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509U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509U
KR20110011509U KR2020100005935U KR20100005935U KR20110011509U KR 20110011509 U KR20110011509 U KR 20110011509U KR 2020100005935 U KR2020100005935 U KR 2020100005935U KR 20100005935 U KR20100005935 U KR 20100005935U KR 20110011509 U KR20110011509 U KR 201100115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rib
pollen
fastening
pla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9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나영
Original Assignee
홍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나영 filed Critical 홍나영
Priority to KR20201000059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509U/ko
Publication of KR201100115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50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4Hand watering devices, e.g. watering c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15)이 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부(17)가 형성된 화분본체(10)와, 상기 결합부(17)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10)를 설치면에 고정시켜주는 흡착부재(2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화분은 흡착구조를 통해 책상이나 탁자 등의 곳에서 넘어지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며 외관이 미려하여 웰빙이나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추구하는 각 가정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 소품용으로도 활용도가 큰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화분{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형미를 살리면서도 관리가 용이하도록 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따뜻함과 싱그러움을 안겨주는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활용도가 크다.
집안 곳곳에 허브나 각종 화초, 공기정화 효과가 있는 관엽식물, 새로운 분위기를 만들어줄 모스와 선인장, 화사한 꽃 등을 배치할 경우 집안 분위기를 밝고 활기차게 바꿀 수 있는 것은 물론 가습 효과와 산소공급,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어 화분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화분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가 비어 있으며 하부에 배수를 위한 구멍이 천공된 형태를 가지므로 급수시 화분흙이 튀어 화분 주위의 바닥이 더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화분에 급수된 후 배수 구멍을 통해 흘러내리는 물 때문에 화분받침대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므로 외관미가 저하되어 조형미를 살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활용도가 큰 미니화분의 경우 작은 외력에도 넘어지기 쉬워 화분흙이 쏟아지고 파손되는 등 관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리가 용이하고 외력에 의한 넘어짐이 방지되도록 흡착구조를 갖는 새로운 형태의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활용도가 높도록 외관이 미려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화분본체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를 설치면에 고정시켜주는 흡착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의 외면을 둘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와의 사이에 삽입채널을 형성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단차부에 형성된다.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삽입채널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리브와, 상기 체결리브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흡착판을 포함한다.
상기 화분본체는 상부외관과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두 몸체로 구성되고, 두 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다.
두 몸체로 구성되고, 서로 형합되어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화분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형상을 갖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화분은 흡착구조를 가지므로 책상이나 탁자 등의 곳에서 충격으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관리가 용이하여 실내 곳곳 또는 좁은 공간에 포인트로 두는 인테리어 소품용으로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화분은 흡착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화분받침대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상부 흙이 외부로 보이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다. 따라서, 외관을 중요시하는 젊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수분증발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분갈이가 용이하다. 따라서 웰빙이나 친환경적인 실내환경을 추구하는 각 가정에서 손쉽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화분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을 바닥에 고정한 모습을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은 화분본체(10)와, 화분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어 화분본체(10)를 설치면에 고정시켜주는 흡착부재(20)를 포함한다.
화분본체(10)는 책상, 식탁, 주방, 침대 옆 등 실내 곳곳에 배치될 수 있는 크기의 미니화분이 해당되고, 설치면은 화분을 배치하고자 하는 실내 곳곳이 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화분본체(10)는 상부 또는 하부에 비해 중간부분이 볼록한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화분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15)은 비어 있으며, 하부에 배수를 위한 구멍이 없는 구조를 갖는다.
통형상의 구조는 외관이 미려할 뿐 아니라 내부공간이 넓고 개방부를 최소화하여 수분증발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도면상 화분본체(10)는 외면이 라운드진 원형의 통형상 구조이나 중간부분이 볼록한 통형상이면 외면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및 팔각형 등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공간(15)은 식물재배를 위한 토양을 채울수 있도록 된 공간으로, 인공토양, 배양토, 부엽토 등이 채워진다. 인공토양, 배양토, 부엽토 등은 식물재배를 위한 적합한 흙을 가공하여 인위적으로 만든 흙으로 비료분이 풍부하고 다공성이며 병충해가 없어 화분본체(10)에 별도의 배수 구멍을 두지 않고도 식물재배가 가능하다.
즉, 물뿌리개나 분무기를 사용하여 화분에 심어진 식물의 윗부분에 소정량만 급수하여 식물재배가 가능하므로 배수 구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화분본체(10)의 저면에 흡착부재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17)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결합부(17)는 화분본체(1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리브(17a)와, 결합리브(17a)의 외면을 둘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결합리브(17a)와의 사이에 삽입채널(17c)을 형성하는 지지리브(17b)를 포함한다.
결합리브(17a)는 흡착부재(20)와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결합리브(17a)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외경에 아래에서 설명될 흡착부재(20)의 체결리브(21)의 내경이 끼워진다.
지지리브(17b)는 결합리브(17a)의 외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된다. 지지리브(17b)는 흡착부재(20)의 체결리브(21)가 결합리브(17a)에 끼워지면 체결리브(21)의 외경에 밀착된다. 이러한 구성은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 사이에 형성된 삽입채널(17c)에 체결리브(21)가 끼워지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여기서, 지지리브(17b)는 흡착부재(20)의 일측 즉, 아래에서 설명될 흡착판(23)의 만곡부를 눌러 설치면에 흡착된 흡착판(23)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흡착판(23)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기가 유입되어 흡착력이 약해지는데, 지지리브(17b)가 흡착판(23)의 만곡부를 눌러주면 오랫동안 강한 진공상태를 만들어 흡착판(23)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만곡부는 흡착판(23) 상부면의 볼록한 부분을 의미한다.
지지리브(17b)가 흡착판(23)의 만곡부를 눌러 주도록, 지지리브(17b)가 하방으로 돌출된 길이는 체결리브(21)의 길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리브(17a)는 체결리브(21)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면 돌출된 길이가 체결리브(21)의 길이와 같거나 다소 짧아도 무방하다.
결합부(17)를 이루는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는 화분본체(10)의 저면 대략 중앙부가 상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단차부(19)에 형성된다.
단차부(19)에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를 형성한 것은 결합부(17) 및 흡착부재(20)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분(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가 돌출된 길이는 단차부(19)의 깊이보다 길지 않도록 한다.
흡착부재(20)는 결합리브(17a), 보다 정확하게는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 사이의 삽입채널(17c)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리브(21)와, 체결리브(21)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단차부(19)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흡착판(23)을 포함한다.
체결리브(21)는 흡착부재(20)를 화분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고, 흡착판(23)은 흡착부재(20)와 결합된 화분본체(10)를 설치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체결리브(21)에 의해 화분본체(10)에 고정되는 흡착부재(20)는 흡착판(23)이 설치면에 흡착되어 화분본체(10)를 설치면에 고정한다.
흡착판(23)은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흡착판(23)은 설치면에 눌러 흡착시키면 흡착판(23)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고 흡착판(23)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 이하로 됨으로써 그 압력차에 따라 설치면에 붙게 된다.
흡착판(23)의 외경을 단차부(19)의 내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은, 흡착판(23)이 설치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흡착판(23)의 가장자리를 화분본체(10)가 눌러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지지리브(17b)와 마찬가지로 화분본체(10)의 만곡된 부분을 눌러줌으로써 흡착판(23)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공기 유입 방지에 의해 흡착판(23)이 설치면에 흡착된 상태가 지속된다.
한편, 화분본체(10)는 상부외관과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두 몸체 즉,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로 구성되고, 두 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다. 화분본체(10)를 두 몸체로 구성하는 것은 분갈이시 식물을 화분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분본체(10)의 개구된 상부가 좁아 식물이 상부로 빠지지 않는다. 이에 화분본체(10)를 분리 가능한 두 몸체로 형성하여 분갈이를 용이하게 한다.
체결부는 두 몸체를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한 탈착식 구조이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체결부는 제1몸체(11)를 제2몸체(13)에 대해 살짝 회전시키면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고,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억지끼움 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결합되는 부분에 경사면을 두어 분리 및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의 가장자리 내측벽에 걸림고리부(11a)를 형성하고, 대응되는 제2몸체(13)의 가장자리 외측벽에 걸림홈부(13a)를 형성하여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억지끼움식으로 분리 및 결합되도록 한다.
화분본체(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커버부재(30)가 결합된다. 커버부재(30)는 두 몸체로 구성되고, 서로 형합되어 중앙에 관통공(31)을 형성하며 화분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형상을 갖는다. 관통공(31)을 통해 식물이 외부로 노출된다.
커버부재(30)는 식물을 제외한 화분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한다. 커버부재(30)는 화분본체(10) 상부의 흙이 실내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고 수분 증발을 방지하며 배송시의 흙 쏟아짐을 방지한다.
미니화분의 경우 택배로 배송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배송시의 흔들림으로 인해 흙이 쏟아질 수 있으나 커버부재(30)가 결합된 경우 흙 쏟아짐이 방지된다.
커버부재(30)는 가장자리에 단차가 형성된다. 단차에 의해 커버부재(30)가 화분본체(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다. 커버부재(30)는 화분본체(1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면 그 저면 가장자리가 화분본체(10)의 상면에 지지된다.
커버부재(30)에는 손잡이부(33)가 형성된다. 손잡이부(33)는 커버부재(30)를 화분본체(10)에서 착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1몸체(11)와 제2몸체를 결합하여 화분본체(10)를 조립하고 흡착부재(20)를 결합한 후, 화분(1)을 설치면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몸체(11)의 걸림고리부(11a)가 제2몸체(13)의 걸림홈부(13a)를 향하도록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위치시켜 놓고, 제1몸체(11)를 제2몸체(13) 방향으로 눌러준다. 그러면, 걸림홈부(13a)에 걸림고리부(11a)가 억지끼움되면서 제1몸체(11)와 제2몸체(13)가 결합되고 화분본체(10)가 조립된다.
화분본체(10)가 조립되면, 화분본체(10)의 결합부(17)에 흡착부재(20)를 결합시킨다.
화분본체(10)와 흡착부재(20)의 결합은 결합리브(17a)의 외경에 흡착부재(20)의 체결리브(21)를 끼움에 의해 가능하다. 흡착부재(20)의 체결리브(21)가 결합리브(17a)의 외경에 끼워지면 체결리브(21)는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 사이의 삽입채널(17c)에 위치된 상태가 된다. 물론, 체결리브(21)를 결합리브(17a)와 지지리브(17b)의 사이에 끼움 결합시켰다고 볼 수도 있다.
화분본체(10)에 흡착부재(20)를 결합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화분본체(10)의 내부공간(15)에 심고자 하는 식물을 삽입한 후 인공토양, 배양토, 부엽토 등을 채워 화분을 완성한다.
완성된 화분(1)은 개구된 상부에 물뿌리개나 분무기를 이용하여 소정을 물을 급수한 후 커버부재(30)를 결합하여 수분증발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 후 화분을 책상, 식탁, 주방, 침대 옆 등의 배치하고자 설치면에 두면 된다.
이때, 화분(1)은 화분본체(10)를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설치면에 고정시킨다.
화분본체(10)를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주면, 하부 흡착부재(20)의 흡착판(23)이 설치면에 흡착 고정되고 화분(1)은 책상이나 탁자 등의 곳에서 충격으로 떨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흡착부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판(23)의 만곡부가 지지리브(17b) 및 화분본체(10)의 저면에 눌러진 상태가 되어 흡착판(23)의 내부로 공기 유입이 방지된다.
공기 유입 방지에 의해 시간이 경과되어도 흡착판(23)이 설치면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흡착부재(20)는 화분본체(10)의 단차부(19)에 배치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화분(1)의 외관을 미려하게 한다.
완성된 화분(1)이 설치면에 배치된 상태는 도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외관이 미려하고, 상부 흙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흡착부재(20)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한편, 식물이 자라 분갈이가 요구되면, 커버부재(30)를 화분본체(10)로부터 분리하고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결합을 분리하여 분갈이를 하면된다.
이때, 제1몸체(11)와 제2몸체(13)의 분리는 제2몸체(13)의 걸림홈부(13a) 부분을 서로 마주보는 내측으로 눌러 걸림홈부(13a)와 제1몸체(11)의 걸림고리부(11a)를 소정간격 이격되게 하면 손쉽게 분리된다.
분갈이 완료 후에는 제1몸체(11)와 제2몸체(13)를 다시 결합시키고, 식물을 심고 급수한 후 커버부재(30)를 결합시키고 설치면에 고정하는 상술한 과정에 의해 원하는 곳에 배치시키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화분 10:화분본체
11:제1몸체 13:제2몸체
11a:걸림고리부 13a:걸림홈부
15:내부공간 17:결합부
17a:결합리브 17b:지지리브
17c:삽입채널 19:단차부
20:흡착부재 21:체결리브
23:흡착판 30:커버부재
31:관통공 33:손잡이부

Claims (6)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부가 형성된 화분본체와;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화분본체를 설치면에 고정시켜주는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된 결합리브와,
    상기 결합리브의 외면을 둘러 이격된 위치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와의 사이에 삽입채널을 형성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화분본체의 저면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단차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삽입채널에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된 체결리브와,
    상기 체결리브의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본체는 상부외관과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두 몸체로 구성되고,
    두 몸체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청구항 1에 있어서,
    두 몸체로 구성되고, 서로 형합되어 중앙에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화분본체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는 형상을 갖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2020100005935U 2010-06-07 2010-06-07 화분 KR201100115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35U KR20110011509U (ko) 2010-06-07 2010-06-07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935U KR20110011509U (ko) 2010-06-07 2010-06-07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509U true KR20110011509U (ko) 2011-12-14

Family

ID=72887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935U KR20110011509U (ko) 2010-06-07 2010-06-07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50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4662A (ko) 연속적인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단
JP2010017153A (ja) 植物栽培装置
KR20100039790A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KR200463816Y1 (ko) 기능성 화분
CN102150579A (zh) 一种双层花盆
KR101798946B1 (ko) 화분용 발효 유닛 및 상기 화분용 발효 유닛을 포함하는 발효 장수 화분
KR102565791B1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CN205511365U (zh) 一种桌摆补光种植盒
KR200461726Y1 (ko) 원예용 용기
KR20110011509U (ko) 화분
KR101685568B1 (ko) 스크린컵이 구성된 수경재배용 베드 세트
KR200490244Y1 (ko) 화분
KR20120074429A (ko) 식물재배용기
KR101548155B1 (ko) 기능성 화분
KR102106693B1 (ko) 화분
JP3069514U (ja) 花植ポットの飾り台
JP3076746U (ja) 園芸用トレー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KR20100047709A (ko) 화분
JP5368363B2 (ja) 植栽容器
JP3074099U (ja) 水耕栽培装置
JP3106137U (ja) 底面給水用の園芸鉢
KR101213753B1 (ko) Pet병을 이용한 화분
JPH0427313Y2 (ko)
KR200313507Y1 (ko) 배수구가 없는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