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9628A -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9628A
KR20230069628A KR1020210155819A KR20210155819A KR20230069628A KR 20230069628 A KR20230069628 A KR 20230069628A KR 1020210155819 A KR1020210155819 A KR 1020210155819A KR 20210155819 A KR20210155819 A KR 20210155819A KR 20230069628 A KR20230069628 A KR 202300696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icrophone
unit
ear microphon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354B1 (ko
Inventor
박건영
손동철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인소팩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소팩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소팩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55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354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5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 H04B2001/3872Transceivers carried on the body, e.g. in helmets with extendable microphones or ear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커, 마이크 및 다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마이크커넥터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상기 ADC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받아 다수 개의 상기 버튼을 각각 구분하는 버튼인식부;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구분된 상기 버튼의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버튼정보를 전송받아 전원, 음량, PTT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이어마이크의 종류에 따라 이어마이크의 버튼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버튼인식 보정을 통해 이어마이크가 특정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이어마이크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correcting the button recognition of an ear microphone and a method for correcting the button recogni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마이크의 종류에 따라 이어마이크의 버튼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버튼인식 보정을 통해 이어마이크가 특정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이어마이크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5 내지 7명이 소규모 팀을 이루어 행동하는 경찰 또는 군인들의 경우 각 팀원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근거리 통신용 소형 무전기와 같은 휴대통신장치를 각각 소지하게 된다. 휴대통신장치는 근거리 또는 원거리에서 사용자 상호간 또는 다자간에 음성신호를 서로 교류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장치로, 이러한 휴대통신장치는 기지국이나 중계국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통화요금이 부과되지 않으면서 상호간 교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능에 의해 군용, 산업용, 민간용 등 여러분야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무전기라 통용되는 휴대통신장치는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이어폰과는 다른 이어마이크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어마이크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결합된 구성으로, 이어폰과 마이크 뿐만 아니라 전원버튼, 음량버튼, PTT(Push To Talk)버튼 등과 같은 버튼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어마이크의 경우 휴대통신장치의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제조사 또는 권장하는 종류의 이어마이크를 사용해야 하며, 해당 이어마이크를 제외한 이어마이크의 경우 휴대통신장치가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휴대통신장치의 경우 스피커신호, 마이크신호 및 GND로 구성된 범용 규격을 지원하거나 각 휴대통신장치에 맞는 전용 규격을 지원한다. 이때 사용되는 이어마이크의 전원버튼, 음량버튼, PTT버튼을 주로 마이크신호를 통해 인식하도록 하는데, 각 버튼의 동작시 마이크신호에 버튼별 전압이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휴대장치가 버튼의 동작 여부 및 동작된 버튼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이어마이크 제조사 또는 제품 종류에 따라 이어마이크의 버튼 개수나 버튼별 전압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어마이크를 연결한 휴대통신장치의 종류에 따라서도 버튼별 전압이 상이한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대부분의 휴대통신장치에서는 휴대통신장치 제조사에서 지정한 전용 이어마이크 제품만 사용하도록 권장하는 경우가 있으며, 사용 중 이어마이크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타 이어마이크 제품이 연결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전용 이어마이크를 새로 구입하거나 비용을 들여 A/S를 받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 제10-10146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어마이크의 종류에 따라 이어마이크의 버튼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버튼인식 보정을 통해 이어마이크가 특정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이어마이크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스피커, 마이크 및 다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마이크커넥터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상기 ADC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받아 다수 개의 상기 버튼을 각각 구분하는 버튼인식부;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구분된 상기 버튼의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버튼정보를 전송받아 전원, 음량, PTT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이어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신호를 오디오데이터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신호로 복호화하여 상기 이어마이크로 출력처리하는 오디오코덱부;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인식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확인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세지에 맞춰 조작하여 조작정보를 상기 버튼인식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 전송하는 키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은 또한, 이어마이크커넥터부에 이어마이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이어마이크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을 준비하는 보정준비단계; 상기 이어마이크에 포함된 다수 개의 버튼을 각각 인식 및 보정하는 버튼인식 보정단계; 및 버튼인식된 상기 이어마이크를 상기 이어마이크커넥터부에 재연결하여 버튼보정을 확인하는 버튼보정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정준비단계는, 휴대통신장치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이어마이크커넥터부와 상기 이어마이크가 연결되는 이어마이크 연결단계, 키패드부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에 접근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신호를 보내어 버튼보정테이블을 형성하는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 상기 키패드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버튼보정테이블에 상기 이어마이크의 이름을 입력하는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 및 상기 이어마이크의 버튼을 누르지 않는 상태인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입력되는 버튼해제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인식 보정단계는, ADC부로 전송되는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마이크디지털신호로 실시간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ADC부를 활성화하는 ADC부 활성화단계, 상기 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버튼의 마이크신호를 상기 ADC부로 전송하여 버튼을 인식시키는 버튼인식단계, 및 상기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재전송하여 상기 버튼의 보정을 완료하는 버튼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마이크의 종류에 따라 이어마이크의 버튼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버튼인식 보정을 통해 이어마이크가 특정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종류의 이어마이크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장치 및 이어마이크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데이터저장부 및 버튼보정테이블의 상세도이고,
도 4은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버튼인식 보정방법 중 보정준비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6은 버튼인식 보정방법 중 버튼인식 보정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7은 이어마이크 버튼의 작동에 따른 마이크신호 전압레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장치 및 이어마이크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통신장치의 상세도이고, 도 3은 데이터저장부 및 버튼보정테이블의 상세도이고, 도 4은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버튼인식 보정방법 중 보정준비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6은 버튼인식 보정방법 중 버튼인식 보정단계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7은 이어마이크 버튼의 작동에 따른 마이크신호 전압레벨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통신장치(10)에 연결되는 이어마이크(20)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21)와,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22)와, 휴대통신장치(1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다수 개의 버튼(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 개의 버튼(23)은 이어마이크(20)의 전원을 조절하는 전원버튼, 이어마이크의 음량을 조절하는 음량버튼, 사용자의 음성 전달을 위한 PTT(Push To Talk)버튼으로 이루어지며, 이어마이크(20)의 제조사에 따라 추가로 다양한 버튼(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어마이크(20)를 제조사에 관계없이 사용가능하도록 본 발명은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10)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피커(21), 마이크(22) 및 다수 개의 버튼(20)을 포함하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 ADC부(300), 버튼인식부(400), 데이터저장부(500), 제어부(600), 오디오코덱부(700), 디스플레이부(800) 및 키패드부(90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00)는, 무전기로 통용되는 휴대통신장치(10)의 외관에 해당하며, 이러한 본체(100) 내에는 후술할 ADC부(300), 버튼인식부(400), 데이터저장부(500), 제어부(600) 및 오디오코덱부(700)가 내장된다.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는, 본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범용 또는 전용 이어마이크(20)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이러한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는 일반적으로 휴대통신장치(10)에 이어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홀(hole) 형상의 구성에 해당하며, 여기에 이어마이크(20)의 단자가 삽입된 후 휴대통신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휴대통신장치(10) 및 이어마이크(20) 중 이어마이크(20)의 스피커(21)는 휴대통신장치(10)의 스피커신호와 연결되고, 이어마이크(20)의 마이크는 휴대통신장치(10)의 마이크신호와 연결되어 서로 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ADC부(300)는, 본체(100)에 내장되며, 이어마이크(20)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신호를 전송받아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즉, ADC부(30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ng-Digital Converter, ADC)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아날로그 신호에 해당하는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할 버튼인식부(400)에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버튼인식부(400)는, ADC부(300)로부터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받아 다수 개의 버튼(23)을 각각 구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아날로그인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ADC부(300)에서 디지털로 변환한 후, 변환한 마이크디지털신호를 버튼인식부(400)에 전송하며, 버튼인식부(400)는 마이크디지털신호를 통해 버튼(23)의 동작 여부 판단을 위한 보정작업을 수행한다. 즉, 버튼인식부(400)는 마이크디지털신호를 통해 버튼(23)의 전압레벨을 모니터링 및 보정하여 해당 버튼(23)의 데이터정보를 수집 및 구분한다.
데이터저장부(500)는, 버튼인식부(400)를 통해 구분된 버튼(23)의 마이크디지털신호로 이루어진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이어마이크(20)의 종류별 버튼(23)의 전압레벨에 대한 데이터정보를 버튼인식부(400)로부터 전송받아 데이터저장부(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버튼보정테이블(510)을 형성하여 각 버튼(23)에 해당하는 마이크디지털신호가 구분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데이터저장부(500)는 마이크디지털신호가 저장된 이어마이크(20)가 연결된 후 이어마이크(20)를 이용하여 버튼(23)을 누르게 되면, 누르게 되는 버튼(23)이 어떠한 버튼(23)에 해당하는지 인식하여 버튼정보를 후술할 제어부(600)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600)는, 데이터저장부(500)로부터 버튼정보를 전송받아 휴대통신장치(10)의 전원, 음량, PTT 기능 등을 제어하고, 제어신호를 통해 휴대통신장치(10)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신호를 이어마이크(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600)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을 통해 요청되는 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오디오코덱부(700)는, 이어마이크(20)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신호를 오디오데이터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신호로 복호화하여 이어마이크(20)로 출력처리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이어마이크(2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된 마이크신호를 ADC부(300)가 아닌 오디오코덱부(700)로 전송받은 후, 오디오코덱부(700)는 해당 마이크신호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신호로 복호화하여 마이크신호가 입력된 휴대통신장치(10) 또는 근거리에 있는 다른 휴대통신장치(10)로 스피커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다른 휴대통신장치(1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데이터는 오디오코덱부(700)로 전송되고, 오디오코덱부(700)는 디지털화된 스피커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여 스피커신호로 이어마이크(20)에 전송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800)는, 본체(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버튼인식부(400) 및 데이터저장부(500)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버튼인식 보정 과정에서 버튼인식부(400)가 보내는 메세지를 표시하여 정확하게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인식 보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어마이크(20)의 데이터정보가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된 상태에서 다시 이어마이크를 휴대통신장치(10)에 연결할 경우, 저장된 이어마이크(20)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800)는 본체(100)의 정면에 형성된다. 이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800)는 버튼인식 보정이 진행되지 않을 때에는 일반적인 휴대통신장치(10)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키패드부(900)는, 디스플레이부(800)와 마찬가지로 본체(100)의 정면에 형성되어 디스플레이부(800)에 표시되는 메세지에 맞춰 조작하여 조작정보를 버튼인식부(400) 및 데이터저장부(500)로 전송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장치(10)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준비단계(S100), 버튼인식 보정단계(S200) 및 버튼보정 확인단계(S300)를 포함한다.
먼저 보정준비단계(S100)는,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에 이어마이크(20)를 연결한 후 이어마이크(20)의 정보를 입력하여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인식 보정을 준비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보정준비단계(S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 연결단계(S110),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S120),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S130) 및 버튼해제정보 입력단계(S140)를 포함한다.
이어마이크 연결단계(S110)는, 휴대통신장치(10)에 전원을 인가한 후 휴대통신장치(10)의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와 이어마이크(20)가 연결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통신장치(10)의 전원을 켜게 되면 휴대통신장치(10)에 포함된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 ADC부(300), 버튼인식부(400), 데이터저장부(500), 제어부(600), 오디오코덱부(700), 디스플레이부(800) 및 키패드부(900)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어 각 구성은 각 역할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와 이어마이크(20)가 연결되면, 이어마이크(20)는 휴대통신장치(10)와 스피커신호 및 마이크신호를 서로 전송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S120)는, 키패드부(900)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600)에 접근하고, 제어부(600)는 데이터저장부(500)에 신호를 보내어 버튼보정테이블(510)을 형성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어마이크 연결단계(S110)를 통해 연결된 이어마이크(20)의 경우 휴대통신장치(10)에 버튼정보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버튼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신규 버튼보정테이블(510)을 형성한다. 이는 새로운 이어마이크(20)가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에 연결된 상태에서 키패드부(900)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600)에 접근하게 되면, 제어부(600)는 이와 연결된 데이터저장부(500)에 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600)로부터 신호를 받은 데이터저장부(500)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신규 버튼보정테이블(510)을 형성하게 되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 이름', '모든 버튼 해제 값', '이어마이크 PTT 버튼 인식 값', '이어마이크 음량 UP 버튼 인식 값', '이어마이크 음량 DOWN 버튼 인식 값'을 각각 입력할 수 있도록 신규 버튼보정테이블(510)이 데이터저장부(500) 내에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보정테이블(510)은 다수 개가 형성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다양한 이어마이크(20)의 버튼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S130)는, 키패드부(900)의 조작을 통해 버튼보정테이블(510)에 이어마이크(20)의 이름을 입력 및 저장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S120)를 통해 데이터저장부(500)에 버튼보정테이블(510)이 형성되면 데이터저장부(500)는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부(800)에 신호를 보내어 이어마이크(20)의 이름을 입력하라는 메세지가 디스플레이부(800)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키패드부(900)의 조작을 통해 이어마이크(20)의 이름을 입력하게 되면 해당 신호는 제어부(600)를 거쳐 데이터저장부(500)로 전송되어 버튼보정테이블(510)의 '이어마이크 이름' 필드에 이어마이크(20)의 이름이 입력 및 저장된다.
버튼해제정보 입력단계(S140)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을 누르지 않는 상태인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전송하여 데이터저장부(500)에 입력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S130)를 통해 이어마이크(20)의 이름이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되면, 데이터저장부(500)는 제어부(600)에 버튼 해제정보 요청을 위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부(800)에 신호를 보내게 되어 디스플레이부(800)에 버튼의 누름을 해제하라는 메세지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버튼(23)을 누르지 않는 상태에서의 전압레벨을 확인하기 위함이며, 이는 이후에 이어마이크(20)의 각 버튼(23)에 해당하는 전압레벨을 인식하기 위한 기본값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버튼(23)을 누르지 않은 상태의 전압레벨은 마이크신호로 ADC부(300)에 전송되고, ADC부(300)는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버튼인식부(400)를 지나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되도록 한다. 즉, 데이터저장부(500)의 버튼보정테이블(510) 중 '모든 버튼 해제 값' 시트에 해당 마이크디지털신호가 저장된다.
버튼인식 보정단계(S200)는, 이어마이크(20)에 포함된 다수 개의 버튼(23)을 각각 인식 및 보정하는 단계를 의미하며, 이러한 버튼인식 보정단계(S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C부 활성화단계(S210), 버튼인식단계(S220) 및 버튼보정단계(S230)를 포함한다.
ADC부 활성화단계(S210)는, ADC부(300)로 전송되는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마이크디지털신호로 실시간으로 변환하도록 ADC부(300)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어마이크(20)의 버튼인식을 감지하기 위해 ADC부(300)를 활성화시키게 되면 이어마이크(20)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신호가 ADC부(300)로 전송되고, ADC부(300)는 마이크신호를 전송받아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실시간으로 변환하기 시작한다. 즉,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든 버튼 해제 값'에 저장된 마이크디지털신호가 ADC부(300)에서 실시간으로 변환되고, 이렇게 변환된 마이크디지털신호는 버튼인식부(400)로 전송된다.
버튼인식단계(S220)는, 버튼(23)의 조작을 통해 버튼(23)의 마이크신호를 ADC부(300)로 전송하여 버튼(23)을 인식시키는 단계를 의미한다.
ADC부 활성화단계(S210)를 통해 버튼(23)의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의 마이크신호가 지속적으로 ADC부(300)로 전송되고 있는 상태에서 버튼인식을 위해 제어부(600)는 디스플레이부(800)에 신호를 보내어 버튼인식을 요구하는 메세지를 보내게 된다. 이 상태에서 키패드부(900)를 이용하여 전원버튼, 음량버튼, PTT버튼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되면 해당 버튼(23)을 누르라는 메세지가 전송되며, 이때 전원버튼, 음량버튼, PTT버튼 중 어느 하나를 누르게 되면 그 버튼(23)에 해당하는 마이크신호가 ADC부(300)로 전송된다. 하기에서는 다수 개의 버튼(23) 중 PTT버튼을 눌러서 버튼(23)을 인식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 다음 ADC부(300)로 전송되는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한 후 버튼인식부(400)로 전송하게 되면, 버튼인식부(400)는 '모든 버튼 해제 값'을 기준으로 변화가 발생한 것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디지털신호의 변화가 발생한 후 해당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지속되면 PTT버튼이 눌린 것으로 간주하고, 이때 가장 마지막으로 확인된 마이크디지털신호를 버튼인식부(400)는 PTT버튼에 대한 인식 값으로 결정하고, 마이크디지털신호를 데이터저장부(500)에 전송하게 된다. 그 후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받은 데이터저장부(500)는 버튼보정테이블(510) 중 '이어마이크 PTT 버튼 인식 값' 시트에 PTT버튼의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저장하게 된다.
버튼보정단계(S230)는,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재전송하여 버튼(23)의 보정을 완료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버튼인식단계(S220)가 완료되면 데이터저장부(500)는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어 디스플레이부(800)에 버튼을 누르지 말라는 메세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에 의해 버튼인식단계(S220)를 통해 PTT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PTT버튼 누름을 해제하여 이어마이크(20)의 모든 버튼(23)을 누르지 않는 상태인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ADC부(30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ADC부(300)는 마이크디지털신호를 버튼인식부(400)로 전송하게 되고, 버튼인식부(400)는 전송받은 마이크디지털신호가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된 '모든 버튼 해제 값'과 비교하여 일치할 경우 버튼 해제를 감지하여 버튼(23)의 보정을 완료하게 된다.
여기서 버튼인식단계(S220) 및 버튼보정단계(S230)는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이 다수 개로 이루어질 경우 해당 단계들을 반복 수행하여 모든 버튼(23)의 마이크디지털신호가 버튼보정테이블(510)에 저장되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이 인식되지 않은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과 버튼 A, B, C에 따른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이 모두 상이하기 때문에 이를 통해 버튼의 인식과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버튼보정 확인단계(S300)는, 버튼인식된 이어마이크(20)를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에 재연결하여 버튼보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버튼인식 보정단계(S200)를 통해 버튼인식 보정이 완료된 이어마이크(20)를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로부터 분리한 후, 필요에 따라 휴대통신장치(10)를 사용하기 위해 이어마이크(20)를 다시 연결하게 되면 이어마이크커넥터부(200)가 제어부(600)를 통해 데이터저장부(500)에 신호를 전송한다. 그 다음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된 버튼보정테이블(510) 중 '이어마이크 이름' 시트에 기재된 이어마이크(20)의 이름 리스트를 불러오게 되며, 이 중 이어마이크(20)에 해당하는 이름을 키패드부(900)를 이용하여 선택하게 된다. 그 후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을 누르게 되면 마이크신호가 ADC부(300)를 거쳐 버튼인식부(400)로 전송되어 버튼인식부(400)가 데이터저장부(500)에 저장된 마이크디지털신호와 비교하여 어떠한 버튼(23)을 사용하였는지 버튼보정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버튼인식부(400)는 제어부(600)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600)는 오디오코덱부(700)에 신호를 보내어 최종적으로 휴대통신장치(10)의 전원, 음량 PTT 기능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10)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을 이용할 경우, 다수의 이어마이크(20)에 대한 보정 작업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전에 보유 중인 이어마이크(20)를 제품별로 보정을 수행해두면 이어마이크(20)를 변경할 때마다 다시 보정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하고자 하는 이어마이크(20)에 대한 버튼보정테이블(510)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원활한 이어마이크(20)의 버튼(23)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휴대통신장치
20: 이어마이크
21: 스피커
22: 마이크
23: 버튼
100: 본체
200: 이어마이크커넥터부
300: ADC부
400: 버튼인식부
500: 데이터저장부
600: 제어부
700: 오디오코덱부
800: 디스플레이부
900: 키패드부
S100: 보정준비단계
S110: 이어마이크 연결단계
S120: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
S130: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
S140: 버튼해제정보 입력단계
S200: 버튼인식 보정단계
S210: ADC부 활성화단계
S220: 버튼인식단계
S230: 버튼보정단계
S300: 버튼보정 확인단계

Claims (4)

  1. 스피커, 마이크 및 다수 개의 버튼을 포함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를 연결하기 위한 이어마이크커넥터부;
    상기 본체 내에 내장되며, 상기 이어마이크로부터 형성되는 마이크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마이크신호를 마이크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C부;
    상기 ADC부로부터 상기 마이크디지털신호를 전송받아 다수 개의 상기 버튼을 각각 구분하는 버튼인식부;
    상기 버튼인식부를 통해 구분된 상기 버튼의 데이터정보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버튼정보를 전송받아 전원, 음량, PTT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통신장치는,
    상기 이어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마이크신호를 오디오데이터로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상기 오디오데이터를 스피커신호로 복호화하여 상기 이어마이크로 출력처리하는 오디오코덱부;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인식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부터 전송되는 메세지를 확인가능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의 정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메세지에 맞춰 조작하여 조작정보를 상기 버튼인식부 및 상기 데이터저장부로 전송하는 키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3. 이어마이크커넥터부에 이어마이크를 연결한 후 상기 이어마이크의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을 준비하는 보정준비단계;
    상기 이어마이크에 포함된 다수 개의 버튼을 각각 인식 및 보정하는 버튼인식 보정단계; 및
    버튼인식된 상기 이어마이크를 상기 이어마이크커넥터부에 재연결하여 버튼보정을 확인하는 버튼보정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준비단계는,
    휴대통신장치에 전원을 인가한 후 상기 이어마이크커넥터부와 상기 이어마이크가 연결되는 이어마이크 연결단계,
    키패드부의 조작을 통해 제어부에 접근하고, 상기 제어부는 데이터저장부에 신호를 보내어 버튼보정테이블을 형성하는 신규 버튼보정테이블 형성단계,
    상기 키패드부의 조작을 통해 상기 버튼보정테이블에 상기 이어마이크의 이름을 입력하는 이어마이크 이름입력단계, 및
    상기 이어마이크의 버튼을 누르지 않는 상태인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입력되는 버튼해제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인식 보정단계는,
    ADC부로 전송되는 마이크신호의 전압레벨을 마이크디지털신호로 실시간으로 변환하도록 상기 ADC부를 활성화하는 ADC부 활성화단계,
    상기 버튼의 조작을 통해 상기 버튼의 마이크신호를 상기 ADC부로 전송하여 버튼을 인식시키는 버튼인식단계, 및
    상기 버튼 해제정보의 마이크신호를 재전송하여 상기 버튼의 보정을 완료하는 버튼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통신장치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KR1020210155819A 2021-11-12 2021-11-12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KR10254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19A KR102544354B1 (ko) 2021-11-12 2021-11-12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819A KR102544354B1 (ko) 2021-11-12 2021-11-12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628A true KR20230069628A (ko) 2023-05-19
KR102544354B1 KR102544354B1 (ko) 2023-06-16

Family

ID=8654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819A KR102544354B1 (ko) 2021-11-12 2021-11-12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2343A (ko) * 2009-07-30 2011-02-09 ㈜비엔컴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KR101014606B1 (ko) 2008-05-30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무전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그리고 이의 송수신 방법
KR20120136129A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특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4606B1 (ko) 2008-05-30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무전기용 무선 송수신 장치 그리고 이의 송수신 방법
KR20110012343A (ko) * 2009-07-30 2011-02-09 ㈜비엔컴 블루투스 다중사용장치
KR20120136129A (ko) * 2011-06-08 2012-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세서리 특성 설정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액세서리 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354B1 (ko) 2023-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456B1 (ko) 휴대단말기에서 블루투스 자동등록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659894B2 (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pplicatio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t least one hearing aid
US9609465B2 (en) Multi-role Bluetooth device and Bluetooth connection method thereof
US853271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udible location alarm from ear level device
US20060047513A1 (en) Voice-activated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10250932A1 (en) Personal Sound System Including Multi-Mode Ear Level Module with Priority Logic
JP2008533884A (ja) 補聴器用遠隔制御システム
WO2007114850A1 (en) Remote user interface for bluetoothtm device
US10346334B2 (en) Mode switchable audio processor for digital audio
JP2005136871A (ja) 電子機器およびペアリング処理方法
KR102544354B1 (ko) 이어마이크의 버튼인식 보정이 가능한 휴대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튼인식 보정방법
KR100724888B1 (ko)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운드 출력 제어방법
JP6314693B2 (ja) 無線通信機およびその音量調整方法
US201100535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bluetooth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mobile terminal
EP2056576A1 (en) Improved sound in a conference communication session
US20150195687A1 (en) Push to talk virtual key
US20170366973A1 (en) Wireless security system for wireless audio device
KR20150038908A (ko) 블루투스 피티티 단말 장치 그리고 이를 가지는 블루투스 피티티 시스템
WO2023029299A1 (zh) 耳机通信方法、耳机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4791470B2 (ja) 携帯電話機、報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90691B2 (ja) 防災システムおよび防災器具
WO2022067854A1 (en) Secure connection for a public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CN113849151A (zh) 一种音频设备及其音量调节方法
TW202101280A (zh) 語言翻譯裝置、系統及其配對連線方法
JP2002252684A (ja) 移動通信端末の操作入力受付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