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79A -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79A
KR20110011279A KR1020090068843A KR20090068843A KR20110011279A KR 20110011279 A KR20110011279 A KR 20110011279A KR 1020090068843 A KR1020090068843 A KR 1020090068843A KR 20090068843 A KR20090068843 A KR 20090068843A KR 20110011279 A KR20110011279 A KR 20110011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ower generation
gener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9314B1 (ko
Inventor
김성한
장재혁
정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314B1/ko
Priority to US12/551,305 priority patent/US20110027682A1/en
Publication of KR20110011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7Arrangements for tightening a stack, for accommodation of a stack in a tank or for assembling different tanks
    • H01M8/2475Enclosures, casings or containers of fuel cell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08Cartridges, cryogenic media or cryogenic reservoi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30Fuel cell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01M8/04216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for a specific material, e.g. carbon, hydride, absorb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저장탱크,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평판형 스택, 상기 평판형 스택으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 상기 평판형 스택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에너지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에 최적의 효율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호환이 가능하다.
연료저장탱크, 평판형 스택, 압력제어부, 컨버터, 커넥터부

Description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power system}
본 발명은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통상 리튬이온 배터리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휴대용 전자기기가 고성능화되고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면서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로는 작동 시간에 한계가 있고 장시간의 충전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새로운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새로운 에너지원으로 연료전지가 각광받고 있다.
연료전지란 연료(수소, LNG, LPG 등)와 공기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 및 열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기존의 발전기술이 연료의 연소, 증기 발생, 터빈 구동, 발전기 구동 과정을 취하는 것과 달리 연소 과정이나 구동 장치가 없으므로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 기술이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극(1)은 수소(H2)를 공급받아 수소 이온(H+)과 전자(e-)로 분해된다. 수소 이온은 전해질(2)을 거쳐 공기극(3)으로 이동한다. 전자는 외부 회로(4)를 거쳐 전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공기극(3)에서 수소 이온과 전자, 그리고 공기 중의 산소가 결합하여 물이 된다. 상술한 연료전지(10)에서의 화학 반응식은 아래의 반응식 1과 같다. 다만, 반응식 1은 예시적인 것이고 연료전지의 유형에 따라 각 전극에서 발생하는 화학반응은 다양할 수 있다.
연료극(1): H2 → 2H++ 2e-
공기극(3): 1/2 O2 + 2H++ 2e- → H20
전반응 : H2 + 1/2 O2 → H20
즉, 연료극(1)에서 분리된 전자가 외부 회로를 거쳐 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전지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연료전지(10)는 SOx와 NOx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적어 무공해 발전이며, 저소음, 무 진동 등의 장점이 있다.
연료전지는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중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대체할 수단으로 다른 연료전지에 비해서 소형화에 유리화가 용이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와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가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료전지를 채용함에 있어서, 높은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연료전지 시스템이나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호환되는 최적화된 배치구조를 갖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대한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최적의 효율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고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호환이 가능한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저장탱크,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평판형 스택, 상기 평판형 스택으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 상기 평판형 스택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에너지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커넥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탈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상기 압력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평판형 스택과 상기 컨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제어부는 그 일측면이 상기 전원단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상기 압력제어부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스택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컨버터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유입부, 상기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평판형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출부는 연료가 방출되는 방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관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일측에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공급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관을 개폐하는 누름식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누름식 개폐수단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료공급관이 분리되면 탄성부재가 러버를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료공급관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료공급관이 연결되면 상기 유입부가 상기 러버를 상기 연료저장탱크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연료공급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한다.
또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수소 흡착성질을 갖는 메탈 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연료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말 형태로 형성된 상기 메탈 하이드라이드의 유출을 방지하는 메시구조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스택은, 연료극, 공기극 및 연료극과 공기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집전하는 집전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집전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전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 사이를 밀폐하는 가스켓, 및 상기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판형 스택은 8개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료극의 외측에 형성되는 연료극 집전체, 및 공기극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기극 집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공기극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흡입채널을 통해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극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연료극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료흡입관을 통해서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극 엔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극 엔드플레이트는 연료배기관이 실링부재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흡입관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버터는 4.5볼트 내지 9볼트의 전압을 3.5볼트 내지 4볼트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압력제어부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서로 수직인 일면과 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전성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플레이트와 통전하고, 상기 타면에 상기 커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단자에 접촉되어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료전지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장시간 휴대용 전자기기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충전시간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시스템은 기존의 휴대용 전자기기와 호환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구조나 외형을 변경할 필요가 없어 제작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전지의 연료가 모두 소진되고 보충이 여의치 않을 때는 임시로 종래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를 충전하기 위한 기반시설이 충분히 갖추어지기 전에도 실용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전후면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평면도이다. 이하, 이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저장탱크(110), 연료저장탱크(1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평판형 스택(120), 평판형 스택(120)으로 공급하는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130), 평판형 스택(120)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140) 및 컨버터(14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단자(105)로 전달하는 커넥터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수용부(100)와 수용부(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탈착되는 커버(200)를 포함한다. 수용부(100)와 커버(200)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채용하기 위한 최적의 크기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종래 휴대용 전자기기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장착되는 공간 및 그 공간을 덮는 커버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커버(200)에는 평판형 스택(120)과 컨버터(140)가 구비되고, 컨버터(140)의 일측에는 전기에너지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단자(105)로 전달하는 커넥터부(150)가 구비된다. 이때, 평판형 스택(120)은 외부에서 공기를 공급받기 위해서 커버(200)의 개구부(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컨버터(140)는 평판형 스택(120)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집전체(125)로부터 전달받아야 하므로 평판형 스택(120)과 함께 커버(20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컨버터(14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받기 위해서 커버(200)의 개구부(210)가 아닌 커버(200)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에는 소정의 깊이로 수용부(100)가 형성된다. 수용부(100) 내부에는 연료저장탱크(110)와 압력제어부(130)가 구비되는데, 압력제어부(130)는 그 일측면이 전원단자(105)의 외측에 배치되고, 압력제어부(130)의 타측면에는 연료저장탱크(110)가 배치된다. 이때, 연료저장탱크(110)는 교환이나 충전이 필요하므로 탈착가능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료저장탱크(110)의 너비는 수용부(100)의 너비보다 짧게 제작하여 후술할 압력제어부(130)의 방출관(137), 평판형 스택(120)의 연료흡입관(274), 및 방출관(137)과 연료흡입관(274)을 연결하는 튜브 등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16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압력제어부의 사시도이고,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제어부(130)는 연료저장탱크(110)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유입부(131),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133) 및 평판형 스택(120)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출부(135)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부(131), 레귤레이터(133) 및 방출부(135)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서 결합플레이트(139)를 추가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
유입부(131)는 연료저장탱크(110)가 장착되면 연료저장탱크(110)의 연료공급관(111)과 연결되어 연료를 공급받는다. 유입부(131)와 연료공급관(111)이 연결되면 누름식 개폐수단(113)에 의해 차단되었던 연료공급관(111)이 개방되는데 자세한 작동방법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연료저장탱크(110)에 저장된 연료의 압력이 통상 1MPa 정도로 평판형 스택(120)에 직접 공급하기에는 너무 높으므로 레귤레이터(133)는 0.1MPa 정도로 감압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만, 전술한 압력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고, 레귤레이터(133)는 연료성분, 연료저장탱크(110)의 종류, 평판형 스택(120)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압력 제어가 가능하다.
그리고, 방출부(135)는 레귤레이터(133)에서 압력이 제어된 연료를 평판형 스택(1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연료가 방출되는 방출관(137)을 포함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관(137)은 연료저장탱크(110)의 일측면과 수용부(100)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160)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방출관(137)은 후술할 연료흡입관(274)과 튜브 등으로 연결되어 평판형 스택(120)으로 연료를 공급한다.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연료저장탱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저장탱크(110)는 탱크본체(118)와 덮개(119)로 구성되고, 연료저장탱크(110)에 저장될 연료의 고압을 반영구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탱크본체(118)와 덮개(119)는 볼트 또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또한, 연료저장탱크(110)의 일측에는 연료공급관(111)이 구비되고, 연료공급관(111)은 유입부(131)와 연결되어 압력제어부(130)에 연료를 공급한다. 연료공급관(111) 내부에는 유입부(131)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연료공급관(111)을 개폐하는 누름식 개폐수단(113)을 구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식 개폐수단(113)은 탄성부재(115)와 러버(117)로 구성되는데, 유입부(131)와 연료공급관(111)이 분리되면 탄성부재(115)가 러버(117)를 연료공급관(111)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연료공급관(111)을 차단하고, 유입부(131)와 연료공급관(111)이 연결되면 유입부(131)가 러버(117)를 연료저장탱크(110)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연료공급관(111)이 개방되는 것이다. 즉, 연료저장탱크(110)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미장착된 때에는 연료공급관(111)이 차단되어 연료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저장탱크(110)가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된 때에는 별도의 조작없이 연료공급관(111)이 개방되어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연료저장탱크(110)에 저장되는 연료로 수소(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의 경우)가 사용된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할 때는 안정성을 고려하여 낮은 온도와 낮은 압력에서 가역적으로 수소의 흡탈착이 가능한 수소 흡착성질을 갖는 메탈 하이드라이드(metal hydrid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탈 하이드라이드가 분말 형태로 형성된 경우 연료공급관(111)을 통해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메시구조의 필터를 연료공급관(111)의 일측에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평판형 스택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b는 도7a에 도시된 막전극 접합체의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 스택(120)은 연료극(121), 공기극(122) 및 연료극(121)과 공기극(122)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123)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124)(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막전극 접합체(124)의 외측에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집전하는 집전체(125), 막전극 접합체(124)와 집전체(125) 사이에 개재되어, 집전체(125)와 막전극 접합체(124) 사이를 밀폐하는 가스켓(126), 집전체(125)의 외측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127)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막전극 접합체(124)는 공기극 엔드플레이트(271)를 통해서 휴대용 전자기기 외부의 공기를 공급받고, 연료극 엔드플레이트(273)를 통해서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공기극(122)과 연료극(121)은 전해질막(123)을 중심으로 각각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위전극으로 구성할 수 있다. 연료극(121)의 단위전극과 공기극(122)의 단위전극 및 전해질막(123)은 독립된 단위전지 역할을 하는데, 각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압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전자기기 중 기존의 휴대폰은 통상 3.5볼트 내지 4.0볼트의 전압이 필요한데, 컨버터(140)에 의한 전압강하 이후의 전력의 효율을 고려할 때 8개의 단위전지가 직렬과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집전체(125)는 연료극(121)의 외측에 형성되는 연료극 집전체(251)와 공기극(122)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기극 집전체(252)로 이루어지며, 집전체(125)는 전기에너지를 집전하여 컨버터(140)에 전달한다. 또한, 집전체(125)는 막전극 접합체(124)에 공기나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스켓(126)은 효율적인 전기에너지 발생을 위해서 막전극 접합체(124)와 집전체(125) 사이에 개재할 수 있다. 가스켓(126)은 평판형 스택(120)에서 연료나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하므로 탄성을 가지는 소재, 예를 들면 테프론(Teflon)과 같은 내화학성이 좋으면서 탄성을 가지는 재료가 적당하다.
엔드플레이트(127)는 평판형 스택(120)구조의 최외각에서 적층 구조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는 역할을 하므로, 휨이 적어야하고, 전기적인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 처리가 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엔드플레이트(127)는 알루미늄과 같은 가벼운 금속을 이용할 수 있으나 쇼트 방지를 위해서 테플론 코팅 등으로 절연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엔드플레이트(127)는 공기극 집전체(252)의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흡입채널(272)을 통해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극 엔드플레이트(271)와 연료극 집전 체(251)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료흡입관(274)을 통해서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극 엔드플레이트(27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공기극 엔드플레이트(271)는 커버(200)에 형성된 개구부(210)를 통해서 외부대기 중의 공기를 공기흡입채널(272)로 공급받아 공기극(122)에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별도의 인공적인 펌프가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료극 엔드플레이트(273)는 방출관(137)과 튜브 등으로 연결된 연료흡입관(274)을 통해서 연료를 공급받아 연료극(121)에 전달한다. 연료흡입관(274)은 전술한 방출관(137)과 마찬가지로 연료저장탱크(110)의 일측면과 수용부(100)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160)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커버(200)가 수용부(100)에 장착되면 연료저장탱크(110)의 일측면과 수용부(100)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160)에 연료흡입관(274)과 방출관(137) 및 튜브 등이 배치되어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연료배기관은 연료극 엔드플레이트(273)의 일측에 구비되어 연료극(121)에서 반응 후 잔존하는 연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단, 휴대용 전자기기는 많은 양의 연료를 저장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필요에 따라 연료배기관을 무드볼트 등의 실링부재로 밀봉하여 연료의 출구를 막아(Dead end type stack) 연료를 절약할 수 있다.
한편, 컨버터(140)는 평판형 스택(120)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의 전압을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는 전압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컨버터(140)는 평판형 스택(120)에서 전기에너지를 공급받기 위해서 집전체(125)와 연결되어야 하 는데 집전체(125)를 연장하여 직접 컨버터(140)에 접촉시키거나, 별도의 전선을 채용하여 연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효율을 구현하는 8개의 단위전지가 직렬로 연결되었을 때 통상 4.5볼트 내지 9볼트 정도 이용가능하고 휴대폰은 통상 3.5볼트 내지 4.0볼트가 필요하므로 이 조건에 맞게 전압을 감압시키는 컨버터(1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a 내지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전원단자에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커넥터부(150)는 전기에너지를 컨버터(140)에서 전원단자(10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부(150)로는 형상의 변형이 자유로우면서도 전기에너지 전달이 가능한 연성회로기판(FPCB)(151)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성회로기판(151)의 일단은 컨버터(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전원단자(10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151)과 전원단자(105)의 전기적 연결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가 가능하다. 또한, 커버(200)가 수용부(100)에 장착되었을 때 연성회로기판(151) 중 평판형 스택(120)과 접하는 면이 쇼트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성 물질로 도포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연성회로기판(151)의 연결방법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회로기판(151)의 일단은 컨버터(140)에 연결하고 타단은 전원단자(105)와 압력제어 부(130)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다. 이때, 타단은 전원단자(105)에 접하게 되므로 연성회로기판(151)은 전기에너지를 전원단자(10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151)의 타단을 전원단자(105)에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해서 압력제어부(130)에 별도의 가이드부재(152)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방법은 커버(200)를 분리해도 연성회로기판(151)과 전원단자(10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유지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전기에너지를 계속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연결방법으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수직인 일면과 타면으로 구성되는 도전성플레이트(153)를 채용하여 일면을 전원단자(105)에 접촉시키고 타면을 수용부(100)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플레이트(153)의 일면으로 연장된 가이드부재(152)를 사용할 수 있다. 도전성플레이트(153)의 타면에는 커버(2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단자(156)가 구비되고, 돌출단자(156)는 도전성플레이트(153)와 통전한다. 즉, 도전성플레이트(153) 및 돌출단자(156)는 전원단자(105)의 전기적 연결을 수용부(100) 외측으로 연장시켜주는 수단이다. 따라서, 돌출단자(156)에 연성회로기판(151)이 접촉되면, 돌출단자(156) 및 도전성플레이트(153)를 통해서 전기에너지가 전원단자(105)에 전달된다. 또한, 연성회로기판(151)을 돌출단자(156)에 대응하도록 평판형 스택(120) 위에 고정한 후 커버(200)를 수용부(100)에 장착하면 연성회로기판(151)과 돌출단자(156)가 별도의 조작없이 접촉하게 한다. 본 방법은 연성회로기판(151)의 삽입과정이 불필요하고 커버(200)의 장착만으로 연성회로기판(151)과 전원단자(105)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두가지의 연결방법은 반드시 하나를 택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8a 내지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플레이트(153)의 일면으로 가이드부재(152)를 사용하면 두가지의 연결방법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50)로 연성회로기판(151)을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부(150)는 전선, 리지드 인쇄회로기판 및 리지드-플렉서블 인쇄회로기판 등 전기적 연결이 가능한 모든 수단을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연료전지의 작동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전후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평면도;
도 4a 내지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압력제어부의 사시도;
도 5은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요부 확대도;
도 6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연료저장탱크의 분해사시도;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평판형 스택의 분해사시도;
도 7b는 도7a에 도시된 막전극 접합체의 단면도; 및
도 8a 내지 도 8b는 도 2에 도시된 커넥터부를 전원단자에 연결하는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수용부 105: 전원단자
110: 연료저장탱크 111: 연료공급관
113: 누름식 개폐수단 115: 탄성부재
117: 러버 118: 탱크본체
119: 덮개 120: 평판형 스택
121: 연료극 122: 공기극
123: 전해질막 124: 막전극 접합체
125: 집전체 126: 가스켓
127: 엔드플레이트 130: 연료제어부
131: 유입부 133: 레귤레이터
135: 방출부 137: 방출관
139: 결합플레이트 140: 컨버터
150: 커넥터부 151: 연성회로기판
152: 가이드부재 153: 도전성플레이트
156: 돌출단자 160: 공간
200: 커버 210: 개구부
251: 연료극 집전체 252: 공기극 집전체
271: 공기극 엔드플레이트 272: 공기흡입채널
273: 연료극 엔드플레이트 274: 연료흡입관

Claims (20)

  1.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저장탱크;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상기 연료를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평판형 스택;
    상기 평판형 스택으로 공급하는 상기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부;
    상기 평판형 스택에서 발생한 상기 전기에너지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 및
    상기 컨버터에서 변환된 상기 전기에너지를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커넥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탈착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는 상기 연료저장탱크와 상기 압력제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평판형 스택과 상기 컨버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그 일측면이 상기 전원단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상기 압력제어부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스택은 상기 커버에 형성된 개구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컨버터는 상기 커버의 내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상기 연료저장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유입부;
    상기 연료의 압력을 제어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평판형 스택에 연료를 공급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출부는 연료가 방출되는 방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방출관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일측에 상기 유입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연료공급관의 내부에는 상기 유입부의 연결 여부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관을 개폐하는 누름식 개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누름식 개폐수단은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료공급관이 분리되면 탄성부재가 러버를 상기 연료공급관의 외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연료공급관을 차단하고, 상기 유입부와 상기 연료공급관이 연결되면 상기 유입부가 상기 러버를 상기 연료 저장탱크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연료공급관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그 내부에 수소 흡착성질을 갖는 메탈 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료저장탱크는, 연료공급관의 일측에 구비되어 분말 형태로 형성된 상기 메탈 하이드라이드의 유출을 방지하는 메시구조의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스택은,
    연료극, 공기극 및 연료극과 공기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전기에너지를 집전하는 집전체;
    상기 막전극 접합체와 상기 집전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집전체와 상기 막전극 접합체 사이를 밀폐하는 가스켓; 및
    상기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는 엔드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스택은 8개의 단위전지를 직렬로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집전체는,
    연료극의 외측에 형성되는 연료극 집전체; 및
    공기극의 외측에 형성되는 공기극 집전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상기 공기극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공기흡입채널을 통해서 공기를 공급받는 공기극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연료극 집전체의 외측에 형성되어 연료흡입관을 통해서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극 엔드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료극 엔드플레이트는 연료배기관이 실링부재로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연료흡입관은 상기 연료저장탱크의 일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4.5볼트 내지 9볼트의 전압을 3.5볼트 내지 4볼트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연성회로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1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전원단자와 상기 압력제어부 사이에 삽입되어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2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서로 수직인 일면과 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일면은 상기 전원단자에 접촉하고 상기 타면은 상기 수용부 외측으로 노출되는 도전성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플레이트와 통전하고, 상기 타면에 상기 커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돌출단자에 접촉되어 전기에너지를 상기 전원단자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090068843A 2009-07-28 2009-07-28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109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43A KR101109314B1 (ko) 2009-07-28 2009-07-28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12/551,305 US20110027682A1 (en) 2009-07-28 2009-08-31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uel cell powe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43A KR101109314B1 (ko) 2009-07-28 2009-07-28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79A true KR20110011279A (ko) 2011-02-08
KR101109314B1 KR101109314B1 (ko) 2012-01-31

Family

ID=43527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43A KR101109314B1 (ko) 2009-07-28 2009-07-28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27682A1 (ko)
KR (1) KR1011093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07466B (en) * 2012-07-16 2015-04-08 Prometheus Wireless Ltd Fuel cell apparatus
GB2529149A (en) * 2014-08-04 2016-02-17 Intelligent Energy Ltd Fuel cell
CN105656141B (zh) * 2016-02-29 2018-09-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手持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8077B1 (en) * 1999-03-01 2001-07-31 Motorola, Inc. Portable fuel cell power supply
US7316855B2 (en) * 2001-06-01 2008-01-08 Polyfuel, Inc. Fuel cell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control, and regulator circuit for fuel cell powered electronic device
JP4042101B2 (ja) * 2001-07-06 2008-02-06 ソニー株式会社 燃料電池および燃料電池を用いた電力供給方法
US6713201B2 (en) * 2001-10-29 2004-03-3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s including replaceable fuel cell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replaceable fuel cell apparatus
WO2003049223A1 (fr) * 2001-12-07 2003-06-12 Canon Kabushiki Kaisha Pile a combustible et dispositif electrique
US7678482B2 (en) * 2002-12-24 2010-03-16 Jadoo Power Systems, Inc. Forced air fuel cell power system
JP2003323902A (ja) * 2002-05-07 2003-11-14 Hitachi Ltd 燃料電池発電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TWI223905B (en) * 2003-11-18 2004-11-11 Ind Tech Res Inst Hydrogen storage alloy can device with uniform hydrogen releasing and effective heat exchange structure
US7205060B2 (en) * 2004-08-06 2007-04-17 Ultracel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fluid delivery in a fuel cell
JP4855743B2 (ja) * 2004-09-30 2012-01-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料電池を用いた電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07313B2 (en) * 2004-12-21 2010-10-05 Ultracell Corporation Compact fuel cell package
US7625077B2 (en) * 2005-05-12 2009-12-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artridge,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liquid ejection control method
JP5289733B2 (ja) * 2006-07-13 2013-09-11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燃料電池を用いた携帯端末機器及び携帯端末機器用の燃料電池システム
US7879205B2 (en) * 2007-02-21 2011-02-0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fuel cell power gener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hydrogen generating quantity and recorded medium recorded program performing the same
KR101375329B1 (ko) * 2007-08-06 2014-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양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연료전지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314B1 (ko) 2012-01-31
US20110027682A1 (en) 201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2920B1 (en) Fuel Cell and Fuel Cell System
KR101016445B1 (ko) 스택 및 이를 구비한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KR101502356B1 (ko) 개선된 연료전지 어셈블리
US20050282048A1 (en) Fuel cell, its fuel-feeding system, fuel cartridge and electronic equipment
US7906245B2 (en) Fuel cell cartridge and electric apparatus having built-in fuel cell
JP5474201B2 (ja) 空気金属電池充電装置、空気金属電池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備える空気金属電池充電システム
US20080193817A1 (en) Unit cell for fuel cel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fuel cell system
KR101109314B1 (ko) 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US20090325009A1 (en) Electric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48584A1 (en) Fuel cell
JP2010015729A (ja) 二次電池および電池モジュール並びにこれらの充電方法
US7507492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uel cell system
JP528968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KR10070924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796656B1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100695112B1 (ko) 두개의 연료저장부를 구비한 직접액체 연료전지 시스템
KR101653751B1 (ko) 하이브리드 전기화학셀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37208A (ko) 원통형 전해질막-전극 합성체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
CN220963410U (zh) 一种便携式氢气质子交换膜燃料电池
EP1901386B1 (en) Apparatus having a Fuel Cell
KR20050025489A (ko) 연료전지의 공기 공급 장치
KR100696639B1 (ko) 연료 전지 장치
KR20070056608A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20060112037A (ko) 연료 전지 시스템
KR20100105192A (ko) 연료 전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