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113U - 비상구 유도등 - Google Patents
비상구 유도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1113U KR20110011113U KR2020100005427U KR20100005427U KR20110011113U KR 20110011113 U KR20110011113 U KR 20110011113U KR 2020100005427 U KR2020100005427 U KR 2020100005427U KR 20100005427 U KR20100005427 U KR 20100005427U KR 20110011113 U KR20110011113 U KR 2011001111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ont cover
- rear cover
- emergency exit
- cover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에 대응한 후면커버에는 결합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유도등의 설치 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천장이나 벽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도등을 구성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설치토록 한 비상구 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은 화재나 재해 시 비상구의 위치와 피난 방향을 알리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평상시에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점등되고, 정전 시에는 자체에 내장된 비상전원(축전지)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점등되어 비상구까지 이어지는 어두운 통로를 밝힘으로써 대피자가 비상구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도등은 눈에 가장 잘 띄도록 천장이나 벽에 적당한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유도등(1)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이나 벽에 설치되는 후면커버(10)와, 상기 후면커버(10)의 전면에 볼팅(40)되어 결합 고정되는 전면커버(20)와, 상기 전면커버(20)의 전면에 결합되는 표시판(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표시판(30)에는 대피하는 사람들의 유도 및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특정 대피 방향 무늬가 형성된 판으로서, 통상적으로 백색바탕의 초록표시(특정 대피 방향 무늬)는 통로에 설치되는 유도등에 설치되고, 초록바탕의 백색표시(특정 대피 방향 무늬)는 피난유도등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커버(10)는 천장이나 벽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그 내측면에는 각종 부품이 내장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측 상부에는 보스(12)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10)의 내측 하단부에는 하부 걸림공(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커버(10)와 대향되는 전면커버(20)의 내측 상부에는 후면커버(10)의 보스(12)에 대응한 보스(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20)의 내측 하단부에는 후면커버(10)의 하부 걸림공(11)에 결합되는 하부 후크(2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는, 천장이나 벽에 먼저 후면커버(10)를 설치한 후, 이 후면커버(10)에 전면커버(20)를 후조립으로 결합하게 된다.
즉, 전면커버(20)의 하부 후크(21)를 후면커버(10)의 하부 걸림공(11)에 결합한 상태에서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에 밀착시킨 후, 볼트(40)를 전면커버(20)의 외측에서 삽입하여 전,후면커버(10)(20)의 양 보스(12)(22)에 체결함으로써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에 결합 고정하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도 2에서는 유도등의 다른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등(1)을 구성하는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가 후크타입으로만 결합 고정된다.
즉, 상기 후면커버(10)의 내측 상,하단부에는 각각 상,하부 걸림공(11)(13)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되는 전면커버(20)의 내측 상,하단부에는 후면커버(10)의 상,하부 걸림공(11)(13)에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후크(21)(23)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성된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는, 천장이나 벽에 먼저 후면커버(10)를 설치한 후, 후면커버(10)의 하부 걸림공(11)에 전면커버(20)의 하부 후크(21)를 결합한 상태에서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에 밀착시키면, 전면커버(20)의 상부 후크(23)가 후면커버(10)의 상부 걸림공(13)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에 결합 고정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유도등(1)은,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가 분리된 상태에서 후면커버(10)를 먼저 천장이나 벽에 고정한 후, 후면커버(10)의 전면에 전면커버(20)를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후조립하게 되는데, 이때 유도등(1)의 설치에 따른 작업공정이 후면커버(10)의 설치와 전면커버(20)의 후조립으로 이원화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볼트(40)나 전면커버(20)를 분실할 우려가 있으며, 분리되어 있는 전면커버(20)가 작업자의 작업 동선 상에 놓여진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 전면커버(20)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볼트(40)에 의해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가 결합된 경우는, 유도등(1)의 유지보수 시 볼트(40)를 풀어 후면커버(10)로부터 전면커버(20)를 분리하고, 유지보수 후에는 다시 볼트(40)로서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에 재조립해야 하므로, 유도등(1)의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이루어졌고, 간혹 보스(12)(22)의 나사산이 마모되거나 파손된 경우에는 볼트를 결합할 수 없어 전면커버(20) 또는 후면커버(10) 또는 양 커버(10)(20) 모두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도등을 구성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천장이나 벽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유도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경첩과 같은 힌지구조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유도등의 내부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유도등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비상구 유도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은,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에 대응한 후면커버에는 결합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는 결합공으로의 삽입을 용이케 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평탄부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결합돌부의 평탄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또, 상기 결합공에는 전면커버의 회전 시 전면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삽입공이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부와 이격된 전면커버에는 록킹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후크에 대응한 후면커버에는 록킹후크가 걸림되어 결합되는 록킹구멍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비상구 유도등에 따르면, 유도등을 구성하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를 결합한 상태에서 천장이나 벽에 한번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분실 및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는 결합돌부와 결합공에 의해서 후면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유도등의 내부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으므로 유도등의 유지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결합돌부의 만곡부에 의해서 결합공으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결합돌부의 평탄부와 결합공의 걸림턱에 의해서 결합공으로부터 결합돌부의 임의적인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면커버와 후면커버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후크와 록킹구멍에 의해서 전면커버를 후면커버에 닫힌 상태로 견고히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볼팅타입으로 결합되는 비상구 유도등의 분리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후크타입으로 결합되는 비상구 유도등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비상구 유도등을 평면에서 바라본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전면커버가 후면커버로부터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후크타입으로 결합되는 비상구 유도등의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도이다.
도 4는 도 3의 비상구 유도등을 평면에서 바라본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전면커버가 후면커버로부터 회전되어 열린 상태를 평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비상구 유도등의 결합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비상구 유도등(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표시판(30)이 결합된 전면커버(20)와, 상기 전면커버(20)와 결합되는 후면커버(10)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커버(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복수개의 결합돌부(200)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하나의 록킹후크(2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00)는 전면커버(20) 상에 지지돌부(210)를 매개로 돌출 형성되는 바, 상기 전면커버(20)의 내측면에는 수직하게 돌출된 지지돌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부(210)의 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결합돌부(2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결합돌부(200)는 후술될 후면커버(10)의 결합공(100)과 대향되는 그 단부에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만곡부(202)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202)의 후단부에는 만곡부(202)에서 연장된 평탄부(201)가 형성되며, 상기 평탄부(201)는 결합공(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되어 결합돌부(200)의 임의적인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록킹후크(220)는 그 단부의 후크돌기가 전면커버(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후면커버(1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후술될 후면커버(10)의 록킹구멍(120)에 탄성적으로 걸림되어 결합된다.
상기 후면커버(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의 상,하부에는 전면커버(20)의 결합돌부(200)에 대응한 결합공(100)이 형성되고, 반대편에는 록킹후크(220)에 대응한 록킹구멍(12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00)은 결합돌부(200)의 만곡부(202)에 의해서 그 개구단부가 탄성적으로 벌어져 확장되는 한편 상기 결합공(100) 내부로 삽입된 결합돌부(200)는 결합공(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00)의 내측 상단부에는 결합돌부(200)의 평탄부(201)가 걸림되는 걸림턱(101)이 형성되어, 결합돌부(200)의 임의적인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공(100)에는 전면커버(20)의 회전 시 후면커버(10)와 지지돌부(210)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공(110)이 연장 형성되는 바, 상기 삽입공(110)은 후면커버(10)의 외측면에 결합공(10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구멍(120)은 록킹후크(220)에 대응한 장공으로 형성되어, 록킹후크(220)가 견고히 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유도등(1)은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가 결합돌부(200)와 결합공(100)에 의해서 항상 결합된 상태로 구비되고,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천장이나 벽에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비상구 유도등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각기 다른 라인을 통해 생산된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를 결합돌부(200)와 결합공(100)을 통해 결합한다.
즉, 결합돌부(200)를 결합공(10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 측으로 밀어주면, 결합돌부(200)의 만곡부(202)에 의해서 결합공(100)의 개구단부가 양측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져 결합돌부(2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 후에는 결합돌부(200)의 평탄부(201)가 결합공(100)의 걸림턱(101)에 걸림됨으로써 결합공(100)으로부터 결합돌부(200)의 임의적인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므로,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전면커버(20)와 후면커버(10)가 결합된 상태로 유도등(1)을 천장이나 벽에 설치하게 됨으로써 작업공수가 줄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면커버(20)가 후면커버(10)에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작업 공정 중에 발생될 수 있는 전면커버(20)의 파손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유도등(1)을 설치한 후에는 전면커버(20)를 후면커버(10) 측으로 회전시켜 전면커버(20)의 록킹후크(220)를 후면커버(10)의 록킹구멍(120)에 결합하여 록킹한다.
이후, 유도등(1)의 유지보수 시에는 상기와 같이 록킹된 전면커버(20)의 록킹후크(220)를 후면커버(10)의 록킹구멍(120)으로부터 분리시켜 낸 후, 전면커버(20)를 도 5에서와 같이 회전시킨 상태에서 유지보수를 하고, 유지보수 후에는 전면커버(20)를 전술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에 다시 록킹시킴으로써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1 : 유도등 10 : 후면커버
11 : 하부 걸림공 12 : 보스
13 : 상부 걸림공 20 : 전면커버
21 : 하부 후크 22 : 보스
23 : 상부 후크 30 : 표시판
40 : 볼트 100 : 결합공
101 : 걸림턱 110 : 삽입공
120 : 록킹구멍 200 : 결합돌부
201 : 평탄부 202 : 만곡부
210 : 지지돌부 220 : 록킹후크
11 : 하부 걸림공 12 : 보스
13 : 상부 걸림공 20 : 전면커버
21 : 하부 후크 22 : 보스
23 : 상부 후크 30 : 표시판
40 : 볼트 100 : 결합공
101 : 걸림턱 110 : 삽입공
120 : 록킹구멍 200 : 결합돌부
201 : 평탄부 202 : 만곡부
210 : 지지돌부 220 : 록킹후크
Claims (5)
- 전면커버와 후면커버로 이루어진 비상구 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 결합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부에 대응한 후면커버에는 결합돌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와 후면커버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는 결합공으로의 삽입을 용이케 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의 일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평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결합돌부의 평탄부가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에는 전면커버의 회전 시 전면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삽입공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와 이격된 전면커버에는 록킹후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록킹후크에 대응한 후면커버에는 록킹후크가 걸림되어 결합되는 록킹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구 유도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427U KR200462064Y1 (ko) | 2010-05-25 | 2010-05-25 | 비상구 유도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5427U KR200462064Y1 (ko) | 2010-05-25 | 2010-05-25 | 비상구 유도등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113U true KR20110011113U (ko) | 2011-12-01 |
KR200462064Y1 KR200462064Y1 (ko) | 2012-08-22 |
Family
ID=72887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5427U KR200462064Y1 (ko) | 2010-05-25 | 2010-05-25 | 비상구 유도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064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4205B1 (ko) | 2018-06-28 | 2020-03-30 | 양성환 |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등 및 건물에 설치되는 비상등의 점등확인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6866Y1 (ko) | 2001-04-09 | 2001-10-11 | 주식회사 다솜라인 | 비상등 겸용 출력장치 |
-
2010
- 2010-05-25 KR KR2020100005427U patent/KR200462064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2064Y1 (ko) | 2012-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62869B2 (en) | Lighting apparatus with mounting bracket, and method | |
KR20170067270A (ko) | 조명기구용 고정장치 | |
KR101426506B1 (ko) | 벽체형 전기 통신 케이블 덕트 | |
KR100718509B1 (ko) |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전등커버 고정구 | |
KR200462064Y1 (ko) | 비상구 유도등 | |
US7063445B2 (en) | Luminaire housing with retrofit panel | |
KR200476823Y1 (ko) | 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조명등 | |
KR200466702Y1 (ko) | 천장 매입형 등기구 | |
WO2020087776A1 (zh) | 安装壳体及led路灯 | |
KR101487985B1 (ko) | 메인 트랜스 컨버터 교체가 용이한 면 광원등기구 | |
KR102344343B1 (ko) | 평판조명기구용 천장브라켓 어셈블리 설치구조 | |
KR200448863Y1 (ko) | 조명등용 커버 체결구 | |
KR200406400Y1 (ko) | 비상구 위치 표시등 | |
KR101691047B1 (ko) | 천정 매립형 조명등 케이스 | |
KR102181214B1 (ko) | 천장 점검구 | |
KR101011995B1 (ko) | 커버틀체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천장 매립등 | |
KR101039804B1 (ko) | 보더 라이터 | |
KR101149039B1 (ko) |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 |
KR200457988Y1 (ko) | 투광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개폐구조를 갖는 형광등 케이스 | |
KR101265223B1 (ko) | 연등 고리 | |
JP5271973B2 (ja) | 筐体用蓋止め具及びこれを用いた発光装置 | |
KR200417464Y1 (ko) | 조명기기의 결합구조 | |
JP2007329144A (ja) |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 |
KR200471931Y1 (ko) | 매입등의 커버고정구조 | |
KR20100109818A (ko) | 천정 매입등의 고정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