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2240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2240A
KR20110012240A KR1020090069880A KR20090069880A KR20110012240A KR 20110012240 A KR20110012240 A KR 20110012240A KR 1020090069880 A KR1020090069880 A KR 1020090069880A KR 20090069880 A KR20090069880 A KR 20090069880A KR 20110012240 A KR20110012240 A KR 2011001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evaporator
cover member
refrigerato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남
이장석
박소희
이윤석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2240A/ko
Publication of KR2011001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2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에서의 물의 냉장보관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에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물탱크, 증발기, 커버부재, 단열부재

Description

냉장고{A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스펜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에서의 물의 냉장보관을 위하여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매싸이클을 이용하여 저장물을 냉장 또는 냉동보관하기 위한 가전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의 구성을 보면, 냉장실과 냉동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냉기를 발생하는 증발기 및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냉장고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시원한 물과 얼음을 공급받을 수 있는 디스펜서도 구비되어 있다. 특히, 얼음이 취출되는 루트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는 보통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디스펜서에 시원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서 종래의 냉장고는 냉동실 도어의 후방에 물탱크를 장착하는 한편, 그러한 물탱크의 물이 냉동실의 냉기에 의하여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열을 공급하는 히터를 장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히터의 작동으로 인하여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냉장고의 작동부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펜서를 구비하는 냉장고에서의 소비전력을 줄여 냉장고의 작동부하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물의 냉장보관을 위한 물탱크의 크기를 확대시킴으로써 냉장보관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에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영하온도를 갖는 냉기가 상기 물탱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장실과 상기 증발기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증발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증발기와 물탱크를 분리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 중 상기 물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부의 일부는 상기 물탱크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리세스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의 내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의 폭은 상기 상부패널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의 폭은 상기 물탱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상기 물탱크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물탱크를 덮는 물탱크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물탱크를 구획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제2측면부와 연결 되어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상기 제2측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힌지장치와;
상기 본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발포층과 상기 힌지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물탱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와;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에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와;상기 증발기의 주위 온도가 상기 물탱크의 주위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를 격리배치하는 단열부재와;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물탱크를 커버하기 위하여 냉장실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하여 커버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부 착되되,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증발기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커버부재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와 상기 물탱크는 단열분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물탱크 내의 결빙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던 히터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냉장고 소비전력을 줄여 냉장고의 작동부하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의 냉장보관을 위한 물탱크의 크기를 확대시킴으로써 냉장보관되는 물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냉동실(11)과 냉장실(12)을 포함하는 본체(10)와,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각각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4) 및 냉동실 도어(15)를 포함한다.
상기 냉동실 도어의 전면에는 물이나 얼음을 취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20)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서(20)에는 물 취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취수레버(22) 가 마련된다.
상기 냉장실에는 저장물을 수납하고 저장할 수 있는 선반(30)과 저장서랍(32)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30)과 저장서랍(32)의 후방에는 냉장고의 후벽의 상부을 형성하는 상부패널(100)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패널에는 냉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안내구(10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100)의 하부와 상기 저장서랍(32)의 후방에는 상기 디스펜서(20) 방향으로 유입되는 물을 냉장보관할 수 있는 물탱크(2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200)는 상기 냉장실(12) 후방에 마련되는 증발기(미도시)와 냉기팬(미도시)등의 구조 및 물의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다.
도2는 상기 냉장실(12)에서 상기 선반과 상기 저장서랍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보면, 상기 냉장실(12)의 후벽 상부에는 상기 상부패널(100)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100)의 하부에는 상기 물탱크(200)가 일측에 치우쳐져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00)의 옆에는 상기 냉장실(12)로 유입되는 냉기를 형성하는 증발기(300)가 배치되며, 상기 증발기(300)의 상부에는 상기 증발기(300)를 통과한 냉기를 상기 상부패널(100)의 상기 냉기토출구(102) 방향으로 안내하는 냉기팬유닛(400)이 마련된다.
상기 물탱크(200)와 상기 증발기(300) 사이에는 단열부재(450)가 마련되는 데, 이는 상기 증발기(300) 주위에 형성된 매우 낮은 온도가 상기 물탱크(200)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물탱크(200) 내부에 수용된 물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냉장실(12) 내부가 정상적으로 냉기가 공급되어 냉장보관운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냉장실(12)의 내부온도는 섭씨 약 1~3도 정도를 유지하나, 상기 증발기(300)의 표면온도는 영하의 온도가 된다.
상기 물탱크(200)가 상기 증발기(300)에 인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단열부재(450)가 없다면 상기 물탱크(200)에 저장되는 상기 증발기(300) 주위에 형성된 냉기의 영향을 받아서 쉽게 결빙될 것이고, 이에 따라 디스펜서(20)에서 물을 취출하는 것이 불가능해질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물탱크(200)와 상기 증발기(300) 사이에 단열부재(450)를 두었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00) 주위의 낮은 온도가 상기 물탱크(200)에 영향을 주지 않아서 물탱크(200) 내부의 물의 결빙이 방지된다. 상기 단열부재(450)는 스티로폼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냉장실(12)과 상기 증발기(300) 사이에는 상기 증발기(300)의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부재(500)를 두었으며,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기 증발기(300) 뿐만 아니라 상기 냉기팬 유닛(400)도 커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100)은 대략 사각형 모양을 구비하여 상기 냉장실(12)의 후방에 배치되나, 상기 커버부재(500)는 그 일측에 상기 물탱크(200)가 수용되도록 그 일측벽 중 일부가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게 리세스 처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열부재(450)는 상기 움푹들어간 부분이 있는 상기 커버부재(500) 일측벽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탱크(200)가 외부에 노출되는 경우, 이를 바라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미관상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00)의 전면에는 물탱크 커버(60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 커버(600)의 모양은 상기 커버부재(500)에 의하여 가려지지 않은 나머지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0)의 상부의 폭(W1)은 상기 상부패널(100)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부재(500)의 하부의 폭(W2)은 상기 상부의 폭(W1)에서 상기 물탱크(도2참보, 20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610)의 폭(W3)을 제외한 값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도2참조, 200)의 높이가 상기 커버부재(500)의 높이와 비교해볼 때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00)의 상부에 인접한 상기 커버부재(500)의 측벽(511)은 경사지게 설치되는 제1측면부(511)와, 상기 제1측면부(511)에서 연장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200)의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측면부(512)를 포함한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500)는 상부 및 하부, 그리고 후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500)가 상기 냉장실의 후벽측에 장착되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덕트를 구성한다.
상기 커버부재(500)의 상부에 마련되는 토출구(501) 근처에는 상기 냉기팬유닛(500)이 장착되는데, 상기 냉기팬 유닛(400)의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다.
우선 상기 냉기팬유닛(400)의 일 구성요소인 냉기팬(401)의 구동모터(402)가 장착되는 모터장착부(41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장착부(410) 주위에는 상기 냉기팬 하우징(403)이 장착되는 하우징 장착부(420)가 마련된다.
상기 냉기팬 하우징(403)은 그 후방과 상방이 개방되어 있어서, 상기 냉기팬(401)이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증발기(도3참조, 300)를 통과한 냉기가 상기 냉기팬 하우징(403)의 후방의 개방부(403a)로 들어와서 상방의 개방부(403a)로 토출된 후 상기 상부패널(도3참조, 100)의 토출안내구(도3참조, 102)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로 토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500)의 양 측벽은 모두 후방으로 연장되는데, 상기 물탱크(200)와 인접하는 제1측벽(5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측면부(511)와 제2측면부(51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450)는 상기 제1측벽(5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배치됨으로써 , 상기 제1측면부(511)와 상기 제2측면부(512)의 형상대로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립자가 상기 단열부재(450)를 상기 커버부재(500)와 분리된 상태로 별도로 장착할 필요없이 상기 커버부재(500)를 장착하면, 자동적으로 상기 증발기와 물탱크(200)가 분리배치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여기서는 상기 물탱크(200)가 상기 커버부재(1500)에 의하여 덮히는 것을 도시하였다. 즉, 제1실시예의 경우 커버부재(도2참조, 500)와 물탱크 커버부재(도2참조, 600)가 각각 마련되었으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물탱크 커버부재를 생략하고, 하나의 커버부재(1500)로서 상기 증발기(300)와 상기 물탱크(20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이러한 커버부재(1500)에서도 상기 증발기(300)와 상기 물탱크(200) 간의 격리 배치는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커버부재(1500) 내측에 상기 단열부재(1450)가 장착된다.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500)의 양측벽(1501.1502)은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며 모두다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양측벽(1501,1502) 중 상기 물탱크(200)에 인접한 제1측벽(1501)에 인접하게 상기 단열부재(1450)가 마련된다.
상기 단열부재(1450)는 상기 제1측벽(1501) 및 상기 커버부재(1500)의 후면과 접하여 수평상태로 또는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1단열부(1451)와, 상기 제1단열부(1451)와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1500)의 후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는 제2단열부(1452)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부재(1450)와 상기 제1측벽(1501)에 의하여 상기 물탱크(200)가 수용될 수 있는 물탱크 수용공간(1610)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에 의하여 상기 물탱크(200)는 상기 증발기(도5참조, 300)와 격리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증발기(300)의 냉기가 상기 물탱크(200)에 직접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차단되어 물탱크(200) 내부의 물의 결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측벽부(1501)에는 상기 물탱크(200)에 연결된 급수관(16)이 통과하는 통과공(150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첨부된 도면은 제1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기본적인 동작은 제2실시예와도 동일하므로 아래 설명은 상기 제1,2실시예에 대하여 공히 적용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증발기(300)에 냉매가 흐르면 냉매와 공기가 열교환을 하여 공기가 차가워지고, 이러한 냉기는 상기 냉기팬유닛(400)의 작동에 의하여 끌어올려져 상기 토출안내구(102)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12)로 토출되어 냉장보관이 가능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이때 상기 냉장실(12)의 온도는 섭씨 1~3도를 유지하고 있는데, 상기 냉장실(12)의 후방에 배치되는 상기 물탱크(200)도 이러한 냉장실(12) 내부의 온도의 영향을 받아서 물을 냉장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증발기(300)의 온도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게 되나, 상기 물탱크(200)와 상기 증발기(300) 사이에는 단열부재(450)가 배치되어, 상기 증발기(300)의 낮은 온도가 상기 물탱크(200) 주위에 영향을 주지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물탱크(200) 주위 온도는 상기 냉장실(12) 내부의 냉기의 영향을 받아서 영상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냉장보관온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200) 내부에서 물이 냉장보관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가 상기 디스펜서(20)의 취수레버(22)를 누르게 되면, 상기 냉장고의 제어부는 상기 물탱크(200)와 연결된 급수관(16)에 배치되는 밸브(미도시)에 급수신호를 준다.
이에 따라 상기 급수관(16)을 따라서 상기 물탱크(200)에서 냉장보관된 물이 상기 디스펜서(20)로 유동하여 외부로 취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디스펜서(20)가 냉동실 도어(15)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급수관(16)은 상기 물탱크(200), 냉장고 본체 측벽 및 후벽 그리고, 냉동실 도어(15)의 힌지장치(16)를 통과한 후에 상기 디스펜서(20) 쪽으로 연결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2와 3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내부에 물탱크와 증발기 및 단열부재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커버부재 및 물탱크의 후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제2실시예에서의 커버부재 및 물탱크의 후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작동도이다.
< 본 발명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물탱크 200: 단열부재
210: 제1단열부 220: 제2단열부
300: 증발기 400: 냉기팬
500: 커버부재 510: 제1측벽
511: 제1측면부 512: 제2측면부

Claims (17)

  1.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에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발생한 영하온도를 갖는 냉기가 상기 물탱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과 상기 증발기 사이를 구획하여 상기 증발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증발기와 물탱크를 분리시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 측면부를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 중 상기 물탱크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부의 일부는 상기 물탱크가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내측방향으로 리세스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의 내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가 상기 냉장실로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냉기토출구가 형성된 상부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의 상부의 폭은 상기 상부패널의 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의 폭은 상기 물탱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 도록 상기 상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일측에 상기 물탱크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물탱크를 덮는 물탱크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증발기와 상기 물탱크를 구획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 내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제2측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측면부 또는 상기 제2측면부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부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상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1단열부와;
    상기 제1단열부에 연결되고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상하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부와 인접하게 마련되는 제2단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힌지장치와;
    상기 본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발포층과 상기 힌지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물탱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냉장실과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마련되는 디스펜서와;
    상기 냉장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증발기와;
    상기 냉장실에 마련되되 상기 증발기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의 주위 온도가 상기 물탱크의 주위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를 격리배치하는 단열부재와;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물탱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노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물탱크를 커버하기 위하여 냉장실에 배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하여 커버되며,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커버부재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커버부재에 의하여 커버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커버부재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상기 단열부재에 의하여 상기 증발기와 상기 물탱크는 단열분리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 일측에는 상기 물탱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069880A 2009-07-30 2009-07-30 냉장고 KR20110012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80A KR20110012240A (ko) 2009-07-30 2009-07-30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880A KR20110012240A (ko) 2009-07-30 2009-07-3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2240A true KR20110012240A (ko) 2011-02-09

Family

ID=4377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880A KR20110012240A (ko) 2009-07-30 2009-07-30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22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1212A1 (en) * 2015-05-20 2021-1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41212A1 (en) * 2015-05-20 2021-11-04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35797B (zh) 具有抽屉的冰箱
KR101519134B1 (ko) 냉장고
US9791198B2 (en) Refrigerator
EP2407739B1 (en) Refrigerator having water feed system
KR101584805B1 (ko) 냉장고
KR101584806B1 (ko) 냉장고
EP2623905B1 (en) Refrigerator
US7520138B2 (en) Refrigerator
KR20130114850A (ko) 냉장고 및 그 제조 방법
KR20110047591A (ko) 냉장고
KR20020056771A (ko) 냉동실을 구비한 냉장고
EP2519793B1 (en) Refrigerator
KR20120011273A (ko) 냉장고
KR20090075911A (ko) 냉장고
KR100919822B1 (ko) 냉장고
JP2012127629A (ja) 冷却貯蔵庫
JP4004722B2 (ja) 冷蔵庫
KR20110012240A (ko) 냉장고
KR102508224B1 (ko) 냉장고
JP4270323B1 (ja) 冷蔵庫
JP4864830B2 (ja) 冷蔵庫
JP4552800B2 (ja) 冷蔵庫
JP2000337748A (ja) 冷蔵庫
KR20170010305A (ko) 냉장고
KR20020008450A (ko) 냉동실에 냉장용기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