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243U -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Google Patents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10243U KR20110010243U KR2020100004289U KR20100004289U KR20110010243U KR 20110010243 U KR20110010243 U KR 20110010243U KR 2020100004289 U KR2020100004289 U KR 2020100004289U KR 20100004289 U KR20100004289 U KR 20100004289U KR 20110010243 U KR20110010243 U KR 2011001024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il
- pattern
- texture
- decorative plate
- pap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6—Sculptur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심미감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문양의 입체감을 개선시키면서, 작업성이 우수하여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며, 제약없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과, 각각의 상기 문양조각으로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과,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 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 패턴을 갖는 결이 형성된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조각에 따라 금박지 또는 은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장식판을 제공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과, 각각의 상기 문양조각으로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과,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 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 패턴을 갖는 결이 형성된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조각에 따라 금박지 또는 은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장식판을 제공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패턴을 갖는 결이 형성된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조각에 따라 결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웰빙(well-being) 열풍으로 인해 사람들은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그에 대응한 유익한 상품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 중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피로회복과 건강증진을 위하여 금박지와 은박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금박지와 은박지는 고유한 색깔을 띠기 때문에 그 자체만으로 고급스러움을 자아낼 수 있으며, 또한 빛의 반사와 투사에 따라 고급스러움에 더하여 심미감을 자아내기 때문에 선물 포장지를 비롯하여 실생활에 사용되는 생활용품에 접목되어 사용되고 있다.
선물 포장지와 더불어 최근에는 금박지와 은박지를 장식품에 부착시켜 장식품의 고급스러움과 심미감이 더욱 극대화된 공예 장식품들이 제안되고 있다. 금박지와 은박지의 고급스러움은 장식품에서 뿜어져 나오는 멋과 어우러져 장식품의 심미감을 더욱 극대화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공예 장식품에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공예 장식품에 금박지와 은박지를 접목시키는 방법은 대부분 금박지와 은박지를 가공없이 표현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절단한 후 형상화시켜 장식품에 부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심미감을 극대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으며, 또한, 문양의 입체감이 저감되는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심미감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문양의 입체감을 개선시키면서, 작업성이 우수하여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며, 지지판의 굴곡면의 제약없이 다양한 문양을 표현할 수 있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과,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측면에 따른 본 고안은,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과, 각각의 상기 문양조각으로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과,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 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제공한다.
상기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 패턴(균일한)을 갖는 결이 형성된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조각에 따라 금박지 또는 은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 장식판을 제공함으로써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의하면,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사용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인위적으로 결의 크기, 형상 및 방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제작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는 동시에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의하면,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사용하여 장식판을 제조함으로써 지지판의 평탄면뿐만 아니라 굴곡면(90°경사면)에서도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연속적으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상의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을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넷째, 본 고안에 의하면, 금박지 또는 은박지의 상면에 인위적으로 결을 형성함으로써 결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비해 작업공정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코팅공정시 밀착력을 극대화시켜 박지가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의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과 비교예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작된 다른 문양을 갖는 장식판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f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의 공정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판과 비교예를 촬영한 사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 방법을 통해 제작된 다른 문양을 갖는 장식판을 촬영한 사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각 부재 및 층들의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부재가 다른 부재 또는 층의 '상', '상부', 또는 '상면'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부재 또는 층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부재가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도면번호는 동일 부재 또는 층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 절취선을 따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은 박지문양(310, 도 3f참조)과, 지지판(400)과, 코팅부재(500)를 구비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은 지지판(400)과 박지문양(310) 사이에 도료함침색지(202)를 더 구비한다.
박지문양(310)은 장식판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110, 도 3c참조)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지지판(400) 상면 또는 도료함침색지(202)의 상면에 결을 갖는 박지(300)가 접착되어 문양조각(110)이 형상화된다.
박지문양(310)들은 지지판(40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접착되되,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박지(300)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예컨대, 5~90°정도의 각도로 어긋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지지판(400)에 부착된다.
박지(300)는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포함하며, 도료함침색지(202)의 색채가 투과되도록 비교적 얇은 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박지(3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결이 일정한 패턴을 갖고 형성된다. 상기 결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문양에 따라 이들이 혼합될 수도 있다. 상기 결은 일정 폭을 갖고,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박지(300)는 문양조각(110)이 도안된 모형지(100, 도 3a참조)에 도시된 배열 키(미도시)의 방향에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동일 문양조각(110)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고, 다른 문양조각(110)끼리는 결 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된다.
지지판(400)은 각각의 문양조각(110)으로 형상화된 박지문양(310)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다. 지지판(400)은 목판, 종이판 또는 철판을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목판을 사용한다. 목판의 경우 도료(칠) 공정을 통해 표면처리될 수 있다. 지지판(400)으로는 목판, 종이판, 철판 이외에도 박지문양(310)을 지지하는 판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코팅부재(500)는 박지문양(310)이 외부로 표출될 수 있도록 투명한 코팅재료를 사용한다. 예컨대, 비닐 코팅 또는 도료 재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비닐 코팅의 경우 융착기(미도시)를 이용한 가열, 융착방식으로 박지문양(310)에 코팅되며, 이 과정에서 도료함침색지(202)에도 열이 전달되어 전체에 스며들어 있는 도료에 함유된 용제 성분이 비닐을 녹여 주는 현상이 동시에 발생하여 박지문양(310)의 접촉부에서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모든 부위에 걸쳐 미접착되는 부분없이 완벽하게 접착된다.
도료함침색지(202)는 심미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색지의 상면과 배면에 투명접착도료를 칠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색지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박지문양(310)을 더욱 선명하게 표출시켜 심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청색 또는 적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형지(100)에는 복수 개의 다양한 부분 도안(101, 도 3a참조)이 도시된다. 또한, 배열 키가 표기될 수 있다. 각 부분 도안(101)에는 박지문양(310)이 지지판(400)에 부착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번호(103, 1~35, 도 3a참조)가 표기되어 있다. 배열 키는 박지(300) 부착시 박지(300)의 결 배열 방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며, 일례로 화살표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화살표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박지(300)의 결 방향이 향하도록 박지(300)는 도료함침색지(202)의 상면에 접착 배열된다.
또한, 모형지(100)에는 절단공정을 통해 제거되는 부위를 나타내는 표식이 표기되어 있는데, 일례로 제거될 부위에 'X'자 형태로 표기될 수 있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부분 도안(101)을 둘러싸도록 절취선이 도시될 수 있다. 이때, 절취선은 부분 도안(101)의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되, 절취공정시 공정 여유도(process margin)를 고려하여 부분 도안(101)보다는 큰 크기를 갖도록 도시될 수있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f를 결부시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의 제작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도 3c 내지 도 3f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문양의 부분 도안들 중 '35'번째 부분 도안만을 도시하였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도안된 모형지(100)를 제작한다. 이때, 모형지(100) 내에는 복수 개의 부분 도안(101)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일련번호(103)가 각각 표기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배열키와 절취선이 도시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지(100)의 배면에 각각 박리지(201, 203)가 부착된 도료함침색지(202)를 접착시킨다. 이때, 박리지(201, 203)는 도료함침색지(202)의 상면과 배면에 각각 마련된 접착부재(202a, 202b, 도 2참조)를 통해 접착되어 있으며, 모형지(100)의 배면은 별도의 접착 재료를 통해 박리지(201)의 상면에 접착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형지(100)에 표기된 절취선을 따라 모형지(100), 박리지(201, 203) 및 도료함침색지(202)를 함께 절취하고, 이를 통해 부분 도안(101)이 투영되어 부분 도안(101)의 형상이 그대로 형상화된 문양조각(110)을 제작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함침색지(202)의 배면에 접착된 박리지(203)를 도료함침색지(202)로부터 박리시킨 후 그 배면에 박지(300)를 접착시킨다. 이때, 박지(300)는 금박지 또는 은박지를 포함하며, 도료함침색지(202)의 색채가 투과되도록 비교적 얇은 두께로 도료함침색지(202)에 부착시킨다. 이때, 박지(300)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결을 형성하며, 이때 결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은 박지 내에서 직선형, 곡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은 일정 폭을 갖고,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결의 폭이 작을수록 심미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 도안(101)과 박지(300)를 절단하여 불필요한 도안을 제거한다.
이어서, 도료함침색지(202)의 상면에 접착된 박리지(201)를 도료함침색지(202)로부터 박리시켜 부분 도안(101)을 도료함침색지(202)로부터 탈리시킨다. 이로써, 도료함침색지(202) 배면에는 박지(300)가 접착된 박지문양(310, 도 3f참조)이 완성된다.
도 3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지문양(310)을 일련번호(103) 순서대로 지지판(400)의 상면에 접착시킨 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재(500)를 통해 코팅 처리한다. 예컨대, 코팅부재(500)는 비닐코팅 또는 도료 재료를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비닐 코팅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코팅공정은 융착기를 이용한 가열, 융착방식으로 실시한다. 또한, 도료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유동성 도료 재료를 보릿대 문양(310)의 전면에 칠한 후 건조시켜 박지문양(310)의 전면에 고체막을 형성한다.
도 4에서 (a)는 본 고안에 따른 장식품, (b)는 비교예에 따른 장식품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에 따른 장식품의 경우 금박지 상면에 결이 형성되지 않고 평탄한 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문양이 단조롭고 밋밋한 느낌을 주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장식품에서는 금박지의 상면에 결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결을 이웃하는 금박지문양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시킴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심미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순한 문양이지만, 도 5에서와 같이 문양이 복잡해질수록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와 같이 금박지 또는 은박지의 상면에 인위적으로 결을 형성함으로써 결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 비해 작업공정시 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코팅공정시 밀착력을 극대화시켜 박지가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의 (b)에서와 같이 금박지의 상면이 평탄한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 스크래치가 쉽게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후속 코팅공정시 밀착력이 떨어져 금박지가 지지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와 같이 금박지의 상면에 인위적으로 일정한 패턴을 갖는 결을 형성함으로써 스크래치를 방지하고, 밀착력을 극대화시켜 금박지가 지지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특정문양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은 제한을 두지않고, 다양한 문양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은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모형지
101 : 부분 도안
103 : 일련번호
110 : 문양조각
201, 203 : 박리지
202 : 도료함침색지
202a, 202b : 접착부재
300 : 박지
310 : 박지문양
400 : 지지판
500 : 코팅부재
101 : 부분 도안
103 : 일련번호
110 : 문양조각
201, 203 : 박리지
202 : 도료함침색지
202a, 202b : 접착부재
300 : 박지
310 : 박지문양
400 : 지지판
500 : 코팅부재
Claims (14)
-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 및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복수 개로 분할된 문양조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결을 갖는 박지가 접착되어 상기 문양조각이 형상화된 박지문양;
각각의 상기 문양조각으로 형상화된 박지문양들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을 갖도록 서로 인접하도록 부착되어 상면에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이 형상화된 지지판; 및
상기 박지문양의 상면과 둘레에 코팅되어 상기 박지문양을 보호하는 코팅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박지는 동일 문양조각 내에서는 결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고, 다른 문양조각끼리는 결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접착되도록 하며, 상기 박지문양들 중 서로 다른 문양을 갖는 이웃하는 박지문양끼리는 상기 박지의 결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상기 지지판에 접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입체감과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지는 금박지 또는 은박지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지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결이 형성되고, 상기 결은 직선형, 곡선형 또는 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결은 일정 폭을 갖고,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지는 금박지 및 은박지를 포함하며,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형상에 따라 상기 금박지 또는 상기 은박지를 혼합하여 사용하여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문양의 심미감과 입체감을 극대화시키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은 동일 박지문양 내에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은 동일 박지문양 내에서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목판, 종이판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재는 비닐코팅 또는 도료 재료를 사용하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지문양들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판에 접착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함침색지는 청색 또는 적색인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료함침색지는 상면과 배면에 접착부재가 마련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양조각에는 상기 도료함침색지에 접착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일련 번호가 표기된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박지는 상기 문양조각이 도안된 모형지에 도시된 배열 키의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도료함침색지의 상면에 접착되는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289U KR200461716Y1 (ko) | 2010-04-23 | 2010-04-23 |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4289U KR200461716Y1 (ko) | 2010-04-23 | 2010-04-23 |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0243U true KR20110010243U (ko) | 2011-10-31 |
KR200461716Y1 KR200461716Y1 (ko) | 2012-07-31 |
Family
ID=4713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4289U KR200461716Y1 (ko) | 2010-04-23 | 2010-04-23 |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71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218Y1 (ko) * | 2014-04-14 | 2014-06-20 | 이상수 |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KR20200145555A (ko) | 2019-06-21 | 2020-12-30 | 이주현 | 휴대용 멀티탭 |
-
2010
- 2010-04-23 KR KR2020100004289U patent/KR200461716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3218Y1 (ko) * | 2014-04-14 | 2014-06-20 | 이상수 |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KR20200145555A (ko) | 2019-06-21 | 2020-12-30 | 이주현 | 휴대용 멀티탭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1716Y1 (ko) | 2012-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23874B (zh) | 装饰显示体 | |
KR200461716Y1 (ko) | 결을 갖는 박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
KR100785887B1 (ko) | 반짝이시트 및 그 제조방법 | |
KR200446567Y1 (ko) |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
CN107718990A (zh) | 一种夜光工艺品及其制作方法 | |
KR101655891B1 (ko) | 기타용 장식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 |
CN204605362U (zh) | 立体压凸水晶贴纸 | |
CN103264608A (zh) | 一种具有3d视觉效果的装饰件及其制造方法 | |
KR200455988Y1 (ko) | 무지개빛 필름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
CN207388727U (zh) | 一种夜光工艺品 | |
US20070044510A1 (en) | Decoration stones | |
KR100528302B1 (ko) | 장식용 보석 스티커 및 그의 제조방법 | |
CN201859263U (zh) | 一种高清晰度的眼镜架板材 | |
CN201105604Y (zh) | 一种布艺画 | |
KR101569276B1 (ko) |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의 제조방법 | |
US20140220275A1 (en) | Surface treatment method for plastic substrate and housing using the substrate | |
CN100526097C (zh) | 金属编织装饰材料的生产方法 | |
CN208973182U (zh) | 一种新型热转印相框结构 | |
KR100729504B1 (ko) | 경처리된 에폭시 알맹이 및 그 제조방법 | |
CN207416154U (zh) | 一种内嵌装饰物料的透光树脂装饰板 | |
KR200473218Y1 (ko) | 보릿대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판 | |
JP2018064865A (ja) | 加飾真珠の製造方法 | |
KR20170011325A (ko) | 휘어지는 판자개 | |
CN105984268B (zh) | 立体压凸水晶贴纸及其方法 | |
JP6307007B2 (ja) | 遊技盤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