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039B1 -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 Google Patents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039B1
KR101149039B1 KR1020110100325A KR20110100325A KR101149039B1 KR 101149039 B1 KR101149039 B1 KR 101149039B1 KR 1020110100325 A KR1020110100325 A KR 1020110100325A KR 20110100325 A KR20110100325 A KR 20110100325A KR 101149039 B1 KR101149039 B1 KR 101149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over
separation prevention
main body
fix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0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민
Original Assignee
장용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민 filed Critical 장용민
Priority to KR1020110100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2Wall, ceiling, or floor bases; Fixing pendants or arms to the bases
    • F21V21/03Ceiling bases, e.g. ceiling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천장에 장착하여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천장직착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본체의 양측 플랜지부 상에 회전 가능한 결합구조의 이탈방지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본체에 조명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탈방지구를 조명커버 측으로 회전시켜 조명커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고, 조명커버를 인위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구를 플랜지부 상측으로 역회전시켜 조명커버가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고정본체에 대한 조명커버의 결합 및 장착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정본체에 조명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명커버에 대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조명커버는 유동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고정본체로부터 임의 분리 및 이탈되지 못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조명커버를 분리 및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구의 회전을 통해 조명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함에 따라 간편하게 조명커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조명커버의 추락에 의한 위험성을 배제시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Ceiling light haivng preventive structure for preventing displacement of cover}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가정 등의 천장에 장착하여 실내를 조명할 수 있도록 한 천장직착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직착등의 하부 조명커버가 상부 고정본체로부터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도록 함에 따라 상기 조명커버에 대한 안전한 장착 및 결합을 통해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나 공동주택 등의 가정 내에서는 실내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설치되는 것이고, 사무실이나 오피스텔 또는 학교나 관공서 등의 건물 내에도 실내의 우수한 조도를 확보하기 위한 조명등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조명등은 대부분 실내의 천장 하부에 고정 설치되거나 매입 설치되는 것으로, 설치 방법에 따라 천장 직착등과 천장 매다는 등으로 구분될 것이고, 설치 형태에 따라 천장등 또는 천장매입등으로 구분될 것이며, 이들 조명등에 내장되는 광원의 종류에 따라 형광등과 백열등 및 엘이디등으로 구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천장용 조명등은 가장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고정본체의 내측에 램프와 소켓 및 안정기 등을 내장하여 설치하고, 상기 고정본체의 저면에는 유백색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조명커버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고정본체 내부에 결합된 램프에 전원이 인가되어 점등되면 상기 램프의 점등 빛은 하측의 조명커버를 통해 투과 및 확산되면서 실내 전체를 고르게 조명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천장용 조명등은 가장 기본적인 구조인 고정본체와 조명커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기본 구조는 가장 효율적인 제작성과 생산성을 제공하면서도, 대량 생산을 통한 경제적인 효과를 창출하므로 대부분의 천장용 조명등은 상기와 같은 구조와 형태 및 작용을 갖고 있게 된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조명커버와 고정본체의 간편한 결합과 분리를 위해 고정본체의 양측부에는 플랜지부 형태의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명커버의 상부에는 고정본체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개구부를 형성함에 따라 고정본체의 하부가 조명커버의 상부로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본체의 양측 플랜지부가 조명커버의 상부 내측 하부에 계지되도록 함에 따라 조명커버와 고정본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 왔다.
이와 같이 고정본체의 플랜지부 상에 얹혀지는 형태의 조명커버를 갖는 천장직착등은 조명커버의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면서도 내장된 광원을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명커버를 분리 제거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랜지부 계지 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은 조명커버에 외력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조명커버가 고정본체로부터 분리 및 이탈하여 실내로 추락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조명커버는 고정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얹혀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실내에서 공놀이를 하는 등 실내로부터 상기 조명커버를 향하여 상향의 강력한 충격이나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조명커버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한쪽의 플랜지부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것이고, 일측이 플랜지부로부터 이탈되면 조명커버의 한쪽 부분이 실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나머지의 다른 쪽도 고정본체로부터 이탈되며 결국 조명커버 전체가 실내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의 조명커버가 실내로 낙하되면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음은 물론 조명커버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고정본체의 양측 플랜지부 상에 회전 가능한 결합구조의 이탈방지구를 결합 형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본체에 조명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이탈방지구를 조명커버 측으로 회전시켜 조명커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고, 조명커버를 인위적으로 분리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구를 플랜지부 상측으로 역회전시켜 조명커버가 용이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의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명커버에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조명커버가 고정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것이고, 필요에 의해서는 조명커버를 고정본체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고정본체와, 상기 고정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는 조명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본체의 양측 하부에는 플랜지부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부가 개구된 조명커버의 선단에 삽입되어 플랜지부 상에 조명커버가 얹혀지도록 구성하여 된 천장직착등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된 방향의 고정본체 양측 상부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에는 별도의 이탈방지구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기 이탈방지구는 저면에 상기 체결공으로 삽입 고정되게 하는 탄력걸림구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구의 일측으로는 경사상 간섭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탄력걸림구를 축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이탈방지구는 간섭부가 플랜지부의 상측으로부터 출몰되게 하며,
상기 이탈방지구의 간섭부 끝단 상부에는 경사상 돌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정본체에 대한 조명커버의 결합 및 장착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고정본체에 조명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조명커버에 대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조명커버는 유동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고정본체로부터 임의 분리 및 이탈되지 못하는 것이며, 필요에 의해 조명커버를 분리 및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탈방지구의 회전을 통해 조명커버와의 간섭을 방지함에 따라 간편하게 조명커버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은 사용상의 편리함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조명커버의 추락에 의한 위험성을 배제시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이탈방지구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결합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조명커버 분리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으로부터 조명커버의 일측을 들어올린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으로부터 조명커버를 일측으로 밀어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으로부터 조명커버가 분리되는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이탈방지구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이탈방지구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의 결합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직착등은, 천장 하부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고정본체(10)와, 상기 고정본체(10)의 하부로부터 장착 또는 분리되는 조명커버(20)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본체(10)는 하부 저면에 소켓이나 각종 광원이 결합되어서 상기의 광원에 전원이 인가되면 광원의 점등 빛이 하부의 조명커버(20)를 통해 실내 전체로 고르게 확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고정본체(10)는 금속 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것으로 하부 양측으로는 플랜지부(1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고정본체(10)의 상부면에는 고정본체(10)를 천장 하부에 직접 고정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하는 절곡부(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조명커버(20)는 하부가 막히고 상부는 개방된 형태의 것으로 개구된 상부를 통해 고정본체(10)의 하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이고, 조명커버(20)의 내측으로 삽입된 고정본체(10)는 양측의 플랜지부(11)(11')가 조명커버(20)의 상부 내측에 맞닿으면서 결국 상기 조명커버(20)의 양측 상부가 고정본체(10)의 플랜지부(11)(11') 상에 얹혀지므로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천장직착등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고정본체(10)의 상부 양측에 별도의 이탈방지구(30)(30')를 결합 형성하여 된 것으로, 상기 이탈방지구(30)(30')는 저면에 절개 형성된 탄력걸림구(31)가 형성되어 있어 고정본체(10)에 형성된 체결공(12)으로 상기 탄력걸림구(31)을 강제로 삽입함에 따라 고정본체(10)에 대한 이탈방지구(30)(3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구(30)(30')는 고정본체(10)의 양측에 형성된 플랜지부(11)(11')가 위치한 방향으로 각기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에 따라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 간섭부(32)가 플랜지부(11)(11')의 상부로부터 출몰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상기의 이탈방지구(30)(30')는 평면상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은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으로는 쐐기 형태로 된 간섭부(32)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탈방지구(30)(30')가 회전을 하면 상기의 간섭부(32)는 회전각에 따라 플랜지부(11)(11')의 상측으로 돌출되거나 고정본체(10)의 상부면에 완전히 수용 위치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이탈방지구(30)(30')는 상기 간섭부(32)의 상부 끝단에 대하여 경사상의 돌출구(33)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돌출구(33)를 이용하여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간섭부(32)의 측면에는 반복하여 돌출된 계지돌기(34)(34')를 형성함에 따라 역시 계지돌기(34)(34')에 의한 간섭력 증대 효과를 통해 이탈방지구(30)(30')를 더욱 수월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으로 횡방향으로 돌출되는 스토퍼(35)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스토퍼(35)는 이탈방지구(30)(30')가 회전을 하여 그 간섭부(32)가 플랜지부(11)(11')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35)의 끝단이 고정본체(10)의 절곡부(13) 외면에 맞닿는 상태가 되는 위치에 형성한 것이다. 이는 상기의 이탈방지구(30)(30')를 회전시켜 플랜지부(11)(11') 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이탈방지구(30)(30')가 항상 일정한 각도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의 스토퍼(35)를 통해 이탈방지구(30)(30')의 지나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내장된 광원을 교체하고자 고정본체(10)에 결합된 조명커버(2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천장 하부면과 플랜지부(11)(11')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 사이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외향 전개 회전 상태인 이탈방지구(30)(30')를 회전시켜 고정본체(10) 상에 간섭부(32)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어, 양측의 이탈방지구(30)(30')에 대한 회전이 모두 이루어진 상태에서, 도 6의 도시와 같이 조명커버(20)의 일측을 상부로 밀어 올리고, 밀어올린 측으로부터 타측으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조명커버(20)를 밀어내면, 조명커버(20)의 상측 개구부는 고정본체(10)의 플랜지부(11)(11')로부터 이탈될 것이므로 도 8의 도시와 같이 이탈된 측의 조명커버(20)를 하측으로 끌어내린 상태에서 반대편으로 조명커버(20)를 밀어내면 상기 고정본체(10)로부터 조명커버(20)의 타측 역시 플랜지부(11)(11')로부터 이탈될 수 있어 조명커버(20)에 대한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와 같이 고정본체(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인 조명커버(20)를 재장착하고 하는 경우에는 조명커버(20)의 일측을 상부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들어올린 부분을 고정본체(10)의 플랜지부(11)(11')를 향하여 밀어내어 조명커버(20)의 일측이 플랜지부(11)(11') 상에 위치되게 하고, 조명커버(20)의 타측 역시 상측으로 들어올린 후 반대방향으로 조명커버(20)를 밀어내면 상기의 조명커버(20)는 양측이 플랜지부(11)(11') 상에 얹혀지면서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상기 고정본체(10)의 상부면과 천장 하부면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조명커버(20)가 상기 간격의 틈새 사이를 통해 플랜지부(11)(11')와 관계없이 충분한 폭으로 유동할 수 있는 구조를 이용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조명커버(20)의 내측으로 양측의 플랜지부(11)(11')가 모두 삽입되면 조명커버(20)를 하측으로 내려 개구된 조명커버(20)의 상측으로 고정본체(10)가 돌출되는 동시에 고정본체(10)의 양측 플랜지부(11)(11') 상에는 조명커버(20)의 상부가 각기 얹혀지며 장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천장 하부와 조명커버(20) 상부면 사이의 틈새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집어넣어 고정본체(10)의 상부면으로 회전된 상태인 이탈방지구(30)(30')를 회전시켜 이탈방지구(30)(30')의 간섭부(32)가 플랜지부(11)(11')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면 상기의 조명커버(20)는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간섭부(32)로 인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질 수 없을 것이므로 결국 조명커버(20)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이 작용하더라도 고정본체(10)로부터 안정적인 장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일측으로 들어올려 타측으로 밀어낸 후 분리시키거나 장착하여야 하는 고정본체(10)와 조명커버(20)의 구조를 잘 이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천장직착등은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분리되는 조명커버(20)는 본래의 구조로 인해 용이한 분리와 장착이 가능한 것이고, 사용자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외부로부터 작용하는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는 고정본체(10)로부터 절대 분리되지 아니하므로 사용 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천장직착등에 사용되는 이탈방지구(30)(30')는 도 9의 도시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적용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으로는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형태의 간섭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간섭부(32)를 포함한 이탈방지구(30)(3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상 삼각형상으로 된 간섭돌부(36)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간섭돌부(36)는 전기한 돌출구(33)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의 간섭돌부(36)를 직접 밀어 상기의 이탈방지구(30)(3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부에는 직각의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전기한 스토퍼(35)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서, 전기한 실시예와 같이 상기의 스토퍼(35)를 돌출 형성한 것이 아니라 이탈방지구(30)(30')의 원형으로부터 일측만 직각으로 돌출되도록 스토퍼(35)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구(30)(30')는 회전작용으로부터 상기의 스토퍼(35)가 고정본체(10)의 절곡부(13)에 간섭되면 더 이상 불필요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간섭부(32)는 점차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태를 갖고 있어 회전에 의해 간섭부(32)의 끝단이 고정본체(10)의 절곡부(13) 측면에 맞닿게 되면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이 손쉽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점을 고려하여 상기 간섭부(32)는 도시와 같이 둥근 형태의 끝단을 형성하도록 함에 따라 둥근 형태의 끝단을 이용하여 고정본체(10)의 절곡부(13) 사이로 손가락을 집어넣을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이탈방지구(30)(30')에 대한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고정본체 11,11' : 플랜지부
12 : 체결공 13 : 절곡부
20 : 조명커버
30,30' : 이탈방지구 31 : 탄력걸림구
32 : 간섭부 33 : 돌출구
34,34' : 계지돌기 35 : 스토퍼
36 : 간섭돌부

Claims (5)

  1. 천장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고정본체(10)와, 상기 고정본체(10)의 하측에 결합되는 조명커버(2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본체(10)의 양측 하부에는 플랜지부(11)(1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플랜지부(11)(11')가 개구된 조명커버(20)의 선단에 삽입되어 플랜지부(11)(11') 상에 조명커버(20)가 얹혀지도록 구성하여 된 천장직착등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1)(11')가 형성된 방향의 고정본체(10) 양측 상부에는 수직 관통의 체결공(12)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공(12)에는 별도의 이탈방지구(30)(30')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하되, 상기 이탈방지구(30)(30')는 저면에 상기 체결공(12)으로 삽입 고정되게 하는 탄력걸림구(31)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으로는 경사상 간섭부(3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탄력걸림구(31)를 축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이탈방지구(30)(30')의 간섭부(32)가 플랜지부(11)(11')의 상측 끝단으로부터 출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2.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30)(30')의 간섭부(32) 끝단 상부에는 경사상 돌출구(33)를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3.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30)(30')의 상면에는 단면상 삼각형상으로 된 간섭돌부(36)를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4. 제 1항에 있어서,
    간섭부(32)의 양측에는, 계지돌기(34)(34')를 반복하여 돌출 형성함에 따라 계지돌기(34)(34')에 의해 간섭부(32)를 포함한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5. 제 1항에 있어서,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에 의해 간섭부(32)가 플랜지부(11)(11')의 상부로 노출되면 고정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절곡부(13)의 외면에 맞닿게 한 스토퍼(35)를 이탈방지구(30)(30')의 일측에 돌출 형성하여, 상기 이탈방지구(30)(30')의 회전 전개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KR1020110100325A 2011-09-30 2011-09-30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KR101149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325A KR101149039B1 (ko) 2011-09-30 2011-09-30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0325A KR101149039B1 (ko) 2011-09-30 2011-09-30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9039B1 true KR101149039B1 (ko) 2012-05-24

Family

ID=46272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0325A KR101149039B1 (ko) 2011-09-30 2011-09-30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0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03Y1 (ko) 2012-03-13 2014-01-22 정상원 천정 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20210001165U (ko) 2019-11-20 2021-05-28 신성진 천장 직착등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024Y1 (ko) 2004-09-21 2004-12-10 장재원 조명기구
KR200378270Y1 (ko) 2004-12-15 2005-03-14 태주공업 주식회사 천정등
KR20080006294U (ko) * 2007-06-13 2008-12-17 주식회사 알토 천정매입등
KR20090010029U (ko) * 2008-03-31 2009-10-06 강덕형 조명등용 커버 체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024Y1 (ko) 2004-09-21 2004-12-10 장재원 조명기구
KR200378270Y1 (ko) 2004-12-15 2005-03-14 태주공업 주식회사 천정등
KR20080006294U (ko) * 2007-06-13 2008-12-17 주식회사 알토 천정매입등
KR20090010029U (ko) * 2008-03-31 2009-10-06 강덕형 조명등용 커버 체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903Y1 (ko) 2012-03-13 2014-01-22 정상원 천정 매다는 등의 전등갓 고정장치
KR20210001165U (ko) 2019-11-20 2021-05-28 신성진 천장 직착등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7702U (ja) 脱落防止固定フレー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吊り下げ式led灯具
KR101230594B1 (ko) 투광확산판 고정구가 구비된 조명등
KR101425014B1 (ko) 설치 각도의 가변이 가능한 엘이디 직착등
KR101090931B1 (ko) 원터치 클립형 루버 결합구조가 구비된 조명등기구
KR101149039B1 (ko) 커버체에 대한 이탈방지구조를 갖는 천장직착등
KR101262757B1 (ko) 조명등용 하우징
KR101804104B1 (ko) 이동식 걸쇠가 구비된 매립등
KR200420588Y1 (ko) 매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101042598B1 (ko) 조명등기구
KR102004338B1 (ko) 커버체의 간편 탈부착 구조를 갖는 플랫 직착등
KR101212410B1 (ko) 등기구 고정장치
KR20110123642A (ko) 천장용 조명장치 및 이를 시공하는 시공방법
KR101163923B1 (ko) 천장 매입등
KR200484106Y1 (ko) 조명등기구 고정장치
KR101755419B1 (ko) 조명등몸체 체결장치
KR20120002883U (ko) 조명 기구
KR101320899B1 (ko) 설치가 용이한 매입형 조명등
KR101011995B1 (ko) 커버틀체의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천장 매립등
KR20170074515A (ko) 반사갓 교체가 용이한 엘이디 투광등
KR101076983B1 (ko) 조명 고정 장치
KR200361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결합구조
KR20150003953U (ko) 천장직착등 투광커버 형성구조
CN215112311U (zh) 一种灯具
KR102245361B1 (ko) 조명등 커버 고정장치
KR200382412Y1 (ko) 조명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