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94U - 원형 케이크 상자 - Google Patents

원형 케이크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94U
KR20110010994U KR2020100005279U KR20100005279U KR20110010994U KR 20110010994 U KR20110010994 U KR 20110010994U KR 2020100005279 U KR2020100005279 U KR 2020100005279U KR 20100005279 U KR20100005279 U KR 20100005279U KR 20110010994 U KR20110010994 U KR 201100109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box
plate
cylindrical body
cak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2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6436Y1 (ko
Inventor
서정미
Original Assignee
서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미 filed Critical 서정미
Priority to KR20201000052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436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43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6Opening arrangements or device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크 포장용도로 사용되는 케이크 상자를 원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크 포장 공간을 줄이고 재료비 절감 그리고 물류 운반과 전시 및 사용 등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게 한 원형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케이크의 원형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크를 포장하는 케이크 상자에 있어서, 케이크(40)를 받쳐주고 케이크 상자의 하부를 구성하는 트레이(51); 상기 트레이(51)를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휘거나 구부려 원통체(52)로 형성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판체(53); 상기 판체(53)를 구부려서 케이크(40)를 포장할 수 있도록 원통체(52)를 형성하고 그 원통체(52)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판체(53)의 양단 대응 위치에 형성한 결합부(54); 상기 케이크 상자(50)의 상부를 구성하고 판체(53)가 원통체(52)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형 케이크 상자{CIRCULAR CAKE BOX}
본 고안은 원형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케이크 포장용도로 사용되는 케이크 상자를 원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크 포장 공간을 줄이고 재료비 절감 그리고 물류 운반과 전시 및 사용 등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게 한 원형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이다.
케이크 제조회사, 케이크 판매 유통 전문점을 포함하여 케이크 제조 및 판매 관련 케이크 유통을 위해 케이크 원형 보존과 위생 처리를 목적으로 케이크 포장 상자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케이크 포장 상자는 접고 펼칠 수 있게 된 것이 있고 육면체 모양으로 만들어진 것도 있다. 접고 펼칠 수 있게 만들어진 케이크 상자는 사각형 모양의 상자로 만들어서 사용한다.
도 1은 육면체로 만들어진 케이크 상자(10)와 여기에 넣어지는 케이크 트레이(11)의 예로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12)와 트레이(11)를 넣고 뺄 수 있는 입출입구(13)가 있다. 이와 같은 케이크 상자는 펼치지 않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케이크 포장시 육면체 상자를 그대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즉 육면체로 만들어진 사각 케이크 상자(10)는 부피가 커서 운반이나 취급이 어려워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도 2는 접고 펼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케이크 상자(20)와 그리고 케이크(21)를 올려놓고 받쳐주기 위해 함께 사용하는 케이크 트레이(22)를 나타낸 예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케이크 상자(20)는 흔히 볼 수 있는 상자이다. 다른 케이크 상자들과 비교하면 모양이나 외관 차이가 일부 있더라도 접혀진 상자를 펼쳐서 상자 모양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점에서 형식과 구조가 거의 유사하다.
도 2와 같은 접을 수 있는 케이크 상자(20)는 케이크(21)를 포장할 수 있는 상자 모양으로 만들기 전까지는 펼쳐진 상태이므로 여러 장을 높이 방향으로 쌓아올리면서 보관이 가능해 운반과 보관 등에서 불편이 없다. 사용할 때는 접는선(23)을 따라 상자 모양으로 만들고 여기에 케이크(21)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22)를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
그러나 종래의 케이크 상자는 케이크(21) 형상에 관계없이 육면체 사각 공간(24) 내부에 트레이(22)를 넣고 케이크(21)를 포장 보관하도록 되어 있어 실제 케이크(21) 크기에 비해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포장 부피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게 된다.
도 3은 이에 관한 설명도 이다. 도 3을 보면, 케이크(21)는 원형 형상이지만 케이크 상자(10)(20)는 사각형으로서 원형 케이크(21)를 케이크 상자(10)(20) 안에 넣으면 형상 차이에 의해 빈공간(S1~S4))이 나타난다. 이 빈공간(S1~S4)은 원형 케이크(21)의 형상 보존이나 위생 처리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다.
빈공간(S1~S4)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공간이 아니고 이것은 사각 박스 모양의 케이크 상자(10)(20)에 원형 모양의 케이크(21)를 넣을 때 형상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공간으로서 원형 케이크 포장시 없어도 되는 불필요한 공간이다.
따라서 원형 케이크(21) 포장에서 사각 케이크 상자(10)(20)는 빈공간(S1~S4)을 형성하게 되고 그만큼 케이크 상자(10)(20)의 면적과 부피를 불가피하게 증가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원형 모양의 케이크를 보관할 때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게 하는 것은 원형 모양에 대응되는 원형 케이크 상자를 사용하면 되지만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자를 펼친 상태로 쌓아서 보관하다가 필요할 때 접어서 사용할 수 있는 케이크 상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또한 사각 케이크 상자는 케이크를 꺼낼 때 먼저 덮개를 연 뒤 트레이를 앞으로 잡아당겨 꺼내도록 되어 있어 케이크를 좁은 공간에서 곧바로 꺼낼 수 없어 사용상 불편이 있고 케이크 모양에 상관없이 불필요한 공간을 형성하는데 따른 상자의 재료 사용량이 불필요하게 증가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케이크 포장용도로 사용되는 케이크 상자를 원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크 포장 공간을 줄이고 재료비 절감 그리고 물류 운반과 전시 및 사용 등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게 한 원형 케이크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케이크 포장이 필요할 때 케이크 상자를 간단히 만들어 사용할 수 있고 상자에서 케이크를 꺼낼 때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원형 케이크 상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케이크 상자는,
케이크를 받쳐주고 케이크 상자의 하부를 구성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휘거나 구부려 원통체를 형성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판체;
상기 판체를 구부려서 케이크의 외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원통체를 형성하고 그 원통체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판체의 양단 대응 위치에 형성한 결합부;
케이크 상자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판체가 원통체로 형성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케이크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을 갖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접촉되는 베이스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판과 베이스판은, 지지판의 둘레가 베이스판 둘레에 비해 작도록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판의 외주면 둘레에는 끈을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이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체는, 손으로 구부리고 휠 수 있는 종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판체의 일단에 끼움편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끼움홈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으로, 판체를 원통 모양으로 구부려 끼움편이 끼움홈에 끼워져 원통체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케이크 상자를 원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케이크 포장 공간을 줄여 상자 재료비 절감을 통해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고, 운반과 전시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케이크 포장이 필요할 때 케이크 상자를 간단히 만들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자에서 케이크를 꺼낼 때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꺼낼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크 상자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케이크 상자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케이크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트레이, (b)는 판체, (c)는 덮개를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트레이, (b)는 판체, (c)는 덮개를 나타낸 사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케이크 상자(50)는, 도 4 내지 도 7과 같이, 케이크(40)를 받쳐주고 케이크 상자의 하부를 구성하는 트레이(51), 트레이(51)를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휘거나 구부려 원통체(52)로 형성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판체(53), 판체(53)를 구부려서 케이크(40)를 포장할 수 있도록 원통체(52)를 형성하고 그 원통체(52)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판체(53)의 양단 대응 위치에 형성한 결합부(54), 케이크 상자(50)의 상부를 구성하고 판체(53)가 원통체(52)로 형성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55)로 구성된다.
트레이(51)는, 도 4의 (a)와 같이, 케이크(40)를 올려놓고 원통체(5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케이크(4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을 갖는 지지판(56)과, 지지판(56)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접촉되는 베이스판(57)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트레이(51)의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은, 지지판(56)의 둘레면 크기가 베이스판(57) 둘레면 크기에 비해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턱(58)을 갖는다.
이 단턱(58)은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의 지름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단턱(58)을 두는 경우 지지판(56)은 원통체(52)의 하부면 내경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고 원통체(52)의 하부면은 베이스판(57)의 표면과 밀착되어 안정된 결합 상태를 갖게 된다.
그리고 베이스판(57)의 외주면 둘레에는 끈(59)을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이홈(60)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형성되는 걸이홈(60)은 걸이끈(59)을 감아서 포장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걸이끈(59)이 풀어지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시킨다.
판체(53)는, 도 4의 (b)와 같이, 손으로 구부리고 휠 수 있으면서도 형상 복원 탄력과 내수성을 갖도록 표면이 필름으로 코팅된 종이판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결합부(54)는, 판체(53)를 둥글게 원통체(52) 형상으로 구부려 그 양단을 서로 결속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판체(53)의 일단에 끼움편(6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끼움홈(62)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판체(53)를 원통 모양으로 구부려 끼움편(61)이 상대측 끼움홈(62)에 끼워져 원통체(52)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판체(53)는 한 장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여 케이크(40)를 넣을 수 있는 원형 공간인 원통체(5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형 케이크 상자(50)의 사용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를 도 4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크 상자(50)는, 케이크 상자의 하부를 구성하는 트레이(51), 트레이(51)를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휘거나 구부려 원통체(52)로 형성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판체(53), 판체(53)를 구부려서 케이크(40)를 포장할 수 있도록 원통체(52)를 형성하고 그 원통체(52)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판체(53)의 양단 대응 위치에 형성한 결합부(54), 케이크 상자(50)의 상부를 구성하고 판체(53)가 원통체(52)로 형성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55)로 되어 있다.
케이크 상자를 만드는 순서는 먼저, 판체(53)를 둥글게 말아 양단의 결합부(54)를 통해 결속한다. 판체(53)의 일단에는 끼움편(6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끼움홈(62)이 형성되어 있어 판체(53)를 원통 모양으로 구부려 끼움편(61)이 상대측 끼움홈(62)에 끼워져 원통체(52)를 만든다.
이렇게 만들어진 원통체(52)는 도 5와 같이, 케이크(40)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51) 상부에 결합 된다,
트레이(51)는 케이크(40)를 올려놓고 원통체(5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케이크(4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을 갖는 지지판(56)과, 지지판(56)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접촉되는 베이스판(57)으로 되어 있다.
트레이(51)의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은, 지지판(56)의 둘레면 크기가 베이스판(57) 둘레면 크기에 비해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턱(58)을 갖는데, 이 단턱(58)은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의 지름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단턱(58)을 통해 지지판(56)은 원통체(52)의 하부면 내경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고 원통체(52)의 하부면은 베이스판(57)의 표면과 밀착되어 안정된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원통체(52)의 상부에는 덮개(55)가 씌워진다.
도 6은 트레이(51), 원통체(52), 덮개(55)가 차례로 결합된 케이크 상자(50)의 사진이다.
그리고 도 6과 같이, 베이스판(57)의 외주면 둘레에는 끈(59)을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이홈(60)이 형성되어 걸이끈(59)을 감아서 포장할 때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속 상태를 유지시킨다.
판체(53)는 한 장 또는 그 이상을 결합하여 원통체(52)로 만들어서 사용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크 상자는 원형 모양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어 케이크 포장 공간을 줄여 상자 제작에 따른 재료비가 적게 든다.
운반과 전시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케이크 포장이 필요할 때 케이크 상자를 간단히 만들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상자에서 케이크를 꺼낼 때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꺼낼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본 고안은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고,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에 속한다.
40:케이크
50:케이크상자
51:트레이
52:원통체
53:판체
54:결합부
55:덮개
56:지지판
57:베이스판
58:단턱
59:끈
60:걸이홈
61:끼움편
62:끼움홈

Claims (5)

  1. 케이크의 원형을 유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크를 포장하는 케이크 상자에 있어서,
    케이크(40)를 받쳐주고 케이크 상자의 하부를 구성하는 트레이(51);
    상기 트레이(51)를 따라 안착될 수 있도록 휘거나 구부려 원통체(52)로 형성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판체(53);
    상기 판체(53)를 구부려서 케이크(40)를 포장할 수 있도록 원통체(52)를 형성하고 그 원통체(52)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판체(53)의 양단 대응 위치에 형성한 결합부(54);
    상기 케이크 상자(50)의 상부를 구성하고 판체(53)가 원통체(52)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에 씌워지는 덮개(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케이크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51)는,
    케이크(40)를 올려놓고 원통체(52)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케이크(40)를 올려놓을 수 있는 면을 갖는 지지판(56)과,
    상기 지지판(56)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에 접촉되는 베이스판(5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케이크 상자.
  3.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51)의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은, 상기 지지판(56)의 둘레면 크기가 베이스판(57) 둘레면 크기에 비해 작은 원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단턱(58)을 갖으며,
    상기 단턱(58)은 지지판(56)과 베이스판(57)의 지름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56)은 원통체(52)의 하부면 내경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고 원통체(52)의 하부면은 베이스판(57)의 표면에 밀착되어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케이크 상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57)의 외주면 둘레에는 끈(59)을 걸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걸이홈(6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케이크 상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54)는, 상기 판체(53)의 일단에 끼움편(61)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타단에는 끼움홈(62)을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케이크 상자.
KR2020100005279U 2010-05-19 2010-05-19 원형 케이크 상자 KR200466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79U KR200466436Y1 (ko) 2010-05-19 2010-05-19 원형 케이크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79U KR200466436Y1 (ko) 2010-05-19 2010-05-19 원형 케이크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94U true KR20110010994U (ko) 2011-11-25
KR200466436Y1 KR200466436Y1 (ko) 2013-04-15

Family

ID=5138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279U KR200466436Y1 (ko) 2010-05-19 2010-05-19 원형 케이크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43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448A (ko) 2017-01-19 2018-07-27 채식나라주식회사농업회사법인 스마트 케이크보호용 종이상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4522B (en) 2001-10-25 2002-09-04 Bernard Vanier Food product packaging
KR200319571Y1 (ko) * 2003-04-11 2003-07-12 강복성 케익 포장상자
JP2005200035A (ja) * 2004-01-14 2005-07-28 Tamu:Kk 保冷用収納箱
KR20080006328U (ko) * 2007-06-14 2008-12-18 이상영 케익 받침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436Y1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4319A1 (en) Cotton wool pad dispenser
US20160137392A1 (en) Web-storing container
US20150251843A1 (en) Packages for bedding products including mattresses and mattress toppers
KR200466436Y1 (ko) 원형 케이크 상자
US6334536B1 (en) Hanging ornament storage container
JP4178324B2 (ja) 茎付き花セット台と茎付き花収容容器
JP6073069B2 (ja) 商品陳列用包装具および当該包装具を用いた商品包装体
KR20140023018A (ko) 악세서리용 포장상자
JP7092332B2 (ja) プラスチック製袋の収容具
JP4285662B2 (ja) 切り花搬送容器
KR20090011345U (ko) 미닫이형 포장 상자
TWM452160U (zh) 可攜帶之盆栽容置器
US9873556B1 (en) Product package and a method for packaging a product
KR101478481B1 (ko) 방수팩용 포장케이스
KR200440486Y1 (ko) 걸림턱 후렌지를 형성하는 조립식 음식물포장용기
KR20130075607A (ko) 걸이진열과 적층진열이 가능한 제품포장케이스
JPS593933Y2 (ja) 包装用箱
JP3166008U (ja) 複数の収納箱を嵌め合わせて重ねることが可能な構造をもつ収納箱
JP6990370B2 (ja) 物品収容ケース
TWM510904U (zh) 包裝盒結構
TW202246143A (zh) 包裝套件及含有包裝套件之層架
JPS5911904Y2 (ja) 合成樹脂製袋用収納キヤビネツト
JPH05662U (ja) 集積包装用ラツク
KR200427378Y1 (ko) 접을 수 있는 꽃병
JPH07101447A (ja) 梱包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