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400U -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400U
KR20110011400U KR2020100007866U KR20100007866U KR20110011400U KR 20110011400 U KR20110011400 U KR 20110011400U KR 2020100007866 U KR2020100007866 U KR 2020100007866U KR 20100007866 U KR20100007866 U KR 20100007866U KR 20110011400 U KR20110011400 U KR 201100114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insulating layer
flat cable
flexible fla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흐-쿤 예
Original Assignee
텐리치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리치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텐리치 인터내셔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114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4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Edge contacts; Windows or holes in the substrate having plural connections on the wal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61Flat or ribbon cables comprising one or more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01B7/0838Parallel wires, sandwiched between two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05K1/0218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y printed shielding conductors, ground planes or power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제 1 금속차폐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제 1 금속판을 설치하여 보강판과 접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금속연접부가 직접 외부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커넥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FLEXIBLE FLAT CABLE}
본 고안은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접지 및 보강 작용을 겸비한 금속판을 구비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술의 빠른 발전에 따라, 각종 전자제품은 우리의 작업환경이나 생활 속에서 나날이 보급되어 가고 있다. 각종 전자제품 중에서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신호전송의 수단으로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일반적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그 일단에 보강판을 설치하게 되는데, 플라스틱 커넥터가 그 일단에 연결된다. 플라스틱 커넥터 상에는 접지장치가 설치되어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관련 업계의 업자 또는 연구원들은 모두 크기가 작은 구성요소들이 전술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제품의 제작비용을 절감시켜서 시장 상에서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자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 금속차폐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제 1 금속판을 설치하여 보강판과 접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금속연접부가 직접 외부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플라스틱 커넥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플렛서블 플랫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제 1 절연층, 전도성 와이어층, 제 2 절연층, 제 1 금속차폐층, 하나 이상의 금속판 및 제 3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도성 와이어층은 다수 개의 금속도선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것으로 제 1 절연층 상에 설치된다. 제 2 절연층은 전도성 와이어층 상에 설치되어 전도성 와이어층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한다, 제 1 금속차폐층은 제 1 절연층의 하부표면에 설치되고, 제 1 금속판은 제 1 금속차폐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설치된다. 제 3 절연층은 제 1 금속차폐층의 하부표면을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본 고안의 목적, 기술 내용, 특징 및 이로부터 달성되는 효과를 더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되어야 할 것은,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도면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구성은 생략되어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도면 중에 표시된 구성 요소 사이의 크기는 내용을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실제 구성요소 사이의 비례관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설명도이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다음 아래와 같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의 설명도인데, 이를 참조한다.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은 제 1 절연층(10), 전도성 와이어층(20), 제 2 절연층(30), 제 1 금속차폐층(50), 하나 이상의 금속판(40) 및 제 3 절연층(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도성 와이어층(20)은 다수 개의 금속도선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것으로 제 1 절연층(10) 상에 설치된다. 제 2 절연층(30)은 전도성 와이어층(20) 상에 설치되어 전도성 와이어층(20)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한다, 제 1 금속차폐층(50)은 제 1 절연층(10)의 하부표면에 설치되어 전자기나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1 금속차폐층(50)은 도전성 카본 페이스트(Conductive Carbon Paste) 또는 전도성 실버 페이스트(Conductive Silver Paste)를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금속차폐층(50)은 동이나 은 등의 전도성 재질의 금속판과 제 1 절연층(10)을 접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제 1 금속판(40)은 제 1 금속차폐층(50)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설치되는데, 상기 제 1 금속판(40)의 재질은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을 포함할 수 있는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절연층(60)은 제 1 금속차폐층(50)의 하부표면을 부분적으로 덮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의 제 1 금속판(40)은 외부에 접지되는 구조를 통하여 접지의 기능을 달성할 뿐만 아니라 보강판로서의 역할을 하여,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이 충돌로 인해 받는 힘을 완충시켜 끊어져 갈라지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 밖에, 제 1 절연층(10), 제 2 절연층(30) 및 제 3 절연층(60)은 절연재료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절연층(60)과 제 2 절연층(30)은 외부의 미세먼지 입자 등 오염물질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며, 긁히거나 마모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1')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2 절연층(30)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금속판(7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전도성 와이어층(20)의 다수 개의 금속도선은 하나 이상의 접지 도통유닛(201)을 포함하는데, 접지 도통유닛(201)을 절곡시켜 제 2 금속판(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제 2 금속판(70)은 보강 구조를 구비하여 파열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금속판(70)은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는데,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스럽게는 제 2 금속판(70) 상에 별도의 제 3 절연층(60')을 설치하여 접지 도통유닛(201)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 2 금속차폐층(80)과 제 4 절연층(90)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금속차폐층(80)은 제 2 절연층(30) 상에 설치되고, 제 4 절연층(90)은 제 2 금속차폐층(80) 상에 설치된다. 제 2 금속차폐층(80)과 제 1 금속차폐층(50)은 모두 전자기나 노이즈로부터의 간섭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된다. 제 2 금속차폐층(80)은 도전성 카본 페이스트 또는 전도성 실버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되는데 본 고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금속차폐층은 또한 동이나 은 등의 전도성 재질의 금속판과 제 2 절연층(30)을 접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제 4 절연층(90)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의 제 3 절연층(60)과 제 4 절연층(90)은 외부의 미세먼지 입자 등 오염물질을 차단하는데 사용되며, 긁히거나 마모로 인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고안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은 금속연접부(100)를 더 포함하는데, 제 4 절연층(90)의 하나 이상의 일단과 제 1 금속판(40)을 덮어 장착된다. 여기서, 금속연접부(100)와 노출된 전도성 와이어층(20)은 전기적으로 끊어지고, 금속연접부(100)는 제 1 금속판(40)과 전기적으로 연접된다. 여기서 설명되어야 할 것은, 금속연접부(100)는 금속상부덮개(1001)과 금속하부덮개(100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금속하부덮개(1002)는 제 1 금속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금속연접부(100)의 금속하부덮개(1002)와 제 1 금속판(40)은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금속연접부(100)의 금속상부덮개(1001)와 금속하부덮개(1002)는 또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그 밖에, 금속연접부(100)는 별도의 구성인 스켓(도면에 미도시)에 직접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데,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의 제 1 금속판(40)은 금속연접부(100)와 소켓의 접지부(도면에 미도시)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접되어 접지의 효과를 달성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과 비교하여, 본 고안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2)은 플라스틱 커넥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ANSI/TIA/EIA-644로 정의되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전송인터페이스와 결합하여 신호전송선의 표준규격에 부합되도록 한다. 블렉서블 플랫 케이블(2)의 특성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는 실질적으로 100Ω이 된다, 그 밖에, 제 1 금속판(40)을 덮는 금속연접부(100)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 커넥터가 될 수 있는데, 전자장치의 낮은 전압 차분 신호 소켓(도면에 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본 고안의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은 제 1 금속차폐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제 1 금속판을 설치하여 보강판과 접지 가능하게 하며, 또한 금속연접부가 직접 외부 소켓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플라스틱 커넥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로서 든 실시 태양에 불과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고,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2 :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10 : 제 1 절연층
20 : 전도성 와이어 층 201 : 접지 도통 유닛
30 : 제 2 절연층 40 : 제 1 금속판
50 : 제 1 금속차폐층 60,60' : 제 3 절연층
80 : 제 1 금속차폐층 90 : 제 4 절연층
100 : 금속연접부 1001 : 금속상부덮개
1002 : 금속하부덮개

Claims (12)

  1. 제 1 절연층;
    다수 개의 금속도선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 것으로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설치되는 전도성 와이어층;
    상기 전도성 와이어층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전도성 와이어층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하는 제 2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의 하부표면에 설치되는 제 1 금속차폐층;
    상기 제 1 금속차폐층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 하부표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금속판; 및
    상기 제 1 금속차폐층의 하부표면을 부분적으로 덮는 제 3 절연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2. 청구항 1에서, 제 2 금속차폐층과 제 4 절연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금속차폐층은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 4 절연층은 상기 제 2 금속차폐층 상에 설치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3. 청구항 2에서, 상기 제 2 금속차폐층의 재료는 전도성 실버 페이스트(Conductive Silver Paste) 또는 도전성 카본 페이스트(Conductive Carbon Paste)가 포함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4. 청구항 2에서, 상기 제 4 절연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포함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5. 청구항 2에서, 상기 제 4 절연층의 하나 이상의 일단과 제 1 금속판을 덮어 장착되는 금속연접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금속연접부와 노출된 상기 전도성 와이어층은 전기적으로 끊어지고, 상기 금속연접부는 상기 제 1 금속판과 전기적으로 연접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6. 청구항 5에서, 상기 금속연접부는 금속상부덮개와 금속하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7. 청구항 6에서, 상기 금속연접부의 상기 금속하부덮개와 상기 제 1 금속판은 일체로 성형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8. 청구항 5에서, 상기 금속연접부는 일체로 성형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9. 청구항 5에서, 상기 제 1 금속판을 덮는 상기 금속연접부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 커넥터(LVDS connector)가 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10. 청구항 5에서, 상기 블렉서블 플랫 케이블의 특성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는 100Ω이 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11. 청구항 1에서, 상기 제 2 절연층의 상부표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금속판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도성 와이어층의 다수 개의 금속도선은 하나 이상의 접지 도통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지 도통유닛을 절곡시켜 상기 제 2 금속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12. 청구항 1에서, 상기 제 1 절연층, 제 2 절연층 및 제 3 절연층의 재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포함되는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KR2020100007866U 2010-06-03 2010-07-27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KR2011001140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10537U TWM395239U (en) 2010-06-03 2010-06-03 Flexible flat cable
TW099210537 2010-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400U true KR20110011400U (ko) 2011-12-09

Family

ID=45063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866U KR20110011400U (ko) 2010-06-03 2010-07-27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97428A1 (ko)
JP (1) JP3163437U (ko)
KR (1) KR20110011400U (ko)
TW (1) TWM39523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271A (ko) * 2016-08-31 2018-03-08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실드 플랫 케이블
KR20230093805A (ko) * 2021-12-20 2023-06-27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590B1 (ko) 2011-02-22 2013-07-02 대원케미칼(주) 저전압 차분신호용 연성 평판 케이블
TWI434006B (zh) 2011-11-30 2014-04-11 Ind Tech Res Inst 照明裝置
CN107197593B (zh) * 2016-03-15 2019-09-24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电路板及其制备方法
CN106297993B (zh) * 2016-11-05 2018-09-04 东莞市田津电子科技有限公司 柔性扁平电缆制作工艺及其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365A (en) * 1979-12-26 1982-01-12 Western Electric Company, Inc.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multi-conductor flat cable
US4714435A (en) * 1985-11-14 1987-12-22 Molex Incorporated Connection for flexible apparatus
JP3143565B2 (ja) * 1994-02-28 2001-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その接続装置、及び電気回路装置
JP5080995B2 (ja) * 2007-03-30 2012-11-21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5271A (ko) * 2016-08-31 2018-03-08 스미토모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실드 플랫 케이블
KR20230093805A (ko) * 2021-12-20 2023-06-27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WO2023120878A1 (ko) * 2021-12-20 2023-06-29 에스케이마이크로웍스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395239U (en) 2010-12-21
US20110297428A1 (en) 2011-12-08
JP3163437U (ja)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1400U (ko)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CN104577386B (zh) 连接器
CN101061018B (zh) 列车车载信息收发系统
US20090166082A1 (en) Anti-electromagnetic-interference signal transmission flat cable
US7918673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signal and ground terminals
CN110247235A (zh) 具有带有应变消除元件的接地端接部件的电气装置
EP2838164A1 (en) Communicatio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communication connector
JP5134711B2 (ja) 防水構造を有する結束フレキシブル配線
CN108736186A (zh) 具有端接到电缆排流线的接地总线的电气装置
CN102782948A (zh) 接线构造和线缆连接器组件
CN105636351B (zh) 柔性线路板及移动终端
KR20110011251U (ko) 플렉서블 플랫 케이블
CN101931150B (zh) 线缆连接器
CN204302936U (zh) 触控面板与具有该触控面板之触控装置
US7633012B2 (en) Structure for flexible flat cable
CN103378493B (zh) 电连接器
CN104571743A (zh) 触控面板
US7638865B2 (en) Sensor package
CN101271882B (zh) 半导体元件
US20140329409A1 (en) Electronic device and socket connector used in electronic device
CN218100186U (zh) 一种触控屏及电子设备
CN201438809U (zh) 电磁干扰抑制模块
CN216286615U (zh) 一种触控结构及触摸屏
KR200491338Y1 (ko) 터치 장치의 신호 전송 배선 조립 구조
CN209947458U (zh) 一种移动式hdmi电线及hdmi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