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57A -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57A
KR20110011257A KR1020090068817A KR20090068817A KR20110011257A KR 20110011257 A KR20110011257 A KR 20110011257A KR 1020090068817 A KR1020090068817 A KR 1020090068817A KR 20090068817 A KR20090068817 A KR 20090068817A KR 20110011257 A KR20110011257 A KR 20110011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extract
detergent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142B1 (ko
Inventor
안동현
문환업
송유진
이소영
김꽃봉우리
이청조
윤소영
이소정
박나비
정지연
Original Assignee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68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1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기능성 천연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천연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한약재 또는 해조류와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제가 가지는 기본적인 세정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한약재 또는 해조류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천연물 추출물이 가지는 항균활성 및 관능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까지 가지는 고기능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천연 세제, 해조류, 한약재, 강황, 상백피, 감태

Description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Natural Detergent Composition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백피, 강황 또는 감태 추출액을 천연세제 베이스에 혼합하여 천연세제를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뿐만 아니라 색 및 향 등 기호성 또한 향상된 천연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국민의 생활 수준의 향상, 건강한 삶과 소비를 우선시 하는 웰빙이라는 사회적 트렌드로 인해 합성품을 대신할 수 있는 천연제품 개발의 필요성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이같은 천연물질로서 한약재나 해조류는 민간에서 오랫동안 사용해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며 항균, 항산화, 면역 등 다양한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원료를 이용하여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원료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세제는 흡착, 습윤, 계면장력 저하, 유화, 가용화, 분산 등의 복잡한 물리· 화학적 작용에 의해서 물체표면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혼합물질로 세계적으로 품질수준의 차이가 거의 없고, 운반비 부담이 커 수출입 물량이 적은 내수 소비 산업으로 국내 세제 산업은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아 급속히 성장해 왔다. 하지만 종래의 주방용 세제는 세정효과 이외에 항균 효과와 살균 효과를 동시에 구비하지 못하고 있다. 항균 효과를 갖는 주방용 세정제로 공지된 것으로서, 노노자이놀-9(Nonoxynol-9)으로 알려진 항균 성분을 포함한 주방용 세정제가 제조, 판매되고 있으나, 그러한 세정제 역시 음식물 등을 통하여 식기에 부착된 해로운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을 세정 과정에서 효율적으로 살균하지는 못한다. 한편, 살균 및 청소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락스와 같은 세제는 약 50 여종의 박테리아를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강한 자극성 냄새와 섭취시 인체에 대한 유독성 등으로 인하여 주방용 세제로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위생상 종종 식기류를 삶아서 소독하거나, 또는 별도의 자외선 소독 기구 등을 이용하여 식기를 소독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세제를 이용한 세정 후에 별도의 살균을 위한 작업은 번거로운 일이며, 또한 이를 소홀히 할 경우 세균에 의한 식중독이나 악취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세제에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노출될 경우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고 장시간 노출될 경우 피부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최근 환경 문제의 심각성 고조,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로 인하여 합성세제 보다는 천연원료를 사용하여 만든 저공해, 고기능성 세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 고 있다. 세제는 상표전환율이 높은 산업이며 고가의 외국제품들이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제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 세제로서 세정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식물성 천연오일을 세제 베이스로 사용하고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항균, 항산화 및 알러지 억제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천연 추출물을 천연세제 베이스에 첨가함으로써 안전성 및 기호성을 모두 부여하는 고기능성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고기능성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또는 해조류와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한약재 또는 해조류를 잘게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분쇄된 한약재 또는 해조류에 대해, 한약재는 발효주정을 용매로, 해조류는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추출물을 천연세제 베이스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세제에 천연물을 첨가하는 방식이 아닌 천연 식물 오일을 사용하여 만든 천연세제 베이스에 한약재 및 해조류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된 천연세제로써 완제품의 생분해성을 높이고 다양한 기능성 및 관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고기능성의 차별화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기능성 천연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한약재 또는 해조류와 같은 천연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연물은 한약재 또는 해조류 중 한가지 만 선택되어 세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한약재 또는 해조류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천연물이 선택되어 세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약재는 특별히 제한 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강황 또는 상백피일 수 있다.
강황 추출물은 전체 세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로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상백피 추출물은 전체 세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감태 추출물은 전체 세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한약재 또는 해조류를 잘게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분쇄된 한약재 또는 해조류에 대해, 한약재는 발효주정을 용매로, 해조류는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추출물을 천연세제 베이스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에 지나지 않으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천연물 시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사용된 천연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1]에서, 한약재인 강황 및 상백피는 잘게 분쇄하였고, 해조류인 감태는 담수로 깨끗이 씻은 다음 실온에서 완전히 건조하고, 잘게 분쇄한 후 -70℃에서 동결 저장 하여 시료를 제조하였다.
[표 1] 본 실시예에 사용된 천연물
Sicentific name Korean name
Curcuma Longa L. 강황
Morus alba 상백피
Ecklonia cava 감태
실시예 2: 천연물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시료들 중에서, 강황 및 상백피 시료는 10배량의 발효주정 용매를, 감태 시료는 10배량의 물을 각각 가한 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각각 추출물을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추출물을 원심분리기(UNION 32R, Hanil Co., Korea)로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는 과정을 3번 반복한고, 얻어진 상층액을 여과지(Advantec 5A, Toyo, Japan)로 각각 여과한 후, 증류농축장치(RE 200, Yamato Co., Japan)로 감압 농축하여 1/10 농축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1/10 농축물 각각은 4℃에서 보관하였다.
실시예 3: 세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천연세제 베이스의 제조비율 및 반응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본 실시예에 사용된 천연세제 베이스의 제조비율 및 반응조건(각 성분의 단위는 'g' 이다)


제조비율

반응조건

천연세제

P= 코코넛/ 미강유/ 피마자/ KOH/ 정제수
= 140/ 30/ 30/ 53.04/ 53.04

P / 정제수/ 구연산 = 300/557/ 3


반응후 100℃, 72시간 숙성
상기의 제조비율 및 반응조건 하에서 제조된 천연세제 베이스에 상기의 강황, 상백피 또는 감태 추출물을 세제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해 2 중량%를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각각의 천연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한 여러 효능 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예>
시험예 1: 천연물 추출물의 특성
① pH 및 색도
상기 실시예 2의 천연물 추출물인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각각 3mL씩 취하여 pH meter(HM-30V, TOA, Kobe, Japan)를 사용하여 추출물 각각에 대한 pH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의 천연물 추출물인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각각 10mL씩 액체 셀에 취하여 색차계(JC801, Color techno syste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표준백판은 L=93.73, a=-0.12, b=0.11였다.
하기 [표 3]은, 상기 pH 및 색도 측정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3]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천연물 추출물인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의 pH 및 색도


강황

상백피

감태
pH
5.65±0.02 5.34±0.01 5.25±0.01
명도(L)
21.14±0.00
20.40±0.01
23.19±0.06
적색도(a)
-11.64±0.06
-3.44±0.01
-5.69±0.23
황색도(b)
4.25±0.02
3.73±0.04
5.31±0.09
② 항균성
상기 실시예 2의 천연물 추출물 중 강황 및 상백피 추출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항균활성에 사용된 균주는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품부패 및 식중독 관련균주 3종과 피부 관련균주 5종을 선정하여 사용 하였다.
[표 4] 항균성 시험에 사용된 균주
Category Strains Strain number Medium
Bacteria Bacillus subtilis KCTC 35421 NB
Listeria monocytogenes KCTC 3569 BHI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NA
Propionibacterium acnes KCTC 3314 RCM
Staphylococcus epidermidis KCTC 1917 NA
Yeast
Candida albicans KCTC 7270 YPD
Candida tropicalis KCTC 7901 YM
Mold Trichophyton rubrum KCTC 6352 SB
항균성의 시험은 디스크 확산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높 이가 4~5 mm인 MHA(Muller Hinton Agar)배지에 균액의 농도가 약 105~106CFU 가량 되도록 도말하고, 지름이 6 mm인 멸균 disc를 고정시켜서 4 mg/mL로 에탄올에 희석한 추출물을 20 μL 흡수시켰다. 이를 실온에서 약 1시간 가량 확산 시킨 후, 37℃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때 혐기성 균주는 gas pak(BBL) 및 anaerobic indicator와 함께 혐기성 jar에 넣어 배양하였고, 효모는 확산 후 28℃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48시간 배양하였으며 곰팡이는 실온에서 3~5일 배양하였다. 항균력 측정은 형성된 clear zone의 크기로 판단하였다.
하기 [표 5]는 상기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2의 천연물 추출물 중 강황 및 상백피 추출물에 대한 항균성을 나타낸 것이다.
[표 5] 디스크 확산법으로 측정한 천연물 추출물의 항균성
B. subtilis S. aureus L. monocytogenes
강황 + + -
상백피 ++ ++ ++
C. tropicalis C. albicans P. acnes S. epidermidis T. rubrum
강황 + - + + -
상백피 ++ - ++ ++ -
1) 농도: 0.4%
2) 성장저해환의 크기 : -, 저해환이 생성되지 않음; +, 1.5 mm이하 ; ++, 1.5 초과 3 이하
③ 알러지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 2의 추출물 중 감태 추출물의 알러지(allergy)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그래프에 의하면, 감태 추출물을 알레르기를 유발한 마우스에 처리하였을 때, 알레르기 유발과 관련된 IL-4 cytokine과 IgE 분비량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감태 추출물이 알레르기 억제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세제 조성물의 특성(단일 천연물 추출물 첨가)
① pH 및 색차
하기의 [표 6]은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천연 세제 조성물의 pH 및 색차를 측정한 것으로, 여기서, pH의 측정은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을 3mL씩 취하여 pH meter(HM-30V, TOA, Kobe,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색차 측정은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천연 세제 조성물을 각각 10mL씩 액체 셀에 취하여 색차계(JC801, Color techno system C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된 표준백판은 L=93.73, a=-0.12, b=0.11였다.
천연세제 베이스와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들의 pH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그 중 상백피를 첨가한 세제 조성물은 천연세제 베이스에 가까운 색도를 보였다.
[표 6] 천연세제 베이스 및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pH 및 색차
베이스 강황 상백피 감태
pH 9.08±0.01 8.92±0.01 8.93±0.01 9.03±0.00

명도 94.73±0.01 60.76±0.02 91.18±0.02 64.01±0.28
적색도 -0.01±0.01 34.69±0.09 -0.17±0.02 5.72±0.06
황색도 0.21±0.01 34.69±0.09 -0.17±0.02 5.72±0.06
② 탁도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을 각각 cell에 1 mL씩 취하여 700 nm에서 투과율을 측정하였고 다음 식에 따라 탁도를 구하였다.
계산식 : 탁도(%)=100-투과율(%)
상기 탁도 측정방법에 의한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 7] 천연세제 베이스 및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탁도

베이스

강황

상백피

감태

3.19±0.18

24.86±0.08

18.25±0.28

68.07±1.44
③ 항산화 활성
하기의 [표 8]은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것이며, 상기 항산화 활성의 측정 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즉, 1/10로 희석한 천연세제 베이스 또는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 0.5 mL에 0.2 mM DPPH 용액 0.5 mL를 넣고 혼합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UV/visible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는 상기 천연세제 베이스 또는 세제 조성물 대신 용매를 가하여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시료 자체의 색에 의한 흡광도 변화를 보정해주기 위하여 공시험은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넣어 측정하였고 다음의 계산식에 따라 라디칼 소거능을 구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
=
Figure 112009046191701-PAT00001
[표 9]에 의하면, 천연세제 베이스의 항산화 활성은 아주 낮은 값을 보였으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경우, 활성이 높아졌으며, 특히, 강황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표 9] DPPH법으로 측정한 천연세제 베이스 및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항산화 활성
베이스 강황 상백피 감태
8.01±1.86 76.39±0.19 63.65±0.28 19.38±0.32
④ 항균성
천연세제 베이스에 대해, 최소저해농도 측정을 하였다. 최소저해농도 측정은 멸균 후 완전히 굳지 않은 MHA배지에 천연세제 베이스를 농도별로 첨가하였다. 여기에 시험 균주를 약 105~106CFU 되도록 접종하였다. 이를 평판에 분주하여 실온에서 굳히고, 상기에 기술한 각 균주를 배양조건에 맞추어 배양하였다. 배양 후 현미경 상에서 균의 성장이 관찰 되지 않은 평판의 농도를 최소저해농도(MIC)로 하였다.
하기 [표 10]은 식품 부패 및 식중독에 관련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스테필로코쿠스 에우레우스 및 리스테리아 모노싸이토제네스와 피부염관련 균주인 스트렙토코쿠스 에피덜미디스, 프로피오닌박테리아 엑니스, 트리초피톤루브룸, 칸디다 알비칸스 및 칸디다 트오피칼리스에 대해서 천연세제 베이스의 균의 생육에 대한 최소저해농도를 조사한 결과이다. 천연세제 베이스는 0.05% 농도에서 칸디다트로피 칼리스의 생육을 억제하였고 0.1% 농도에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와 프로피오닌박테리움 엑니스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나머지 균주들에 대해서도 0.2~0.3%의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와 유사한 항균력을 나타내며, 따라서 천연 세제로서 이용 효과와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0] 천연세제 베이스에 대한 최소저해농도

B. subtilis

S. aureus
L. monocytogenes
S. epidermidis

P. acnes

T. ruburm

C. albicans

C. tropicalis

0.1

0.2

0.3

0.2

1

-

0.2

0.05
⑤ 세정력
KATRI 세탁 · 세정 기술연구센터에 의뢰하여, 시중제품(제품명: 애경 트리오 곡물 설거지, 애경, 한국) 및 천연세제 베이스의 세정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시중제품 보다 천연세제 베이스의 세정력이 훨씬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1] 천연세제 베이스의 세정력 시험 결과
시험항목 시중제품 베이스
세정력 420 950
⑥ 관능평가
관능평가는 훈련된 패널(panel) 17명을 대상으로 하여 색, 향, 점도, 거품정도, 세제 잔여감, 촉촉함, 피부자극도, 혼탁도. 전체적 호감도에 대하여 7점 점수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때, 점도, 피부자극도 및 혼탁도는 아주 강하다(7) ~ 아주약하다(1) 순으로 평가하였고, 거품정도 및 세제잔여감은 아주 많다(7) ~ 아주 적다(1) 순으로 판단하였으며, 색, 향, 촉촉함 및 전체적 호감도는 아주 좋다(7) ~ 아주 나쁘다(1) 순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실시예 3의 각각의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하기 [표 12]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표 12] 천연세제 베이스 및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관능평 가 결과
베이스 강황 상백피 감태
4.69±0.87 4.07±1.94 4.33±0.98 4.40±0.99
4.19±0.98 3.93±1.58 4.20±1.01 3.93±0.80
점도 2.50±1.15 2.76±0.90 2.59±0.87 2.67±0.72
거품정도 4.13±1.20 4.29±1.05 5.41±1.00 5.07±1.22
세제잔여감 2.69±1.08 2.94±1.39 2.76±1.09 2.82±1.19
촉촉함 4.44±0.89 3.65±1.27 3.60±1.12 3.60±1.24
피부자극도 3.00±1.10 3.06±1.14 3.07±0.80 2.82±0.95
혼탁도 1.88±0.72 3.53±1.46 2.67±1.05 2.73±1.03
전체적 호감도 4.69±0.87 4.00±1.46 4.40±1.24 3.93±1.16
시험예 3: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에 따른 세제 조성물의 특성(천연물 추출물의 혼합 첨가)
①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
하기 [표 13]은 천연세제 베이스에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을 나타낸 것이다.
[표 13] 천연물 추출물의 첨가 비율 (단위: 중량%)

1

2

3

강황

0.1

0.5

1.0

상백피

0.1

0.25

0.5

감태

0.1

0.25

0.5
② pH 및 색도
상기 시험예 1의 ①과 같은 방법으로, 시중제품, 천연세제 베이스 및 상기 [표 13]의 첨가 비율이 상이한 천연물 추출물을 첨가한 세제 조성물의 pH 및 색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측정 값을 하기의 [표 1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 하였다.
[표 14] pH 및 색도의 비교
시중제품 베이스 1 2 3
pH 7.00±0.00 9.08±0.01 9.01±0.01 8.97±0.00 8.91±0.00
명도 54.84±0.04 94.73±0.01 91.99±0.04 78.07±0.01 66.22±0.01
적색도 2.87±0.03 -0.01±0.01 -7.1±0.01 13.1±0.00 25.11±0.03
황색도 -3.02±0.02 3.22±0.00 98.5±0.00 135.22±0.01 135.22±0.01
③ 탁도
하기 [표15]는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상기 [표 1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그 탁도를 일반 시중제품(제품명: 애경 트리오 곡물 설거지, 애경, 한국)과 비교한 것으로 , 탁도 측정 방법은 상기 시험예 2의 ②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혼합 추출물 첨가구의 탁도가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는데, 6-1번 17.76%, 6-2번 25.47%, 6-3번이 38.72%로 추출물의 첨가농도에 의존적으로 탁도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 정도의 혼탁도는 일반 시중제품(99.68%)에 비해서는 2.5 ~ 5배 가량 낮은 값으로 시중제품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의 투명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표 15] 탁도의 비교

시중제품

베이스

1

2

3

99.68±0.01

3.19±0.18

17.76±0.33

25.47±0.53

38.72±0.17
④ 항산화 활성
하기 [표 16]은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상기 [표 1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상기 시험예 2의 ③과 같은 방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 한 것으로, 무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는데, 6-1번 41.31%, 6-2번 69.27%, 6-3번이 79.68%로 추출물의 첨가농도에 의존적으로 항산화활성이 증가하였다.
[표 16] 항산화 활성의 비교(단위: %)
베이스 1 2 3
8.01±1.86 41.31±2.51 69.27±0.20 76.68±0.91
⑤ 항균성
하기 [표 17]은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상기 [표 13]에 나타난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상기 시험예 2의 ④와 같은 방법으로, 식품 부패 및 식중독에 관련하는 균주 3종과 피부염관련 균주 5종에 대하여 항균성을 측정한 것으로,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따라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추출물들을 혼합 첨가한 실험구가 모든 험균주에 대하여 베이스보다 낮은 농도에서 높은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표 17] 항균성의 비교(단위: 중량%)
베이스 1 2 3
B. subtilis 0.1 0.08 0.08 0.08
S. aureus 0.2 0.14 0.14 0.14
L. monocytogenes 0.3 0.2 0.2 0.2
S. epidermidis 0.2 0.14 0.14 0.14
P. acnes 0.1 0.1 0.1 0.05
T. ruburm -1) 3 3 3
C. albicans 0.2 0.16 0.16 0.16
C. tropicalis 0.05 0.04 0.04 0.04
1) 3% 농도에서 활성이 없었음.
⑥ 관능평가
하기 [표 18]은 강황, 상백피 및 감태 추출물을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한 후, 상기 시험예 2의 ⑥과 같은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실시한 것으로, 2번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표 18] 관능평가의 비교
시중제품 베이스 1 2 3
4.44±0.73 4.69±0.87 5.24±0.83 4.76±1.15 3.53±1.25
3.36±1.36 4.19±0.98 3.76±0.75 4.41±1.12 4.13±1.13
점도 6.18±0.60 2.50±1.15 2.65±0.86 3.53±1.07 3.80±1.15
거품정도 4.33±1.12 4.13±1.20 4.12±0.78 4.53±0.80 4.47±0.94
세제잔여감 3.91±1.04 2.69±1.08 3.12±1.05 3.00±0.94 3.18±1.29
촉촉함 4.36±0.50 4.44±0.89 3.88±0.60 4.06±0.83 3.82±0.81
피부자극도 3.36±0.87 3.00±1.10 3.00±0.79 3.24±0.83 3.53±0.94
혼탁도 5.44±0.73 1.88±0.72 2.35±0.86 3.41±1.00 3.87±1.19
전체적 호감도 3.73±1.01 4.69±0.87 4.47±0.80 4.76±0.83 3.53±1.01
⑦ 세정력 및 피부자극도 시험
하기 [표 19]는 효과가 뛰어나면서 관능적인 면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상기 2번 첨가구를 선정하여, 세정력 및 피부자극도를 측정하였다. 세정력은 KATRI 세탁 · 세정 기술연구센터에 의뢰하였으며, 피부자극도 시험방법은 표준면포(KS K 0905-2003)를 시험시료 1.5 g/L에 30분간 침지하여 건조한 후 시험편으로 사용하여 건강한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시험편을 팔의 전박부에 직접 24시간 동안 부착한 후 첩포 제거후 육안 판정을 하고 뚜렷한 변화가 없는 경우에 패치(patch) 부위의 피부 레프리카를 제작한다. 현미경하에서 관찰하여 미세한 자극정도를 판정기준에 따라 음성, 준음성, 준양성, 양성의 4단계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 상기 2번 첨가구의 경우 높은 세정력(3100)을 보였으며, 피부자극도는 음성으로 나타났다.
[표 19] 2번 첨가구의 세정력 및 피부자극도
시험항목 2
세정력 3100
피부자극도 음성
도 1은 감태 추출물의 IL-4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감태 추출물의 IFN-γ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은 감태 추출물의 오브알부민 IgE 분비량 변화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9)

  1. 천연세제 베이스에 한약재 또는 해조류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2. 제 1항에서,
    상기 한약재는 강황 또는 상백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3. 제 1항에서,
    상기 해조류는 감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황 추출물은 그 함량이 0.1 내지 1.5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백피 추출물은 그 함량이 0.1 내지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태 추출물은 그 함량이 0.1 내지 1.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7. 1) 한약재 또는 해조류를 잘게 분쇄하는 단계; 2) 상기 분쇄된 한약재 또는 해조류에 대해, 한약재는 발효주정을 용매로, 해조류는 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3) 상기 추출물을 단독 또는 2 이상 혼합하여 천연세제 베이스에 첨가한 후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재는 강황 또는 상백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감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90068817A 2009-07-28 2009-07-28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9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17A KR101119142B1 (ko) 2009-07-28 2009-07-28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17A KR101119142B1 (ko) 2009-07-28 2009-07-28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57A true KR20110011257A (ko) 2011-02-08
KR101119142B1 KR101119142B1 (ko) 2012-03-19

Family

ID=43771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17A KR101119142B1 (ko) 2009-07-28 2009-07-28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1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6Y1 (ko) * 2012-02-07 2013-06-05 백용승 휴대 단말기 외부 보호용 발광 케이스
CN105296186A (zh) * 2015-10-29 2016-02-03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洁餐具的洗涤剂
KR102295203B1 (ko) *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KR102662838B1 (ko) * 2023-07-04 2024-05-08 정이영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1종 주방세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285B1 (ko) * 1998-04-29 2006-04-17 (유)키토산메디신테크 천연무화과분리성분을함유한약용비누조성물
KR20050039407A (ko) * 2003-10-25 2005-04-29 이덕호 석창포뿌리, 뽕잎, 뽕가지, 오가피잎 그리고 구기자잎을이용한 천연세제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256Y1 (ko) * 2012-02-07 2013-06-05 백용승 휴대 단말기 외부 보호용 발광 케이스
CN105296186A (zh) * 2015-10-29 2016-02-03 成都顺发消洗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清洁餐具的洗涤剂
KR102295203B1 (ko) * 2020-03-10 2021-08-31 주식회사 뷰티몬코리아 가죽용 세정제 조성물
KR102662838B1 (ko) * 2023-07-04 2024-05-08 정이영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1종 주방세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142B1 (ko) 2012-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190B1 (ko) 등차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KR101119142B1 (ko)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66830B1 (ko) 고추냉이 추출물이 봉입된 알긴산염 마이크로캡슐 및 그제조방법
KR101341552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더덕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Adamu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oil from Butyrospermum parkii seed (Shea butter)
KR102227273B1 (ko) 세정 및 코팅기능이 강화된 그래핀이 포함된 자동차 세정용 조성물
CN106318707A (zh) 一种环保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101451730B1 (ko) 항균 계면활성제 조성물
KR101519234B1 (ko) 울금 및 동백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7757A (ko) 발효 오일 및 그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Aladekoyi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oil extracted from three different citrus seeds (Citrus limon, Citrus aurantifolia and Citrus aurantium)
KR102258852B1 (ko) 연류 발효추출물 및 슝기트 성분을 함유하여 제공되는 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9956A (ko) 발효 상황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활성 증강용 손 소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5327A (ko) 천연 세제의 제조방법
KR102117693B1 (ko) 로즈마리, 계피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1399A (ko) 녹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 조성물
KR10187351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7577A (ko) 상백피 추출물, 방울양배추 추출물, 소프넛 추출물 및 신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
JP2004269489A (ja) 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18146B1 (ko) 화이트윌로우바크(White Willow Bark), 북미사시나무껍질(Aspen Bark), 님잎(Azadirachta Indica Leaf), 청호(Atremisia Annua)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천연방부제 조성물
KR101447228B1 (ko) 고사리 폐부산액(열수추출물)을 이용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21326A (ko) 시금치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조성물
KR102449260B1 (ko)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KR102291229B1 (ko) 커피체리 부산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