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792U -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 Google Patents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792U
KR20110011792U KR2020100006332U KR20100006332U KR20110011792U KR 20110011792 U KR20110011792 U KR 20110011792U KR 2020100006332 U KR2020100006332 U KR 2020100006332U KR 20100006332 U KR20100006332 U KR 20100006332U KR 20110011792 U KR20110011792 U KR 201100117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rod
gymnastics
sliding
push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3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3239Y1 (ko
Inventor
동-헐 우
Original Assignee
트윈소닉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윈소닉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트윈소닉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000063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39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7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7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63B23/0205Abdom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14Kneel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에 관한 것으로 체조용구 주체가 있으며 상기 체조용구 주체는 유연패드에 결합되고 사용자가 무릎을 유연패드에 구부림에 의해 체조용구 전체가 고정되고 상반신의 팔, 다리, 몸이 앞으로 늘어나게 하는 것에 의해 체조용구 주체를 이용하여 복부와 둔부를 훈련하고, 또 상기 체조용구 조체는 저좌와 상개, 탄성, 노끈 및 접동세트가 함유된다.

Description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Abdomen gymnastics appliance of a formula pulling betrayal}
본 고안은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이 보다 안전적이며 운동강도를 적당히 조정 가능할 수 있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체조를 하도록 한 것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는 주로 두개의 원형상봉(61)을 상,하로 병렬(竝列)로 된 안내 프레임(60)주체가 있고 두개의 원형상봉(61)의 양단은 각각 패드블럭(62)과 푸럭(63)에 의해서 일체로 지지되고 두개의 원형상봉(61)의 사이는 적당한 극간이 유지되고 상기 극간에는 접동부재(70)가 설치되고 상기 접동부재(70)의 내부에 두개의 활차(71)가 장착되고 두개의 활차(71)의 원호상 요부에 두개의 원형상봉(61)이 계합되고 두개의 원형상봉(61)에 의해 접동부재(70)가 안정적으로 제한되고 접동부재(70)에는 손잡이부(73)가 삽설되기 위한 축봉(72)이 관설되고 또 하,원형상봉(61)의 양단에 각각 유연패드판(64)과 지지봉(65)이 조립되고 패드블럭(62)과 접동부재(70)와의 사이에는 탄성노끈(66)이 장착되고 이에 의해 운동을 할 때에 도13과 같이 사용자는 무릎을 유연패드판(64)에 구부린 자세에서 양손으로 접동부재(70)의 양측에 있는 손잡이부(73)를 잡고 밀고 당기는 작동을 하면 접동부재(70)가 두개의 원형상봉(61)에 의해서 안내되어 전,후로 안정적으로 접동(摺動)되고 또 탄성노끈(66)의 탄성에 의해 꽁무니나 복부(腹部)를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남아 있다.
{1} 각부의 부품이 직접으로 외부에 노출되고 차폐(遮蔽)가 되지 않기 때문에 접동조작을 할 때에 팔에 부상을 당할 염려가 있었고 또 탄성노끈(66)이 당기고되돌려 질 때에 직접 인체에 당하는 염려가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구조는 사용 안전성이 좋지 않고
{2} 각부의 부품이 노출되기 때문에 공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이 용이하게 침입하여 활차(71)가 원호요부에 체재시 활차(71)의 전동(轉動)이 우둔해지고 마모가 심해지며
{3} 원형상봉(61)의 스트로우크가 길어서 절첩이나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보관할 때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4} 탄성노끈(66)의 탄력이 조정되지 않기 때문에 다른 강도에서 훈련할 때에 탄성노끈(66) 전체를 교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불편하였고 생산비가 높으며
{5} 운동할 때에 양다리가 각각 원형상봉(61)의 양측에 위치하여 무릎을 지면에 구부려 이용하고 원형상봉(61)이 조작전체의 범위를 포함하고 또 직접 위로 융기(隆起)하기 때문에 전,후로 왕복적으로 접동(摺動)할 때에 사용자가 힘(力)의 사용방법이 부정(不正)인 경우나 조작의 기술이 익숙하지 않을 경우 양손이 미끌어져 몸이 직접으로 원형상봉(61)에 충격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신중히 연구하고 학리를 활용하여 설계가 합리적인 본 고안을 제안한다.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은 각부의 부품이 저좌와 상개와의 사이에 봉지(封止)되고 외부공간으로 격리되기 때문에 조작할 때에 팔, 몸이 부품에 의해서 부상당하는 것이 방지되고 또 탄성노끈이 당기고 되돌려지지 않고 그 때문에 사용상 보다 안전적인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부의 부품이 저좌와 상개와의 사이에 봉지(封止)되고 외부공간으로 격리되기 때문에 공기 중의 먼지나 일물질이 침입하여 롤러와 접동구에 체재(滯在)하는 것이 방지되고 그 때문에 롤러가 원활하게 접동(摺動)되고 마모(磨耗)를 최저한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더욱 다른 목적은 체조용구 주체가 전방 위치만을 커버하고 또 유연패드를 절첩할 수가 있고 체적(體積)이 축소되기 때문에 보관이나 운반 및 전시(展示)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더욱 다른 목적은 상개를 개방하고 탄성노끈을 교환하지 않고 재빨리 탄성노끈의 탄력이 조정되고 사용비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의 편리성이 향상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더욱 다른 목적은 체조용구 주체가 전방 위치만을 커버하기 때문에 운동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접동세트에서 늘어나 나온 두개의 손잡이부를 잡고 작동할 때에 두개의 롤러가 저좌 양측의 접동구에 따라서 평행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조작할 때에 더 없이 양호한 안정성(安定性)이 얻어지고 또 사용자가 몸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조작시에 부품에 의해 사용자가 몸에 부상을 입을 염려가 없고 안전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활히 작동되므로 마모가 최저한으로 되며 조작이 간편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각도로의 조립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의 상면도
도 6 은 본 고안을 사용할 때의 동작을 표시한 측면도
도 7 은 본 고안을 사용시에 앞으로 밀었을 때의 사용 상태도
도 8 은 본 고안을 사용시에 앞으로 밀었을 때의 탄성노끈의 탄력을 저항할 경우의 상태도
도 9 는 본 고안의 타 실시예의 사시도와 요부확대도
도 10 은 본 고안의 타 실시예의 조정 상태도
도 11 은 본 고안의 더욱 다른 실시예도
도 12 는 종래 구조의 사시도
도 13 은 종래 구조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은 평대가 있으며 평대의 상면 양측이 두개의 위로 향하여 직립 블럭 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또 각각의 접동구가 형성되고 두개의 접동구의 사이가 퇴피공간으로 되며 퇴피공간의 이측(裏側)에 제 1 감는봉이 추착된 저좌와 상기 저좌에 합해서 내부부품을 봉지(封止)하기 위한 저좌의 상방을 커버하고 저면은 저좌의 블럭벽과 접동구에 대응하여 블럭벽과 접동구가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개구된 상개와 외둘레에 제 2 감는봉이 추착된 축봉이 있고 제 2 감는봉에서 늘어나간 양측에 차례로 롤러와 손잡이부가 추착되고 상기 제 2 감는봉과 롤러 및 손잡이부가 격리(隔離)설치된 접동세트가 있는 체조용구 주체와 체조용구 주체에 합해서 설치되고 완충이나 충격흡수성이 있고 절첩할 수가 있는 유연패드가 함유되어 있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좌가 직접으로 유연패드 전방 상면에 결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좌와 유연 패드가 격리설치된 그 양측 사이에 있어서 연접부품에 연결되고 상기 연접부품이 광폭판상(廣幅板狀)의 편조유(編組紐)로 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좌의 접동구 내에 있어서 접동(摺動)의 전,후 최대 스트로크(STROKE)위치에 가각가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평행(平行)의 접동구 내측에 축방향으로 완충패드가 결합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평대저면 전,후에 있어서 양측으로 늘어나는 저부 지지블럭이 설치되고 체조용구 주체가 유연패드로부터 격리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탄성노끈의 다른 일단이 밑에서 위로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의 하방을 통하고 평대의 상대위치(相對位置)에 고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좌의 평대에 있어서 제 1 감는봉의 전방에 복수(複數)로 격리된 "U"자형 융기가 형성되고 탄성노끈이 융기의 열린 부분에 계지되고 긴장도가 변화된 후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융기 위치가 달라지는 것에 의해 상개의 쾌속개방에 합해서 훈련강도가 조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탄성노끈은 내장된 옥(玉)으로 된 확대부에 의해서 계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탄성노끈은 직접으로 형성된 매듭의 확대부에 의해서 계지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저좌의 평대에 있어서 제 1 감는봉의 전방에 여러 개의 격리된 "U" 형상의 융기가 형성되고 탄성끈이 열린 모양의 융기에 계지되고 그의 긴장도가 변화된 후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융기위치가 다르게 함에 의해상개의 쾌속개방에 합해서 훈련강도가 조정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특징이나 기술 내용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과 도 2 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이며 체조용구 주체에 합해서 유연패드(10)가 배치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는 무릎을 유연패드(10)에 닿게하고 체조용구 전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반신과 팔다리를 앞으로 향해 늘어나게 하는 것에 의해 체조용구 주체로 복부(腹部)와 둔부(臀部)를 훈련할 수 있고 또 상기 체조용구 주체는 저좌(20)와 상개(30), 탄성노끈(40) 및 접동세트(50)가 포함되고 유연패드(10)는 완충이나 충격흡수성의 효과가 있고 절접할 수가 있고 전체의 체적이 저감되고 저좌(20)는 평대(21)가 있고 평대(21)의 상면 양측에 있어서 두개의 위로 향해 직립 블럭벽(22)에 의해 구획되고 또 각각 접동구(23)가 형성되고 두개의 접동구(23)의 사이가 퇴피공간(24)으로 되며 접동구(23)에 있어서 접동의 전,후 최대 스트로크(STROKE) 위치에 각각 스토퍼(25)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25)와 평행의 접동구(23)에 있어서 내측에 축방향으로 완충패드가 결합되고 스토퍼(25)와 완충패드에 의해 조작할 때에 목적지점을 향해 가는 것이 멈추어지거나 충격흡수성 및 소음효과가 실현되고 또 퇴피공간(24) 이측(裏側)에 제 1 감는봉(26)이 추착되고, 평대(21)의 저면에 있어서 전, 후에 양측으로 늘어나는 저부 지지블럭(27)이 설치되어 체조용구 주체가 유연패드에서 격리되고 또 상기 저좌(20)가 직접 유연패드(10)의 전방, 상면에 결합되어도 좋다.
상개(30)는 저좌(20)에 합해서 저좌(20)의 상방에 감설되어 내부의 부품이 봉지(封止)되고 상개(30)의 저면에 있어서 저좌(20)의 블럭벽(22)과 접동구(23)에 대응하는 위치에 같은 모양의 블럭벽(31)과 접동구(32)가 형성되고 양측에 개구(33)가 형성되고 전,후 단이 밑으로 만곡되고 봉지 시트(34)가 형성되고 탄성노끈(40)이 탄성 편조유(彈性編組紐)나 고무탄성노끈으로 되며 접동세트(50)에 축봉(51)이 있고 축봉(51)의 외둘레에 있어서 축승(52)에 제 2 감는봉(53)이 추착되고 제 2 감는봉(53)의 외둘레에 있어서 중단에 요상(凹狀)의 위치제한부(54)가 있고 제 2 감는봉(53)에서 늘어나게 돌출된 축봉(51) 양측에 차례로 롤러(55)와 손잡이부(56)가 추착되고 상기 제 2 감는봉(53)과 롤러(55) 및 손잡이부(56)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조립시에 블럭벽(22)과 블럭벽(31)에 간섭을 받지 않는다.
본 고안에 의하면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접동세트(50)는 롤러(55)로 접동구(23)에 계합하고 퇴피공간(24)으로 제 2 감는봉(53)이 설치되고 손잡이부(56)가 저좌(20) 양측으로 늘어나게하고 접동세트(50)가 접동구(23)에 의해서 제한되고 저좌(20) 위에서 전,후로 접동가능하며 탄성노끈(40)의 일단이 저좌(20)의 평대(21)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다른 일단이 밑에서 위로 향해 제 1 감는봉(26)과 제 2 감는봉(53)의 위치제한부(54)를 감아서 되고 더욱 제 1 감는봉(26)과 제 2 감는봉(53)의 하방을 통하여 평대(21)의 상대위치에 고정되고 최후에 상개(30)를 저좌(20)의 상방에 감설하여 내부의 각 부품을 봉지(封止)하고 개구(33)를 설치하게 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56)가 외부로 돌출할 수가 있고 이에 따라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무릎을 유연패드(10)에 닿게 하여 무릎이 밑으로 향하게 하는 압력에 의해 체조용구 전체가 고정되고 양손으로 접동세트(50)로 부터 늘어나 튀어나온 두개의 손잡이부(56)를 잡고 접동세트(50)를 이용하여 밀고 당기는 작동을 하고 (도6과 같이) 또 접동세트(50)가 앞으로 밀어 줄 때에 사용자가 탄성노끈(40)의 탄력을 저항하지 않으면 아니되기 때문에(도 "7" 과 도 "8" 과 같이) 복부(腹部)와 요부(腰部)를 훈련할 수 있고 또 접동세트(50)를 당겨 되돌아 오게 할 때에 사용자가 꽁무니를 처들뿐만 아니라 상기 체조용구에 의해 유효하게 복부나 요부 및 둔부(臀部)를 훈련할 수가 있고 하반신의 곡선(曲線)이 조정되고 또 롤러(55)와 탄성노끈(40) 등의 부품이 함께 저좌(20)와 상개(30)과의 사이에 봉지(封止)되어서 외부공간으로 격리되기 때문에 조작할 때에 부품에 의해 팔다리에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탄성노끈(40)이 당겨 되돌아 오는 것에 의해 몸에 튀게하여 부상을 당할 두려움을 없게 한다.
또 도 "9"와 도 "10" 과 같이 저좌(20)의 평대(21)에 있어서 제 1 감는봉(26)의 전방에 복수(複數)로 격리되게 "U" 형상의 융기(28)가 형성되고 탄성노끈(40)이 열린모양의 융기(28)에 계지되어 고정되고 긴장도(緊張度)가 감화(感化)된 후 제 1 감는봉(26)과 제 2 감는봉(53)으로 돌아 융기(28) 위치가 달라 지는 것에 따라 훈련강도 조정되고 상기의 계지하여 고정하는 것은 탄성노끈(40)에 내장된 옥(玉)으로 된 확대부(41)를 이용하거나 직접으로 탄성노끈(40)에 형성된 매듭을 이용한다.
또 도 "11" 을 참조하면서 저좌(20)와 유연패드(10)는 격리설치되고 연접부품(11)을 이용하여 양측으로 연결되고 저좌(20)와 유연패드(10)를 일체로 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무릎을 구부릴 때에 유연패드(10)를 이용하여 체조용구 주체가 고정되고 상기 연접부품(11)은 길이를 조정하는 광폭판상의 편조유(編組紐)이며 사용자의 신장(身長)에 따라서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얻어진다.
{1} 각 부품이 저좌(20)와 상개(30)와의 사이에 닫히게 되어 외부공간과 격리되기 때문에 조작할 때에 각 부품에 의해 팔, 다리에 부상을 당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노끈(40)이 튕기는 것에 의해 신체에 부상을 당할 염려가 없고 안전성이 향상된다.
{2} 각 부품이 저좌(20)와 상개(30)와의 사이에 닫히게 되어 공기 중의 먼지나 이물질이 침입하여 롤러(55)와 접동구(23)(32)와의 사이에 체재(滯在)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롤러(55)가 원활하게 접동(摺動)되고 마모가 최저한으로 된다.
{3} 체조용구 주체가 전방위치만을 커버하고 유연패드(10)가 절첩될 수 가 있기 때문에 체적이 축소되고 보관이나 운반 및 전시(展示)에 편리하고 보다 작은 공간에서도 사용할 수가 있다.
{4} 상개(30)를 개방하는 것 만으로 탄성노끈(40)을 교환하지 않고 재빨리 탄성노끈(40)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고 생산비가 저감되고 조작도 보다 간단하다.
{5} 체조용구 주체가 전방 위치만을 커버하기 때문에 밀고 당기는 운동과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양손으로 접동세트(50)로 부터 늘어나게 나온 두개의 손잡이부(56)를 잡고 저좌(20)를 이용하여 밀고 당기는 작동을 할 때에 두개의 롤러(55)가 저좌(20) 양측에 있는 접동구(23)를 따라서 평행으로 작동하므로 조작할 때에 극히 양호한 안정성이 얻어지고 측방향(側方向)으로 기울어 지지 않고 안전성이 보다 향상된다.
본 고안은 보다 진보적이며 또한 보다 실용적이므로 법에 따라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한다
이상은 단지 본 고안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본 고안은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일이 없으며 본 고안에 관계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나 명세서의 내용에 기초로 하여 행한 동일한 가치의 변경이나 수정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유연(柔軟) 패드(Pad) (11) 연접부품(連接部品)
(20) 저좌(低座) (21) 평대(平臺)
(22) 블럭(Block)벽(壁) (23) 접동구(摺動溝)
(24) 퇴피공간(退避空間) (25) 스토퍼(stopper)
(26) 제 1 감는봉 (27) 저부 지지블럭
(28) 융기(隆起) (30) 상개(上蓋)
(31) 블럭(Block)벽(壁) (32) 접동구(摺動溝)
(33) 개구(開口)
(34) 봉지(封止) 시트(seat) (40) 탄성노끈
(41) 확대부
(50) 접동(摺動)세트(set) (51) 축봉(軸棒)
(52) 축승(軸承) (53) 제 2 감는봉
(54) 위치제한부(位置制限部)
(55) 롤러(roller) (56) 손잡이부
종래(從來)
(60) 안내프레임
(61)원형상봉
(62) 패드 블럭
(63) 푸럭
(64) 유연 패드판
(65) 지지봉
(66) 탄성노끈
(70) 접동부재
(71) 활차
(72) 축봉
(73) 손잡이부

Claims (10)

  1. 평대가 있으며 평대의 상면 양측이 두개의 위로 향하여 직립 블럭 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또 각각의 접동구가 형성되고 두개의 접동구의 사이가 퇴피공간으로 되며 퇴피공간의 이측(裏側)에 제 1 감는봉이 추착된 저좌와 상기 저좌에 합해서 내부부품을 봉지(封止)하기 위한 저좌의 상방을 커버하고 저면은 저좌의 블럭벽과 접동구에 대응하여 블럭벽과 접동구가 설치되고 양측에 각각 개구된 상개와 외둘레에 제 2 감는봉이 추착된 축봉이 있고 제 2 감는봉에서 늘어나간 양측에 차례로 롤러와 손잡이부가 추착되고 상기 제 2 감는봉과 롤러 및 손잡이부가 격리(隔離)설치된 접동세트가 있는 체조용구 주체와 체조용구 주체에 합해서 설치되고 완충이나 충격흡수성이 있고 절첩할 수가 있는 유연패드가 함유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저좌가 직접으로 유연패드 전방 상면에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저좌와 유연 패드가 격리설치된 그 양측 사이에 있어서 연접부품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접부품이 광폭판상(廣幅板狀)의 편조유(編組紐)로 되며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저좌의 접동구 내에 있어서 접동(摺動)의 전,후 최대 스트로크(STROKE)위치에 가각가 스토퍼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와 평행(平行)의 접동구 내측에 축방향으로 완충패드가 결합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평대저면 전,후에 있어서 양측으로 늘어나는 저부 지지블럭이 설치되고 체조용구 주체가 유연패드로부터 격리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노끈의 다른 일단이 밑에서 위로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의 하방을 통하고 평대의 상대위치(相對位置)에 고정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저좌의 평대에 있어서 제 1 감는봉의 전방에 복수(複數)로 격리된 "U"자형 융기가 형성되고 탄성노끈이 융기의 열린 부분에 계지되고 긴장도가 변화된 후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융기 위치가 달라지는 것에 의해 상개의 쾌속개방에 합해서 훈련강도가 조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8. 제 7 항에 있어서
    탄성노끈은 내장된 옥(玉)으로 된 확대부에 의해서 계지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9. 제 8 항에 있어서
    탄성노끈은 직접으로 형성된 매듭의 확대부에 의해서 계지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저좌의 평대에 있어서 제 1 감는봉의 전방에 복수(複數)로 격리된 "U"자형 융기가 형성되고 탄성노끈이 융기의 열린 부분에 계지되고 긴장도가 변화된 후 제 1 감는봉과 제 2 감는봉을 돌아서 융기 위치가 다르게 함에 의해 상개의 쾌속개방에 합해서 훈련강도가 조정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밀고 당기는 식 복부체조용구
KR2020100006332U 2010-06-16 2010-06-16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KR2004632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332U KR200463239Y1 (ko) 2010-06-16 2010-06-16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332U KR200463239Y1 (ko) 2010-06-16 2010-06-16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792U true KR20110011792U (ko) 2011-12-22
KR200463239Y1 KR200463239Y1 (ko) 2012-10-24

Family

ID=4556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332U KR200463239Y1 (ko) 2010-06-16 2010-06-16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19B1 (ko) * 2012-01-13 2012-06-26 이봉구 롤링을 통한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286488B1 (ko) * 2021-02-15 2021-08-05 강신재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71217A (en) 1996-10-24 2000-06-06 Barnett; Larry W. Prone torso exerciser
CN201760033U (zh) 2010-05-25 2011-03-16 玄诚企业股份有限公司 推、拉式腹部健身器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819B1 (ko) * 2012-01-13 2012-06-26 이봉구 롤링을 통한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2286488B1 (ko) * 2021-02-15 2021-08-05 강신재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239Y1 (ko)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6527B2 (en) Exerciser with easy-to-adjust inelastic straps
US7674211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central pulley attached to a carriage and a pulley locking mechanism
JP6353980B2 (ja) レッグプレス
US8109864B2 (en) Arm exercising device
US20110275499A1 (en) Push-up and dip assist exercise apparatus
US7736285B2 (en) Portable exercise device
CN1816372B (zh) 具有弹性足部支撑件的锻炼器械
US7798943B1 (en) Exercising device
US7128699B2 (en) Multi-functional leg stretching apparatus
US8663074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central pulley attached to a carriage and a pulley locking mechanism
CN101304788A (zh) 折叠式低构型健腹机
CN209564573U (zh) 一种人体四肢康复训练仪
KR200463239Y1 (ko)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JP3159871U (ja) 足部伸ばせ健康機
US8435163B2 (en) Exercise apparatus with a pull cord looped about a central pulley and first and second free pulleys
CN201186128Y (zh) 连动式劈腿机
CN211794864U (zh) 一种具有预拉伸型柔性连接系统的减负悬浮背包
US7618355B1 (en) Resistance exercise apparatus
US20070066454A1 (en) Abdominal trainer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JP3162424U (ja) 腹部体操用具構造
CN203539972U (zh) 单拉绳多功能仰卧板
CN203556091U (zh) 多功能仰卧板
CN201423121Y (zh) 一种多功能健身机
US20060160680A1 (en) Exercis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