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288A -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 Google Patents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288A
KR20110010288A KR1020090067766A KR20090067766A KR20110010288A KR 20110010288 A KR20110010288 A KR 20110010288A KR 1020090067766 A KR1020090067766 A KR 1020090067766A KR 20090067766 A KR20090067766 A KR 20090067766A KR 20110010288 A KR20110010288 A KR 20110010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rilling
press
guide member
gui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7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193B1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1020090067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19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7/00Methods or apparatus for plac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7/20Placing by pressure or pulling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천공을 위한 케이싱 내에 삽입 가능하고, H 빔 부와, H 빔 부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 케이싱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과; 케이싱 내에서 H 빔 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은, 케이싱을 압입하는 제1 과정과, 케이싱 내에 가이드 관을 압입하는 제2 과정과, 철판을 압입하는 제3 과정과, 케이싱 내에 토사 또는 모래를 삽입하는 제4 과정과, 케이싱을 인발하는 제5 과정과, 연결부에 맞닿도록 다음 케이싱을 압입하고, 가이드 관을 인발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반의 교란과 함몰되기 쉬운 사석층에 천공 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관과 지지부를 통해 케이싱을 인발하더라도 주위의 사석층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암반에서도 용이하게 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천공, 가이드, 사석, 암반, 철판

Description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GUIDE MEMBER FOR DOWN HOLE METHOD FOR DOWN HO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석층에 천공 시, 케이싱을 인발하더라도 주위의 사석층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암반에서도 용이하게 천공이 이루어지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을 건설하거나 구축물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하를 파는 공사, 강이나 바다에서 실시하는 물막이 공사, 도로를 확장하는 공사 등과 같은 각종 공사를 실시할 때에는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지반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호벽, 예컨대 시트파일(sheet pile)을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시트 파일을 압입하기 위해서는 천공(down hole)한 후, 천공을 위해 압입된 케이싱을 인발한 후에, 천공된 부분에 시트 파일을 압입하는 것이다. 그런데, 사석층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천공을 수행할 경우, 케이싱을 인발하면서 그 안에 토사물이 무너져 내리고, 이로 인해, 시트 파일을 압입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케이싱 압입 시, 시트 파일의 압입을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한 기준으로 압입이 되어야 한다. 그런데, 연약한 사석층에서 뿐만 아니라 암반에 케이싱 압입 시, 케이싱이 암벽이나 큰 사석 등에 부딪히면서 일정하게 압입되지 못하고, 연약한 지반으로 케이싱이 밀려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사석층 또는 암반에서 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석층 또는 암반에서 케이싱이 일정하게 압입될 수 있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석층 천공을 위한 가이드 부재는, 천공을 위한 케이싱 내에 삽입 가능하고, H 빔부와, 상기 H 빔부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H 빔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의 상기 지지부는, 철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H 빔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는 판부와,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판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사석층 천공 방법은,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가이드 관을 압입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지부를 압입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토사 또는 모래를 삽입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연결부에 맞 닿도록 다음 케이싱을 압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인발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암반 천공을 위한 가이드 부재는, 천공을 위한 케이싱 내에 삽입 가능하고, H 빔부와 상기 H 빔부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사석층 천공 방법은,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가이드 관을 압입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연결부에 맞닿도록 다음 케이싱을 압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인발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지반의 교란이 심하고 함몰되기 쉬운 사석층에 천공 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관과 지지부를 통해 케이싱을 인발하더라도 주위의 사석이 무너지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암반에서도 용이하게 천공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 한 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공 방법으로 시트 파일이 압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는 사석층 천공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100)는 가이드 관(110)과 지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이드 관(110)은 천공을 위한 케이싱(150) 내에 삽입된다. 가이드 관(110)은 H 빔 부(111)와 연결부(113)로 구성된다. H 빔 부(111)는 통상적인 H 형상을 이룬다. 연결부(113)는 H 빔 부(111)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한다. 즉, 연결부(113)는 두 개가 구비되고, H 빔 부(111)의 좌측 위아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과 우측 위아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부(113)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데, 케이싱(150)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지지부(120)는 케이싱(150) 내에서 H 빔 부(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부분이다. 지지부(120)는 철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부(120)가 철판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목재 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판부(121)와 연장부(123)로 구성된다. 판부(121)는 H 빔 부(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는 부분이고, 연장부(123)는 판부(121)에서 연장되는 형성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연장부(123)는 판부(12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케이싱(15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100)를 이용한 천공 방법, 예컨대 사석층에서의 천공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파일(250)을 압입시키기 위하여 천공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케이싱(150)을 압입한다. 그 후에,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0) 내부에 가이드 관(110)을 압입한다. 즉, 케이싱(150) 내부에 H 빔 부(111)와 연결부(113)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110)을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20)를 압입한다. 즉, 케이싱(150) 내부에서 H 빔 부(111)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도록 지지부(120)를 압입한다. 지지부(120)로 인해, 하기되는 바와 같이, 케이싱(150) 및 가이드 관(110)을 인발하더라도 사석 등이 무너져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0) 내부에 토사나 모래 등을(170)을 충진한다. 케이싱(150) 내부에 토사나 모래 등을(170)을 충진함으로써, 가이드 관(110)이 사석층 내부에서 자리를 견고히 잡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0)을 인발한다. 전술한 과정으로 천공이 이루어졌으므로, 케이싱(150)을 인발한다.
이어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케이싱(150)을 압입한다. 케이싱(150)은 가이드 관(110)의 연결부(113)에 맞닿도록 압입된다. 즉, 천공을 위해 케이싱(150)을 연속적으로 압입 시, 가이드 관(110)의 연결부(113)의 원호 형상으로 인해 가이드 역할을 하여, 케이싱(15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정이 가능하고 원하는 곳에 압입될 수 있다. 그 후에,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되어 있는 가이드 관(110)을 인발한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남겨둠으로써, 사석층에서의 사석, 알돌 등이 무너짐을 해결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파일(250)의 압입이 용이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계속해서 전술한 과정들을 수행한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발명과 유사하지만, 암반에서 용이하게 천공을 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200)는 H 빔 부(201)와 연결부(203)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210)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의 천공용 가이드 부재(100)에서 지지부(120)를 제외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200)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은 암 반에 적용된다. 따라서, 암반에 시트파일을 압입하기 위해서는 천공한 케이싱(150)이 서로 교집합을 이루면서 천공이 되어야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사석, 알돌 등의 무너짐을 위해 압입되었던 지지부(120)의 구성이 제외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200)를 이용한 천공 방법, 예컨대 암반에서의 천공 방법에 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파일(250)을 압입시키기 위하여 천공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케이싱(150)을 압입한다. 그 후에,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0) 내부에 가이드 관(210)을 압입한다. 즉, 케이싱(150) 내부에 H 빔 부(201)와 연결부(203)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210)을 압입한다.
다음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50)을 인발하고, 다음 케이싱(150)을 압입한다. 케이싱(150)은 가이드 관(210)의 연결부(203)에 맞닿도록 압입된다. 즉, 천공을 위해 케이싱(150)을 연속적으로 압입 시, 가이드 관(210)의 연결부(203)의 원호 형상으로 인해 가이드 역할을 하여, 케이싱(15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원하는 곳에 압입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되어 있는 가이드 관(210)을 인발한다. 그 후에, 계속해서 전술한 과정들을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천공 방법으로 시트 파일이 압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천공용 가이드 부재 110, 210; 가이드 관
111, 201; H 빔 부 113, 203; 연결부
120; 지지부 121; 판부
123; 연장부 150; 케이싱
170; 토사 또는 모래 250; 시트 파일

Claims (5)

  1. 사석층 천공을 위한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천공을 위한 케이싱 내에 삽입 가능하고, H 빔 부와, 상기 H 빔 부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과;
    상기 케이싱 내에서 상기 H 빔 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도록 삽입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철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H 빔 부의 가장자리 부분에 맞닿는 판부와, 상기 케이싱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판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3. 전술한 청구항 제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사석층 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가이드 관을 압입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지지부를 압입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토사 또는 모래를 충진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연결부에 맞닿도록 다음 케이싱을 압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인발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
  4. 암반 천공을 위한 가이드 부재에 있어서,
    천공을 위한 케이싱 내에 삽입 가능하고,
    H 빔 부와 상기 H 빔 부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고 상기 케이싱의 외곽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는 가이드 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
  5. 전술한 청구항 제4 항에 기재된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사석층 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압입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케이싱 내에 상기 가이드 관을 압입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연결부에 맞닿도록 다음 케이싱을 압입하고, 상기 가이드 관을 인발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용 가이드 부재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1020090067766A 2009-07-24 2009-07-24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10120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66A KR101204193B1 (ko) 2009-07-24 2009-07-24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7766A KR101204193B1 (ko) 2009-07-24 2009-07-24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288A true KR20110010288A (ko) 2011-02-01
KR101204193B1 KR101204193B1 (ko) 2012-12-11

Family

ID=4377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7766A KR101204193B1 (ko) 2009-07-24 2009-07-24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1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433B1 (ko) * 2012-01-13 2013-10-01 노지연 피알디 공법을 이용한 대구경 천공 방법
KR102070735B1 (ko) * 2019-01-24 2020-01-29 김양형 주열식 벽체파일 조성용 홀을 연속 천공하기 위한 베어링가이드빔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한 흙막이벽체 및 차수벽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353A (ja) * 1999-06-22 2001-01-09 Nichiei Giken Kogyo Kk ガイドつき鋼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3433B1 (ko) * 2012-01-13 2013-10-01 노지연 피알디 공법을 이용한 대구경 천공 방법
KR102070735B1 (ko) * 2019-01-24 2020-01-29 김양형 주열식 벽체파일 조성용 홀을 연속 천공하기 위한 베어링가이드빔과 이를 이용하여 구축한 흙막이벽체 및 차수벽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193B1 (ko) 201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4219B2 (ja) アースアンカーの打設方法
JP2007177517A (ja) アースアンカー工法
KR101674656B1 (ko) 강관을 이용한 cip 흙막이 벽체
KR100348024B1 (ko) 선천공후 시트파일을 설치하는 공법
KR101204193B1 (ko) 천공용 가이드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천공 방법
KR101381325B1 (ko) 다단식 소구경 강관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공법
KR100779988B1 (ko) 소구경 말뚝의 시공방법
KR20090131338A (ko) 보조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JP2005097843A (ja) 既存構造物の被圧水下の基礎補強方法
JP2012501394A (ja) 擁壁
KR102072889B1 (ko) 소형 천공장비를 이용한 인접건물 근접구간 소구경 합성파일 벽체의 시공방법
KR101392995B1 (ko) 차수 향상을 위한 흙막이 공법
KR100507983B1 (ko) 천공된 암반의 시트파일 설치방법
KR200369479Y1 (ko) 흙막이용 패널
JP2008150944A (ja) 壁杭構造、壁杭構造の構築方法
KR20060098779A (ko) 흙막이구조물 및 흙막이조립체
KR20160006273A (ko) 해양구조물 지지장치
KR101483181B1 (ko) 에이치(h)형강을 삽입하기 위한 천공부를 천공할 수 있는 에이치(h)형 천공부재 및 에이치(h)형 천공부재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327172B1 (ko) 차수와 흙막이장치를 이용한 차수와 흙막이공법
KR101733704B1 (ko) 이중 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집수관 시공방법
JP2007107253A (ja) 引き抜き容易な杭と、その杭の引き抜き方法。
KR101220898B1 (ko)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KR101498710B1 (ko) 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5667590B2 (ja) 土留め壁の増築方法および土留め壁構造
KR102052559B1 (ko) 시트파일 지중벽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