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55A -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55A
KR20110011455A KR1020090069117A KR20090069117A KR20110011455A KR 20110011455 A KR20110011455 A KR 20110011455A KR 1020090069117 A KR1020090069117 A KR 1020090069117A KR 20090069117 A KR20090069117 A KR 20090069117A KR 20110011455 A KR20110011455 A KR 20110011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utton
unit
display
button displa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9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5197B1 (ko
Inventor
정형복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9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19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패널(140); 상기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를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 장착구조이다.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 경사부

Description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Mounting assembly for touch button and display structure}
본 발명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를 아웃도어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장착 시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된 투명한 외부패널에 흠집이 생기지 않으며 정확한 위치에 고정하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 는 종래의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 및 이를 냉장고의 아웃도어(20)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는 통상 강화유리 등으로 형성된 투명한 외부패널(40)의 내부와 밀착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를 조작하기 위하여 버튼부(50)가 인쇄되는데, 사용자의 손이 인쇄된 버튼부(50)에 닿으면, 이를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에서 감지하여 신호를 보낸다.
이와 같은 터치버튼식 작동 스위치에서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와 외부패널(40)이 정확한 위치에 밀착하여 있어야 사용자의 손이 버튼부(50)에 닿았을 때, 버튼 조작의 정확도 및 조작감이 높아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를 아웃도어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디스플레이부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70)를 이용하여 아웃도어(20)의 일측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삽입공(65)을 통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를 삽입한다.
이와 같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와 외부패널(40)은 버튼부(50)의 조작감을 높이기 위하여 밀착할 필요가 있으므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 삽입부의 두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가 겨우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디스플레이스 설치부(105)의 내부 공간의 정확한 위치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를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10)의 설치 위치 정확도 및 버튼 조작감을 높이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내부 여유 공간을 아주 작게 할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공간에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가 삽입될 때 외부 패널의 내측이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에 의하여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작업자가 이러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심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를 삽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등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외부패널(140); 상기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 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하측면에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102)를 밀어주는 제1탄성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2탄성부재(130); 제2탄성부재(13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0);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되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돌기(140)를 고정하는 터치버튼 체결돌기(145);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경사부(160);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상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경사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패널(140); 상기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에 의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삽입하는 도중에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에 의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에 밀착하므로,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공간에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될 때 외부 패널의 내측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에 의하여 흠집이 발생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삽입하는 공정이 간단하여 작업 시간이 단축되며, 버튼 조작감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제1탄성부재(125)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하측면에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102)를 밀어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므로, 사용자가 버튼부(150)를 누를 경우 버튼조작감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2탄성부재(130), 제2탄성부재(13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0), 상기 디스플레 이 설치부(105)에 설치되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돌기(140)를 고정하는 체결돌기(145),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150)에 의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내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경사부(160);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상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경사부(180)를 포함하므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상부 경사부(180)와 하부경사부(160)에 의하여 외부패널(140) 내측에 상하 모두 밀착하여 버튼부(150)(10)의 작동이 사용자의 누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패널(140); 상기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를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하측면에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102)를 밀어주는 제1탄성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2탄성부재(130); 제2탄성부재(13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0);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되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돌기(140)를 고정하는 체결돌기(145);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경사부(160);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상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경사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 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시도이며, 도3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된 정면도이며, 도4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된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터치버튼(115)이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부 상부에는 돌출부(17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냉장고 아웃 도어 등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를 설치하기에 적합한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측에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를 삽입하는 디스플레이 삽입공(165)를 형성할 수 도 있다.
도 4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워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사이에는 적절한 유격이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밀착부(101)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에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하측면에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102)를 밀어주는 제1탄성부재(1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125)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탄성체로서, 탄성체의 U자 형의 일측이 다른 일측보다 더 길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제2탄성부재(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탄성부재(130)의 선단에는 고정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돌기(140)를 고정하는 체결돌기(14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30)의 일측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제2 탄성 부재의 다른 일측 선단에 고정돌기(1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13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의 탄성체로서, 탄성체의 U자 형의 일측이 다른 일측보다 더 길은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150)가 좌우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하부가이드(150)는 하부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경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경사부(160)는 하부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를 줄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상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경사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경사부(180)는 하부로 갈수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를 줄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경사부(180)와 하부경사부(160)는 탄성을 가지는 형태(예를 들어 가느다란 막대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측에 있는 디스플레이 삽입공(16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삽입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 하부에 근접함 에 따라 상기 하부가이드(150)에 의하여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위치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 내의 정확한 위치에 간단히 고정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삽입할 때 상기 하부경사부(160)에 의하여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가 외부패널(140) 내측으로 밀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삽입할 때 상기 상부경사부(180)에 의하여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가 외부패널(140) 내측으로 밀착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를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삽입할 때 상기 상부경사부(180)와 하부경사부(160)에 의하여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외부패널(140) 내측으로 밀착하게 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110)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하부 방향으로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110)의 제2탄성부재(130)에 있는 고정돌기(140)는 고정돌기(140)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체결돌기(145)와 탄성력에 의하여 쉽고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러므로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좌우 측면이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상부에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에 완전히 삽입된 경우에 제1탄성부재(125)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부를 항상 일방향으로 밀어 주게 되어,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스부(110)는 제1탄성부재(125)에 의하여 반대방향으로 힘을 받아 외부패널(140) 내측와 항상 밀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0) 장착구조 단면도
도 2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사시도
도3은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된 정면도
도4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0 :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20: 아웃도어
40, 140 : 외부패널 50, 150: 버튼부
65, 165: 디스플레이 삽입공
101: 디스플레이 밀착부 102: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
105: 디스플레이 설치부 115: 터치버튼
125: 제1탄성부재 130: 제2탄성부재
140: 고정돌기 145: 체결돌기
150: 하부가이드 160: 하부경사부
170: 돌출부 180: 상부경사부

Claims (4)

  1. 외부패널(140); 상기 외부패널(140) 내측에 설치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두께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두께보다 두꺼우며,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가 외부패널(140) 내측에 밀착하게 하도록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일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를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의 하측면 에 디스플레이 설치부 배면(102)를 밀어주는 제1탄성부재(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상부에 형성된 제2탄성부재(130); 제2탄성부재(130)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돌기(140);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에 설치되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고정돌기(140)를 고정하는 체결돌기(145); 상기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는 상기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 측면의 하부를 가이드하는 하부가이드(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에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밀착부(101)는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하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경사부(160); 디스플레이 설치부(105)의 배면(102) 상부에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110)의 상부를 고정하는 상부경사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버튼 디스플레이부 장착구조
KR1020090069117A 2009-07-28 2009-07-28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KR10107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17A KR101075197B1 (ko) 2009-07-28 2009-07-28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9117A KR101075197B1 (ko) 2009-07-28 2009-07-28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55A true KR20110011455A (ko) 2011-02-08
KR101075197B1 KR101075197B1 (ko) 2011-10-19

Family

ID=4377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9117A KR101075197B1 (ko) 2009-07-28 2009-07-28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8550A1 (zh) * 2019-11-20 2021-05-2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冷装置及用于制冷装置的门体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154B1 (ko) 2003-03-10 2005-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8550A1 (zh) * 2019-11-20 2021-05-27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制冷装置及用于制冷装置的门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5197B1 (ko)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1316B1 (en) Refrigerator door
USRE47284E1 (en)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WO2013093959A1 (ja) 空調用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6334101A (ja) 遊技機
KR101075197B1 (ko) 터치버튼 디스플레이 장착구조
US20220126689A1 (en) Vehicle smart garnish
WO2006004153A1 (ja) アンテナ内蔵電子装置
GB2423412A (en) Battery terminal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2664981B1 (en) Press-type input device
US7687730B2 (en) Operating switch unit for use in automotive vehicle
US8366306B2 (en) Computer enclosure
JP5477732B2 (ja) 携帯電子機器
CN211742992U (zh) 带有对管密封式结构的按键开关及键盘
JP4853766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ガイド構造
JP2015198067A (ja) タッチ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5261657A (ja) 遊技機
CN210515148U (zh) 防水结构及身份验证设备
CN219085860U (zh) 一种应用于按键开关的平衡架触发式光电导通机构
CN110379658B (zh) 导光结构、具有导光功能的按键组件及电子设备
JP2006156244A (ja)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US20210141466A1 (en) Switch module applied in wireless mouse
CN215342367U (zh) 按键组件
KR20130051393A (ko) 가동 접촉자를 지지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회로차단기
JP5471768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37992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