 코덱(130)은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코덱(130)에 의해 부호화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제 1 무선 통신기(110) 또는 제 2 무선 통신기(110)를 통해 무선으로 송출되어 외부의 단말기로 전송되며, 코덱(130)에 의해 복호화되어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 및/또는 오디오 데이터는 제어기(150)의 제어 에 따라 입출력기(140)를 통해 영상 및/또는 오디오로 출력된다. 이러한 코덱은 MPEG 코덱, H.264 코덱 등과 같은 비디오 코덱이나 MP3 코덱, AC3(Audio Compression 3) 코덱 등과 같은 오디오 코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신기(110), 제 2 통신기(120)나 입출력기(140)를 통해 외부의 MP3 플레이어 등으로부터 MP3 파일이 수신되거나 입력되면, 코덱(130)은 MP3 파일을 복호화하여 오디오 신호로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신호는 입출력기(140)의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출력기(140)의 마이크 등을 통해 음성을 입력하면, 코덱(130)은 사용자의 음성 즉,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는 제 1 무선 통신기(110) 또는 제 2 무선 통신기(120)를 통해 외부의 단말기 즉, 휴대폰, MP3 플레이어,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입출력기(140)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 또는 출력하거나 데이터 및 명령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다. 이러한 입출력기(140)는 액정 화면, 터치 스크린, 키보드, 마우스, 키 버튼, 마이크, 스피커 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기 중 하나의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무선 단말기와 송수신하며, 복수 개의 무선 통신기 중 다른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송수신한다.
즉, 제어기(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10) 내의 모든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제 1 무선 통신기(110)를 통해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을 수행하여 그룹 통화 또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며, 제 2 무선 통신기(120)를 통해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폰,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등)와 착발신 음성 통화(또는 그를 위한 핸즈프리), 데이터 통신을 통한 MP3 스테레오 음악 재생, 네비게이션 영상 및 음성 안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제 1 무선 통신기(11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하되, 통화 그룹 내의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3 개 이상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기(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10)가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는 통화 그룹의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그룹 통화 또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위한 통화 그룹을 형성하고, 통화 그룹 내의 3 개 이상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여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제 1 무선 통신기(110)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다른 근 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하되, 통화 그룹 내의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일부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는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고 나머지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는 양방향 동시 통화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기(15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가 통화 그룹 내에서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가 마스터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슬레이브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통화 채널을 할당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가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들이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일정기간 동안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그룹 통신이 불가능하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우선 순위란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에 부여되는 우선 순위로서, 마스터 단말기가 통화 그룹 내에서 통신이 불가능할 때, 부여된 우선 순위가 가장 빠른 순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관계에서 기본적으로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구성되어 그룹 단위로 동기가 이루어져 동작한다. 즉, 매 그룹마다 유일한 그룹 코드가 부여되어 타 그룹과 분리 운용될 수 있으며, 그룹 내의 마스터를 제외 한 모든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슬레이브가 되며, 마스터는 주기적으로 동기 신호를 전송하고 슬레이브는 마스터가 전송한 동기 신호에 동기화되어 동작을 하게 된다. 그룹 내에서 모든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호에 대한 주도권을 가질 수 있으며,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 내에서 1:1(도 10a) 또는 1:N(도 10b)의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다. 마스터는 직교도약을 위한 동기 유지의 역할을 담당하고 마스터가 통신이 불가능할 때에는 슬레이브 중 하나가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하나의 마스터 단말기와 여러 대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동일 그룹을 형성하여 다자간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3명까지는 양방향(Full-duplex) 동시통화가 가능하며,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가 불가능한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들은 동시 통화 내용을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양방향 동시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종료되면 동일 그룹 내에서 동시 통화 내용을 수신하고 있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양방향 동시 통화에 참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의 일반적인 기능에 대해 설명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F 모듈(210), 블루투스 모듈(220), 오디오 코덱(230), 오디오 증폭기(240), 제어기(250), 메모리(260), 기능 버튼(270) 및 전원공급기(2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F 모듈(210)은 도 1에서 전술한 제 1 무선 통신기(110)에 대응될 수 있는데,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테나, 주파수 필터 등을 구비하여 무선 신호를 제어기(250)의 B-CDMA 모뎀(254)으로 전달하고, B-CDMA 모뎀(254)으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출한다. 이러한 RF 모듈(210)은 제어기(25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전송함으로써 최대 400 m 이내의 근거리에서 외부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상호 간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RF 모듈(210)의 출력은 클래스(Class) 1 규격으로 최대 100 mW이며,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의 가시거리에서 최대 400 m까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가능한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20)은 도 1에서 전술한 제 2 무선 통신기(120)에 대응될 수 있는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처리하기 위한 안테나, 주파수 필터, 블루투스 모뎀 등을 구비하여 블루투스 기술에 따라 무선 신호를 주파수 필터링하여 오디오 코덱(230) 또는 제어기(250)로 전달하거나 마이크(292), 제어기(25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주파수 필터링하여 송출한다. 이러한 블루투스 모듈(220)은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휴대폰,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페어링(Pairing)을 통해 휴대폰 핸즈프리(Hands-free) 기능, 스테레오 MP3 재생과 청취 및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청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220)의 출력은 클래스 2 규격으로 최대 10 mW이며,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된 블루투스 단말기들과의 가시거리에서 최대 10 m까지 핸즈프리, MP3 음악 청취 등이 가능한 무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오디오 코덱(230)과 오디오 증폭기(240)는 도 1에서 전술한 코덱(130)에 대응될 수 있는데, 오디오 코덱(230)은 마이크(292)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블루투스 모듈(220) 또는 제어기(250)로 송신하거나 블루투스 모듈(220), 제어기(250) 또는 Aux 입력 단자(298)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증폭기(240)로 송신하고, 오디오 증폭기(240)는 오디오 코덱(230)로부터 수신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94, 296)을 통해 출력한다. 이러한 오디오 코덱(230)과 오디오 증폭기(240)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여 다자간 양자화 그룹 통화, 휴대폰 착발신 음성 통화(또는 그를 위한 핸즈프리) 및 스테레오 MP3 청취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기(250)는 RF 모듈(210), 블루투스 모듈(220), 오디오 코덱(230), 오디오 증폭기(240), 메모리(260), 기능 버튼(270), 전원공급기(280) 등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제어기(MCU: Micro Controller Unit)와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위한 호 처리 등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바이너리 CDMA(B-CDMA) 모뎀 등을 구비하여, RF 모듈(210)을 이용하여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와 블루투스 모듈(220)을 이용하여 휴대폰 착발신 음성 통화(또는 그를 위한 핸즈프리), 스테레오 MP3 청취,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메모리(26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소프트웨어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를 채택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기능이 변경되면 메모리(260)를 교체하지 않고 지그를 이용하여 변경된 소프트웨어를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능 버튼(270)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전원을 켜기 위한 전원 버튼, 휴대폰 착발신 음성 통화, 스테레오 MP3 청취,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청취,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등을 위한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모드 버튼, 스피커(294, 296)의 출력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버튼 등 다양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공급기(280)는 엘디오(LDO: Low Drop Out, 282), 충전 제어기(284), 배터리(286), 직류(DC) 입력 단자(28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내장된 배터리(286)의 전압을 엘디오(282)를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각 회로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1.2V, +1.8V, +3.0V, +3.3V 등)으로 변환하여 공급한다. 한편, 충전 제어기(284)는 리튬 폴리머(LI polymer) 충전 전용 칩을 내장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헤드셋(290) 및 Aux. 입력 단자(298)와 연결될 수 있다. 헤드셋(290)에 구비된 마이크(292)는 블루투스 모듈(220)과 오디오 코덱(230)과 연결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전달하며, 헤드셋(290)에 구비된 스피커(294, 296)는 좌우 스피커 역할을 수행하며 오디오 증폭기(240)와 연결되어 오디오 증폭기(24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성 또는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Aux. 입력 단자(298)는 외부의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부가 단자이다.
도 2를 통해 나타낸 일 예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는 블루투스 및 바이너리 CDMA 무선 접속 기술을 채택하고, 핸즈프리 프로파일(HFP: Hands-free Profile), 헤드셋 프로파일(Headset Profile) 및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등의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적용하고, 최대 400 m까지 양방향 3자간 동시 통화를 지원하며, 저전력 하드웨어와 방우 구조의 설계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 등의 헬멧에 장착하여 운전자들 간 양방향 그룹 통화, 휴대폰 핸즈프리 통화 및 MP3 음악 청취에 활용되거나, 중공업, 건설 업체 등에서 착용하는 안전모에 장착하여 부서 또는 조직원들 간에 양방향 그룹 통화 및 휴대폰 핸즈프리 통화에 활용되거나, 산악자전거, 오토바이, 서바이벌 등의 동호회 회원들 간에 양방향 그룹 통화, 휴대폰 핸즈프리 통화 및 MP3 음악청취에 활용되거나, 군부대 병사, 경찰, 소방관들의 철모 및 헬멧 또는 어깨 견장 등에 장착하여 양방향 다자간 그룹 통화에 활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외양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기능 버튼, 동작상태 표시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외부 접속 단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능 버튼은 전원 온/오프 버튼(310), 볼륨 조절 버튼(320), 모드 및 기능 전환 버튼(330)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외부 접속 단자로서 DC 입력 단자(340)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어댑터(Adaptor)와 연결하거나 유선으로 휴대폰 단말기,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다용도 단자일 수 있으며, 헤드셋 단자(342)는 넥 마이크, 이어폰, 헤드셋 등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오디오 액세서리를 연결하기 위한 단자일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2.4GHz ISM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이종의 저전력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인 바이너리 CDMA 모듈과 블루투스 모듈을 함께 내장하여 다양한 기능을 갖는 양방향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개인 휴대용 무선 통신 복합 단말기로 활용이 가능하다.
사용 용도에 따른 구현 방식에 따라 바이너리 CDMA 모듈만을 내장하는 단말기로 구현되어, 경찰 및 소방과 같은 현장 요원들을 위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기능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며, 바이너리 CDMA 모듈이 내장된 동글과 같이 구현되어, 기존의 아날로그 VHF/UHF 무선 통신망 또는 디지털 TRS(Trunked Radio System) 무선 통신망과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연동하여 양방향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부가적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무전기 또는 디지털 TRS(TETRA) 단말기에는 외부 스피커 마이크, 이어폰, 헤드셋 등의 액세서리들이 유선으로 연결되어 사 용에 불편을 초래하였으나, 바이너리 CDMA 모듈을 동글과 액세서리에 내장함으로써 액세서리를 무선으로 구현하여 기존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바이너리 CDMA 모듈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고 있어서,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폰(410), MP3 플레이어(420)와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가 휴대하는 휴대폰(440)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의 기지국(430)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휴대폰(410)으로 발신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근거리무선통신 단말기의 스피커로부터 휴대폰(410)의 착신 신호를 듣고 통화 요청이 있음을 인지하고, 근거리 무선통신 단말기(100)의 모드 선택 버튼을 눌러 휴대폰(410)이 착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휴대폰(410)과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헤드셋을 연결하여 헤드셋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발신한 휴대폰(440)의 사용자와 통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MP3 플레이어(420)에서 청취하고자 하는 음악 파일을 선택하여 실행시키면, MP3 플레이어(420)는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 재생된 음악 파일의 오디오 신호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되어, 사용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헤드셋을 통해 MP3 플레이어(420)에서 재생되는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500)은 마스터 단말기(51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로 휴대폰(410)과 MP3 플레이어(420)와 같은 복수 개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단말기(310)는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와의 동기를 유지하고,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로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한다.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는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그룹 형성을 위한 동기 신호를 마스터 단말기(310)로부터 수신하고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하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위한 채널을 마스터 단말기(310)로부터 할당받아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예를 들어,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면 마스터 단말기(51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는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며, 마스터 단말기(510)와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일부의 단말기 간(적어도 3 개 이상의 단말기, 예를 들어, 마스터 단말기(510), 제 1 슬레이 브 단말기(520),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즉,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고 통화 그룹 내의 나머지 단말기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즉, 양방향 동시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510)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여 마스터로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어느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할 것인지는 미리 모든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에 대해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할 순위를 결정하여 우선 순위를 각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에 설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각각은 마스터 단말기(510)로부터 동기 신호를 일정 기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마스터 단말기(510)가 통신을 수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되어 있는 우선 순위를 확인하여 자신의 우선 순위가 가장 빠르다고 판단되면(예를 들어, 제 1 우선 순위를 가진다면), 해당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우선 순위를 가지는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면, 나머지 슬레이브 단말기들에 대해 다시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추후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단말기가 통신이 불가능할 때에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수행하는 기능의 우선 순위가 이동통신을 이용한 전화 통화 기능,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그룹 통화 기능,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이용한 MP3 청취 또는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청취 등의 부가 기능 순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을 이용한 전화 통화 기능에 최우선 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적으로 처리한다.
일 예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500)이 마스터 단말기(51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제 4 슬레이브(550))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로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요청되면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에서 탈퇴하여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다른 단말기들 간에 계속 중인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에 참가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 기능에 최우선 순위가 부여되므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행 중이던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잠시 탈퇴하여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통화가 완료되면 다른 사용자들 간에 계속 중인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에 참가하여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재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500)이 마스터 단말기(51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면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한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종료된 후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 기능에 최우선 순위가 부여되므로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더라도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 후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500)이 마스터 단말기(510)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MP3 플레이어(420),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중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면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중단하고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기능에 대한 우선 순위가 블루투스 기술의 통신을 이용한 부가 기능의 우선 순위보다 높으므로,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이용하여 MP3 음악을 청취하는 중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면 MP3 음악 청취를 중단하고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 할 수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폰(410), MP3 플레이어(420),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또한, 마스터 단말기(510)와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70) 중 일부의 단말기는 휴대폰(410), MP3 플레이어(420),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와 결합하는 동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동글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블루투스 모듈 및 바이너리 CDMA 모듈을 구비하되, 휴대폰(410), MP3 플레이어(420), 네비게이션 단말기 등과 같은 단말기와 결합하거나 유선으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헤드셋과 통신하고 바이너리 CDMA 모듈을 이용하여 마스터 단말기(510) 및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와 통신하는 동글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화 그룹을 형성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을 토대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을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마스터 단말기(510)와 4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만이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초기에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들의 전원을 켜고, 마스터 단말기(510)와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50)를 설정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하도록 페어링(Pairing)되면, 각 단말기의 전원이 꺼졌다 다시 켜져도 미리 설정된 것처럼 마 스터 단말기(510)로서의 역할과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50)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S602).
각 단말기가 통화 그룹을 형성하여 마스터 단말기(510)와 슬레이브 단말기(520 내지 56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더라도, 각 단말기의 사용자는 각 단말기에 구비된 기능 버튼 중 모드 전환 버튼을 눌러 MP3 음악 청취나 네비게이션 음성 안내 청취 또는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MP3 음악 청취 기능을 선택하여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가 MP3 플레이어(420)와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MP3 음악 파일을 재생하고(S604),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 기능을 선택하여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20)가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폰 통화를 수행(S606)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제 3 슬레이브 단말기(34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그룹 통화를 수행하기 위해 단말기의 모드 전환 버튼을 눌러 그룹 통화 모드를 선택하면, 제 3 슬레이브 단말기(340)는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S608), 통화 그룹 내의 모든 단말기 즉, 마스터 단말기(510),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 및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그룹 통화를 요청한다(S610).
이때, 통화 그룹 내에서 대기 상태로 동작하던 마스터 단말기(510)와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는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그룹 통화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와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S612 내지 S622). 또한, 그룹 통화 요청에 응답한 마스터 단말기(510)와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는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뿐만 아니라 서로 간에도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
이로써, 마스터 단말기(51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 및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 간에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통한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한다(S624). 이와 같이, 어느 한 단말기가 통화 그룹 내의 모든 단말기로 그룹 통화를 요청했을 때, 먼저 그룹 통화에 응답하여 그룹 통화에 참여한 3 개의 단말기(그룹 통화를 요청한 단말기와 그에 응답한 2 개의 단말기)가 양방향 그룹 통화가 가능하여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먼저 응답한 단말기끼리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지 않고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단말기가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할 단말기들을 지정하여 그룹 통화를 요청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지정된 단말기들은 요청한 단말기와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고 나머지 단말기들은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 내용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반드시 3 개의 단말기만이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여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만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4 개 이상의 단말기가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여 동시 통화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단계 S604에서 MP3 플레이어(420)와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MP3 음악을 재생 중이던 제 1 슬레이브 단말 기(520)는 단계 S610에서 그룹 통화를 요청받으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중단하여 MP3 음악 재생을 중단하고(S626),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S628),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그룹 통화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S63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와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S632). 또한,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는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뿐만 아니라 미리 그룹 통화를 연결하고 있는 마스터 단말기(510),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와도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 이후,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는 양방향 그룹 통화에 따른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는 수행하지 못하며, 단지 마스터 단말기(51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 및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가 수행하는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의 내용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단계 S606에서 휴대폰(410)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여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 통화를 수행하던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는 단계 S610에서 그룹 통화를 요청받으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대기하면서(S634), 이동통신 통화가 종료가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36), 이동통신 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는 비로소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여(S638),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그룹 통화 요청에 대해 응답하고(S64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와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 또한,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는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뿐만 아니라 미리 그룹 통화를 연결하고 있는 마스터 단말기(510), 제 1 슬레이브 단말기(520),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와도 그룹 통화를 연결한다. 이후,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는 양방향 그룹 통화에 따른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는 수행하지 못하며, 단지 마스터 단말기(51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 및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가 수행하는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의 내용만을 전송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통화 그룹 내의 모든 단말기들이 그룹 통화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던 마스터 단말기(510)의 사용자의 휴대폰과 같은 블루투스 단말기로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요청된 경우(S644), 마스터 단말기(510)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선택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646),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 통화를 수행한다(S650).
즉, 마스터 단말기(510)의 사용자는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온 경우, 수행 중이던 그룹 통화를 계속 수행할지 또는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아 통화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마스터 단말기(510)는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던 중에 사용자에 의해 모드 전환 버튼이 눌려져서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 통화가 선택되는지 확인하여 수행 중이던 그룹 통화를 중단하고 휴대폰 통화와 같은 이동통신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마스터 단말기(510)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마스터 단말기(510)만이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휴대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다른 모든 단말기도 전술한 바와 같이,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휴대폰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던 마스터 단말기(510)가 그룹 통화에서 제외됨에 따라, 양방향 그룹 통화는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와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 간에만 수행되게 되는데, 만약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의 참가를 요청할 수 있으며(S650), 이때부터 제 2 슬레이브 단말기(530),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 및 제 4 슬레이브 단말기(550)는 서로 간에 양방향 그룹 통화에 따른 3자간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한다(S652).
도 6a 및 도 6b를 통해서 도시하고 전술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은 예시적인 것일 뿐, 반드시 도시하고 전술한 단계를 수행해야 하거나 그 단계의 순서에 따라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의 단계가 생략 또는 추가되거나 일부 또는 전부의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심지어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계 S614, S620, S628, S640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구현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즉, 비록 그룹 통화를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가 요청했다고 해서,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가 그룹 통화를 전반적으로 관리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룹 통화를 요청받은 각 단말기들은 그룹 통화를 요청받으면 우선 순위에 따라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면 될 뿐, 반드시 그룹 통화를 요청한 제 3 슬레이브 단말기(540)로 그룹 통화 요청에 대해 응답할 필요는 없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 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700)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 단말기(720, 740, 750), 복수 개의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 740, 750) 간의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음성 및 데이터의 전송을 중계하는 무선통신망의 기지국(730), 복수 개의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중 하나의 무선 통신 단말기(720)와 결합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로부터 수신한 음성 및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 및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로부터 음성 및 데이터를 전송받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거리 무선 통신은 초단파(VHF: Very High Frequency) 통신, 극초단파(UHF: Ultra High Frequency) 통신 및 테트라(TETRA: Terrestrial Trunked Radio) 통신 중 하나일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은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한 통신일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거리 무선 통신은 CDMA 시스템, WCDMA(Wideband CDMA) 시스템, 와이브로(WiBro) 시스템을 이용한 이동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이 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 740, 750)는 전술한 원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휴대폰, 무전기 등이 정보통신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망의 기지국(730)은 원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인프라(Infra)를 포함 하는 개념으로서, 기지국과 교환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은 바이너리 CDMA 모듈을 구비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의 일종으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수행하여 통화 그룹의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서 동작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의 음성 또는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송하며, 그를 위해 원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을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위한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에 연결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과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가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형성하도록 하여,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들 간에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주파수 대역이 다르거나 통신 기술이 다른 이종의 무선 통신망을 연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의 활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a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무선 방식으로 활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유선 방식으로 활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무선 방식으로 활용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은 바이너리 CDMA 모듈을 탑재하여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와 통신하며,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유선 방식으로 활용하는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은 바이너리 CDMA 모듈을 탑재할 필요는 없으며, 단지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프로토콜 변환하여 유선으로 연결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로 전달한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은 무선 방식과 유선 방식을 혼합하여 활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유무선 전환 스위치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이너리 CDMA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하거나 유선 케이블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을 이용한 무선 액세서리 활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을 통해 전술한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700)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00)들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벨트나 견장, 옷 등에 부착하거나 헬멧, 철모 등과 같은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구비하는 부속품에 장착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로 구현하면, 더욱 편리한 무선 액세서리로서 할용될 수 있다.
군, 경찰, 소방의 현장 요원들의 경우에 열악한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해야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임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무선 통신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전술한 현장 요원들은 업무의 특성상 임무를 수행할 때, 손을 자유스럽게 사용하면서도 무선 통신을 할 수 있어야만 원활하게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무전기 또는 테트라(TETRA) 단말기와 같은 원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720)에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을 결합하여 현장 요원들의 벨트 등에 착용 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과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수행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과 그와 연결되는 스피커/마이크(910)를 착용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헬멧, 철모 등에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110)나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710)과 그와 연결되는 헤드셋(920)을 장착할 경우에는 현장 요원들이 손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폰(410)으로 음성 통화를 착발신할 때, 헬멧, 철모 등을 벗지 않고도 쉽게 통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캐리어 웨이브 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활용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의 활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통신 동글을 이용한 무선 액세서리 활용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위한 통신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110: 제 1 무선 통신기
120: 제 2 무선 통신기 130: 코덱
140: 입출력기 150: 제어기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는 코덱;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하거나 데이터 및 명령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는 입출력기;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무선으로 전송하는 복수 개의 무선 통신기; 및
    상기 복수 개의 통신기 중 하나의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와 양방향 다자간 그룹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다른 무선 단말기와 송수신하며, 상기 복수 개의 통신기 중 다른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다른 무선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다른 무선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통신기는 서로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나의 무선 통신기는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수행하는 바이너리 CDMA 모듈이고, 상기 다른 무선 통신기는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이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하나의 무선 통신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통신하여 통화 그룹을 형성하되, 상기 통화 그룹 내의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는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양방향 동시 통화를 수행하지 않는 나머지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는 상기 양방향 동시 통화의 내용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그룹 내에서 상기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의 마스터 단말기 또는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로 동기 신호를 송신하고 통화 채널을 할당하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상기 슬레이브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다른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중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면, 기 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
  5.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화 그룹 형성을 위한 동기 신호를 수신하 고 상기 동기 신호에 따라 동기하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위한 채널을 할당받아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및
    상기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동기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와의 동기를 유지하고,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로 상기 채널을 할당하여 상기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마스터 단말기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면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는 그룹 통화 모드로 진입하며, 상기 마스터 단말기와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단말기 간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는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상기 마스터 단말기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동기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마스터 단말기로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요청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에서 탈퇴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한 통화가 종료되면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에 참가하며,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통해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이동통신을 이용한 통화가 종료된 후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은,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단말기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처리하는 중에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가 요청되면 상기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중단하고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되,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는 동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 이상의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 및 바이너리 CDMA 모듈을 구비하되, 휴대폰, MP3 플레이어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 중 하나 이상과 결합하거나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헤드셋과 통신하고 상기 바이너리 CDMA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다른 슬레이브 단말기와 통신하는 동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바이너리 CDMA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마스터 단말기 및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통화 그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가 그룹 통화를 수행하되,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적어도 3 개 이상의 단말기가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단말기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레이브 단말기 중 상기 다자간 양 방향 그룹 통화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제외한 나머지 단말기가 상기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의 내용을 전송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화 방법.
KR1020090053361A 2009-06-16 2009-06-16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KR101027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61A KR101027805B1 (ko) 2009-06-16 2009-06-16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3361A KR101027805B1 (ko) 2009-06-16 2009-06-16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75A KR20100134975A (ko) 2010-12-24
KR101027805B1 true KR101027805B1 (ko) 2011-04-07

Family

ID=43509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3361A KR101027805B1 (ko) 2009-06-16 2009-06-16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7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3888A1 (en) * 2021-06-16 2022-12-22 Dubai Police General Headquarters Operations control room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649B1 (ko) * 2011-04-22 2011-06-20 탐투스 주식회사 바이너리 cdma 방식 무선통신장치
KR20140079537A (ko) * 2012-12-14 2014-06-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들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KR101720144B1 (ko) * 2016-08-29 2017-04-10 (주) 피디케이리미티드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헬멧을 이용한 음성통화 시스템 및 방법
US10863321B2 (en) 2016-10-21 2020-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Bluetooth technology
CN108271144B (zh) * 2018-03-23 2023-12-19 杜宁 一种与终端进行数据双向互传的蓝牙装置和系统
WO2021014199A1 (en) * 2019-07-24 2021-01-28 Bosch Car Multimedia Portugal, S.A. Vehicle instrument cluster for providing an inter-vehicle audio call system
CN114913882A (zh) * 2022-05-25 2022-08-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录音方法及录音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762A1 (en) * 2005-08-19 2007-02-22 Darren Guccione Mobile conferencing and audio sharing technology
KR20070044148A (ko) * 2005-10-24 2007-04-27 이영종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42762A1 (en) * 2005-08-19 2007-02-22 Darren Guccione Mobile conferencing and audio sharing technology
KR20070044148A (ko) * 2005-10-24 2007-04-27 이영종 이동통신 단말기 및 컴퓨터용 무선통신 중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3888A1 (en) * 2021-06-16 2022-12-22 Dubai Police General Headquarters Operations control room radio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975A (ko) 201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805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단말기와 그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그룹 통신 방법 및 시스템과 이종 통신망 연동 시스템
JP4361584B2 (ja) ブルートゥースを利用した遠隔ptt装置及びハンズフリー通信システムと該提供方法
US8073137B2 (en) Audio headset
US7804886B2 (en) Wearable system for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20090017868A1 (en) Point-to-Point Wireless Audio Transmission
US20060264176A1 (en) Audio I/O device with Bluetooth module
US20110110514A1 (en) Multi-button remote control headset with improved signaling
KR101106767B1 (ko)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CN102792665A (zh) 个人会议装置
CN111586595B (zh) 中继转发器组网通话系统
WO2015087548A1 (ja)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連携方法
KR20100081567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쇼울더 마이크 통신시스템
CN201114576Y (zh) 一种具备自动切换功能的对讲机
CN203118191U (zh) 移动终端遥控装置
JP2007013617A (ja) 車載無線装置
KR100775000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다기능 무선 리모컨 장치
EP2876870B1 (en) Playing a music from a music player at a cordless phone base station
KR20100124956A (ko) 무선 헤드셋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통화 방법
KR20180064090A (ko) 블루투스 ptt 서비스 시스템 및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한 이어셋 제어 방법
CN201869269U (zh) 一种高端多模无线系统终端
KR101774842B1 (ko) 핸즈프리 기능을 겸비한 혼자듣기 리모컨
KR20060023923A (ko) 단거리 무선통신에 의한 휴대전화와 외장형 스피커 사이의음성 송수신장치
CN213426491U (zh) 一种具有对讲功能的工牌
CN114422962B (zh) 一种兼容moto调度台和空客调度台的调度话机
KR20130005369U (ko) 블루투스 및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구비한 led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