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6488B1 -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6488B1
KR102286488B1 KR1020210020061A KR20210020061A KR102286488B1 KR 102286488 B1 KR102286488 B1 KR 102286488B1 KR 1020210020061 A KR1020210020061 A KR 1020210020061A KR 20210020061 A KR20210020061 A KR 20210020061A KR 102286488 B1 KR102286488 B1 KR 102286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heel
cover
bag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재
Original Assignee
강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재 filed Critical 강신재
Priority to KR1020210020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6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6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6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substantially vertical plane, e.g. for exercising against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3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the user operating the resistance directly, without additional interface
    • A63B21/4025Resistance devices worn on the user's bod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가방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배면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맬 수 있는 어깨끈;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 측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바퀴부로 이루어지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BAG TYPE ASSIST DEVICE FOR EXERCISING LOWER BODY}
본 발명은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서 앉아서 일하고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크게 감소하여 신체의 운동량이 부족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의 각 부위에 노화 현상이나 경직이 촉진되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며 젊은 나이에 성인병의 발생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쿼트 운동을 통해 하체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고령자나 환자의 경우, 스쿼트 운동 등 하체 운동을 할 때, 올바른 자세로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어렵다. 잘못된 자세로 반복적으로 운동을 할 경우, 오히려 허리, 무릎 관절 또는 발목의 손상을 초래하고, 근육 통증이나 염증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환자의 경우, 스쿼트 운동을 진행하는 것조차 어려워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허리, 관절과 발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고령자나 환자들도 스쿼트 운동을 진행할 수 있는 하체운동이 가능한 하체운동보조기구의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1985호(2014.01.09)
본 발명은 가방 형태로 형성되어, 언제든 매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근육이 부족하여 무릎을 굽히거나 앉는 것이 힘든 고령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스쿼트 운동 시 도움을 주어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가방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배면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맬 수 있는 어깨끈; 및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 측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바퀴부로 이루어지는 보조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바디부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서 상기 바디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각각의 양 측에 설치되는 제1 바퀴와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에 설치되는 막대부; 및 상 측은 상기 막대부에 고정되고, 하 측은 상기 제2 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축에 권출 또는 권취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에서부터 전면부 하단까지 상기 몸체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전면부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의 전면부 상부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되, 하 단은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고, 상 단은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에 고정되고, 신축성을 가지고 소정 길이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개가 배열되는 판넬부; 및 이격 배치된 상기 판넬부 사이를 연결하며, 신축성을 가지고 소정 길이 인장 가능한 텐션부;를 포함하여, 인접한 상기 판넬부 사이사이의 상기 텐션부가 인장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총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측면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배면부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타 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하강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상기 제2 축에 권취되어, 상기 제2 축에 권취된 상기 탄력부재에는 탄성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력부재가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축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상승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2 축에 권취되어 있던 상기 탄력부재가 탄성에 의해 권출되면서,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의 회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하강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몸체가 하강하게 될 때, 상기 텐션부가 인장되어,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가방 형태로 형성되어, 언제든 매고 다니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근육이 부족하여 무릎을 굽히거나 앉는 것이 힘든 고령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에게 스쿼트 운동 시 도움을 주어 스쿼트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롤러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의 배면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가 작동되는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조절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지지부가 설치된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0에 따른 척추지지부가 설치된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의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롤러부(2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커버(3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의 배면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가 작동되는 것을 단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는 몸체(10), 보조롤러부(20), 커버(30), 어깨끈(40) 및 허리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며 가방의 전체 형상을 이루는 구성이다.
몸체(10)는 전면부(11), 배면부(12), 측면부(13), 상면부(14) 및 하면부(15)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부(11)는 사용자가 몸체(10)를 맨 상태에서 외측을 향하는 면이다. 배면부(12)는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는 면이다. 측면부(13)는 전면부(11)와 배면부(12)의 양 측에서 연결하는 면이다. 또한, 상면부(14)는 상면에 연결되는 면이되 일정 길이가 절개되도록 형성되어 몸체(10)의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면부(14)의 절개된 부분에는 자크 또는 똑딱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부(14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면부(15)는 하면에 연결되는 면으로써 바닥면이다.
이때, 몸체(10)의 전면부(11)에는 바퀴돌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바퀴돌출홈(1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롤러부(20)의 바퀴부(24)가 전면부(11)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홈이다. 바퀴돌출홈(111)은 바퀴부(24)의 바퀴 개수 및 배치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조롤러부(20)는 몸체(10) 내부에 설치되되 바퀴부(24)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롤러부(20)는 바디부(21), 회전축(22), 바퀴부(24), 막대부(26), 탄력부재(27) 및 설치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는 몸체(10) 내부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21)는 설치부(28)에 의해 몸체(10)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바디부(21)는 가방의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22)은 바디부(21)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축(22)은 바디부(21)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서 바디부(21)와 수직하게 설치되며, 양 단이 바디부(21)의 양 측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22)은 바디부(21)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바퀴부(24)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2)은 제1 축(221)과 제2 축(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축(221)은 바디부(21)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2 축(222)은 바디부(21)의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바퀴부(24)는 회전축(22)의 양 측에 연결되며 몸체(10)의 전면부(1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퀴부(24)는 제1 축(221)에 설치되는 제1 바퀴(241)와 제2 축(222)에 설치되는 제2 바퀴(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는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바퀴(241)가 제2 바퀴(242)보다 크게 형성되거나, 제2 바퀴(242)가 제1 바퀴(241)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막대부(26)는 바디부(21)의 제1 축(221)과 제2 축(22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탄력부재(27)는 탄력을 가지는 고무줄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탄력부재(27)의 상측은 막대부(26)에 고정되고, 하 측은 제2 축(222)에 연결되되 제2 바퀴(242)의 회전에 따라 제2 축(222)에 권출되거나 권취될 수 있다. 도 3은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권취된 상태이고, 도 4는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권출된 상태이다.
설치부(28)는 몸체(10) 내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바디부(21)를 지지 및 고정할 수 있다. 설치부(28)는 연결부(281) 및 브라켓(28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281)는 바디부(21)의 후면에서 몸체(10)의 배면부(12)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브라켓(282)은 연결부(281)와 배면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브라켓(282)은 보조롤러부(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무게 및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브라켓(282)은 몸체(10)의 하면부(15)에 지지 및 고정되면서 배면부(12)에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커버(30)는 몸체(10)의 배면부(12) 상측에서부터 전면부(11) 하단까지 몸체(10)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30)는 덮개부(31) 및 연장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1)는 몸체(10)의 전면부(11) 전방에 위치되어, 몸체(10)의 전면부(11)를 덮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1)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덮개부(31)의 외측면은 벽면과의 마찰력이 적은 소재 및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1)는 쉽게 손상되거나 망가지지 않는 소재나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1)의 하측에는 체결돌기(31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체결홀(312)이 형성될 수 있다. 덮개부(31)의 체결홀(312)은 연장부(32)의 상측에 형성된 결합돌기(323)와 체결 및 분리될 수 있다. 덮개부(31)의 체결홀(312)은 결합돌기(323)와 체결될 수도 있고, 체결홀(312)이 결합돌기(323)와 분리된 경우 체결홀(312)에는 체결돌기(311)가 삽입되어 덮개부(31)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체결홀(312)이 결합돌기(323)와 분리되는 경우, 덮개부(31)를 연장부(3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처럼, 덮개부(31)를 연장부(32)에서 분리하는 경우, 몸체(10)의 전면부(11)와, 전면부(11)로 돌출된 바퀴부(24)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연장부(32)는 몸체(10)의 전면부(11) 상부에서부터 몸체(10)의 상면부(14)와, 배면부(12) 상측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의 하 단은 덮개부(31)와 연결되고, 상 단은 몸체(10)의 배면부(12) 상측에 고정될 수 있다. 연장부(32)는 신축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소정 길이 연장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2)는 판넬부(321) 및 텐션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판넬부(321)는 전면부(11)의 좌우 방향에 따른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소정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판넬부(321)는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며 배열되며, 텐션부(32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텐션부(322)는 인접한 판넬부(321) 사이를 연결하도록 판넬부(321)에 연결되며,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소정 길이 인장될 수 있다. 인접한 판넬부(321) 사이사이의 텐션부(322)가 인장됨에 따라, 연장부(32)의 총 길이가 연장되는 것이다.
연장부(32)의 하측에는 결합돌기(323)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결합홀(324)이 형성되어, 덮개부(31) 및 몸체(10)와 탈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어깨끈(40)은 몸체(10)의 배면부(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어깨에 착용될 수 있다.
허리고정부(50)는 몸체(10)의 측면부(13)의 일 측에 연결되어, 몸체(10)의 배면부(12) 방향으로 몸체(10)의 타 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허리고정부(50)는 밴드부(51), 클립부(52), 부착부(53) 및 접착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부(51)는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 연결되되,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서부터 좌 측 측면부(13)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51)는 우측 측면부(13)에서 가방을 매고 있는 사용자의 복부를 지나 좌측 측면부(13)까지 연결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립부(52)는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부(52)는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 설치된 밴드부(51)의 상측에 설치되어, 복수회 접혀있는 상태의 밴드부(51)를 클립핑하여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부(52)는 회전플레이트(521) 및 집게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521)는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 설치된 밴드부(51)의 상측에 설치되며, 집게부(5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집게부(522)는 회전플레이트(521)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서 복수회 접힌 상태의 밴드부(51)를 클립핑하여 고정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부(522)가 회전플레이트(521)를 통해 회전하여, 밴드부(51)를 클립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밴드부(5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집게부(522)를 통해 밴드부(51)를 고정할 수 있다.
부착부(53)는 밴드부(51)의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밴드부(51)의 일 단은 몸체(10)의 우측 측면부(13)에 고정되고, 타 단에는 부착부(53)가 설치될 수 있다.
접착부(54)는 몸체(10)의 좌측 측면부(13)에 설치되어, 부착부(53)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부착부(53)와 접착부(54)는 벨크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부착부(53)를 접착부(54)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허리와 가방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사용자가 가방을 맨 상태에서 덮개부(31) 또는 바퀴부(24)가 벽면에 접촉되도록 서있는 도면이고, 도 8은 사용자가 스쿼트 자세로 앉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가 가방을 맨 상태에서 덮개부(31) 또는 바퀴부(24)가 벽면에 접촉되도록 선 상태에서 스쿼트 운동을 시작할 수 있다. 이때, 가방의 두께에 의해 사용자의 신체는 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방의 덮개부(31) 또는 바퀴부(24)가 벽면에 접촉 또는 밀착된 상태에서도 스쿼트 운동이 가능하다.
스쿼트 운동을 위해 무릎을 구부리며 하강하게 되면, 커버(30)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0)에 하강하는 외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축(221) 및 제2 축(22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제2 축(222)이 회전함에 따라,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권취된다. 제2 축(222)에 권취된 탄력부재(27)는 원래대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탄성력이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가 스쿼트 운동을 위해 앉았다가 다시 일어날 경우, 커버(30)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몸체(10)에 상승하는 외력이 발생하게된다. 이러한 경우, 탄력부재(27)가 탄성력을 가지며 제2 축(222)에 권취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 축(222)에 권취되어 있던 탄력부재(27)가 탄성력에 의해 보다 빠르게 권출되면서,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의 회전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의 회전력이 증가하여 몸체(10)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러한 힘으로부터 사용자는 추진력을 받아 보다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다리의 힘이 부족한 환자나 노약자가 앉을 경우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의 회전에 의해 도움을 받고, 일어날 때는 탄력부재(27)에 의한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의 회전력에 의해 도움을 받아 보다 낮은 난이도의 운동이 가능하다.
다만, 사용자의 상태 및 난이도에 따라, 탄력부재(27)를 분리하거나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력부재(27)를 분리하는 경우 보다 빠르게 회전하는 제1 바퀴(241)와 제2 바퀴(242)의 도움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계조절부(6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는 단계조절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계조절부(60)는 제2 축(222)의 회전을 제어하여,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감기는 횟수를 조절하여 탄력부재(27)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단계별로 제2 바퀴(242)의 회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단계조절부(60)는 모터부(61), 사용자 입력부(62), 센싱부(63), 제어부(64), 탄성 조절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61)는 제2 축(222)에 연결되어, 제어부(64)의 제어에 따라 제2 축(2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62)는 사용자로부터 신체 조건, 난이도, 건강 상태, 이용횟수 등을 입력받아 제어부(64)로 전송할 수 있다.
센싱부(63)는 몸체(10)의 바닥부, 측면부(13), 가방끈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지면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몸체(10)의 바닥부에 센싱부(63)가 설치된 경우, 바닥부에서부터 지면까지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의 허리 높이에 바닥부가 위치된 것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의 하체의 길이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64)는 모터부(61), 사용자 입력부(62), 센싱부(63), 탄성 조절부(65)와 연결되어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4)는 센싱부(63)에서 감지된 높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하체 길이를 판단하여, 사용자에 따라 앉았다 일어날 때의 하강 높이와 상승 높이를 소정 범위 내에서 예측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65)는 제어부(64)에서 예측된 하강높이와 상승높이, 사용자 입력부(62)에서 입력받은 난이도에 따라, 탄력부재(27)의 탄력을 조절하기 위해 탄력부재(27)를 제2 축(222)에 몇회 감거나 풀어야하는지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64)는 탄성 조절부(65)에서 산출된 탄력부재(27)의 길이 또는 제2 축(222)의 회전 횟수 등을 바탕으로 모터부(61)를 회전시켜 제2 축(222)에 탄력부재(27)를 감거나 풀 수 있다.
일 예로,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감기는 횟수가 증가할수록 탄력이 증가하여 보다 일어나기 쉽고, 탄력부재(27)가 제2 축(222)에 감기는 횟수가 감소할수록 탄력이 감소하여 보다 사용자 스스로의 힘으로 일어나야 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척추지지부(70)가 설치된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0에 따른 척추지지부(70)가 설치된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1)는 척추지지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척추지지부(70)는 몸체(10)의 배면부(12)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배면부(12)에는 개방부(121) 및 프레임(122)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21)는 배면부(12) 중심부의 일 영역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개방부(121)에 척추지지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22)은 개방부(121)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개방부(121)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배면부(12)가 원단으로 형성될 때, 개방부(121)가 형성된 부분을 지탱하기 위해 개방부(121)의 둘레를 따라 프레임(122)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척추지지부(70)가 설치될 때, 브라켓(282)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의 하면부(15)에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라켓(282)은 지지부(2821), 마운트부(2822) 및 함몰부(28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821)는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몸체(10)의 하면부(15)에 안착되어, 마운트부(2822)를 지지할 수 있다. 마운트부(2822)는 지지부(2821)의 배면측 상단에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보조롤러부(20)와 연결된 연결부(281)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마운트부(2822)의 배면에는 함몰부(2823)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2823)에 척추지지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함몰부(2823)에 척추지지부(70)의 소정 길이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척추지지부(70)는 배면부(12)의 개방부(121)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척추지지부(70)는 개방부(121)에서 배면부(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척추지지부(70)는 몸통부(71), 오목부(72), 볼록부(73), 가이드홈(74) 및 목지지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부(71)는 개방부(121)의 가로 세로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개방부(121)를 통해 배면부(12)의 내부에서부터 외부까지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71)는 마운트부(2822)의 함몰부(282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통부(71)의 전방의 소정 길이는 마운트부(2822)의 함몰부(2823)에 삽입 고정되고, 몸통부(71)의 후방의 소정 길이는 개방부(121)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몸통부(71)는 메모리폼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몸통부(71)의 배면 방향에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오목부(72)는 몸통부(71)의 좌측 단부에서부터 우측 단부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의 오목부(72)는 몸통부(71)의 중심부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오목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71)는 상면이 개방된 가이드홈(7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b와 같이 가이드홈(74)에는 목지지부(75)가 삽입되어 목지지부(75)가 삽입되거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목지지부(75)는 가이드홈(74)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목을 지지할 수 있다.
이처럼, 척추지지부(70)와 목지지부(75)를 통해 사용자의 척추를 지지함으로써,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며 운동을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1을 참조하면, 몸통부(71)의 배면 방향에는 볼록부(73)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73)는 몸통부(71)의 하부에서 볼록하게 돌출형성되어 허리가 굽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10: 몸체 11: 전면부
111: 바퀴돌출홈 12: 배면부
121: 개방부 122: 프레임
13: 측면부 14: 상면부
141: 개폐부 15: 하면부
20: 보조롤러부 21: 바디부
22: 회전축 221: 제1 축
222: 제2 축 24: 바퀴부
241: 제1 바퀴 242: 제2 바퀴
26: 막대부 27: 탄력부재
28: 설치부 281: 연결부
282: 브라켓 2821: 지지부
2822: 마운트부 2823: 함몰부
30: 커버 31: 덮개부
311: 체결돌기 312: 체결홀
32: 연장부 321: 판넬부
322: 텐션부 323: 결합돌기
324: 결합홈 40: 어깨끈
50: 허리고정부 51: 밴드부
52: 클립부 521: 회전플레이트
522: 집게부 53: 부착부
54: 접착부 60: 단계 조절부
61: 모터부 62: 사용자 입력부
63: 센싱부 64: 제어부
65: 탄성 조절부 70: 척추지지부
71: 몸통부 72: 오목부
73: 볼록부 74: 가이드홈
75: 목지지부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가방 형태의 몸체;
    상기 몸체의 배면부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맬 수 있는 어깨끈;
    상기 몸체 내부에 위치가 고정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 측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전면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바퀴부로 이루어지는 보조롤러부; 및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에서부터 전면부 하단까지 상기 몸체의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몸체의 전면부 전방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몸체의 전면부 상부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면부와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을 덮도록 배치되되, 하 단은 상기 덮개부와 연결되고, 상 단은 상기 몸체의 배면부 상측에 고정되고, 신축성을 가지고 소정 길이 연장 가능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며 복수개가 배열되는 판넬부; 및
    이격 배치된 상기 판넬부 사이를 연결하며, 신축성을 가지고 소정 길이 인장 가능한 텐션부;를 포함하여,
    인접한 상기 판넬부 사이사이의 상기 텐션부가 인장됨에 따라, 상기 연장부의 총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바디부의 상측과 하측 각각에서 상기 바디부와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1 축 및 제2 축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부는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각각의 양 측에 설치되는 제1 바퀴와 제2 바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롤러부는,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제1 축과 상기 제2 축 사이에 설치되는 막대부; 및
    상 측은 상기 막대부에 고정되고, 하 측은 상기 제2 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바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축에 권출 또는 권취되는 탄력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부의 일 측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배면부 방향으로 상기 몸체의 타 측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허리를 고정하는 허리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하강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축 및 상기 제2 축도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 축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상기 제2 축에 권취되어, 상기 제2 축에 권취된 상기 탄력부재에는 탄성력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가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제2 축에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상승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2 축에 권취되어 있던 상기 탄력부재가 탄성에 의해 권출되면서,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의 회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벽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에 하강하는 외력이 발생하면,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제2 바퀴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몸체가 하강하게 될 때,
    상기 텐션부가 인장되어, 상기 연장부의 길이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KR1020210020061A 2021-02-15 2021-02-15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KR102286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61A KR102286488B1 (ko) 2021-02-15 2021-02-15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061A KR102286488B1 (ko) 2021-02-15 2021-02-15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488B1 true KR102286488B1 (ko) 2021-08-05

Family

ID=77316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061A KR102286488B1 (ko) 2021-02-15 2021-02-15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648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9864A (en) * 1995-08-14 1997-09-23 Brister; Timothy G. Rolling exercise bench
KR20090089498A (ko) * 2008-02-19 2009-08-24 김병수 가방의 커버 착탈구조
KR20110011792U (ko) * 2010-06-16 2011-12-22 트윈소닉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KR101351985B1 (ko) 2013-01-30 2014-01-15 김상호 힙업 운동기구
US20160279466A1 (en) * 2015-03-24 2016-09-29 Marcus Smith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9864A (en) * 1995-08-14 1997-09-23 Brister; Timothy G. Rolling exercise bench
KR20090089498A (ko) * 2008-02-19 2009-08-24 김병수 가방의 커버 착탈구조
KR20110011792U (ko) * 2010-06-16 2011-12-22 트윈소닉 엔터프라이즈 씨오., 엘티디 밀고 당기는 식(式) 복부체조용구(腹部體操用具)
KR101351985B1 (ko) 2013-01-30 2014-01-15 김상호 힙업 운동기구
US20160279466A1 (en) * 2015-03-24 2016-09-29 Marcus Smith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1574C (en) Core stabilizing running exercise system and apparatus
US8221293B2 (en) Core stabilizing running exercise system and apparatus
US4869499A (en) Toe exercise device
JP3955304B2 (ja) 腰部装具
US7335177B2 (en) Ankle-foot orthosis
US2011009861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differential air pressure devices
US20130288863A1 (en) Device for assisting joint exercise
KR20120041962A (ko) 동적자세균형훈련시스템
CN110152249B (zh) 一种腿部关节炎锻炼康复器械
KR102286488B1 (ko) 가방 형태의 하체 운동 보조 기구
KR102530190B1 (ko) 척추 이완용 의료기구
KR100718059B1 (ko) 운동보조장치
KR102335274B1 (ko)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102549443B1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20210040748A (ko) X자 벤드형 웨어러블 근골격계 보호대
KR102303541B1 (ko) 관절 보조 장치
JPH0889608A (ja) ゴルフバッグ用肩掛けベルト
KR102363569B1 (ko) 가로막 호흡 운동 셀프 장비
KR20190106561A (ko) 복수의 재질로 구성된 신발 고정 유닛을 구비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102121692B1 (ko) 엉덩관절의 회전성을 키워주는 스윙 연습기
WO2016056382A1 (ja) 健康器具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3154336U (ja) 運動器具
KR970005154Y1 (ko) 다리 교정 보조기
WO2022264103A1 (en) Weight support device and apparatus
KR101787560B1 (ko) 리덕션유닛이 구비된 보행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