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898B1 -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898B1
KR101220898B1 KR1020120097572A KR20120097572A KR101220898B1 KR 101220898 B1 KR101220898 B1 KR 101220898B1 KR 1020120097572 A KR1020120097572 A KR 1020120097572A KR 20120097572 A KR20120097572 A KR 20120097572A KR 101220898 B1 KR101220898 B1 KR 10122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pile
foam block
casing
sheet
construc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원
이정현
Original Assignee
지케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케이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지케이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20097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6Fitted piles or oth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losing gaps between two sheet piles or between two walls of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02D13/04Guide devices; Guide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14Sealing joints between adjacent sheet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대상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천공홀의 내부면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절개부를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형성한 발포블럭을 상기 천공홀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케이싱이 삽입된 삽입홀에 발포블럭이 잔류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인발제거하는 단계 ; 상기 발포블럭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발포블럭사이에 채움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천공홀과 인접하는 작업대상지반에 상기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와 발포블럭을 삽입하는 단계및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통하여 시트파일을 삽입하고 서로 인접하는 시트파일을 연결하는 단계 ; 및 상기 시트파일의 일측테두리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시트파일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가 배치되는 채움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the Sheet Pile using Foaming Block}
본 발명은 발포블럭을 이용하여 시트파일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천공홀에 채워지는 채움재의 사용량을 줄여 시공비를 줄일 수 있고, 시트파일의 수직도 관리가 용이해지고, 시트파일의 시공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이고, 공사비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지수안전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선보호, 방파제, 매립장, 토사굴착, 어도, 인공호수, 농수로, 자연하천, 유류 저장탱크 시공 등의 토목공사에는 물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지하 벽체로부터 토사가 유출되거나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트파일을 지면아래에 박아 이음부를 물리게하여 연속벽(차수벽)을 형성하는 가설공법으로 많이 사용된다.
상기 시트파일은 토사층이나 점토층, 실트층과 같이 입자가 연약 지반에는 직항타로 타입하여 설치하고, 직항타 수행이 불가능한 사력층 등에서는 고압수 분사를 통해 진입시키는 워터제트(Water jet) 공법을 사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나, 전석층(호박돌층)이나 기반암(풍화암,연암,경암)층과 같이 조밀하고 단단한 지층에는 상기 직항타 공법이나 워터제트 공법으로는 차수벽 시공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차수벽 시공위치에 천공과 함께 케이싱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부에 채움재(양질의 토사, 모래, 프라이애쉬, 벤토나이트, 직항타가 가능한 모든 그라우트재 등)를 채운 후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고, 그 자리에 시트파일을 설치하는 선천공 후 시트파일을 설치하는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사석 및 전석층이 분포하는 구간에 대하여 차수를 위한 목적으로 시트파일을 적용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10)을 지면아래에 박아 천공홀(15)을 형성하고(도 1a), 상기 케이싱(10)의 천공홀(15)에 모래와 같은 채움재(20)를 채운 다음 상기 채움재(20)가 잔류하여 충전되도록 케이싱(10)만을 외부로 인발한다(도 1b).
이어서, 상기 천공홀(15)과 인접하는 위치에 서로 중첩되도록 케이싱(10)을 이용하여 다른 천공홀(15)을 형성하고(도 1c), 이에 채움재(30)를 채운 다음 케이싱(10)을 인발제거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되메움된 채움재(30)에 시트파일을 항타하여 연속벽(차수벽)을 시공하였다(도 1d).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모래와 같은 채움재를 천공홀의 내부전체에 메우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공사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트파일의 항타시 수직도가 불량하여 시트파일의 수직도 관리가 곤란하고, 모래채움으로 시트파일의 압입이 불가하여 항타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항타에 따른 공사비가 증가하고, 모래층에서의 시트파일 항타는 마찰력 증가에 의하여 시공할 수 있는 시트파일 길이가 제한적이며, 시트파일들간의 연결부인 시트파일 이음부에서의 누수가 발생하는 한편, 채움재가 잔류하도록 케이싱을 인발한 다음 인접하여 케이싱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모래와 같은 채움재 손실에 따라 2차로 채움재를 되메우기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48024호에는 선천공후 시트파일을 설치하는 공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특허는 천공된 위치에서 바로 시트파일을 설치하고 주열상의 지중연속벽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인접위치에 시트파일을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시트파일을 기설치된 시트파일의 단부에 수직으로 가이드빔을 가설치하여 인접 위치에 천공하는 공법을 사용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빔의 가설치 인발 등으로 인하여 공정이 복잡하여 작업공정이 더디게 진행되어 작업능률이 현저히 떨어지며 시간과 경비가 너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천공홀에 채워지는 채움재의 사용량을 줄여 공사비를 줄일 수 있고, 시트파일의 수직도 관리가 용이해지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파일의 시공에 따른 작업효율을 높이고,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한편, 지수안전성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채움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작업대상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천공홀의 내부면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절개부를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형성한 발포블럭을 상기 천공홀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케이싱이 삽입된 삽입홀에 발포블럭이 잔류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인발제거하는 단계 ; 상기 발포블럭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발포블럭사이에 채움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천공홀과 인접하는 작업대상지반에 상기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와 발포블럭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통하여 시트파일을 삽입하고 서로 인접하는 시트파일을 연결하는 단계 ; 및 상기 시트파일 연결시 이음부가 배치되는 채움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의 좌우양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발포블럭의 외부면 좌우양측에 함몰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절개부는 인접하여 삽입되는 케이싱의 외부면과 면접하도록 호형단면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포블럭은 경량재이므로 지하수위면 하부에서는 부력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발포블럭을 천공홀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상기 발포블럭의 절개부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으로 소형수중펌프를 삽입배치하고, 상기 소형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양수하여 배수처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은 대응 삽입되는 시트파일의 외부면과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판을 배치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슬릿판은 상기 시트파일과 동일한 소재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시트파일과 접하는 외부면에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코팅층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포블럭은 발포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움재는 양질의 토사, 모래, 프라이 애쉬, 벤토나이트, 그라우트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케이싱이 인발제거된 삽입홈에 발포블럭을 잔류시킨 다음 발포블럭에 형성된 시프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따라 시트파일을 상부로부터 하부로 압입하여 삽입함으로써 발포블럭에 수직하게 기가공된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시트파일을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시트파일에 대한 수직도 관리가 보다 완벽해진다
(2) 서로 인접하는 발포블럭의 절개부사이에 형성되는 채움홀에만 시트파일 설치후 채움재를 충전함으로써 채움재의 사용량을 줄여 공사기간 및 시공비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파일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서 케이싱 및 발포블럭을 삽입하고 케이싱을 인발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서 2개의 발포블럭을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서 3개의 발포블럭을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서 발포블럭에 시트파일을 삽입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서 채움재를 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 채용되는 발포블럭과 시트파일간 조립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 의해서 시공되는 차수벽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100)은 케이싱(110)을 삽입하는 단계, 발포블럭(120)을 삽입하는 단계, 케이싱(110)을 인발제거하는 단계, 상기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시트파일(13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채움재(140)를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110)을 삽입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중에 시트파일을 연속되도록 설치하여 지중연속벽체인 차수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작업대상지반의 부지에 최대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반을 정지한 다음, 수평한 작업대상지반에 대하여 수직한 천공홀(115)을 형성하도록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케이싱(110)을 삽입한다.
상기 발포블럭(120)을 천공홀(115)에 삽입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천공홀(115)의 내부면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좌우한쌍의 절개부(121,122)를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몸체에 길이방향을 따라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을 형성한 발포블럭(120)을 상기 천공홀(115)에 대응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발포블럭(120)은 폴리스티렌 수지에 펜탄 또는 부탄 등 탄화수소가스를 주입시킨 후 이를 증기로 부풀린 발포제품인 발포 스티렌 수지(EPS, Expanded Poly-Styre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개부(121,122)는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과 연결되도록 상기 발포블럭(120)의 외부면 좌우양측에 대칭구조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부(121,122)는 인접하여 삽입되는 케이싱(110)의 외부면과 면접하도록 호형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파일용 슬릿홈(123)은 상기 발포블럭(120)의 전체길이에 형성되는 절개부(121,122)보다 지층조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구비될수도 있고, 시트파일 계획 심도보다 상부에서 전석층, 호박돌층 분포가 일반적이므로 발포블럭의 전체길이에 대하여 슬릿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하수위 하부까지 발포블럭을 삽입할 때, 상기 케이싱(110)의 천공홀내부로 유입되는 지하수를 외부로 배수처리함으로써 경량재인 발포블럭이 지하수면 하부에서 부력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면과 상기 발포블럭(120)의 절개부(121,122)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으로 소형 수중펌프를 삽입배치한 다음 상기 소형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양수하여 배수처리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10)을 인발제거하는 단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0)이 삽입된 삽입홀(105)에 발포블럭(120)이 그대로 잔류하도록 상기 케이싱(110)을 상부로 인발하여 상기 삽입홀(105)로부터 케이싱만을 제거하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싱(110)의 천공홀(115)에 삽입된 발포블럭(120)이 상부로 인발되는 케이싱(110)과 더불어 인발되지 않고 상기 삽입홀(105)에 그대로 잔류하도록 케이싱(110)만을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홀(105)로부터 케이싱(110)이 인발제거되면, 상기 삽입홀(105)에 잔류하는 발포블럭(120)과 삽입홀(105)사이에는 상기 절개부(121,122)에 의해서 수직한 빈공간인 채움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블럭(120)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발포블럭(120)사이에 서로 인접하는 절개부(121,122)에 의해서 채움홀(H)을 형성하도록 상기 천공홀(H)과 인접하는 작업대상지반에 상기 케이싱(110)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싱(110)의 천공홀(115)내로 다른 발포블럭(120)을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천공홀(115)로부터 케이싱(110)만을 인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싱(110)이 제거된 복수개의 삽입홀(105)에 잔류하는 발포블럭(120)들은 서로 인접하여 마주하는 절개부(121,122)에 의해서 수직한 채움홀(H)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발포블럭(120)들은 시공하고자 하는 지중연속벽체인 차수벽과 대응하는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삽입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시트파일(130)을 삽입하여 연결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블럭(120)에 형성된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의 입구단인 상단을 통하여 상부로부터 하부로 대략 판상의 시트파일(130)을 수직방향으로 하강시켜 대응삽입한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발포블럭(120)의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에 대응삽입된 시트파일(130)은 서로 인접하여 연속하여 연결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포블럭(120)에 기가공된 수직한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삽입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되메움된 채움재가 시트파일을 항타하여 시공하는 것에 비하여 수직도 관리가 완벽해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은 대응 삽입되는 시트파일의 외부면과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판(124)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포블럭에 삽입되는 시트파일(13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편항 대략 직사각판상의 평판본체(130a)와, 그 좌우양측단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되고 외측테두리에 파일연결용 단부(131,132)를 형성한 좌우한쌍의 경사판(130b,130b)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수벽 설계에 따라 평판본체 및 경사판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을 형성하는 양측 분리면에 상기 시트파일이 진입되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쌍의 슬릿판(124)을 구비하거나 일측 분리면에 슬릿판(124)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케이싱(110)의 인발후 삽입홀에 접하는 발포블럭이 토압에 의해서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밀착되더라도 상기 시트파일(130)의 삽입시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의 내측 분리면에 구비되는 슬릿판(124)에 의해서 시트파일(130)과의 마찰저항을 줄여 시트파일을 삽입하는 작업을 슬릿판을 구비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판(124)은 상기 시트파일(130)과 동일한 소재 또는 강판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시트파일(130)과 접하는 외부면에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코팅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채움홀(H)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단계는 도 6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포블럭의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에 대응삽입된 시트파일(130)의 일측테두리에 형성된 파일연결용 단부(131)와, 인접하는 다른 발포블럭(120)의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에 대응삽입된 다른 시트파일의 타측테두리에 형성된 파일연결용 단부(132)를 서로 연결하는 이음부가 배치되는 채움홀(H)에 채움재(140)를 충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채움재(140)는 양질의 토사, 모래, 프라이 애쉬, 벤토나이트, 그라우트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포블럭(120)의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123)에 시트파일(130)을 삽입하고 인접하는 다른 시트파일과 연결되는 이음부(133)가 배치되는 채움홀(H)에 채움재를 충전함으로써 이음부에서의 지수재 이탈이 발생하지 않고 추후 모래와 같은 채움재의 채움으로 차수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발포블럭(120)의 슬릿홈(123)을 따라 시트파일(130)을 압입하게 됨으로써 수직도 관리가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서로 인접하는 발포블럭에서 서로 인접하는 시트파일간의 연결시 상기 채움홀(H)의 내부는 빈공간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모래채움 후 항타에 의한 시공시 좌우양단 연결부위에 지수재 도포 후 항타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직도 관리가 어렵고 연결부위에 도포된 지수재가 채워진 모래에 의해서 이탈되어 시공완료 후 시트파일 연결부에서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염려없이 시트파일 연결후 채움홀에 채움재를 충전하므로 연결부에서의 누수 발생위험성을 낮출 수 있는 것이다.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케이싱 115 : 천공홀
120 : 발포블럭 121,122 : 절개부
123 :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 130 : 시트파일
131,132 : 시트파일 연결용 단부 133 : 이음부
140 : 채움재 H : 채움홀

Claims (9)

  1. 작업대상지반에 천공홀을 형성하도록 일정길이의 중공원통형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천공홀의 내부면과 대응하는 외부면에 절개부를 길이방향으로 함몰형성하고,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형성한 발포블럭을 상기 천공홀에 삽입하는 단계 ;
    상기 케이싱이 삽입된 삽입홀에 발포블럭이 잔류하도록 상기 케이싱을 인발제거하는 단계 ;
    상기 발포블럭과 이에 인접하는 다른 발포블럭사이에 채움홀을 형성하도록 상기 천공홀과 인접하는 작업대상지반에 상기 케이싱을 삽입하는 단계와 발포블럭을 삽입하는 단계및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는 단계 ;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을 통하여 시트파일을 삽입하고 서로 인접하는 시트파일을 연결하는 단계 ; 및
    상기 시트파일의 일측테두리와 이에 인접하는 다른 시트파일의 타측테두리가 서로 연결되는 이음부가 배치되는 채움홀에 채움재를 충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의 좌우양단과 연결되도록 상기 발포블럭의 외부면 좌우양측에 함몰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인접하여 삽입되는 케이싱의 외부면과 면접하도록 호형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블럭을 천공홀에 삽입하는 단계는 상기 케이싱의 내부면과 상기 발포블럭의 절개부사이에 형성되는 여유공간으로 수중펌프를 삽입배치하고, 상기 수중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유입된 지하수를 외부로 양수하여 배수처리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파일 삽입용 슬릿홈은 대응 삽입되는 시트파일의 외부면과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슬릿판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판은 상기 시트파일과 동일한 소재 또는 강판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시트파일과 접하는 외부면에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표면처리된 코팅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블럭은 발포 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토사, 모래, 프라이 애쉬, 벤토나이트, 그라우트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에 의해서 지중에 연속적인 벽체로 이루어지는 차수벽.
KR1020120097572A 2012-09-04 2012-09-04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KR10122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72A KR101220898B1 (ko) 2012-09-04 2012-09-04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572A KR101220898B1 (ko) 2012-09-04 2012-09-04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0898B1 true KR101220898B1 (ko) 2013-01-11

Family

ID=47841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572A KR101220898B1 (ko) 2012-09-04 2012-09-04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8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16B1 (ko) * 2014-09-11 2018-05-23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시트파일 회수용 차수 공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58B1 (ko) 2005-09-27 2006-12-01 (주)코아지질 시트파일설치용 가이드관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설치공법
KR20090131338A (ko) * 2008-06-18 2009-12-29 백남진 보조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58B1 (ko) 2005-09-27 2006-12-01 (주)코아지질 시트파일설치용 가이드관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설치공법
KR20090131338A (ko) * 2008-06-18 2009-12-29 백남진 보조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516B1 (ko) * 2014-09-11 2018-05-23 삼보이엔씨 주식회사 시트파일 회수용 차수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080B2 (en) Bank-sided porosity storage reservoirs
KR20210029069A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1041274B1 (ko) 합성형 그라우팅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5351125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のオープンシールド機発進方法
KR100935006B1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CN114482099A (zh) 钢板桩围堰施工方法
KR101220898B1 (ko) 발포블럭을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JP2004204581A (ja) 管理型護岸の遮水工法
JP2011063958A (ja) オープンシールド機および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における函体基礎の築造方法
JP4532337B2 (ja) 伏流水等の処理が可能な親杭横矢板工法
KR101392995B1 (ko) 차수 향상을 위한 흙막이 공법
JP3245537B2 (ja) 連続地中壁における透水部の形成方法
KR102237058B1 (ko) 암반층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시공방법
JP4888293B2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100350098B1 (ko) 연약층의 심도가 깊은 지반의 방파제 또는 호안기초구조
KR100507983B1 (ko) 천공된 암반의 시트파일 설치방법
JP4982632B2 (ja) 防波堤下の液状化対策工法
KR101146436B1 (ko) 시트파일 설치용 가이드 고정틀
KR100968431B1 (ko) 알시디 확공비트를 이용한 산업시설용 자켓구조물의설치방법
JP6679287B2 (ja) 地中構造物の液状化対策工法
JP3766423B2 (ja) 擁壁の構築方法
KR101199738B1 (ko) 시트파일 설치 공법
KR101317006B1 (ko) 선천공 및 시트파일 설치용 가이드 고정틀
KR102466403B1 (ko) 차수용 합성파일 차수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6260333B2 (ja) 護岸コンクリートの遮水構造及び護岸コンクリートの補修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