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073A - 육아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육아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073A
KR20110010073A KR1020100071118A KR20100071118A KR20110010073A KR 20110010073 A KR20110010073 A KR 20110010073A KR 1020100071118 A KR1020100071118 A KR 1020100071118A KR 20100071118 A KR20100071118 A KR 20100071118A KR 20110010073 A KR20110010073 A KR 20110010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nfant
upper body
pair
armres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0514B1 (ko
Inventor
김종태
Original Assignee
김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태 filed Critical 김종태
Priority to PCT/KR2010/0048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1010890A2/ko
Priority to US13/386,525 priority patent/US20120119039A1/en
Priority to CN2010800334661A priority patent/CN102469883A/zh
Priority to JP2012521581A priority patent/JP2012533397A/ja
Priority to EP10802483A priority patent/EP2457470A4/en
Publication of KR2011001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5/00Dressing-tables or diaper changing suppor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육아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영,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부; 영,유아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영,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부; 상기 상체지지부와 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를 제시함으로써, 영,유아를 다리 벌린 자세로 세워놓고 기저귀를 갈거나 옷을 입히거나, 엉덩이를 세정하는 일 등의 육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육아보조기구{CHILDCARE DEVICE}
본 발명은 육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육아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영,유아의 기저귀를 갈 때는 영,유아를 바닥에 눕힌 상태로 기저귀를 갈아주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영,유아를 눕힌 상태로 기저귀를 갈 경우 영,유아가 팔 다리를 버둥대는 경우가 많고 다리를 잡고 엉덩이를 들어서 기저귀를 갈아야 하기 때문에 배설물이 허리 쪽으로 흘러내리거나 기저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경우가 많다. 또한 기저귀를 가는 사람은 영,유아의 신체의 일부를 잡고 갈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양손이 자유롭지 않음으로써 더욱 기저귀를 갈 때 어려움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저귀를 갈 때뿐만 아니라, 영,유아의 하의 등을 입히고 벗길 때, 영,유아의 하체 등을 씻길 때, 걸음마를 배울 때, 이유식을 할 때 등 육아시 여러 상황에서 육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영,유아를 다리를 벌린 자세로 세워놓을 수 있는 육아보조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영,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부; 영,유아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영,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부; 상기 상체지지부와 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를 제시한다.
상기 상체지지부는 영,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팔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는 상기 지지대 반대쪽 끝단이 상측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걸이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팔걸이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 사이에 놓인 영,유아를 감싸도록 서로를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가 상기 지지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지지대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체지지부는 영,유아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영,유아의 발이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안착부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받침대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체지지부는 저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는 높이 조절 가능토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은 상기 상체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상체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토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영,유아가 다리 벌린 자세로 서있도록 지지해줄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를 갈거나 옷을 갈아입히거나 엉덩이 등을 세정할 때 등 육아시 영,유아를 돌보는 사람이 영,유아를 붙잡을 필요가 없어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가 눕지않으려고 저항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육아를 할 수 있다. 또한, 기저귀를 갈거나 엉덩이 등을 세정할 때, 배설물이나 오염물이 허리쪽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위생적으로 육아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도 1의 높이 조절 일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일부 절개 측면도.
도 8, 도 9는 원터치 버튼 방식의 클립의 동작을 보여주는 일부 절개 측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영,유아(2)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부(10)와, 영,유아(2)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영,유아(2)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부(20)와, 상체지지부(10)와 하체지지부(20)를 연결하는 지지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체지지부(10)는 영,유아(2)의 상체를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이든 무방하다.
다만, 상체지지부(10)는 영,유아(2)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팔걸이(12)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팔걸이(12)에 의해 영,유아(2)의 상체를 지지함으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하면서도 확실하게 영,유아(2)가 상체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잡아줄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팔걸이(12)가 영,유아(2) 전체를 둘러싸는 것은 아니므로 영,유아(2)가 자신을 속박한다는 큰 거부감없이 편안하게 지탱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팔걸이(12) 사이가 어느 정도 유동 가능하기 때문에 영,유아(2)를 크게 압박하지 않으며, 영,유아(2)를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에 세워놓거나 내려놓을 때 용이하다.
특히 팔걸이(12)는 지지대(30) 반대쪽 끝단(12A)이 도 1 및 도 2의 '화살표 B'와 같이 상측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영,유아(2)의 상체가 팔걸이(12)의 끝단(12A)에 걸림 가능하기 때문에, 영,유아(2)의 상체가 한 쌍의 팔걸이(12) 사이 공간을 통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팔걸이(12)가 영,유아(2)에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팔걸이(12)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팔걸이(12)는 한 쌍의 팔걸이(12) 사이에 놓인 영,유아(2)를 감싸도록 도 4의 '화살표 C' 및 '화살표 D'로 지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를 향해 절곡 형성됨으로써, 영,유아(2)가 한 쌍의 팔걸이(12) 사이 공간을 통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팔걸이(12)가 영,유아(2)에 부드럽게 접촉될 수 있도록 팔걸이(12)는 서로를 향해 곡선형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상체지지부(10)는 한 쌍의 팔걸이(12)가 지지대(30)로부터 소정 거리(G) 이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팔걸이(12)와 지지대(30)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팔걸이(12)가 지지대(30) 사이의 소정 이격거리에 의해 영,유아(2)와 지지대(30) 사이에 용이하게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육아를 돌보는 사람이 영,유아(2)의 뒤로 손을 돌려서 용이하게 기저귀(4)를 갈거나 옷을 입히거나 엉덩이를 씻길 수 있다. 또한, 영,유아(2)의 신체가 지지대(3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영,유아(2)의 거부감을 방지할 수 있고 청결 측면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체지지부(10)는 유지보수나 색깔, 디자인, 크기 변경 등을 위해 교체 가능토록 지지대(3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체지지부(10)가 지지대(30)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기 위해 특정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부재를 볼트(36)나 핀 체결 등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시키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는바,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하체지지부(20)는 영,유아(2)의 하체를 다리 벌린 자세로 지지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이든 무방하다.
다만, 하체지지부(20)는 영,유아(2)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영,유아(2)의 발이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부(22)를 포함하는 것이 구조적으로 간소하면서도 용이하게 영,유아(2)의 다리를 벌릴 수 있다는 점 등에서 보다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안착부(22)는 영,유아(2)의 발이 삽입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이든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놓일 수 있도록 지지대(30)의 하단에 연결된 받침대(24)에 형성된 홈(22A)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받침대(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타원형을 취할 수 있으며, 반드시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원형은 물론, 디귿자 모양처럼 한 쌍의 안착부(22)에 대응하여 둘 갈래로 갈린 형상 등을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체지지부(20)에는 영유아의 세정시 등에 사용한 물의 배수 및 건조가 용이하도록 배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하체지지부(20)는 저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재(26)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미끄럼방지부재(26)에 의한 하체지지부(20)와 바닥 간 마찰저항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의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를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부재(26)는 마찰저항에 의해 미끄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 소재이든 무방하며, 일 예로써 고무바퀴를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지지대(30)는 상체지지부(10)와 하체지지부(20)를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체지지부(10)와 하체지지부(20) 가운데 하나의 기둥모양으로 연결되거나 상체지지부(10)와 하체지지부(20)의 각 가장자리에 두 개의 기둥의 형태로 연결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특히 지지대(30)는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됨으로써, 영,유아(2)마다 신장의 차이가 있는 경우에도 신장에 맞추어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30)의 높이 조절 구조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상체지지부(10)와 연결대 상측 지지대(32) 및, 하체지지부(20)와 연결되며 상측 지지대(32)와 볼트(36)에 의해 탈착 가능토록 결합되는 하측 지지대(34)를 포함하며, 상측 지지대(32)와 하측 지지대(34)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을 따라 볼트(36)가 체결되는 복수의 체결홀(32A)이 형성되고 그 나머지 하나에 복수의 체결홀(32A)에 대응되어 볼트(36)가 체결되는 하나의 체결홀(3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볼트(36)가 복수의 체결홀(32A) 중 어디에 체결되는냐에 따라 상체 지지대(32)와 하측 지지대(34) 간 결합위치가 상하 바뀔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지대(3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지지대(30)와 상체지지부(10)의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클립(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4)나 옷, 세정도구 등을 클립(40)에 끼워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기저귀(4)를 가는 경우, 기저귀(4), 특히 기저귀(4)의 허리밴드를 미리 클립(40)에 물린 후, 본 발명에 따른 유아보조기구에 영,유아(2)를 세워놓고 기저귀(4)를 채운 뒤 마지막에 클립(40)에서 기저귀(4) 허리밴드 부분을 빼서 마무리함으로써, 용이하게 기저귀(4)를 갈 수 있다.
이러한 클립(40)은 다양한 구조, 방식이 가능하다. 특히 원터치 버튼(one-touch button) 방식 등에 의해,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클립(40) 사용시에는 버튼(B)의 자동 또는 수동 누름에 의해 클립(40)을 상기 상체지지부(10) 또는 상기 지지대(30)에 형성된 홀(h)을 통해 상기 상체지지부(10) 또는 상기 지지대(30)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동시키고, 도 9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클립(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버튼(B)의 자동 또는 수동 조작에 따른 복귀에 의해 상기 상체지지부(10) 또는 상기 지지대(30)에 형성된 홀(h)을 통해 상기 상체지지부(10) 또는 상기 지지대(3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이동시켜 은닉시킬 수 있다. 또는 클립(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토글 스위치(toggle switch) 방식 등에 의해 클립(40)을 회동시켜서 상체지지부(10)의 저면이나 지지대(30)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는 클립(40)을 상체지지부(10) 또는 지지대(30)에 착탈 가능토록 구성하여, 클립(4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클립(40)을 빼놓을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클립(40)을 사용하지 않을 때 돌출된 클립(40)으로 인해 영유아나 영유아를 돌보는 사람이 다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의 피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항균 및 방오(즉, 오염 방지)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영유아 세정시 등에 물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비하여 방수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상술한 구조적 특징을 가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육아보조기구는 영유아 거치시 영유아의 체중을 충분히 감당함과 아울러 영유아의 움직임에 의한 전복,전도에 안정적이며 영유아의 거치 상태에서 육아보조기구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려 이동 가능하면서 아울러 영유아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인간공학적 디자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상체지지부 12; 팔걸이
14; 연결부 20; 하체지지부
22; 안착부 24; 받침대
26; 미끄럼방지부재 30; 지지대
40; 클립

Claims (13)

  1. 영,유아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체지지부;
    영,유아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영,유아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체지지부;
    상기 상체지지부와 하체지지부를 연결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영,유아의 양쪽 겨드랑이에 각각 끼워질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팔걸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는 상기 지지대 반대쪽 끝단이 상측을 향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는 적어도 일부가 하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 사이에 놓인 영,유아를 감싸도록 서로를 향해 절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한 쌍의 팔걸이가 상기 지지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팔걸이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는 상기 지지대와 탈착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부는 영,유아의 다리를 벌린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되며, 각각 영,유아의 발이 삽입되는 한 쌍의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안착부는 상기 지지대에 연결된 받침대에 형성된 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체지지부는 저면에 미끄럼방지를 위한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높이 조절 가능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와 상체지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상체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대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상체지지부 또는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토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아보조기구.
KR1020100071118A 2009-07-23 2010-07-22 육아보조기구 KR101050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4839 WO2011010890A2 (ko) 2009-07-23 2010-07-23 육아보조기구
US13/386,525 US20120119039A1 (en) 2009-07-23 2010-07-23 Device for aiding in infant care
CN2010800334661A CN102469883A (zh) 2009-07-23 2010-07-23 保育辅助器械
JP2012521581A JP2012533397A (ja) 2009-07-23 2010-07-23 育児補助器具
EP10802483A EP2457470A4 (en) 2009-07-23 2010-07-23 DEVICE FOR CARING FOR A NOURISH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67364 2009-07-23
KR1020090067364 2009-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073A true KR20110010073A (ko) 2011-01-31
KR101050514B1 KR101050514B1 (ko) 2011-07-20

Family

ID=4361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118A KR101050514B1 (ko) 2009-07-23 2010-07-22 육아보조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19039A1 (ko)
EP (1) EP2457470A4 (ko)
JP (1) JP2012533397A (ko)
KR (1) KR101050514B1 (ko)
CN (1) CN102469883A (ko)
WO (1) WO2011010890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44A1 (ko) * 2013-12-04 2015-06-11 주식회사 위드파파 육아 보조기구
KR102130755B1 (ko) * 2019-07-17 2020-07-06 한별 육아보조기구의 키높이조절장치
KR20210109432A (ko) * 2020-02-27 2021-09-06 이준희 다목적 영유아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016A1 (en) * 2011-10-12 2013-04-25 Daniel Richardson Child wiping assist apparatus and method
JP6346182B2 (ja) 2012-08-22 2018-06-20 エルスタイン、アンドリュー ジェイ.ELSTEIN,Andrew J. ブーツハンガシステム
CN104068687B (zh) * 2014-06-20 2016-06-29 福建欧仕儿童用品股份有限公司 具有无级调节功能的学步车
KR101533451B1 (ko) * 2014-11-20 2015-07-02 배종훈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KR101674295B1 (ko) * 2015-04-17 2016-11-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동기 구동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56A (en) * 1894-10-09 Photographic head and body rest
US3394933A (en) * 1966-04-28 1968-07-30 Suburban Mfg Corp Inc Invalid lifting and supporting device
WO1984000675A1 (en) * 1982-08-09 1984-03-01 Gatehouse Maria Fikreta Walking device
US4706915A (en) * 1986-03-31 1987-11-17 Cindric Joseph M Multi-support display stand for human-shaped figures
US4858991A (en) * 1986-08-11 1989-08-22 Eyvind Boyesen Chair for infants
US5549499A (en) * 1993-07-23 1996-08-27 Foskey; Jere N. Adjustable doll stand
US5524303A (en) * 1993-08-10 1996-06-11 Palmer, Jr.; John M. Person lifter/rotator
US5407246A (en) * 1993-10-01 1995-04-18 Lisco, Inc. Child exerciser/rocker
US5687433A (en) * 1996-06-27 1997-11-18 Brk Brands, Inc. Child bath seat
US6196949B1 (en) * 1999-02-02 2001-03-06 Ruben Rodarte Apparatus for assisting and training a child to walk
WO2001013768A1 (fr) * 1999-08-25 2001-03-01 Hirosuke Takafuji Dispositif de support de la taille utilise en position debout
DE20006468U1 (de) * 2000-04-07 2000-06-21 Schnuetgen Werner Fahrrad
US7097599B2 (en) * 2002-08-20 2006-08-29 Gates Donald K Infant walker
US7036168B1 (en) * 2004-05-24 2006-05-02 Kristin Knickerbocker Portable headrest
KR200362325Y1 (ko) * 2004-06-16 2004-09-16 정유진 접이식 환자용 보행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944A1 (ko) * 2013-12-04 2015-06-11 주식회사 위드파파 육아 보조기구
KR101533830B1 (ko) * 2013-12-04 2015-07-09 주식회사 위드파파 육아 보조기구
KR102130755B1 (ko) * 2019-07-17 2020-07-06 한별 육아보조기구의 키높이조절장치
KR20210109432A (ko) * 2020-02-27 2021-09-06 이준희 다목적 영유아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0890A3 (ko) 2011-04-21
KR101050514B1 (ko) 2011-07-20
US20120119039A1 (en) 2012-05-17
EP2457470A4 (en) 2013-03-06
WO2011010890A2 (ko) 2011-01-27
EP2457470A2 (en) 2012-05-30
CN102469883A (zh) 2012-05-23
JP2012533397A (ja)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0514B1 (ko) 육아보조기구
JP2008523928A6 (ja) トイレ訓練及びトイレ装置
KR101616314B1 (ko) 기저귀 교환대
US20160324331A1 (en) Diaper changing apparatus
US7032259B1 (en) Collapsible infant tub
KR101533451B1 (ko) 접이식 유아 세정보조기구
US20140325750A1 (en) Baby bath station
KR20090051835A (ko) 유아용 욕조
KR200459933Y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유아욕조
KR200441036Y1 (ko) 영아용 목욕 보조 기구
KR20130139713A (ko) 영유아 세정보조용품
US20200352396A1 (en) Bathing assistance apparatus
KR10151079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TWM586592U (zh) 嬰幼兒盥洗升降裝置
KR100988174B1 (ko) 욕실용 목욕보조기구
US11547247B2 (en) Device for bathing older babies allowing the freedom of appropriate movements
TWI779416B (zh) 幼兒臀部清洗輔助裝置
KR20120000955U (ko)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유아용 욕조
JP5600223B1 (ja) 室内で用いる抱っこ用、授乳用、入浴用を兼ねた保育用具
KR102539703B1 (ko) 다기능 아기목욕 의자
KR101633960B1 (ko) 유아 세정보조기구
KR200347210Y1 (ko) 유아용 목욕의자
KR200143717Y1 (ko) 신생아용 목욕 욕조
KR200461317Y1 (ko) 샤워기 개폐 레버 조절장치
KR20110042731A (ko) 다기능의 신생아 및 유아 겸용 욕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